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95489A -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heet used the same - Google Patents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heet use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489A
KR20100095489A KR1020090014580A KR20090014580A KR20100095489A KR 20100095489 A KR20100095489 A KR 20100095489A KR 1020090014580 A KR1020090014580 A KR 1020090014580A KR 20090014580 A KR20090014580 A KR 20090014580A KR 20100095489 A KR20100095489 A KR 2010009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ehicle
finger
capacitive senso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5972B1 (en
Inventor
노대성
Original Assignee
(주)비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스로 filed Critical (주)비스로
Priority to KR102009001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972B1/en
Priority to PCT/KR2009/002117 priority patent/WO2010095778A1/en
Publication of KR2010009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4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6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 G07C9/00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actuat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with spring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door locking releas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sheet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noise of induced static electricity received through a sheet by passing through the electricity to a capacitance sensor through a penetration hole. CONSTITUTION: A one side of a sheet(200) is attached to the glass inside the glass of a vehicle.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of a vehicle is illustrated in one side of the sheet. Opened one side of a housing(300)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sheet. A control board(4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control board is connected to the ECU(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The control board executes the locking/releasing operation of a vehicle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A plurality of capacitance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control board. The capacitance sensor senses the finger of a user which is contiguous to the function key.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시트 {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heet used the same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heet used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 키 없이도 운전자가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차주호출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and a seat used therein, and in particular, a driver can lock or open a door of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without a car key, and furthermore, a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capable of calling a vehicle and used to It is about a sheet.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의 도어(door)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키 실린더(key cylinder)에 키를 삽입한 후 회전시킴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open and close doors of various vehicles, the door is locked or opened as the key is inserted into a key cylinder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rotat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는 반드시 운전자(혹은, 사용자)가 키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 (or the user) must have a key to open and close the door.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가 하차 후 도어를 닫으면 도난의 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작동되도록 하고 있어, 운전자가 키를 차량 내부에 놓고 내리는 경우와 같이 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를 다시 열고 운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when the driver closes the door after getting off, the locking device is automatically activated to prevent thef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one.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최근에는 키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가 출시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has been recently released that can lock or open a door of a vehicle from the outside without a key.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차량의 내측 전면으로 부착되고, 차량 도어 해제, 등록을 위한 다수의 번호키 및 제어키를 그래픽으로 도시한 소정 형상의 시트(101)와, 상기 시트(101)와 대응하는 구조로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면으로 상기 시트의 배면이 부착되는 하우징(103)과, 상기 하우징(103)으로 내설되고 차량의 경보기 경계 기능을 포함하며, 외부 비밀번호 입력에 응답하여 도어 록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판(111)과, 상기 제어기판(111)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차량의 ECU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의 경보기 경계 기능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ECU로 전달하는 경보 제어라인(117)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is attached to the inside front of a vehicle, and has a seat 10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graphically showing a plurality of number keys and control keys for vehicle door release and registration. A housing 103 having one side open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eat 101 and a rear surface of the seat attached to the opening surface, and an alarm boundary function of the vehicle, which is built into the housing 103, A control board 111 for performing a door lock releas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ssword input; and an output port of the control board 111, connected to an ECU of a vehicle, and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larm alert function of the vehicle; It is composed of an alarm control line 117 to deliver to the ECU.

또한 상기 제어기판(111)에는 상기 다수의 번호키 그래픽 위치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LED(105)와, 상기 제어키 그래픽의 위치와 대향하도록 다수 개의 정전용량 센서(113)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11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LEDs 105 installed to face the plurality of number key graphic positions, and a plurality of capacitive sensors 113 to fac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key graphic.

상기 정전용량 센서(113)는 인체 부위(손가락)의 접근 여부에 따라 정전용량 값이 가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제어기판(111)의 동작 지시에 따라, 평상 시 상기 제어키 그래픽 및 차량의 전면유리를 관통할 수 있는 세기의 자기장을 방사 한다.The capacitive sensor 113 uses the principle that the capacitance valu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finger) approaches,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control panel 111, the control key graphic and the vehicle Emits a magnetic field of intensity that can penetrate the windshield.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차량의 외부에서 전면유리를 통해 상기 시트(101)와 인접시키면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상기 정전용량 센서(113)가 감지 한다.Therefore,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seat 101 through the windshiel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capacitive sensor 113 detects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finger.

그러나 상기 정전용량 센서(113)는 코팅이 없는 차량의 전면유리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정전용량 센서(113)의 민감도가 낮으면 오랫동안 누르고 있어야 센서가 반응을 한다. However, when the capacitive sensor 113 is moun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without a coating, if the sensi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113 is low, it must be press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sensor reacts.

만약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정전용량 센서(113)의 민감도를 높이면, 코팅이 있는 차량의 전면유리에서는 코팅 재료에 포함된 금속의 전도체 성분에 의하여 주변 센서를 모두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오동작이 발생한다.If the sensi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113 is in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a malfunction occurs because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with the coating has the same effect as pressing all of the peripheral sensors by the conductive component of the metal contained in the coating material. .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차량유리에 코팅이 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반된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코팅유리용과 일반유리용을 별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 coating glass and a general glass are separately manufactured because the opposite reactions occur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glass is coa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도정전기가 받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코팅유리와 일반유리에서 모두 오동작 없이 사용 가능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장치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inimize the noise received by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to provide a door unlocking device and a seat for the device of the vehicle that can be used without malfunction in both coated glass and general glass.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일면이 차량의 유리 안측에 부착되고, 일면에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도시된 시트와;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상기 시트의 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차량 ECU와 연결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기능키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다수개 장착되고, 상기 기능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시트에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 손가락의 인접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시트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정전용량 센서까지 도달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on which a door is unlocked on a glass inner side of the vehicle, and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on one surface thereof; ; A housing having one side open, the one open side being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mounted on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vehicle ECU, and a control board configured to perform a do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and; A capacitive sensor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o as to face the function key and detecting a finger of the user adjacent to the function key; Wherein, the sheet has a through-hol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pacitive sensor, respectively,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sheet to reach the capacitive sensor do.

상기 관통홀에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의 타면에 장착되는 전도성 테이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의 수신감도를 증가시킨다.A conductive tape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to face the through hole; The conductive tape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to in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user's finger.

상기 전도성 테이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 도성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스프링은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전도성 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시트와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상기 정전용량 센서로 전달한다.A conductive spring mounted on the capacitive sensor so as to face the conductive tape; It further comprises, The conductive spring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conductive tape to transfer the inducti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sheet to the capacitive sensor.

휴대 가능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키는 호출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호출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상기 리모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A remote controller that is portable and generates a vehicle call signal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I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function key comprises a call key, the control panel controls the remote control to operate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call key.

상기 기능키는 제어키 및 번호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키는,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제어기판이 인식하는 숫자를 변경하는 시프트키와; 상기 제어기판에 상기 번호키의 숫자 입력 완료를 알리는 엔터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제어키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 또는 상기 엔터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key further includes a control key and a number key, wherein the control key includes: a shift key for changing a number recognized by the control panel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An enter key for notifying completion of the number input of the number key on the control panel; It comprises a, and the control panel performs any one of the shift key or the enter ke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to touch the control key.

상기 번호키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서로 다른 다수개의 숫자가 도시되며,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한다.A plurality of different numbers among the numbers '0' to '9' are shown in the number key, and the control panel recognizes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When the number key is pressed after touching the shift key,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recognized before touching the shift key.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기호가 도시되어 상기 하우징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A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laterally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position symbol is show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hous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이용되는 시트는 사용자 손가락의 인접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감지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도시되고, 상기 기능키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at used in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induced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when a user's finger is adjacent to a seat for the door lock release device of a vehicle that performs a door lock or release function of the vehicle. In the seat,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releasing a door of the vehicle is illustrat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unction key so that an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function ke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장치용 시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and the seat for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차량의 유리 안측에 부착되는 상기 시트에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로 관통홀을 각각 형성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정전용량 센서까지 도달함으로써, 상기 시트에 의해 상기 유도정전기가 받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차량유리의 코팅 유무에 따른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pacitive sensors on the sheet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and an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a user's finger is adjacent reaches the capacitive sensor through the through-holes. Thus, by minimizing the noise received by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by the sheet can reduce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coating of the vehicle glass.

상기 관통홀에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의 타면에 전도성 테이프를 장착하고, 상기 전도성 테이프를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의 수신감도를 증가시킨다.The conductive tape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to face the through hole, and the conductive tape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thereby increa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user's finger.

상기 전도성 테이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에 전도성 스프링을 장착하고, 상기 전도성 스프링으로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전도성 테이프 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도성 테이프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Mounting a conductive spring on top of the capacitive sensor to face the conductive tape and connecting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conductive tape with the conductive spring, thereby connecting the conductive tape and the capacitive sensor by the conductive spring. There is an effect to facilitate the, and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휴대 가능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키는 호출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판으로 상기 호출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상기 리모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연락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다.It is portable, and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aller call signal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wherein the function key comprises a call key,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call key to the control panel When the remote control to operate, you can easily call the owner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act means.

상기 제어키는,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제어기판이 인식하는 숫자를 변경하는 시프트키와 상기 제어기판에 상기 번호키의 숫자 입력 완료를 알리는 엔터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판으로 상기 제어키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 또는 상기 엔터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키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control key may include a shift key for changing a number recognized by the control panel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and an enter key for notifying completion of the number input of the number key on the control panel.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ny one of the shift key or the enter ke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for touching the control ke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key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상기 번호키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서로 다른 다수개의 숫자가 도시되며,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번호키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 plurality of numbers different from '0' to '9' are shown in the number key, and the control panel recognizes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and the shift When the number key is pressed after the key has been touched,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recognized before touching the shift key,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umber key and reducing the overall size. This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operation.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기호가 도시됨으로써, 상 기 하우징을 상기 시트의 타면에 부착할 때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laterally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position symbol is show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so that the housing is assembled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housing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This can be done.

사용자 손가락의 인접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감지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도시되고, 상기 기능키에는 관통홀을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능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 통과하여 상기 시트에 의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In the seat of the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for detecting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perform the door lock or release function of the vehicle, the seat is shown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function key, an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a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function ke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to reduce noise caused by the sheet.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용 시트의 일면 및 타면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unloc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unloc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FIG.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시트(200), 하우징(300), 제어기판(400), 컨트롤박스(미도시), 정전용량센서(500), 전도성 테이프(600), 전도성 스프링(700) 및 리모컨(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to 5, the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200, the housing 300, the control panel 400, a control box (not shown), the capacitive sensor 500, conductive The tape 600 includes a conductive spring 700 and a remote controller 800.

상기 시트(200)는 원형 형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종이와 같이 얇게 형성된다.The sheet 2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 circular shape, and is formed thin like paper.

상기 시트(200)의 일면에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다수개 의 기능키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도시된다.On one surface of the seat 200,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of the vehicle are shown in various designs.

구체적으로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키는 제어키(210)와 번호키(220) 및 호출키(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detail,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function key includes a control key 210, a number key 220, and a call key 230.

상기 호출키(230)는 상기 시트(2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막대형상의 상기 관통홀(240)이 형성된다.The call key 2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heet 200, is formed in a parallelogram shape, the through-hole 240 of the bar shape is formed therein.

상기 관통홀(240)은 상기 시트(200)의 일면과 타면이 모두 개방된 구멍으로, 상기 시트(200)에 사용자의 인체(손가락)가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240)을 통해 상기 시트(200)를 통과하도록 한다.The through hole 240 is a hole in whic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200 are open, and an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body (the finger) is adjacent to the sheet 200 is the through hole 240. To pass through the sheet 200 through.

경우에 따라서 상기 관통홀(240)은 원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through hole 240 may be illustra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triangle.

또한 상기 호출키(230)의 내부에는 'Driver Call 3 times' 가 그래픽으로 도시된다.Also, 'Driver Call 3 times' is graphically shown inside the call key 230.

상기 제어키(210)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상기 호출키(230)의 좌측에 도시되며, 내부에는 상하 중심부에 막대 형상의 관통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4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시프트키(211)가, 하부에는 엔터키(212) 각각 도시된다.The control key 210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call key 230 in a parallelogram shape, and a rod-shaped through hole 24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control key 210,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240. Shift key 211 is shown below, and enter key 212 is shown below, respectively.

즉 상기 관통홀(24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ENTER' 가, 하부에는 'SHIFT' 가 그래픽으로 도시된다.In other words, 'ENTER' is shown at the top and 'SHIFT' is shown a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40.

이러한 상기 시프트키(211)는 상기 번호키(220)의 터치시 상기 제어기판(400)이 인식하는 숫자를 변경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엔터키(212)는 상기 제어 기판(400)에 상기 번호키(220)의 입력 완료를 알리는 기능을 한다.The shift key 211 functions to change the number recognized by the control panel 400 when the number key 220 is touched, and the enter key 212 changes the number on the control board 400. A function of notifying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key 220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어키(210)에는 상기 시프트키(211)의 상측과 상기 엔터키(212)의 하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원형형상의 투명창(250)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key 210 has a circular transparent window 250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the upper side of the shift key 211 and the lower side of the enter key 212, respectively.

상기 번호키(220)는 총 5개로 이루어져 상기 호출키(230)를 중심으로 원형 배치되며, 상기 제어키(210)와 동일하게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number key 220 is made up of a total of five circularly arranged around the call key 230, the same as the control key 210 is formed in a parallelogram shape.

상기 번호키(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키(210)와 마찬가지로 상하 중심부에 막대형상의 상기 관통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40)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서로 다른 숫자가 도시된다.In the inside of the number key 220, as in the control key 210, the rod-shaped through-holes 24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0' through ' Different numbers of the numbers up to 9 'are shown.

즉 하나의 상기 번호키(220)에는 '0'부터 '9'까지의 정수 중 서로 다른 2 개의 숫자가 상하부에 각각 도시되며, 그 숫자는 다른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와 중복되지 않는다.That is, two different numbers of integers from '0' to '9' are respectively show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one number key 220, and the numbers do not overlap with the numbers shown on the other number keys 220. Do not.

본 실시예에서는 한 예로써 상기 번호키(220)에는 상기 관통홀(240)을 기준으로 상부에 1,2,3,4,5를 각각 도시하고, 하부에는 6,7,8,9,0을 각각 도시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number key 220 shows 1,2,3,4,5 on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40, and 6,7,8,9,0 on the lower side. Are respectively shown.

또한 상기 번호키(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키(210)와 마찬가지로 원형 형상의 상기 투명창(250)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control key 210, the transparent window 250 of a circular shap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number key 22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일면에 상기 제어키(210), 상기 번호키(220) 및 상기 호출키(230)가 도시된 상기 시트(2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200)의 일면이 차량의 유리 안측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seat 200 having the control key 210, the number key 220, and the call key 230 on one surface of the seat 200 is a vehicle.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glass.

이를 위해 상기 시트(200)의 일면에는 투명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200)의 일면이 차량의 유리 안측에서 차량 전면을 향하게 부착되어 차량의 외 부에서 상기 시트(200)의 일면을 볼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a transparent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heet 200, and one surface of the sheet 200 is attach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inner glass side of the vehicle to view one surface of the sheet 200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help.

또한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는 상기 하우징(300)이 부착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300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200.

상기 하우징(300)은 원통형 형상으로 외주면의 지름이 상기 시트(20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돌기(310)가 형성된다.The housing 30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sheet 200, and the position projection 310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위치돌기(310)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총 3개가 형성된다.A total of three position protrusions 31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intervals of 90 degrees.

이때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조립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기호(260)가 도시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seat 200, as shown in Figure 5 (b) is shown a position symbol 260 for indica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housing 300.

상기 위치기호(260)는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위치돌기(310)와 동일한 위치에 도시된다.The position symbol 260 is shown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projection 310 of the housing 300 in a triangular shape.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위치돌기(310)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200)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돌기(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기호(260)가 도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 부착할 때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protrusion 310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0, and the position symbol 26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trusion 3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200. As shown, when the housing 300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200 can be assembled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일측이 개방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에 두꺼운 양면테이프가 장착되어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 부착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using 300 is formed to be open, and a thick double-sided tape is mounted on the open side and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200.

이러한 상기 하우징(300)의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어기판(400)이 삽입 장착된다.The control board 400 is inserted and mounted at one open side of the housing 300.

상기 제어기판(400)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300) 보다 작게 형성되 어 내부에 삽입된다.The control plate 4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maller than the housing 300 is inserted inside.

또한 상기 제어기판(400)은 인쇄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200)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LED소자(450) 및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가 다수개 장착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400 is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one side facing the sheet 200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45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상기 LED소자(450)는 상기 시트(200)의 상기 투명창(250)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어기판(400)에 다수개 장착되며,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점멸되어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D device 450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400 so as to face the transparent window 250 of the seat 200, and blink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unction key, so that the user inputs the function key. Visually confirm that this is happening.

또한 상기 제어기판(400)은 상기 컨트롤 박스(미도시)를 통해 차량 ECU(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00 is connected to a vehicle ECU (not shown) through the control box (not shown), and performs a do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상기 컨트롤 박스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기판(400)을 통해 상기 기능키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기능 및 차주 호출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control box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receives the input data of the function key through the control panel 400 to perform a door unlocking function and a vehicle call func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어기판(400)은 상기 제어키(210)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211) 또는 상기 엔터키(212)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00 performs one of the shift key 211 and the enter key 212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for touching the control key 2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키(210)에 손가락을 3 초간 짧게 인접시키면 시프트키(211)의 기능을 수행하고, 5초간 길게 인접시키면 상기 엔터키(212)의 기능을 수행한다.For example, if the finger is shortly adjacent to the control key 210 for 3 seconds, the function of the shift key 211 is performed, and if the finger is close for 5 seconds, the function of the enter key 212 is perform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기판(400)은 상기 제어키(210)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211) 또는 상기 엔터키(212)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키(210)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control panel 400 perform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shift key 211 or the enter key 212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for touching the control key 210.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210, and facilitat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어기판(400)은 상기 번호키(220)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220)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00 recognizes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on the number key 220 when the number key 220 is touched, touches the shift key 211, and then touches the number key 220. When is pressed,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220 and the number recognized before touching the shift key 211 is recognized.

즉 상기 제어기판(400)은 초기에 상기 번호키(220)를 터치할 경우 상기 번호키(220)에서 상기 관통홀(240)의 상측에 있는 '1' 에서 '5' 까지의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220)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관통홀(240)의 하측에 있는 '6'에서 '0' 까지의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다.That is, when the control panel 400 initially touches the number key 220, any one of numbers from '1' to '5' on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40 in the number key 220. When the number key 220 is pressed after the shift key 211 is touched, one of the numbers '6' to '0' below the through hole 240 is recogniz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기판(400)은 상기 번호키(220)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220)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번호키(220)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키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control panel 400 recognizes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220 when the number key 220 is touched, touches the shift key 211, and then touches the number key 220. When pressing), by recognizing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220 and other than the number recognized before touching the shift key 211,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number key 220 to reduce the overall size It has the effect of shrinking and facilitating operation.

한편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는 사람의 인체가 상기 시트(200)에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기 시트(200)의 상기 기능키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어기판(400)에 다수개 장착된다.The capacitive sensor 500 is a sensor for detecting an induction electrostatic charge generated when a human body is adjacent to the seat 200. The controller board 400 faces the function key of the seat 200. It is mounted on a plurality.

즉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는 상기 제어키(210), 상기 번호키(220) 및 상기 호출키(230)가 도시된 위치와 동일하게 상기 제어기판(400)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어키(210), 상기 번호키(220) 및 상기 호출키(23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하는 것을 감지한다.That is, the capacitive sensor 500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400 in the same position as the control key 210, the number key 220, and the call key 230, respectively. 210, the number key 220 and the call key 230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number key 220.

한편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는 상기 관통홀(240)에 대향 하도록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tape 600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200 to face the through hole 240.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박판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키들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40)이 형성된 상기 기능키의 반대면에 각각 부착된다.The conductive tape 6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hin thin plates made of aluminum, and is similar to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unction keys, and is attached to opposite surfaces of the function keys on which the through holes 240 are formed.

이러한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는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시트(200)와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활성화 시킨다. The conductive tape 600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500 by the conductive spring 700, and activates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sheet 200.

이와 같이 상기 관통홀(240)에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 전도성 테이프(600)를 장착하고,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를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에 대한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conductive tape 600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200 so as to face the through hole 240, and the conductive tape 600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500 so that the user's finger is remov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500 to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의 상부에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대향 하도록 각각 장착된다.The conductive spring 700 has a plurality of coil springs,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pacitive sensor 500 so as to face the conductive tape 600.

즉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은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를 연결한다.That is, the conductive spring 700 is dispos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to connect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물론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를 와이어나 커넥터 등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may be connected by a wire or a connector.

그러나 와이어는 납땜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복잡하고, 커넥터는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의 높낮이가 다를 경우 결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ires must be connected by soldering, assembly is complicated, and the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is not good when the heights of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are differen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nductive spring 700 as in this embodiment.

이와 같이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대향 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의 상부에 전도성 스프링(700)을 장착하고,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으로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와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conductive spring 700 is mounted on the capacitive sensor 500 to face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and the conductive tape 600 are mounted to the conductive spring 700. By connecting),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apacitive sensor 500 can be kept connected at all tim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ductive spring 700, and also easy to assemble and overall durability It is effective to improve.

한편 상기 리모컨(800)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차주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ler 800 is independently separated and configured to be portable to the owner, and generates a vehicle call signal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키 중 상기 호출키(230)를 누르면 상기 제어기판(400)이 상기 콘트롤 박스(미도시)를 작동시키고,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리모컨(800)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리모컨(800)이 일정한 음원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call key 230 is pressed among the function keys, the control panel 400 operates the control box (not shown), and the control box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800. By communicating, the remote controller 800 controls to generate a constant sound source.

물론 상기 리모컨(800)은 음원 이외에도 불빛이나 진동 등으로 차주 호출 신 호를 보낼 수 있다.Of course, the remote controller 800 may send a caller call signal by the light or vibration in addition to the sound source.

이와 같이 휴대 가능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컨(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기판(400)으로 상기 호출키(23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상기 리모컨(800)이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연락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is portable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 800 for generating a vehicle call signal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call key 230 to the control panel 400 By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800 to oper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all the owner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act means.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를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시트(200)의 일면을 상기 차량 유리의 안측에 부착한다.In order to mount the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vehicle, first, one surface of the seat 200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glass.

그 다음 상기 제어기판(400)이 장착된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 부착한다.Then, the housing 300 on which the control board 400 is mounted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200.

이때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돌기(310)를 상기 시트(200)의 타면에 도시된 상기 위치기호(260)에 맞추어 장착하여 상기 시트(200)에 상기 하우징(300)을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projection 3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0 is fit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symbol 260 show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200 to mount the housing 300 on the seat 200. Can be assembled correctly.

이 후 상기 제어기판(400)와 연결된 상기 컨트롤 박스를 차량 내부에 장착하고 차량 ECU와 연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Thereafter, when the control box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400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ECU, the assembly is completed.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조도이다.6 is a structural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키를 누르기 위해 상기 차량의 유리 위로 사용자의 인체(손가락)를 접촉시키면, 그 주위에 유도자기장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s human body (finger) is touched on the glass of the vehicle to press the function key, an induction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user.

이러한 유도자기장은 차량의 유리를 통과하여 상기 시트(200),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 및 상기 전도성 스프링(700)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에 도달하게 된다.The inductive magnetic field passes through the glass of the vehicle and sequentially reaches the capacitive sensor 500 through the sheet 200, the conductive tape 600, and the conductive spring 700.

이때 상기 기능키에는 상기 관통홀(240)이 형성되어 유도자기장이 상기 관통홀(240)을 통해 상기 시트(200)를 곧바로 통과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through-hole 240 is formed in the function key so that an induction magnetic field passes directly through the sheet 200 through the through-hole 240.

즉 상기 관통홀(240)에 의해 유도자기장은 상기 시트(2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전도성 테이프(600)에 전달되어 유도자기장이 상기 시트(200)에 의해 받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is transmitted to the conductive tape 600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heet 200 by the through hole 240, so that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may receive noise received by the sheet 200.

이 후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는 유도자기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한 것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기판(400)을 통해 상기 컨트롤 박스에 신호를 전달한다.Thereafter, the capacitive sensor 500 recognizes that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by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box through the control panel 400.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어기판(40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및 해제를 여부를 결정한다.The control box analyzes data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400 to determine whethe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of the vehicle.

이 후 상기 컨트롤 박스는 그 결정에 따라 차량 ECU에 신호를 보내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control box sends a signal to the vehicle ECU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o perform the door lock or release operat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차량의 유리 안측에 부착되는 상기 시트(200)에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와 대응되는 위치로 관통홀(240)을 각각 형성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시트(200)에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240)을 통과하여 상기 정전용량 센서(500)까지 도달함으로써, 유도정전기가 상기 시트(200)에 의해 받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차량유리의 코팅 여부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rough holes 240 are form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pacitive sensors 500, respectively, on the sheet 200 attached to the glass inner side of the vehicle, and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sheet 200. The generated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240 to reach the capacitive sensor 500, thereby minimizing noise received by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by the sheet 200 to operate normally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glass is coated. You can do that.

한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에 설정해야 한다.Meanwhile, in order to use the door unlocking device of a vehicle, a password for releasing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must first be set in the control box.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어키(2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5초간 길게 인접시켜 엔터키(21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In order to set a password, first,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control key 210 for 5 second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enter key 212.

그러면 상기 번호판(220)의 투명창(250)과 대향 되도록 장착된 상기 LED소자 (450) 중 상기 관통홀(24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LED소자(450)가 모두 켜진다.Then, among the LED elements 450 mounted to face the transparent window 250 of the license plate 220, all of the LED elements 450 disposed above the through-hole 240 are turned on.

이후 상기 번호판(220)을 눌러 '1'에서 '5'까지의 숫자 중 원하는 숫자를 선택한다. Then press the license plate 220 to select the desired number from '1' to '5'.

만약 계속해서 '6' 내지 '0' 중에서 숫자를 선택하고 싶으면 상기 제어키(220)를 3초간 짧게 눌러 시프트키(211)의 기능을 실행시킨다.If the user wants to select a number from '6' to '0', the control key 220 is briefly pressed for 3 seconds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shift key 211.

이후 상기 번호판(220)을 누르면 상기 번호판(220)에 도시되어 있는 숫자 중 상기 관통홀(240)의 하측에 있는 '6' 내지 '0'의 숫자가 선택된다.Then, when the license plate 220 is pressed, a number of '6' to '0' below the through hole 240 is selected among the numbers shown in the license plate 220.

비밀번호는 최소 4 자리에서 최대 10 자리 까지 선택할 수 있다.You can select a password of at least 4 and up to 10 digits.

비밀번호 선택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키(210)를 길게 5초간 눌러 엔터키(212)의 기능을 실행시키면 모든 LED소자(450)가 3회 점멸된 후 등록이 완료된다.After the password selection is completed, press and hold the control key 210 for 5 seconds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enter key 212, all the LED elements 450 flashes three times and then registration is completed.

한편 도어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작동 방법은 위의 비밀번호 등록과 같으 며,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가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is the same as the above password registration, and if the password is normally input, the control box determines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차량 ECU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한다. If the password matches, the control box controls the vehicle ECU to lock or unlock the door.

이때 도어가 잠겨 있을 때는 도어가 열리고,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는 도어가 담긴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is locked, the door is opened, and when the door is open, the door is contain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키(210)는, 상기 번호키(220)의 터치시 상기 제어기판(400)이 인식하는 숫자를 변경하는 시프트키(211)와 상기 제어기판(400)에 상기 번호키(220)의 숫자 입력 완료를 알리는 엔터키(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판(400)으로 상기 제어키(210)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211) 또는 상기 엔터키(212)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키(210)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key 210, the shift key 211 for changing the number recognized by the control panel 400 when the touch of the number key 220 and the number key 220 to the control board 400 And an enter key 212 indicating completion of number input, an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for touching the control key 210 with the control panel 400, the shift key 211 or the enter key ( By performing any one of functions 212,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key 210 and facilitating the operation.

또한 상기 번호키(220)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서로 다른 다수개의 숫자가 도시되며, 상기 제어기(400)판은 상기 번호키(220)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220)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220)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211)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번호키(220)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key 220 is shown a plurality of different numbers among the numbers '0' to '9', the controller 400 plate is the number key 220 when the number key 220 is touched Recognizing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FIG. 2 and touching the shift key 211 and then touching the shift key 211 among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220 when the number key 220 is pressed. By recognizing any other than the previously recognized number,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umber key 220 to reduce the overall size, and facilitate the operation.

본 발명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장치용 시트는 전술한 실시예 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vehicle and the seat for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mitted.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도이며,4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이용되는 시트의 일면 및 타면의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used in the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조도이다.6 is a structural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시트, 210 : 제어키, 220 : 번호키, 230 : 호출키,240 : 관통홀, 250 : 투명창, 260 : 위치기호, 300 : 하우징, 310 : 위치돌기, 400 : 제어기판, 500 : 정전용량 센서, 600 : 전도성 테이프, 700 : 전도성 스프링, 800 : 리모컨200: sheet, 210: control key, 220: number key, 230: call key, 240: through hole, 250: transparent window, 260: position symbol, 300: housing, 310: position projection, 400: control panel, 500: Capacitive sensor, 600: conductive tape, 700: conductive spring, 800: remote control

Claims (8)

일면이 차량의 유리 안측에 부착되고, 일면에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도시된 시트와;A sea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lass inner side of the vehicle and having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상기 시트의 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one side open and one side ope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차량 ECU와 연결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기판과;A control panel mounted to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vehicle ECU, and configured to perform a do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상기 기능키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에 다수개 장착되고, 상기 기능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capacitive sensor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o as to face the function key and detecting a finger of the user adjacent to the function key; , &Lt; / RTI &gt; 상기 시트에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 손가락의 인접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시트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정전용량 센서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pacitive sensors, respectively, so that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sheet to reach the capacitive sensor. Car door unlock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홀에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의 타면에 장착되는 전도성 테이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conductive tape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to face the through hole; It is made, including more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에 대한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And the conductive tape is connected to the capacitive senso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to inducti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a user's fing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도성 테이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도성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conductive spring mounted on the capacitive sensor so as to face the conductive tape; Including more, 상기 전도성 스프링은 상기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전도성 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시트와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상기 정전용량 센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The conductive spring connects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conductive tape to transfer the inducti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seat to the capacitive sens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휴대 가능하며, 상기 기능키에 응답하여 차주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remote controller that is portable and generates a vehicle call signal in response to the function key; Including more, 상기 기능키는 호출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function key comprises a call key,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호출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상기 리모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And the control panel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to operate when a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call ke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기능키는 제어키 및 번호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function key further comprises a control key and a number key, 상기 제어키는,The control key,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제어기판이 인식하는 숫자를 변경하는 시프트키와;A shift key for changing a number recognized by the control panel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상기 제어기판에 상기 번호키의 숫자 입력 완료를 알리는 엔터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 enter key for notifying completion of the number input of the number key on the control panel; Including,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제어키를 터치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시프트키 또는 상기 엔터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And the control panel performs one of the shift key and the enter key according to a length of time for touching the control ke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번호키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서로 다른 다수개의 숫자가 도시되며,In the number key, a plurality of numbers different from '0' to '9' are shown. 상기 제어기판은,The control panel, 상기 번호키의 터치시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고,Recognize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when the number key is touched,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한 후 상기 번호키를 눌렀을 때에는 상기 번호키에 도시된 숫자 중 상기 시프트키를 터치하기 전에 인식한 숫자와 다른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And when the number key is pressed after the shift key has been touched, any one of the numbers shown in the number key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recognized before touching the shift ke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돌기가 형성되며,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a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기호가 도시되 어 상기 하우징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is shown a position symbo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jection, the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housing. 사용자 손가락의 인접시 발생하는 유도정전기를 감지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이용되는 시트에 있어서,In the seat used for the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for detecting the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perform the door lock or release function of the vehicle, 상기 시트에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도시되고, 상기 기능키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할 때 발생하는 유도정전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이용되는 시트.The seat shows a function key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unction key so that an indu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function key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A seat used for a door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KR1020090014580A 2009-02-21 2009-02-21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095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80A KR101095972B1 (en) 2009-02-21 2009-02-21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PCT/KR2009/002117 WO2010095778A1 (en) 2009-02-21 2009-04-22 Lock-release apparatus for vehicle and sheet use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80A KR101095972B1 (en) 2009-02-21 2009-02-21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489A true KR20100095489A (en) 2010-08-31
KR101095972B1 KR101095972B1 (en) 2011-12-30

Family

ID=4263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580A KR101095972B1 (en) 2009-02-21 2009-02-21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5972B1 (en)
WO (1) WO201009577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9827A (en) * 2020-04-13 2020-10-13 芜湖宏景电子股份有限公司 Touch key circuit of vehicle-mounted multimedia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435A (en) * 2002-11-21 2004-06-17 Toyota Industries Corp Input device for automobil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and immovable window for automobile
KR100534305B1 (en) * 2003-08-27 2005-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locking/unlocking the door of vehicle by wireless
KR200389090Y1 (en) 2005-04-18 2005-07-07 심범택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lock using touch sensor
KR200433949Y1 (en) * 2006-09-30 2006-12-14 주식회사 동양경보전자 Digital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KR100858892B1 (en) 2007-04-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레보 Keypad of digital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972B1 (en) 2011-12-30
WO2010095778A1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000B2 (en)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US10351099B2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EP2467760B1 (en)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20150267455A1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EP3375960B1 (en) Power locking door handle with capacitive sensing
US20110187492A1 (en) Fascia Panel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JP5855007B2 (en) Door handle
EP3250421B1 (en) Vehicle emblem incorporating capacitive switch and led lighting
EP2638633A1 (en)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20160277023A1 (en) Electrostatic switch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door op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key system
WO2017106319A1 (en) Hands-free vehicle access system and improvements thereto
US20160221497A1 (en) Assembly for actuating a vehicle function
US2011006307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CN106097485A (en) The vehicle open and close part that user can activate controls device
JP6729433B2 (en) Portable device for vehicle
KR101095972B1 (en)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JP6501199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KR101658053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KR101602141B1 (en)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EP2963214A1 (en) Operation input confirm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20220161206A (en)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eing the said integrated vehicle door handle
KR20100131044A (en) Anti-theft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sensor
US20060212251A1 (en) Activation device in a motor vehicle, connected to a system for operator detection
KR101080334B1 (en)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54592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o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