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71697A -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 Google Patents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697A
KR20100071697A KR1020080130502A KR20080130502A KR20100071697A KR 20100071697 A KR20100071697 A KR 20100071697A KR 1020080130502 A KR1020080130502 A KR 1020080130502A KR 20080130502 A KR20080130502 A KR 20080130502A KR 20100071697 A KR20100071697 A KR 2010007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xtraction
fixing
beverag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훈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텐텐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텐텐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텐텐투
Priority to KR102008013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697A/en
Publication of KR2010007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PURPOSE: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a capsule is provided to improve the operating dependability of 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with an elastic member which elastically supports one end of a capsule. CONSTITUTION: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comprises: a main body(10) which comprises a movement space of a capsule and an extracting bowl(30); a transfer unit(20) which selectively transfers a capsule(C) along the movement space to the extracting bowl; and a fix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and selectively protects the capsule and fixes. The fixing unit is carried apart from the capsule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exterior(35) of the extraction bow, releases the fixing of the capsule, and discharges the capsule with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Description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s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본 발명은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캡슐 내부로 유체를 가압하여 캡슐 내부의 물질로부터 음료를 추출함과 동시에,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material inside the capsule by pressing the fluid into the sealed capsule, and at the same time to discharge the capsule.

일반적으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음료분말이나 티백 등을 물에 섞게 되는데, 커피와 같은 경우에는 커피콩으로부터 직접 커피를 추출해 내기도 한다. 즉, 커피원두를 분쇄하고 이에 온수를 통과시켜 커피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피원두의 분쇄는 별도의 블랜더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커피찌꺼기 등이 발생되어 블랜더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prepare a drink, a powder or tea bag is mixed with water. In the case of coffee, coffee is extracted directly from coffee beans. That is, the coffee beans are ground and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o make coffee. Such grinding of the coffee beans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blender. In this process, coffee grounds are generated, and periodic cleaning of the blender is required.

최근에는 이와 같이 커피원두를 직접 분쇄하지 않고, 분쇄되어 정제된 커피분말이 밀봉된 일회용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가 제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커피캡슐은 무엇보다 원두를 캡슐에 진공포장하기 때문에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전용머신만 있으면 누구나 간단하게 다양한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모든 추출 과정이 캡슐 안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청소와 관리가 간편한 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피캡슐에 대한 내용은 WO2003-059778 등에 개시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coffee is manufactured using a disposable capsule in which the coffee powder, which is pulverized and refined, is sealed without directly crushing the coffee beans. These coffee capsules, above all, can be kept fresh by vacuum-packing the beans into capsules, and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coffee simply by using a dedicated machine, and all the extraction processes are done in capsules, which is easy to clean and manage. It is widely used. Such coffee capsules are disclosed in WO2003-059778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커피캡슐 내부로 온수를 주입하여 커피를 추출해내기 위한 추출장치 역시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WO 2005-004683 등에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an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by injecting hot water into the coffee capsule as described above has also been recently developed, the contents of which are disclosed in WO 2005-004683.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한 WO 2005-00468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추출장치가 상기 캡슐의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캡슐의 원뿔대 형상을 이용하여 캡슐을 이동시키고,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즉, 원뿔대 형상인 캡슐의 외면을 간섭하여 캡슐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캡슐이 추출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As disclosed in WO 2005-004683, the extracting device convention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psule is mov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using the shape of the capsule, more precisely, the truncated cone shape. That is, the capsule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apparatus by interf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to release the fixed state.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캡슐의 형상이 원뿔대형상으로 한정되어야 하므로, 캡슐의 규격화가 필요하게 되고, 이는 다른 형상의 캡슐은 적용될 수 없어 추출장치의 호환성이 떨어지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캡슐과의 간섭과정에서 캡슐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However, for this purpose, since the shape of the capsule should be limited to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capsule, which means that the capsule of other shapes cannot be applied, thereby reducing the compatibility of the extraction apparatus. In addition, the capsule may be damaged dur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capsule.

그리고, 종래에는 사용자가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캡슐은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위치 또는 캡슐자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캡슐의 이동을 위해 가해지는 구동력은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만 발생될 뿐이므로, 캡슐의 이동이 불완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related art, as the user rotates the lever, the capsule is linearly reciprocated to a position where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or the capsule itself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since the driving force applied for the movement of the capsule is generated only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operat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capsule is incomplete.

즉, 사용자가 레버의 회전을 중간에 멈추거나, 또는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고르게 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캡슐이 추출장치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거나 원래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추출장치의 커버를 분리하고 캡슐을 집어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므로 추출장치의 동작신뢰성 및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user stops the rotation of the lever in the middle, or even if you do not evenly apply a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is the capsule is fixed to the extraction device is released or is out of the original movement path.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remove the cover of the extraction device and pick up the capsu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ease of use of the extraction device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가 다양한 형상의 캡슐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enable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the capsule can be applied to capsules of various shap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력이 고르게 가해지지 못하는 경우에도 캡슐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apsule to be stab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ven when the driving force applied by the user is not evenly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밀폐된 캡슐 내부에 유체를 가압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캡슐이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보울이 구비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을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캡슐을 선택적으로 감싸 고정하고,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의 간섭에 의해 상기 캡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캡슐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캡슐을 배출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pressing a fluid inside the sealed capsule, the moving space is formed is moved capsule One end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extraction bowl from which the beverage is extracted, a transfer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move the capsule toward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moving space, and optionally the capsule Wrapped around and fixed, and moved along the transfer unit, and moved away from the capsule by interferen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released and discharge the caps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고정유닛에는 고정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캡슐의 플랜지를 감싸 고정하 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 간섭되어 상기 플랜지를 감싼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을 밀어 캡슐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킨다. A fixing channel is formed in the fixing unit to fix the flange of the capsule, and the fixing unit interfer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to move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transfer unit to surround the flange. And the capsule is moved to the discharged position by pushing one end of the flange in the process of being released from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long the transfer unit.

상기 추출보울에는 상기 이송유닛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캡슐에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extraction bowl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to protrude toward the transfer uni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apsul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상기 고정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슐의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를 감싸기 위한 고정채널이 형성되는 고정트레이와, 상기 고정트레이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xing tray which is at least partially mov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lange of the capsule and is formed with a fixing channel for enclosing the flange, coupled to the fixing tray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nveying unit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late.

상기 고정트레이는 바형상의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며 상기 플랜지를 감싸기 위한 고정채널이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트레이몸체와 상기 고정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ing tray is provided with a bar-shaped tray body and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tray body and receiving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psule by interfering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and forming a fixing channel for wrapping the flange. It comprises a fixing piec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tray body and the fixing piece.

상기 고정편의 외면에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에 안내된다. Guide surfaces are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and gui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상기 고정트레이의 트레이몸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캡슐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tray body of the fixing tray and the guide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capsule direction to the fixing unit.

상기 고정트레이의 트레이몸체에는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그 일 단이 개구되는 안착홈이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개구된 일단의 타측으로 갈수록 그 요입된 정도가 점점 작아진다. The tray body of the fixing tray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in which one end thereof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inserted, and the recessed groove becomes smaller in the recessed posi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opened end.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The fixing unit is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추출보울은 그 내부에 상기 캡슐이 안착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상기 추출보울의 외주면은 상기 고정트레이의 고정편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편의 이동과정에서 간섭되어 상기 고정트레이를 이동시킨다. The extraction bowl has a cylindrical shape formed therein the extraction space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is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tray is interfer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ece is fixed Move the tray.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캡슐을 밀어주는 추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ransfer unit is coupled to the le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the lever and at least one link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into a linear movement, coupled to the leading end of the link toward the extraction bowl It comprises a extraction block for pushing the capsule while linear movement.

상기 추출블록은 상기 고정유닛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체결된다. The extraction block is fastened to the guide plate of the fixed unit.

상기 추출보울의 선단에는 상기 캡슐로부터 토출되는 음료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료공급로가 구비되는데, 상기 음료공급로는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의 하단에 구비된다. The dispensing bowl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upply path for delivering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to the outside, the beverage supply path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캡슐을 이동시키는 과정에 서, 캡슐의 외면형상을 이용하지 않고, 캡슐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유닛이 추출보울과 간섭되어 캡슐을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므로, 캡슐의 형상에 관계없이 캡슐을 추출장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의 호환성이 좋아지고, 캡슐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apsule to extract the beverage from the capsule, without using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the fixing unit which fixed the capsule interferes with the extraction bowl, so that the state of fixing the capsule is naturally releas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capsule, the capsul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device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the caps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amage of the capsule is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가 캡슐의 일단을 탄성지지하게 되어, 캡슐이 음료추출을 위한 위치 또는 음료추출을 마치고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음료추출장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ing one end of the capsule, so that the capsule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position for the beverage extraction or the position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료의 배출을 위한 음료공급로가 중력방향을 따라 가장 하방에 위치하므로, 음료가 추출장치 내부나 음료공급로에 남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verage supply path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long the gravity direction, the beverage may be easily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in the extraction apparatus or the beverage supply passag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일부 절결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출트레이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출트레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tra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tra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캡슐(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캡슐(C)은 그 내부공간에 음료를 위한 물질, 예를 들어 커피원두 등이 내재된 상태로 밀폐되 어 있는 일종의 용기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캡슐(C)의 몸체(C1)에는 베이스플레이트(C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C2)에는 토출공(C2')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공(C2')은 상기 캡슐(C) 내부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기 위한 일종의 구멍이다. First, the capsule (C)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psule (C) is a kind of container that is sealed in a state in which a material for a beverage, for example, coffee beans, etc. is in its internal space. As shown in Figure 1, the body C1 of the capsule (C)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C2), the base plate (C2)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C2 '). The discharge hole C2 ′ is a type of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apsule C is discharged.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C2)의 타측에는 밀폐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플랜지(C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를 파단하면서 고압의 온수가 주입되면, 상기 캡슐(C) 내부의 물질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토출공(C2')을 통해 음료가 토출된다.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C2) is provided with a sealing cover (not shown), the edge is provided with a flange (C3). At this time, when hot water of high pressure is injected while breaking the airtight cover,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C2 'in a state of being mixed with the material inside the capsule (C).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이하 '추출장치'라 한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추출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바디(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유닛(20)과 고정유닛이 각각 그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상기 이송유닛(20)과 고정유닛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되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도 1에는 생략되어 있다. Next,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raction device')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extraction device are formed by the main body 10. As shown, the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and a transport unit 20 and a fix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therei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ver for shielding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fixed unit, it is omitted in Figure 1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상기 메인바디(10)는 크게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1)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2몸체(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는 일체로 되거나 또는 별개물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0 is largely composed of a first body 11 and a second body (12). The first body 11 is located in the rear relative to the second body 12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irst body 11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integrated or assembled as a single body.

상기 제1몸체(11)의 내부에는 이송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캡슐(C)을 실질적으로 이동시켜주는 부분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가 레버(L)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동되어 캡슐(C)을 후술할 추출보울(3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 transfer unit 2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11. The transfer unit 20 is a portion for substantially moving the capsule (C), more precisely as the user rotates the lever (L) in conjunction with the extraction bowl 30 direction to describe the capsule (C)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moved to.

상기 이송유닛(20)은 레버(L)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L)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캡슐(C)을 이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레버(L)는 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The transfer unit 20 is composed of a lever (L) and at least one link. The lever (L)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irst body 11 as shown, the state shown in Figure 1 corresponds to the state before moving the capsule (C). The lever L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상기 레버(L)의 일단에는 구동링크(21)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링크(21)는 상기 레버(L)의 회전에 연동되고, 그 일단에는 제1연결링크(22)가 연결되어 제1연결링크(2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링크(21)는 상기 레버(L)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link 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ver (L). The drive link 21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L),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is connected to serve to drive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The drive link 21 may be integrated with the lever (L).

이때, 상기 제1연결링크(22)는 고정된 회전축 없이 상기 구동링크(21)의 회전에 따라 그 전체가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된다. 이는 상기 제1연결링크(22)의 양단(22',22'')은 각각 상기 구동링크(21) 및 후술할 제2연결링크(25)와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whole of the drive link 21 is rotated without a fixed rotation axis. This is achieved by connecting both ends 22 'and 22'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to the drive link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제1연결링크(22)의 일단에는 제2연결링크(25)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25)는 일정한 회전축(25')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링크(22)의 회전력을 후술할 종동링크(2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to the driven link 27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rotation shaft 25 ′.

상기 제2연결링크(25)에는 종동링크(27)가 연결된다. 상기 종동링크(27)는 상기 제2연결링크(25)에 그 일단(27')이 연결되고, 그 타단(27'')은 후술할 가이드플레이트(50)에 연결되어, 가이드플레이트(50)를 추출보울(30)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종동링크(27)는 상기 제1연결링크(22)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회전축 없이 그 전체가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이드플레이트(50)를 밀어주게 된다. A driven link 27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The driven link 27 has one end 27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and the other end 27' 'is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guide plate 50 It serves to selectively move toward the extraction bowl (30). At this time, the driven link 27 pushes the guide plate 50 while rotating the same as the whole of the first link link 22 without moving the fixed axis of rotation.

상기 종동링크(27)에는 추출블록(28)이 연결된다. 상기 추출블록(28)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캡슐(C)을 추출보울(3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구(28')가 형성되어 온수를 상기 캡슐(C)의 밀폐커버를 통해 캡슐(C)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블록(28)은 후술할 가이드플레이트(5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종동링크(27)에 연결되나, 종동링크(27)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Extraction block 28 is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27. The extraction block 28 moves the capsule C in the direction of the extraction bowl 30 while moving along the mo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and an injection hole 28 ′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hot water. It serves to supply the inside of the capsule (C) through the closed cover of the capsule (C). In this embodiment, the extraction block 28 is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27 via a guide plate 5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27.

한편, 상기 제2몸체(12)에는 추출보울(30)이 구비된다. 상기 추출보울(30)은 상기 캡슐(C)이 안착되어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캡슐(C) 형상에 대응되는 추출공간(32)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12 is provided with an extraction bowl (30). The extraction bowl 30 is a portion in which the capsule (C) is seated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extraction bowl (3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shown, and an extraction space (32)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C) shape is formed therein. do.

상기 추출보울(30)의 일측에는 음료공급로(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음료공급로(33)는 상기 캡슐(C)로부터 전달되는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관형상으로 된다. One side of the extraction bowl 30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upply path 33, the beverage supply path 33 to discharge the beverage delivered from the capsule (C) to the outside, approximately tubular Becomes

상기 음료공급로(33)는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30)의 가장 하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음료공급로(33)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가 역류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beverage supply passage 33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bowl 30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is is to ensure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along the beverage supply path 33 may be naturally discharged by gravity without being flowed back.

이때,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트레이(40)의 이동경로와 간섭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는 고정트레이(40)가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과 간섭되어 고정트레이(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트레이(40)의 고정편(45)이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에 간섭되어, 고정트레이(40) 전체가 상기 캡슐(C)로부터 멀어져 캡슐(C)을 감싸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is set to a posi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fixing tray 40 to be described below. This is to allow the fixing tray 40 to move in the process of being moved by the transfer unit 20 to interfere with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That is, the fixing piece 45 of the fixing tray 40 interferes with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so that the entire fixing tray 40 is separated from the capsule C to surround the capsule C. The state is released.

상기 추출보울(30)에는 제1탄성부재(S1)가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캡슐(C)에 상기 이송유닛(2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캡슐(C)에 상기 이송유닛(2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출보울(30)의 추출공간(32)에서 음료의 추출이 마쳐진 캡슐(C)이 보다 원활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The extraction bowl 30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S1). The first elastic member (S1)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20 to the capsule (C), in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S1) by providing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20 to the capsule (C), the capsule is finished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in the extraction space 32 of the extraction bowl 30 (C) will be able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more smoothly.

이와 함께,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트레이(40)가 상기 캡슐(C)을 고정한 상태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캡슐(C)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제1탄성력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추출블록(28)과 추출보울(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S1), even if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tray 40 to be described later fixed the capsule (C) is released, the capsule (C) does not fall downward by gravity to the fir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forc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extraction block 28 and the extraction bowl 30.

다음으로,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하면, 고정유닛은 크게 고정트레이(40)와 가이드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이송유닛(20)의 종동링크(27)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트레이(4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와 연결되어 가이드플레이트(50)와 함께 이동된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fixing unit, the fixing unit is largely composed of the fixing tray 40 and the guide plate 50. The guide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27 of the transfer unit 20, the fixing tray 40 is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50 is moved with the guide plate 50.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트레이(40)는 대략 바형상의 트레이 몸체(4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트레이몸체(41)에는 안착홈(42)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42)은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홈(42)의 일단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캡슐(C)의 플랜지(C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42)은 상기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요입된 정도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캡슐(C)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tray 40 has a substantially bar-shaped tray body 41 forming a frame thereof. A seating groove 42 is formed in the tray body 41, and the seating groove 42 is a portion in which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s seated. To this end, one end of the seating groove 42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can be easily inserted.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42 is formed such that the degree of indentation becomes smaller toward the other side from the opened one side, to prevent the capsule (C) from falling further.

도면부호 42'는 캡슐(C)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요입된 간섭회피부이다. 이때, 상기 간섭회피부(42')의 가장자리는 추후에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음료추출을 마친 상기 캡슐(C)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를 걸어주게 된다. Reference numeral 42 'denotes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which is partially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apsule (C).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42 'flange C3 of the capsule (C3)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tray 40 to discharge the capsule (C)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to the outside Walked).

상기 트레이몸체(4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고정편(45)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편(45)은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를 감싸 캡슐(C)을 실질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고정편(45)에는 고정채널(4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채널(46)에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가 안착되어 상기 고정트레이(40)의 이동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fixing piece 45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tray body 41. The fixing piece 45 serves to substantially fix the capsule C by wrapping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To this end, the fixing piece 45 is provided with a fixing channel 46. . That is,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s seated in the fixing channel 46 is fixed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ing tray 40.

한편, 상기 고정편(45)의 외면에는 가이드면(4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5')은 상기 고정편(45)의 외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편(45)이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을 타고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고정편(45)은 상기 트레이몸체(41)로부터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surface 4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45. The guide surface 45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45, so that the fixing piece 45 may naturally move on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will be. For reference, the fixing piece 45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from the tray body 41.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편(45)은 상기 트레이몸체(41)의 양단에 모두 구비된다. 이는 상기 두 고정편(45)이 쌍을 이루어 상기 추출보울(30)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몸체(41) 자체도 캡슐(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고정편(45)은 상기 트레이몸체(41)의 상단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7은 상기 고정편(45)과 트레이몸체(4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iece 45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y body 41. This is to allow the tray body 41 itself to move natur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psule (C) as the two fixing pieces 45 are interfered by the extraction bowl 30 in pairs. Of course, the fixing piece 45 may be provid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tray body 41. Reference numeral 47 i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fixing piece 45 and the tray body 41.

상기 트레이몸체(41)에는 지지보스(4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탄성부재(S2)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50)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된다. The tray body 41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ss 48. The support beam is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guide plate 50 as shown.

상기 고정트레이(40)에는 가이드플레이트(50)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고정트레이(4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유닛(20)의 종동링크(27)에 결합되어 이송유닛(20)의 구동력을 상기 고정트레이(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The guide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fixing tray 40. The guide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fixed tray 40 and coupled to the driven link 27 of the transfer unit 20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transfer unit 20 to the fixed tray 40. Do it. The guide plate 50 also mov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fixing tray 40 can be stably moved.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에는 지지암(5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암(55)은 상기 고정트레이(40)의 고정편(45)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와 고정트레이(40)는 서로 체결되지 않고, 상기 지지암(55)과 고정편(45)에 의해 서로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 실 시예에서 상기 지지암(55)은 상기 두 고정편(45)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나, 상기 두 지지암(55) 사이에 두 고정편(45)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guide plate 50 is provided with a support arm 55. The support arm 55 supports the fixing piece 45 of the fixing tray 40, and serves to guide the fixing tray 40 to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50. That is, the guide plate 50 and the fixing tray 40 are not fastened to each other, b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arm 55 and the fixing piece 45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arm 55 is provided in pairs between the two fixing pieces 45, but two fixing pieces 4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support arms 55.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와 상기 고정트레이(40)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S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상기 고정트레이(40)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캡슐(C)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고정트레이(40)가 캡슐(C)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반대로,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슐(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S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어야 한다. A second elastic member S2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plate 50 and the fixing tray 40.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provides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plate 50, that is, the capsule (C) direction, the fixing tray 40, the fixing tray 40 is the capsule (C) Allow it to be fixed. On the contrary,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capsule C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tray 40, it must be move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한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이송유닛(20)의 추출블록(28)과 체결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추출블록(28)과 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가이드플레이트(50)와 상기 추출블록(28)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와 추출블록(28) 사이의 체결방법은 반드시 볼트체결에 한정되지 않고, 억지끼움이나 접착에 의한 체결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plate 50 is fastened to the extraction block 28 of the transfer unit 20. That is, the guide plate 50 is fastened by the extraction block 28 and the bolt (B), as shown in Figure 2, the guide plate 50 and the extraction block 28 can be moved together will be. Of course, the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guide plate 50 and the extraction block 28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astening of the bolts,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fastening by fastening or bonding are possibl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 내지 도 4f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의해 음료가 추출되고 캡슐이 배출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로도 도시되어 있다. 4a to 4f also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beverage is extracted and the capsule is discharged by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ing state.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저 캡슐(C)을 메인바디(10)의 이동공간 내부로 삽입시켜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가 도 1의 화살표 ①방향으로 캡슐(C)을 이동시켜,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가 고정트레이(40)의 고정채널(46)에 끼워지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user must first insert the capsule (C) into the mo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More precisely, the user should move the capsule C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in FIG. 1 so that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s fitted into the fixed channel 46 of the fixing tray 40. This is shown in Figure 4a.

이때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가 고정채널(46)에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고정트레이(40)에 형성된 안착홈(42)의 경사에 의해 규제된다. 즉, 상기 안착홈(42)의 그 일단은 개구되어 상기 고정채널(46)과 연통되나, 타단은 점점 그 요입된 정도가 작아져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가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nto the fixing channel 46 is regula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groove 42 formed in the fixing tray 40. That is, one end of the seating groove 42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fixed channel 46, but the other end is gradually reduced in the recessed portion so that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can no longer be inserted Will be.

한편, 상기 캡슐(C)은 그 플랜지(C3)가 상기 고정트레이(40)의 고정채널(4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중력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메인바디(10)의 이동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C) is a state in which the flange (C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channel 46 of the fixing tray 40,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mo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without fall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사용자는 레버(L)를 회전시켜 추출장치를 작동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레버(L)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송유닛(20)이 작동하여 상기 캡슐(C)을 추출보울(3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Next, the user operates the extraction apparatus by rotating the lever (L). More precisely with reference to FIG. 1, the lever L should be rotated clockwise. In this case, the transfer unit 2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operates to move the capsule C in the extraction bowl 30 direction.

상기 이송유닛(20)의 작동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레버(L)가 회전되면, 상기 레버(L)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링크(21)가 레버(L)와 함께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First, when the lever L is rotated, the drive link 21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L is rotated clockwise (arrow ⓐ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ever L.

이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1)에 연결된 제1연결링크(22)는 반시계방향(화살표 ⓑ)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전체가 이동된다. 이는 상기 제1연결링크(22)는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그 전체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이다.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connected to the driving link 2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row ⓑ)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is not rotatable about a fixed rotation axis and is provided as a whole.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연결링크(22)에 연결된 제2연결링크(25)가 회전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25)는 회전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에 연동되어 종동링크(27)가 작동된다. 상기 종동링크(27)는 상기 제1연결링크(22)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전체가 이동된다.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is rotated. The second connection link 25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row?) About the rotation shaft 25 '.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driven link 27 is operated. Since the driven link 27 is not rotated about a fixed rotation axis like the first connection link 22, the driven link 27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rrow ⓓ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이에 따라 상기 종동링크(27)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추출보울(30)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에 결합된 상기 추출블록(28)은 가이드플레이트(5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캡슐(C)을 상기 추출보울(30)의 추출공간(32)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는 상기 캡슐(C)이 상기 추출공간(3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도시되어 있지 않다.Accordingly, the guide plate 50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27 is moved away from the transfer unit 20,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extraction bowl 30. At the same time, the extraction block 28 coupled to the guide plate 50 moves together with the guide plate 50 to insert the capsule C into the extraction space 32 of the extraction bowl 30. do. This is shown in Figure 4b. 4b, the capsule C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space 32.

이때, 상기 캡슐(C)은 그 플랜지(C3)가 상기 고정트레이(40)의 고정채널(4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트레이(40)를 따라 상기 메인바디(10)의 이동공간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lange (C3) is inserted into the fixed channel 46 of the fixing tray 40, the capsule (C) is to move the space of the main body 10 along the fixing tray 40 Can be moved stably.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온수가 공급되면, 상기 추출블록(28) 및 상기 캡슐(C) 내부를 거쳐, 상기 추출보울(30)의 음료공급로(33)를 통해 외부로 음료가 토출된다. 이때, 상기 음료공급로(33)는 중력방향을 따라 가장 하방에 위치되므로, 음료는 중력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토출될 수 있다. When hot water is supplied in such a state,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supply passage 33 of the extraction bowl 30 through the extraction block 28 and the capsule (C) inside. At this time, the beverage supply path 33 is located in the lowermost direction along the gravity direction,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naturally without opposing gravity.

한편,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상기 추출보울(3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서 상기 고정트레이(40)는 상기 캡슐(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고정트레이(40)의 고정편(45)이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과 간섭되어, 상기 고정트레이(40) 전체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0) 방향으로 후퇴되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이 상기 고정트레이(4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도 4b에는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상기 추출보울(30)의 외면(35)을 타고 이동하여, 쌍을 이루는 두 고정트레이(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tray 40 in the extraction bowl 30, the fixing tray 40 is moved away from the capsule (C). This is because the fixing piece 45 of the fixing tray 40 interferes with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so that the entire fixing tray 40 is retracted toward the guide plate 50. This is naturally achieved as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is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xing tray 40.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tray 40 moves on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xtraction bowl 30 so that the pair of fixing trays 40 move away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상기 캡슐(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채널(46)로부터 캡슐(C)의 플랜지(C3)가 분리되는데, 이렇게 되더라도 상기 캡슐(C)은 추출장치의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추출보울(30)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S1)가 상기 캡슐(C)의 베이스플레이트(C2)를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캡슐(C)이 상기 제1탄성부재(S1)와 상기 추출블록(28) 사이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tray 40 is moved away from the capsule (C),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channel 46, even if this capsule (C) is extracted It does not fall down the device. This is because the first elastic member (S1) provided in the extraction bowl 30 is pushing the base plate (C2) of the capsule (C), the capsule (C)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S1) This is because it can be fixed between the extraction block 28.

다음으로, 캡슐(C)을 추출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음료가 완전히 추출되면 상기 레버(L)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레버(L)와 연결된 상기 구동링크(21), 제1연결링크(22), 제2연결링크(25) 및 종동링크(27)는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종동링크(27)는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Next,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capsule (C)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device, the user has to rotate the lever (L)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beverage is completely extracted. In this case, the driving link 21, the first connecting link 22, the second connecting link 25, and the driven link 27 connected to the lever L operat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operation. The driven link 27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트레이(40)는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를 건 상태에서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C)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 트레이(40)가 상기 추출보울(30)과의 간섭으로 상기 캡슐(C)로부터 멀어진 상태였으므로, 원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장자리를 단순히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process, the fixing tray 40 returns the capsule C to its original position by moving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to its original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fixing tray 40 is separated from the capsule C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extraction bowl 30, it is not fixed to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t simply pushes the edge. This is shown in Figure 4c.

이때, 상기 추출보울(30)의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캡슐(C)의 베이스플레이트(C2)를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레버(L)를 회전시켜주는 외력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캡슐(C)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lastic member S1 of the extraction bowl 30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base plate C2 of the capsule C, even if the external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L is uneven, the capsule ( C) can be moved stably.

상기 고정트레이(40)가 완전히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추출보울(30)에 구비된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더 이상 상기 캡슐(C)과 접하지 않고 완전히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캡슐(C)을 상기 추출블록(28) 방향으로 밀어주고 있던 외력이 사라지고, 또한 상기 캡슐(C)의 플랜지(C3) 역시 상기 고정편(45)에 의해 걸어진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캡슐(C)은 중력에 의해 추출장치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When the fixing tray 40 is complete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S1 provided in the extraction bowl 30 is completely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capsule C any more. Accordingly, the external force pushing the capsule C toward the extraction block 28 disappears, and the flange C3 of the capsule C is also not caught by the fixing piece 45, The capsule (C) is discharged downward of the extraction device by gravit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바디의 제2몸체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tra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의해 음료가 추출되고 캡슐이 배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Figures 4a to 4d is an operational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psule is discharged sequential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메인바디 11: 제1몸체10: main body 11: the first body

12: 제2몸체 20: 이송유닛12: second body 20: transfer unit

21: 구동링크 22: 제1연결링크21: drive link 22: first connection link

25: 제2연결링크 27: 종동링크25: second connection link 27: driven link

28: 추출블록 30: 추출보울28: extraction block 30: extraction bowl

32: 추출공간 33: 음료공급로32: extraction space 33: beverage supply

40: 고정트레이 41: 트레이몸체40: fixed tray 41: tray body

42: 안착홈 45: 고정편42: seating groove 45: fixing piece

45': 가이드면 46: 고정채널45 ': Guide surface 46: Fixed channel

50: 가이드플레이트 55: 지지암50: guide plate 55: support arm

S1: 제1탄성부재 S2: 제2탄성부재S1: first elastic member S2: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14)

밀폐된 캡슐 내부에 유체를 가압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a capsul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pressing the fluid inside the sealed capsule, 캡슐이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보울이 구비되는 메인바디와,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oving space in which the capsule is moved and is provided with an extraction bowl from which the beverage is extracted;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을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A transfer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move the capsule toward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moving space; 상기 캡슐을 선택적으로 감싸 고정하고,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의 간섭에 의해 상기 캡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캡슐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캡슐을 배출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The capsule is selectively wrapped and fixed, and moved along the transfer unit, and moved away from the capsule by interferen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released from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comprising a fixed unit for discharg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에는 고정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캡슐의 플랜지를 감싸 고정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 간섭되어 상기 플랜지를 감싼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을 밀어 캡슐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fixing channel is formed in the fixing unit to surround and fix the flange of the capsule, and the fixing unit interfer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transfer unit. Release from the wrapped state of the flange,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long the transfer unit by pushing the end of the flange to move the capsule to the discharge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보울에는 상기 이송유닛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캡슐에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bowl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to protrude toward the conveying unit,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capsule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unit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슐의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를 감싸기 위한 고정채널이 형성되는 고정트레이와,A fixing tray hav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mov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lange of the capsule and having a fixing channel formed around the flange; 상기 고정트레이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A guide plate coupled to the fixed tray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tray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상기 고정트레이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트레이에 상기 캡슐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Drinking apparatus using a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tray and the guide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capsule direction in the fixing tr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트레이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tray 바형상의 트레이몸체와,The tray body of the bar shape, 상기 트레이몸체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며 상기 플랜지를 감싸기 위한 고정채널이 형성되는 고정편과,A fixing piece provided on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tray body and receiving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psule by interfering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ng bowl and having a fixing channel for wrapping the flange; 상기 트레이몸체와 상기 고정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tray body and the fixing pie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외면에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추출보울의 외면에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guide surface is gui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트레이의 트레이몸체 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제2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 7. 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upport boss for fix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y body or the guide plate of the fixing tr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트레이의 트레이몸체에는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그 일단이 개구되는 안착홈이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개구된 일단의 타측으로 갈수록 그 요입된 정도가 점점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ray tray of the fixing tray is provided with a recess groove which is one end is open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inserted, the mounting groove is the degree of the recess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end Drink extraction device using a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ually small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xing unit is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a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의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지지암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트레이의 고정편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10.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guide plate of the fixing un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arm to support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tra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보울은 그 내부에 상기 캡슐이 안착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상기 추출보울의 외주면은 상기 고정트레이의 고정편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편의 이동과정에서 간섭되어 상기 고정트레이를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xtraction bowl has a cylindrical shape formed therein the extraction space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t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bowl is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tray to move the fixing piec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a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to move the fixing tr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ransfer unit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A lever rotatably provided at the main body; 상기 레버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와,At least one link hinged to the lever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into a linear movement; 상기 링크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추출보울을 향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캡 슐을 밀어주는 추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And a extraction block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to push the capsule while linearly moving toward the extraction bow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블록은 상기 고정유닛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13.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extraction block is fastened to the guide plate of the fixed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보울의 선단에는 상기 캡슐로부터 토출되는 음료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료공급로가 구비되는데, 상기 음료공급로는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추출보울의 하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ensing bowl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upply passage for delivering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to the outside, the beverage supply passag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raction bowl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a capsule.
KR1020080130502A 2008-12-19 2008-12-19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KR201000716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02A KR20100071697A (en) 2008-12-19 2008-12-19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02A KR20100071697A (en) 2008-12-19 2008-12-19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97A true KR20100071697A (en) 2010-06-29

Family

ID=4236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02A KR20100071697A (en) 2008-12-19 2008-12-19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1697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8238A (en) * 2010-10-28 2011-04-13 汕头市自在天茶道科技有限公司 Beverage brewing device
KR20140112507A (en) * 2012-01-13 2014-09-23 닝보 취안징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Beverage package dropping structure i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P2888977A4 (en) * 2012-08-24 2016-05-11 Gd Xinbao Elec Appl Holdings Capsule coffee machine
CN108430282A (en) * 2015-12-22 2018-08-2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Brewing unit for beverage dispenser and the machine comprising brewing unit
CN110179342A (en) * 2019-05-07 2019-08-30 宁波心想科技有限公司 The beverage extraction plant component that rises brokenly
CN111839222A (en) * 2019-04-24 2020-10-30 浙江西文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extraction and drinking machine based on beverage capsul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8238A (en) * 2010-10-28 2011-04-13 汕头市自在天茶道科技有限公司 Beverage brewing device
KR20140112507A (en) * 2012-01-13 2014-09-23 닝보 취안징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Beverage package dropping structure i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P2888977A4 (en) * 2012-08-24 2016-05-11 Gd Xinbao Elec Appl Holdings Capsule coffee machine
CN108430282A (en) * 2015-12-22 2018-08-2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Brewing unit for beverage dispenser and the machine comprising brewing unit
CN108430282B (en) * 2015-12-22 2021-04-13 皇家飞利浦有限公司 Brewing unit for a beverage machine and machine comprising a brewing unit
CN111839222A (en) * 2019-04-24 2020-10-30 浙江西文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extraction and drinking machine based on beverage capsules
CN111839222B (en) * 2019-04-24 2024-05-10 浙江西文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everage extracting machine based on beverage capsules
CN110179342A (en) * 2019-05-07 2019-08-30 宁波心想科技有限公司 The beverage extraction plant component that rises broken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9627B (en) For the preparation of the brewing appratus of the machine of beverage
RU2404700C2 (en) Espresso coffee maker
JP4977680B2 (en) Extraction system, capsule, and method of using capsule
KR20100071697A (en)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KR101271789B1 (en) An automatic pod conveyor and brewer assembly for fresh hot beverage
AU2012288872B2 (en)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refilling operation
RU2589576C2 (en) Brewing device for food product preparation
RU2306838C2 (en) Apparatus for producing of beverages by infusion
JP2015533565A (en) Extraction unit with multiple sized cartridge cavities
JP6362703B2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ing capsules
WO20061262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s, in particular coffee, from single portion packages
JP2015535720A (en) Extraction unit having shiftable cartridge receivers of multiple sizes
KR20100094582A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comprising an adjustable closing mechanism
BRPI1011621B1 (en) system for dosing coffee bean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dose of coffee beans to a grinder
MX2014001094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utomatic closure of the powder containers chutes.
EP3393312A1 (en) Brewing unit for a beverage producing machine and machine containing the brewing unit
US7588062B1 (en) Candy powder dispensing apparatus
KR101067857B1 (en) Vending machine
TW201302139A (en) Machine for dispensing infusions
EP2415375B1 (en) Infusion assembly for a machine for brewing beverages
EP2785224B1 (en) Tea brewing assembly
JP731928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or brewed beverages having a cover plate covering an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wall
KR20120124210A (en)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FR2905844A1 (en) Infusion preparing machine i.e. espresso coffee machine, has extracting device including engaging units connected to cover to engage with flange of dose which projects with opening of receptacle and to drive dose outside receptacle
JP2002201844A (en) Door device and drink prov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