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162A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6162A KR20100086162A KR1020090005379A KR20090005379A KR20100086162A KR 20100086162 A KR20100086162 A KR 20100086162A KR 1020090005379 A KR1020090005379 A KR 1020090005379A KR 20090005379 A KR20090005379 A KR 20090005379A KR 20100086162 A KR20100086162 A KR 201000861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steel pipe
- pipe pile
- concrete
- concrete p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02D2200/1621—Shapes round, e.g. circle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의 기초공사시에 연력지반에 2개 이상 연결하여 깊게 박은 강관파일(steel pipe pile) 및 콘크리트 파일(concrete pile)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시에 지반에 깊게 박는 콘크리트파일과 강관파일을 연결하는 이음부분의 강도를 강하게 하여 콘크리트 파일이나 이음장치에서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것으로 특히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는 세워 설치된 접속면을 가지는 상부원판과,
하부에 횡보강캡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연이어 형성되고 수직항력에 대항하는 수직받침링으로 일체를 이루는 이음장치를 구성하여 연결되는 강관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강관파일의 이음장치 및 환형링을 통하여 하부 보강밴드의 내부에 하부 보강판과, 땅콩구멍이 있는 하부고정판으로 형성된 횡보강캡이 매입된 콘크리트 파일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음장치 내 세워 설치된 접속면을 가지는 상부원판과 강관파일은 접속면과 강관파일의 내경을 일치시킨 후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강관파일, 콘크리트파일, 콘크리트파일, 이음장치, 상부원판, 하부원판, 환형링, 횡보강캡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의 기초공사시에 연력지반에 2개 이상 연결하여 깊게 박은 강관파일(steel pipe pile) 및 콘크리트 파일(concrete pile)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시에 지반에 깊게 박는 콘크리트파일과 강관파일을 연결하는 이음부분의 강도를 강하게 하여 콘크리트 파일이나 이음장치에서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것으로 특히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 파일의 탈부착 아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을 기초로 하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문제에 대한 대책 중 흔히 사용되는 성토하중을 지지층에 도달하는 공법(PILE이용 공법)은, 공장에서 미리 생산된 강관파일 또는, PHC, PC, RC 등의 기성 콘크리트 파일을 타격이나 매립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는 것으로서, 굴착 후 파일을 근입하여 드롭해머로 타격하는 선행굴착방법과 유압해머를 사용하는 타격공법으로 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PHC 파일(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은 원심력을 응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78.5N/(800Kgf/) 이상의 프리텐션방식에 의한 고강도 말뚝으로서,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이 대단히 크므로 종래의 PC 파일보다 더 큰 축방향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압축강도가 800Kgf/ 이상인 콘크리트로 성형한 단면에 소요의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균일하게 도입하여 타격 내력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타시 발생하는 반사파에 의한 인장응력을 완전히 흡수하기 때문에 균열이 없고 종래의 PC 파일로는 항타가 곤란한 중간의 단단한 층도 용이하게 관입되므로 보다 깊게, 보다 단단한 지층에 관입이 가능한 이점이 있어 연약지반 처리공법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PHC 파일에 있어서, 구축될 건축물의 규모나 지질의 상태에 따라 그 파일의 깊이를 달리하거나 상, 하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종래 PHC파일 한 예가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하부 조인트캡(10')은 지지원판(1) 중앙에 중공부(5)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PC 강선(7) 결합공(3)(3')이 형성되며, 외측 주연부에는 용접용 경사면(6)과 보강밴드(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반대로 파일 상부 조인트 캡(10')은 하부조인트 캡(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지지원판(1)의 중공부(5)의 내측단에 유도밴드(4)를 링상으로 밴당시켜 용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 상, 하부 PHC 파일간의 결합상태가 도2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 하부 PHC 파일간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하부 PHC 파일의 하부 조인트 캡(10')상에 상부 PHC 파일의 상부 조인트 캡의 유도밴드 (4)를 이용, 상, 하부 PHC 파일(8)(8')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용 경사면(6)을 따라 용접부(9)가 구성되게 서로 용접하여 길이가 긴 장대파일을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 하부 PHC 파일간의 용접 강도는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강도 불균형이 초래되기 쉽고, 용접단면이 지나치게 얇아 용접강도가 떨어질 경우 이로 인해 타격시 용접부의 균열, 파손이 수반되어 타입된 파일은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용접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음장치(실용신안 등록 제345924호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선 등록된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파일의 중공부 내경과 동일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파일의 외경과 동일하며 상부파일(11)의 PC(Prestressed Concrete) 너트(11a)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21a)이 천공되어 있는 상부원판(21)과, 중심부에 콘크리트파일(12)의 중공부 내경과 동일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파일의 외경과 동일하며 하부 파일(12)의 PC 너트(12a)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22a)이 천공되어 있는 하부원판(22)과, 상기 상부원판(21)과 하부원판(22)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된 중앙관(23) 및 방사형 방향의 다수의 보강판(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부품들은 모두 철강제로 되어 있으며,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파일(11)과 하부파일(12)은 모두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에 PC 너트(12a)를 매입하고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PC 강봉(12b)을 설치하여 파일에 미리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파일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상부파일(11)의 하단과 하부파일(12)의 상단에는 각각 콘크리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밴드(11c)(12c)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이음장치(20)를 이용하여 하부파일(12)과 상부파일(11)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파일인 하부파일(12)을 항타(抗打)하여 지반에 박은 후 이음장치(20)를 하부파일(12)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하부원판(22)의 모든 관통공(22a)에 각각 볼트(26)를 관통시키면서 하부파일(12)의 PC너트(12a)에 체결하고, 이어서 상기 이음장치(20)의 위에 상부파일(11)을 올려놓고 상부원판(21)의 모든 관통공(21a)에 각각 볼트(25)를 관통시키면서 상부파일(11)의 PC너트(11a)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20)는 용접을 행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용접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상부원판(21)과 하부원판(22)을 연결하는 보강판(2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원판(21)의 인접하는 보강판(24)과 보강판(24) 사이의 부분에는 보강이 되지 못하여 항타시 상부원판(21)의 이 사이 부분이 아래로 휜다.
그에 따라 항타력이 하부파일(12)의 상부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보강판(24)이 있는 부분과 중앙관(23)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이 부 분의 콘크리트가 파손되며, 그 만큼 파일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이 콘크리트 파일과 콘크리트파일의 결합시 파일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이음장치의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더구나 최근 시공비 절감 및 지지력 극대화를 위해 상부는 강도가 높은 강관파일과 하부는 강도가 떨어지고 가격이 저렴한 콘크리트파일로 시공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강관파일과 콘크리트파일의 결합시에는 보다 큰 항타력이 사용되므로 이음장치 및 상하부 파일의 이음부의 구조개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에 박힌 하부의 콘크리트파일에 상부의 강관파일을 연결하는 이음부분이 격자구조를 통해 강도를 강하게 하고 일부단면에 집중된 항타력 및 상재하중를 콘크리트파일의 전단면에 균둥분포하게 전달시켜 이음부분의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이음강도 및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이음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파일을 제공하고, 그 강관파일에 연결된 이음장치와 하부 콘크리트파일의 이음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달성될 수가 있다.
다른 목적은 강관파일과 콘크리트의 결합시 결합공정을 단순화 하여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이음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파일을 제공하여 강관파일과의 연결되는 공정을 생략하여 달성될 수 있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는 세워 설치된 접속면을 가지는 상부원판과,
하부에 횡보강캡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연이어 형성되고 격자구조를 형성하여 수직항력를 극대화하고자 수직받침링으로 일체를 이루는 이음장치를 구성하여 연결되는 강관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강관파일의 이음장치 및 환형링을 통하여 하부 보강밴드의 내부에 하부보강판과, 땅콩구멍이 있는 하부고정판으로 형성된 횡보강캡이 매입된 콘크리트 파일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음장치 내 세워 설치된 접속면을 가지는 상부원판과 강관파일은 접속면과 강관파일의 내경을 일치시킨 후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콘크리트파일의 하부고정판에 형성된 땅콩구멍의 일측구멍에는 울본(PC강봉)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구멍에는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강판은 상부원판과 하부원판 사이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판으로 구성하고, 연이어 연결된 수직받침링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음장치가 형성된 강관파일을 양산하고, 상기 강관파일의 이음장치를 통하여 콘크리트파일이 견고히 고정되게 한 것으로 강관파일과 콘크리트파일의 결합공정시 강관파일과의 결합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어 시공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파일에 일체로 형성된 이음장치를 제공하여 항타시 충격으로 인한 용접부의 크랙방지, 용접부의 빠른 부식, 용접열의 전달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한 강관 및 PHC 파일의 이음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장치가 환형링과 결합되게 하여 항타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하부로 전달되게 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파일 및 이음장치의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음장치 하부에 횡보강캡을 사용하고 있어 항타시 하부파일의 두부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손되어도 이탈을 방비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연결시 이음장치 및 환형링을 사용하여 항타력이 고루게 분배되게 하고 있고, 또한 수직받침링과 보강판, 환형링이 격자구조를 형성하여 수직항력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가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파일의 이음부에 하부고정판과 하부보강판 사용하여 콘크리트파일의 전단면에 수직 항력를 고루게 분배시킴으로써 파일 이음부의 파손방지와 강도증대는 물론 방청 도료층으로 인하여 부식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관파일과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분해시킨 사시도이다.
상부파일은 스틸재로 이루어진 강관파일(40)이며, 콘크리트파일(50)은 상단부에 하부고정판(57)에 하부보강판(55)과 보강밴드(51)로 구성된 횡보강캡(69 )이 콘크리트파일의 상단부가 보강되어 있다.
상기 강관파일(40)의 형성시 강관파일과 일체로 연결되는 이음장치(60)는 상부원판(61) 및 하부원판(65)으로 구성되고, 그 하부원판(65)의 하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횡보강캡(69)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모두 철강제로 되어있고, 상부원판(61), 하부원판(66)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되고, 이음장치(60)의 하부원판(66)과 횡보강캡(69)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볼트식으로 일체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원판(61)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접속면(62)을 가지고 있고, 이 접속면이 상부쪽으로 휘어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부원판(65)에는 다수개의 고정구멍(66)이 형성된 보강판(64)이 세워설치되 고, 그 보강판의 사이에 다수개의 관통공(65a)이 뚫어 형성되어 있어 볼트(63)가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파일(50)의 하부고정판(57)에 있는 다수의 땅콩구멍(5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6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원판(65)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세워설치된 다수개의 보강판(64)은 수직받침링(68)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의 항타력을 분산 및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형링(70)은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의 철강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를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환형링(70)는 상기 이음장치(60)의 상부원판 (61) 및 하부원판(65)의 중간에 있는 지지대인 보강판(64)의 고정구멍(66) 사이에 볼트(71)를 통하여 체결하게 된다.
환형링(70)은 도면과 같이 한개 부분이 수직으로 절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두개의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두개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환형링(7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절개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고정시 대칭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강관파일(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장치(60)인 상, 하부원판(61),(65)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강관파일의 이음장치(60)를 통하여 콘크리트파일(50)이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도 5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과 같이 강관파일(40)의 하부에는 이음장치(60)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음장치의 하부원판(65)의 관통공(65a)과 콘크리트파일 상단에 부착된 하부고정판(57)의 땅콩구멍(51a)을 일치시키어 이음장치(60)의 횡보강캡(69)내로 콘크 리트파일(50)를 삽입시킨 후 다수개의 볼트(63)로 이음장치내 콘크리트파일(50)이 고정되게 한다.
다음에 상기 이음장치(60)의 상부원판(61) 및 하부원판(65) 사이에 환형링(70)을 삽입시키고,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 사이에 고정된 보강판(64)의 고정구멍(66)과 환형링(70)의 관통공(72)을 일치시킨후 볼트(71)로 고정시켜 일체가 되게 한다.
이때 환형링(70)에 치구를 사용하여 절개부가 벌려지게 하여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의 사이에 위치시키며, 환형링의 절개부분을 중심으로 볼트로서 고정되므로 대칭적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고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의 하부고정판(57)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위 부분은 콘크리트 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생략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판(57)에 연이어 형성된 보강밴드(51)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PHC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콘크리트파일에 고정판의 구성을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하부고정판(57)의 원주방향으로 간격마다 땅콩구멍(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땅콩구멍의 사이에 대수개의 하부보강판(55)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땅콩구멍의 일측구멍에는 울본(PC강봉)(53)이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구멍에는 도 5와 같이 볼트(63)가 체결되어 강관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 결합하게 된다.
이를 도 7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에서 강관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관파일(40)에는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상부원판(61) 및 하부원판(65)이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양산을 하게 된다.
이때 강관파일(40)과 이음장치(60)의 상부원판(61)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원판의 접속면(62)과 강관(40)의 내측을 일치시킨후 용접부(62a)를 통하여 용접을 행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음장치(60)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파일(40)과 콘크리트파일(50)은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먼저 하부 파일(50)을 항타하여 지반에 박은 후 절개되어 있는 환형링(70)을 하부 파일(50) 상부의 단턱에 올려놓으면 도 7과 같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하부 파일(50)의 상부 외측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콘크리트파일(50)의 상부면에 이음장치(60)에 연결된 강관파일(40)을 올려놓는다.
즉, 하부원판 하부의 횡보강캡(69)내 콘크리트파일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환형링(70)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어느 정도의 길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환형링(70)이 하부 파일(50) 상부의 단턱에 올려놓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볼트(63)를 이음장치의 하부원판(65)의 관통공을 통과시면서 하부 콘크리트 파일(50)의 하부고정판(57)의 땅콩구멍(51a)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환형링(70)의 하단에 상향으로 충격을 가하면서 위로 이동시켜 환형링(70)을 이음장치의 상부원판(61)과 하부원판(65) 사이에 배치시킨다. 이 때 환형링(70)의 상단과 하단은 상부원판(41), 하부원판(65) 및 환형링(25)의 외부면이 동일평면이 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71)를 환형링(70)의 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 사이에 형성된 보강판(64)내 고정구멍을 통하여 체결되므로 환형링은 이음장치내에서 견고히 체결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음장치(60)가 형성된 강관파일과 일반적인 콘크리트 파일인 콘크리트파일을 이은 후 강관파일(40)의 상단을 항타하여 상하부의 콘크리트 파일(40)(50)을 동시에 지반에 박게된다.
이 때 항타력은 이음장치(40)의 상부원판(61)에 가해지지만 이 항타력은 보강판(64) 및 수직받침링(68)에 의하여 분산되고, 재차 환형링(70)을 통하여 분산되어 하부원판(65)에 전달되고, 이 항타력은 하부원판의 횡보강캡(69)을 통하여 다시 하부원판(65)에 결합된 하부고정판(57)과 하부보강판(55)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어 콘크리트파일에(50)에 전달되며, 이때 횡보강캡(69)을 사용하고 있어 항타시 하부파일(50)의 두부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손되더라도 이탈을 방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어느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항타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파일 및 이음장치에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키는 일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이 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가 용접을 통하여 서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가 볼트체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관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강관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가 볼트체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일의 횡보강캡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서 강관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강관파일 50 : 콘크리트파일
51 : 보강밴드 53 : 울본(PC강봉)
55 : 하부보강판 57 : 하부고정판
60 : 이음장치 51a : 땅콩구멍
61 : 상부원판 62 : 접속면
63, 71 : 볼트 68 : 수직받침링
64 : 보강판 66 : 고정구멍
65 : 하부원판 65a, 72 : 관통공
69 : 횡보강캡 70 : 환형링
52 : PC 62a : 용접부
Claims (6)
- 세워 설치된 접속면(62)을 가지는 상부원판(61)과,하부에 횡보강캡(69)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공(65a)이 형성된 하부원판(65)과,상기 상부원판(61) 및 하부원판(65)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판(64)과,상기 보강판(63)에 연이어 형성되고 수직항력에 대항하는 수직받침링(68)으로 일체를 이루는 이음장치(60)를 구성하여 연결되는 강관파일(40)을 구성하고,상기 강관파일의 이음장치(60) 및 환형링(70)을 통하여 땅콩구멍(5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57)에 보강밴드(51)와 하부보강판(55)으로 구성된 콘크리트파일(50)의 횡보강캡(69)에 볼트(63)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이음장치(60)내 세워 설치된 접속면(62)을 가지는 상부원판(61)과 강관파일(40)은 접속면(62)과 강관파일(40)의 내경을 일치시킨 후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하부 콘크리트파일(50)의 외측 주연부에 보강밴드(51)와 하부에 하부보강판(55)이 형성된 하부고정판(57)에 땅콩구멍(51a)의 일측구멍에는 울본(53)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구멍에는 볼트(63)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보강판(64)은 상부원판(61)과 하부원판(65) 사이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판으로 구성하고, 연이어 연결된 수직받침링(68)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환형링(70)는 적어도 한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일정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제 5항에 있어서,환형링(70)의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에 관통공(72)을 형성하고, 이 관통 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379A KR20100086162A (ko) | 2009-01-22 | 2009-01-22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379A KR20100086162A (ko) | 2009-01-22 | 2009-01-22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6162A true KR20100086162A (ko) | 2010-07-30 |
Family
ID=4264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5379A KR20100086162A (ko) | 2009-01-22 | 2009-01-22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86162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24530A (zh) * | 2011-12-28 | 2014-09-03 | Posco公司 | 一种钢管插座以及利用其连接钢管桩和钢管柱的连接方法 |
KR101714371B1 (ko) | 2016-05-20 | 2017-03-14 | (주)성심씨앤엠 |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
CN111535304A (zh) * | 2020-04-30 | 2020-08-14 | 北京城乡中昊建设有限责任公司 | 溶洞地区桩基浇筑系统 |
CN114718069A (zh) * | 2022-04-02 | 2022-07-08 |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 套筒式浅层软土桩施工装置 |
CN115230893A (zh) * | 2022-05-13 | 2022-10-25 | 重庆大学 | 一种钢管支撑-预应力混凝土的浮式基础结构 |
CN115324037A (zh) * | 2022-09-13 | 2022-11-11 | 六安市永固管桩建材有限公司 | 一种高承载力管桩材料配比方法及高承载力管桩 |
-
2009
- 2009-01-22 KR KR1020090005379A patent/KR201000861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24530A (zh) * | 2011-12-28 | 2014-09-03 | Posco公司 | 一种钢管插座以及利用其连接钢管桩和钢管柱的连接方法 |
CN104024530B (zh) * | 2011-12-28 | 2016-08-24 | Posco公司 | 一种钢管插座以及利用其连接钢管桩和钢管柱的连接方法 |
US9863113B2 (en) | 2011-12-28 | 2018-01-09 | Posco | Steel pipe socket and method of connecting steel pipe pile and steel pipe column using the same |
KR101714371B1 (ko) | 2016-05-20 | 2017-03-14 | (주)성심씨앤엠 |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
CN111535304A (zh) * | 2020-04-30 | 2020-08-14 | 北京城乡中昊建设有限责任公司 | 溶洞地区桩基浇筑系统 |
CN111535304B (zh) * | 2020-04-30 | 2021-07-27 | 北京城乡中昊建设有限责任公司 | 溶洞地区桩基浇筑系统 |
CN114718069A (zh) * | 2022-04-02 | 2022-07-08 |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 套筒式浅层软土桩施工装置 |
CN114718069B (zh) * | 2022-04-02 | 2023-09-05 |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 套筒式浅层软土桩施工装置 |
CN115230893A (zh) * | 2022-05-13 | 2022-10-25 | 重庆大学 | 一种钢管支撑-预应力混凝土的浮式基础结构 |
CN115230893B (zh) * | 2022-05-13 | 2024-02-02 | 重庆大学 | 一种钢管支撑-预应力混凝土的浮式基础结构 |
CN115324037A (zh) * | 2022-09-13 | 2022-11-11 | 六安市永固管桩建材有限公司 | 一种高承载力管桩材料配比方法及高承载力管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86162A (ko)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
KR100835778B1 (ko)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 |
KR101803358B1 (ko) |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 |
KR100870859B1 (ko) | 볼트를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 구조 | |
KR100835777B1 (ko) |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 |
KR101945369B1 (ko) | Phc 말뚝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CN100567659C (zh) | 铁塔的基础构造 | |
JP2017133247A (ja) | 塔状構造物の基礎構造 | |
KR200258871Y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 |
KR101056655B1 (ko)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
WO2010130009A1 (en) | Pile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KR100786360B1 (ko) |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 |
KR101171285B1 (ko) | 규격이 상이한 파일의 이음장치 | |
KR20190048500A (ko) | 볼트 체결식 결합부재를 이용해 연결된 phc 말뚝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합말뚝 | |
KR200309950Y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및 이를 이용한 피에이치씨파일의 조인트 장치 | |
KR100773110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과 외관 강관부착 콘크리트 말뚝의 합성말뚝, 그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관입보조말뚝 | |
KR20110044720A (ko) | 이경 복합말뚝 | |
KR101051649B1 (ko) | 파일의 이음장치 | |
KR20120029607A (ko) | 볼트캡을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말뚝 | |
KR100870861B1 (ko) |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 |
JP2001342623A (ja) | 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継手、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構造、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の施工方法 | |
KR200381589Y1 (ko) |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 |
KR20180007292A (ko) | Phc 말뚝 연결장치 | |
KR20170139186A (ko) | 강관기둥과 기초구조체의 연결구조 | |
KR100687471B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체결식 조인트 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