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75139A - 버튼키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버튼키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39A
KR20100075139A KR1020080133761A KR20080133761A KR20100075139A KR 20100075139 A KR20100075139 A KR 20100075139A KR 1020080133761 A KR1020080133761 A KR 1020080133761A KR 20080133761 A KR20080133761 A KR 20080133761A KR 20100075139 A KR20100075139 A KR 2010007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
elastic
opening
waterproof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881B1 (ko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8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8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키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 상기 버튼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튼키의 방수장치{WATERPROOF DEVICE FOR BUTTON KEY}
본 발명은 버튼키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중에 물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대부분의 제품은 방수처리 설계가 되지 못하여 외부 케이스 내부에 있는 회로부품으로 물이 유입되고 회로부품이 물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그 기능을 상실하여 고장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바닷가나 대중목욕탕 등에도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다면 편리함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물에 노출되어도 그 회로부품 등으로 물이나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회로부품 등이 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버튼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물에 노출되어도 물이 내부로 유입 되지 않는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 상기 버튼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 및 상기 버튼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등을 포함한 전자장치에 포함된 버튼키를 통하여 물이 상기 전자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완전한 방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버튼키는, 방수가 요구되는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중에서 정확하게 동작하는 버튼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버튼키(10), 탄성부(20) 및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키(10)는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튼키(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며, 외부환경(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 받기 위해 버튼키(10)에 방수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키(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0)는 상기 버튼키(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10)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0)는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30)는 상기 탄성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키(10)가 삽입되어지는 케이스(40)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안착부(30)의 상측에는 립(rib, 32)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다만, 상기 립(53)은 후술할 고주파 융착을 통해 소멸되는 부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버튼키(10), 탄성부(20) 및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20)는 인서트부(22), 볼록부(24) 및 고정부(26)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부(22)는 상기 버튼키(10) 내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인서 트부(22)는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러버(rubber) 재질의 특성상 신축성이 있다.
볼록부(24)는 상기 인서트부(22)의 원주면에서 상기 버튼키(10)의 외부 원주면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볼록부(24) 역시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축성이 있다. 즉, 탄성력(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버튼키(10)를 제자리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볼록부(24)의 사이즈 및 길이는 버튼키(10)가 푸쉬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고주파 융합을 거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40),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10), 상기 버튼키(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10)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20) 및 상기 탄성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40)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는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40)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10)가 장착될 수 있는 모든 전자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의미한다.
버튼키(10)는 상기 케이스(40)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된다. 상기 버튼키(10) 전체가 삽입되는 것은 아니고, 버튼키(10)의 상부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 어야 한다. 외부로 노출된 버튼키(10)의 상부면을 통해 사용자들은 버튼키(10)를 푸쉬할 수 있다.
또한, 버튼키(1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0)는 상기 버튼키(10)의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어, 버튼키(10)를 푸쉬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0)는 탄성력을 가진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버튼키(10)와 탄성부(20)는 이중 사출(co-injection molding)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키(10)와 탄성부(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20)는 인서트부(22), 볼록부(24) 및 고정부(26)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부(22)는 상기 버튼키(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볼록부(24)는 상기 인서트부(22)의 원주면에서 상기 버튼키(10)의 외부 원주면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볼록부(24) 역시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축성이 있다. 즉, 탄성력(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버튼키(10)를 제자리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26)는 상기 볼록부(2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키(10)를 고정시키도록 안착부(3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4와는 달리 상기 고정부(26)가 상기 안착부(30)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안착부(30)는 상기 고정부(26)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40)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한다. 안착부(30)는 상기 고정부(26)가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짐과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안착부(30)는 버튼키(10)와 같은 재 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30)와 상기 케이스(40)는 고주파 융착 또는 접착제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고주파 융착이란 접합하고자 하는 플라스틱을 맞닿아 고정시키고 진동을 걸어주면 고주파 융착 립(rib)과 같이 얇은 부위부터 용융하여 녹아서 붙게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안착부(30)의 상측면에 형성된 립(rib, 32)은 상기 케이스(40)와 맞닿아 고주파 융착시 녹아서 케이스(40)와 접합된다.
도 3b를 참고하면, 고주파 융착을 거친 후 상기 안착부(30) 상에 있었던 립(rib, 32)이 녹아서 케이스(40)와 접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40),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10), 상기 버튼키(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10)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20) 및 상기 탄성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40)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는 안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0)는 인서트부(22), 볼록부(24) 및 고정부(26)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부(22)는 상기 버튼키(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볼록부(24)는 상기 인서트부(22)의 원주면에서 상기 버튼키(10)의 외부 원주면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 기 볼록부(24) 역시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축성이 있다. 즉, 탄성력(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버튼키(10)를 제자리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26)는 상기 볼록부(2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키(10)를 고정시키도록 안착부(3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와는 달리 상기 고정부(26)가 상기 안착부(30)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3b와 같이, 상기 안착부(30)의 상측에 형성된 립(rib, 32)이 상기 케이스(40)와 맞닿아 고주파 융착시 녹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안착부(30)와 케이스(40)가 접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40),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10) 및 상기 버튼키(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10)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40)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20)는 인서트부(22), 볼록부(24) 및 고정부(26)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부(22)는 상기 버튼키(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볼록부(24)는 상기 인서트부(22)의 원주면에서 상기 버튼키(10)의 외부 원주면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볼록부(24) 역시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축성이 있다. 즉, 탄성 력(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버튼키(10)를 제자리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26)는 상기 볼록부(2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키(10)를 고정시키도록 케이스(40)와 직접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26)와 상기 케이스(40)를 연결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버튼키(10)와 상기 탄성부(20)는 이중 사출(co-injection molding)방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이중 사출 방법은 두 가지 종류의 성형 재료를 적용하여 하나의 성형물을 사출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기에는 재료를 가열 및 용융하여 사출하는 주입부가 2개 설치된다. 주입부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재료를 순차적으로 금형에 주입한다. 1차적으로 사출한 재료가 완전히 고화되기 전에 2차 사출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소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중 사출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키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15)

  1.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
    상기 버튼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버튼키 내부에 형성되는 인서트부;
    상기 인서트부에서 상기 버튼키의 외부 원주면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케이스는 고주파 융착을 통해 접합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 및 상기 안착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러버(rubber)로 이루어지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버튼키를 복원시키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버튼키 사이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 또는 하면과 연결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와 상기 탄성부는 이중 사출(co-injection molding) 방법으로 제 조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0.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버튼키; 및
    상기 버튼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키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원주면을 따라 접합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버튼키 내부에 형성되는 인서트부;
    상기 인서트부에서 상기 버튼키의 외부 원주면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러버(rubber)로 이루어지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버튼키를 복원시키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버튼키 사이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와 상기 탄성부는 이중 사출(co-injection molding) 방법으로 제조되는 버튼키의 방수장치.
KR1020080133761A 2008-12-24 2008-12-24 버튼키의 방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2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61A KR101020881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키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61A KR101020881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키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39A true KR20100075139A (ko) 2010-07-02
KR101020881B1 KR101020881B1 (ko) 2011-03-09

Family

ID=4263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0881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키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1192A (zh) * 2022-06-01 2022-09-13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防水型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04B1 (ko) 2011-09-09 2013-05-22 주식회사 팬택 방수 키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5027A (ja) * 2000-05-31 2001-12-14 Nec Shizuoka Ltd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062973B2 (ja) * 2002-05-28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該防水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1192A (zh) * 2022-06-01 2022-09-13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防水型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881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653B2 (en) Hou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97269B2 (en) Hou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CN103681049B (zh) 用于按钮的三维密封
KR101563366B1 (ko)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N100476219C (zh) 手提设备和用于手提设备的盖
US8637781B2 (en) Water sealing the side key system on an electronic device
TW201203731A (en) Sealed connecto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981189B2 (ja) 透光性パネル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CN108471687B (zh) 防水结构及应用该防水结构的电子装置
JP2011119960A (ja) 電子機器
JP6291090B2 (ja) 端末サイドキーの防水装置及び端末
KR200467372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US20200320268A1 (en)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6128827A (zh) 侧键结构及移动终端
US8737051B2 (en) Display seal for electronic device
KR101020881B1 (ko) 버튼키의 방수장치
KR101432524B1 (ko)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JP2011035856A (ja) 防水携帯端末装置
US20120048697A1 (en) Button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6353874U (zh) 侧按键防水结构及电子产品
KR102048514B1 (ko) 키 조립체 및 이것을 갖는 전자 장치
JP2013074312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CN203859958U (zh) 防水移动终端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101933469B1 (ko) 전자 기기의 방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