KR20100104336A - Air water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Air water suppl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4336A KR20100104336A KR1020090022694A KR20090022694A KR20100104336A KR 20100104336 A KR20100104336 A KR 20100104336A KR 1020090022694 A KR1020090022694 A KR 1020090022694A KR 20090022694 A KR20090022694 A KR 20090022694A KR 20100104336 A KR20100104336 A KR 20100104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vaporator
- unit
- air
- raw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TXEYQDLBPFQVAA-UHFFFAOYSA-N tetra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F)F TXEYQDLBPFQ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4—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feeding, collecting, and storing cooling water or other cooling liqui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휀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증발기를 접점방식으로 교대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겨울철에도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even in winter by removing water and allowing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operate alternately in a contact manner.
본 발명은 공기중의 수분을 응측하여 원수를 생성하는 원수생성부와, 상기 원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하여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가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공급부와, 상기 원수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생성부(10)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2)와, 상기 압축기(12)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4)와, 상기 응측기(14)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6)와, 상기 증발기(16)의 하부에 공기가 증발기(16)를 통과할 때 습기가 결로되어 낙하되는 물이 저장되는 원수통(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기(14)와 증발기(16)는 스위칭수단에 의해 접점방식으로 서로 교대로 전원연결되면서 동작되도록 회로연결되어 상기 증발기(16)의 동작시 증발기(16)의 외부 표면에 대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도록 하여 원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w wat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raw water by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a purified water unit receiving and purifying raw water generated by the raw water producing unit, and cooling or heat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purified water unit are used for drinking by the user. In the air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drink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using,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aw water generation unit, the raw water generation unit 1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gas state at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A compressor 12, a condenser 14 for condens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ga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2, an evaporator 16 for evaporating the low press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4, and I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6 consists of a water tank 18 in which water is stored when wate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6 and condensed with moisture, and the condenser 14 and the evaporator 16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By contact Expression is connected to operate as the power connection to each other shift circu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the raw water to ensure that the moisture in the ai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when the evaporator 16 of the evaporator 16 is conden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휀을 제거하고, 응축기와 증발기를 접점방식으로 교대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겨울철에도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even in winter by removing water and allowing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operate alternately in a contact manner.
일반적으로 산업화 및 공해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수돗물을 정수기로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s water pollu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pollutants becomes serious, distrust in tap water is increased, and tap water is purified by a water purifier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or commercially available bottled water as drinking water.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는 수돗물을 여러 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Commonly used water purifier removes heavy metal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in tap water by passing tap water through several filters, and then removes heavy metal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in tap water. Can be heated to drink cold water and hot water selectively.
또한, 생활여건이 향상되면서 낚시나 등산과 같은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용품들이 다양화되면서 야외에서 강물이나 시냇물 또는 호수의 물을 여과하여 식수나 취사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living conditions improve,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mountaineering increases, an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products, the portable water purifier that can be used as drinking water or drinking water by filtering the water of rivers, streams or lakes outdoors It is used.
이와 같이 일상생활이나 여가활동시 다양한 방법으로 원수(原水)를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In this way, raw water is purified and used as drinking water in various ways in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그런데, 상기 식수제조는 수돗물이나 강물 및 바닷물과 같이 존재하고 있는 물(원수)을 정수처리하여 식수를 제조하는 방식이므로, 원수(原水)가 없으면 식수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2003-64227호, 제2003-67373호 및 2004-44068호의 식수제조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출원된 바 있다.By the way, the drinking water manufacturing method is to prepare the drinking water by treating the existing water (raw water), such as tap water, river water and sea w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obtained without the raw water (原 水),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applications 2003-64227, 2003-67373 and 2004-44068 have been applied for a device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drinking water.
상기 기술은 필수적으로 휀이 설치되어 휀에 의한 공기의 강제대류로 공기를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물로 변환시켜 식수를 제조하고 있다.The technology is essentially a water is installed to pass the air throug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by forced convection of the air by the water to conver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o water to produce drinking water.
그러나, 휀의 설치로 인해 원가비용의 상승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전기소모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휀에 의한 소음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안겨주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fins not only resulted in an increase in cost cost, but also increased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and had the disadvantage of discomfort to the user due to the noise caused by the fins.
특히 휀에 의한 공기의 강제대류방식으로 열교환시키면서 공기중의 습기를 물로 제조함에 따라 여름철에는 많은양의 물을 생산할 수 있으나, 습기가 소량 존재하고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물을 생산할 수 없게 되어 식수제조장치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summer by producing moisture in the air with heat by forced convection of air by convection.However,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e temperature is low, heat exchange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drink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 itself.
한편, 겨울철에는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물을 생산하지 못함으로써 연속해서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동작시키게 되어 부하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교체 등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왔다.On the other hand, in winter, heat exchange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thus water cannot be produced, causing compressors, condensers, and evaporators to be operated continuously, causing loads, thereby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such as replacement of par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겨울철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휀을 제거함과 아울러 응축기와 증발기를 접점방식으로 교대로 동작되도록 하여 원수를 생산하도록 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den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o collect it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and in particular to remove the condenser to be used in winter, as well as condenser And an evaporator alternately operated in a contact manner to provide an air water supply device for producing raw wa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부품을 제거하여 전기소모량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줄임과 아울러 원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장소에 국한받지 않도록 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unnecessary parts to reduce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reduce noise and cost costs, and to use the solar power as a power source to the air water suppl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place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공기중의 수분을 응측하여 원수를 생성하는 원수생성부와, 상기 원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하여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가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공급부와, 상기 원수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 워터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생성부(10)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2)와, 상기 압축기(12)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4)와, 상기 응측기(14)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6)와, 상기 증발기(16)의 하부에 공기가 증발기(16)를 통과할 때 습기가 결로되어 낙하되는 물이 저장되는 원수통(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기(14)와 증발기(16)는 스위칭수단에 의해 접점방식으로 서로 교대로 전원연결되면서 동작되도록 회로연결되어 상기 증발기(16)의 동작시 증발기(16)의 외부 표면에 대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도록 하여 원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w wa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aw water by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a water purification unit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raw water generation unit and purifi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In the air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drinking water supply unit for cooling 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so that the user can drink or us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aw water generation unit, the raw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4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42)와, 상기 태양광발전부(44)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전압으로 전환시키는 전압조절부(44)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조절부(44)에서 전환된 사용전압을 상기 원수생성부(10) 및 펌프(25)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겨울철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휀을 제거함과 아울러 응축기와 증발기를 접점방식으로 교대로 동작되도록 하여 원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dens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o collect it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in particular to remove the 하도록 to be used even in winter, and to operate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lternately by the contact method It has the effect of producing raw water.
또한, 휀과 같은 불필요한 부품을 제거하여 전기소모량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줄임과 아울러 원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태양광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장소에 국한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unnecessary parts such as 휀 to reduc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reduce noise and cost costs, and can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place by using solar power as a power sou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 워터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ir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의 연결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와 증발기의 접점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nection state diagram of an air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tact state diagram of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측하여 원수를 생성하는 원수생성부(10)와, 상기 원수생성부(10)에서 생성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부(20)와, 상기 정수부(20)를 통하여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가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공급부(30)와, 상기 원수생성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raw
상기 정수부(20)는 통상적인 정수기에 제공된 필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러한 필터부재는 예를 들면 침전필터, 전처리카본필터, 증공사막필터, 후처리카본필터가 관로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처리 카본필터 후단에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의 완전 살균제거를 위해 울트라 바이올렛(Ultra Violet)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정수부(20)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식수공급부(30)로 저장되어 진다.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으로서 상기 원수생성부(10)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2)와, 상기 압축기(12)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4)와, 상기 응측기(14)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6)와, 상기 증발기(16)의 하부에 공기가 증발기(16)를 통과할 때 습기가 결로되어 낙하되는 물이 저장되는 원수통(18)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ain featu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이때, 본 발명에서는 통상 물공급장치에 설치된 휀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응축기(14)와 증발기(16)가 서로 교대로 동작되도록 회로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is usually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device, the
즉, 상기 응축기(14)와 증발기(16)는 스위칭수단에 의해 접점방식으로 서로 교대로 전원연결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증발기(16)의 동작시 증발기(16)의 외부 표면에 대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면서 원수를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따라서, 기존의 물공급장치와 같이 냉매순환방식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물로 생산하도록 이루어지나, 기존의 물공급장치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증발기가 모두 동작된 상태로 냉매가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공기중의 수분을 물로 변환시키는 구조인 반면, 본 발명은 응축기와 증발기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수단에 의한 접점방식으로 설계하여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습기가 적은 겨울철에 응축기의 동작으로 일정 시간동안의 응축 후 증발기를 동작시켜 물을 생성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as i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apparatus,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produce water contained in the air in a circulation method, but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apparatus is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operated in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While circulating the structure to convert the moisture in the air to w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by the contact means by the switching mean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is not made together, the heat exchange is not made well and the moisture of the condenser in winter In operation, the evaporator is operated after condensation for a certain time to generate water.
이때,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의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되게 설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may be designed to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그리고, 상기 원수통(18)에는 수위조절센서(19)가 설치되어 원수통(18)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상기 증발기(16)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압축기(12)와 응축기(14)를 동작시켜 냉매를 응축시키도록 하며, 상기 원수통(18)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증발기(16)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이와 같이, 응축기(14)에서 응축된 냉매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기(14)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응축되어 고체로 굳어지게 지고, 이 상태로 일정 시간 후 굳어진 다량의 고체에 증발기(16)를 동작시키게 되면 굳어진 수분이 녹아 내리면서 원수통(18)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moisture in the ai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전원공급부(4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42)와, 상기 태양광발전부(44)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전압으로 전환시키는 전압조절부(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압조절부(44)에서 전환된 사용전압을 상기 원수생성부(10)의 압축기(12)와 응축기(14)와 증발기(16) 및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해 정수부(20)로 펌핑시키는 펌프(25)에 공급하여 상기한 각각의 장치(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펌프)를 작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 워터 공급장치는 태양광을 전원으로 동작됨에 따라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며,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ir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as the solar power is operated as a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energ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겨울철에도 물공급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응축기(14)와 증발기(16)의 동작이 서로 교대로 동작되게 한다. 즉, 물을 생산하기 위해 압축기(12)를 통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4)로 배출시켜 응축시키게 되면, 상기 응축된 냉매에 의해 응축기(14)의 표면에는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된 후 고체로 굳어지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이 상태로 다량의 수분이 굳어지게 되면, 증발기(16)를 동작시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고체상태로 굳어진 수분을 다시 응축시켜 물(원수)을 생성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hardened in this state, the
즉, 상온의 공기로 인해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아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응축기와 증발기의 동작을 스위칭수단에 의해 응축기와 증발기가 서로 다르게 동작되게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일정시간동안 응축시켜 얼음과 같이 고체로 형성한 후 냉매를 증발시켜 얼음을 물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temperature is lower in winter compared to the summer when heat exchange is performed properly due to air at room temperature, so that the heat exchange is not performed properly so that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operated differently by switching means. The water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for a certain time to form a solid like ice, and then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to make the ice water.
이러한 작용으로 원수통(18)에 물이 저장되어 지고, 저장된 물은 각종 필터로 이루어진 정수부(20)를 거쳐 정화되어 진 후 식수공급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식수공급부(30)에는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위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수와 온수의 배출을 위해 배출콕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배출콕을 개폐시킴으로써 필요한 물을 얻게 된다.By this action, the water is stored in the
이와 같이, 겨울철에도 물의 생성이 가능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태양광을 전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water even in winter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eason,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is not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by using solar power as a power sour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워터 공급장치의 연결상태도,2 is a connection state of the air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와 증발기의 접점상태도.Figure 3 is a contact state diagram of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원수생성부 12: 압축기10: raw water generating unit 12: compressor
14: 응축기 16: 증발기14: Condenser 16: Evaporator
18: 원수통 19: 수위조절센서18: water bottle 19: water level sensor
20: 정수부 30: 식수공급부20: water purification unit 30: drinking water supply unit
40: 전원공급부 42: 태양광발전부40: power supply unit 42: solar power generation unit
44: 전압조절부44: voltage regulator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694A KR20100104336A (en) | 2009-03-17 | 2009-03-17 | Air water suppl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694A KR20100104336A (en) | 2009-03-17 | 2009-03-17 | Air water supply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336A true KR20100104336A (en) | 2010-09-29 |
Family
ID=4300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2694A Ceased KR20100104336A (en) | 2009-03-17 | 2009-03-17 | Air water suppl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4336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5891B1 (en) * | 2013-01-30 | 2013-09-06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having air cleaner |
KR101321299B1 (en) * | 2013-01-29 | 2013-10-28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improved air inletting structure |
KR101321281B1 (en) * | 2013-01-29 | 2013-10-28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
KR20160056429A (en) * | 2014-11-11 | 2016-05-20 | 주식회사 에이치이앤지 | Air Water Generator with Trouble Sensing Function |
US10962290B2 (en) | 2016-02-01 | 2021-03-30 | Air Water Korea Co., Ltd. | High-efficiency air water system for tropical climate |
-
2009
- 2009-03-17 KR KR1020090022694A patent/KR2010010433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299B1 (en) * | 2013-01-29 | 2013-10-28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improved air inletting structure |
KR101321281B1 (en) * | 2013-01-29 | 2013-10-28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
KR101305891B1 (en) * | 2013-01-30 | 2013-09-06 | 남광진 | Air water system having air cleaner |
KR20160056429A (en) * | 2014-11-11 | 2016-05-20 | 주식회사 에이치이앤지 | Air Water Generator with Trouble Sensing Function |
US10962290B2 (en) | 2016-02-01 | 2021-03-30 | Air Water Korea Co., Ltd. | High-efficiency air water system for tropical clim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3743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from an underground water supply | |
CN100591628C (en) | Seawater desalination and inferior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CN101544411B (en) | Solar-energy sea water desalination and salt production device | |
DK3120907T3 (en) | SYSTEM FOR TRANSFORMATION OF DUST FROM THE ATMOSPHERE | |
CN103370279B (en) |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 |
KR20100104336A (en) | Air water supply system | |
CN204384910U (en) | A kind of heat pump waste disposal plant | |
CN101948148A (en) | Energy-saving low-temperature multiple-effect seawater desalting device | |
WO2011052198A1 (en) | Distilled water production system | |
CN202046907U (en) | Wind and photovoltaic generation air source heat pump seawater desalinization device | |
CN107975961A (en) | Utilize the air conditioner refrigerating of fume afterheat and solar energy and the sea water desalination circulatory system | |
KR20010106805A (en) | Desalination system with Mechanica l Vapor Recompression | |
KR101017282B1 (en) | Water Purifier with Circulating Air Water Generation | |
CN2232916Y (en) | Seawater desalination unit utilizing solar vacuum tube | |
KR101456444B1 (en) | Water purifier using the rotating type making air water enable sterilizing legionella | |
US10962290B2 (en) | High-efficiency air water system for tropical climate | |
MX2007003302A (en) | Seawater desalination plant. | |
KR20120003141A (en) | Temperature Variable Drinking Water Manufacturing Equipment | |
KR20120023274A (en) | Drinking water making system | |
KR20050027843A (en) | Device to make drinking water | |
WO2014047676A1 (en) | Cooling of exhaust gas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 |
CN206514448U (en) | A kind of air-conditioning | |
CN114394713A (en) | Refrigeration-evaporation combined concentration sewage treatment system | |
CN206514449U (en) | A kind of air-conditioning | |
TW200821266A (en) | Desalting or purifying apparatus for sea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