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551A -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9551A KR20100059551A KR1020080118361A KR20080118361A KR20100059551A KR 20100059551 A KR20100059551 A KR 20100059551A KR 1020080118361 A KR1020080118361 A KR 1020080118361A KR 20080118361 A KR20080118361 A KR 20080118361A KR 20100059551 A KR20100059551 A KR 20100059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irt
- cover
- brush
- lower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브러시를 구동하는 터빈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시키는 흡입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흡입노즐 조립체는 제1오물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커버와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상부커버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 제2공기유로에 배치되고, 제2공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유닛;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터빈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브러시; 및 메인 브러시 근처에 배치된 보조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노즐, 유로, 터빈, 브러시, 보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시를 구동하는 터빈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시키는 흡입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를 이용하여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피 청소면에 있는 오물이나 먼지 등을 빨아들여 피 청소면을 청소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피 청소면과 접촉되어 이동할 때 피 청소면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구비한다. 흡입노즐 조립체는 통상 노즐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피 청소면에 묻어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구, 및 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어 피 청소면에 묻어있는 오물을 털어내는 브러시를 구비한다.
브러시는 흡입노즐 조립체내에 설치된 구동모터 또는 터빈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모터는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청소기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고가인 반면, 터빈은 흡입공기에 의해 구동되므로 외부전원이 필요없고 구동모터에 비해 비교적 저가이다. 따라서, 브러시의 구동원으로는 구동모터 보다 터빈이 더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빈은 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유동하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공기유로내에 배치되고, 벨트를 통해 브러시와 연결된다. 따라서, 청소시 오물흡입구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힐 경우에는 터빈의 구동이 정지되고, 오물흡입구의 막힘을 뚫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오물흡입구를 막은 오물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흡입노즐 조립체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는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브러시가 급격히 회전하여 이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시 오물흡입구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히더라도 자동으로 오물흡입구의 막힘이 뚫려지게 하거나 청소작업을 계속할 수 있고, 청소시 흡입노즐 조립체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더라도 회전 브러시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청소시 오물흡입구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힐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물흡입구의 막힘이 뚫려지게 하거나 청소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하고, 흡입노즐 조립체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는 브러시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는, 제1오물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커버와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상부커버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 제2공기유로에 배치되고, 제2공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유닛;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터빈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브러시; 및 메인 브러시 근처에 배치된 보조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기유입구는 상부커버의 대략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는 노즐 본체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현저히 작게 되어 터빈유닛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를 갖는 복수 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는 커버 본체, 및 커버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고 제1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브러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유로는 브러시 커버의 제1오물흡입구와 연통하도록 하부커버의 커버 본체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 및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부커버의 커버 본체 위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기유로는 상부커버의 공기유입구와 연통하도록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커버 본체 사이에 형성된 터빈유닛 설치공간,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부커버의 커버 본체와 상부 커버 사이에 형성된 중간 연결공간, 및 터빈유닛 설치공간의 터빈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중간 연결공간으로 가이드하는 공기방향 전환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방향 전환덕트는 터빈유닛 설치공간과 중간 연결공간을 서로 분리하는 격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공기유로는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중간 연결공간 사이에서 하부커버의 커버 본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통개구를 통해 서로 합쳐질 수 있다 .
터빈유닛은, 적어도 두 개의 입구를 구비한 터빈 케이스, 터빈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터빈, 및 터빈과 함께 회전되고 터빈의 중앙에서 터빈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빈 케이스는 제1 및 제2커버를 포함하며, 제1커버의 중앙에는 터빈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의 출구는 터빈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제1공기유로의 상부로 가이드하는 공기방향 전환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브러시는 제1오물흡입구에 인접하게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2오물흡입구근처에 배치되고, 노즐 본체의 이동에 의해 브러싱동작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브러시는 하부커버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부커버에 형성된 보조브러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러시는 노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치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 조립체; 및 흡입노즐 조립체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유닛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을 포함하며, 흡입노즐 조립체는, 제1오물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커버와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상부커버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 제2공기유로에 배치되고, 제2공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유닛; 하부커버의 제1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터빈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브러시; 및 메인 브러시 근처에 배치된 보조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기유입구는 상부커버의 대략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는 노즐 본체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되어 터빈유닛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를 갖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브러시는 제1오물흡입구에 인접하게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2오물흡입구근처에 배치되고, 노즐 본체의 이동에 의해 브러싱동작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브러시는 하부커버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부커버에 형성된 보조브러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러시는 노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지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터빈유닛이 노즐 본체의 하부 커버의 제1 및/또는 제2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함유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와 별도로 형성된 상부 커버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에 설치되므로, 청소시 제1 및/또는 제2오물흡입구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힐 경우에도, 공기가 제2공기유로를 통해 계속 유동하여 터빈유닛을 계속 구동시킨다. 또한, 보조 브러시는 노즐 본체의 이동에 따라 브러싱 작동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제1 및/또는 제2오물흡입구를 막은 오물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메인 브러시와 보조 브러시는 계속적으로 제1 및 제2오물흡입구에 막힌 오물과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및/또는 제2오물흡입구의 막힘은 자동으로 뚫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오물흡입구는 보조브러시 설치공간을 통해 제1공기유로의 메인 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므로, 제1오물흡입구가 오물 등에 의해 막혀 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는 제2오물흡입구를 통해 청소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는 노즐 본체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1 및 제2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되어 터빈유닛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청소시 흡입노즐 조립체가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메인 브러시는 회전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는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종래의 흡입노즐 조립 체에서와 같이 브러시의 급격한 회전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1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는 먼지나 오물 등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조립체(10), 흡입노즐 조립체(10)와 청소기 본체(130)를 연결하는 연장관부(82), 및 집진부(135)와 모터부(131)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입노즐 조립체(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10)의 저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10)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10)에서 상부커버(15)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입노즐 조립체(10)에서 공기방향 전환덕트(45)와 터빈 케이스(52)를 더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10)를 도 4의 선 VI-VI, VII-VII, 및 VIII-VIII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입노즐 조립체(10)는 노즐 본체(12), 제1공기유로(20), 제2공기유로(30), 터빈유닛(40), 메인 브러시(50) 및 보 조 브러시(60)를 포함한다.
노즐 본체(12)는 흡입노즐 조립체(10)의 외형과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피 청소면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하부커버(13)와 하부커버(13) 위에 배치된 상부커버(15)로 구성된다. 하부커버(13)와 상부커버(15)는 합쳐져서 대략적으로 사다리꼴의 함체를 형성한다.
하부커버(13)는 전방에 제1 및 제2반원통부(23, 59)를 볼록하게 돌출 형성한 커버 본체(1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반원통부(23, 59)는 각각, 하부쪽으로 오픈되어, 메인 브러시(50)를 수용하는 메인브러시 수용공간(22)과 보조 브러시(60)을 수용하는 보조브러시 수용공간(63)을 형성한다. 커버 본체(14)의 저면에는 브러시 커버(16)가 결합되어 있다. 브러시 커버(16)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피 청소면과 마주하는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가 형성된다. 제1오물흡입구(17)의 양측의 브러시 커버(16)에는 제1 및 제2지지축(16a; 도 2에 제1지지축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메인 브러시(50)의 회전 드럼(50a)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또한, 제2오물흡입구(18)의 양측의 브러시 커버(16)에는 제3 및 제4지지축(16b; 도 2에 제3지지축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보조 브러시(60)의 회전 드럼(60a)이 지지된다.
상부커버(15)는 대략 중앙에 공기유입구(19)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구(19)는 복수 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은 청소시 노즐 본체(12)가 사용자에 의해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9)를 통해 제2공기유로(30)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를 통해 제1공기유로(20)로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되어 터빈유 닛(40)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구(19)의 홀들의 크기와 갯수를 제한하는 이유는 청소시 사용자가 흡입노즐 조립체(10)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킬 때 제2공기유로(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너무 크면, 메인 브러시(50)가 터빈유닛(40)에 의해 급격히 회전하여 이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공기유로(20)는 하부커버(13)의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 및 연결 파이프(24)로 구성된다.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은 하부커버(13)의 커버 본체(14)의 제1반원통부(23)에 의해 형성되고, 하측은 브러시 커버(16)의 제1오물흡입구(17)와 연통되고 후방측은 배출개구(27; 도 3 참조)을 통해 연결 파이프(24)와 연통된다.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은 커버 본체(14)의 제2반원통부(59)에 의해 형성되고, 하측은 브러시 커버(16)의 제2오물흡입구(18)와 연통되고 후방측은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연통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원통부(23)의 전방에는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을 후술하는 제2공기유로(30)의 중간 연결공간(36; 도 7 및 도 8 참조)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개구(25)가 형성된다.
연결 파이프(24)는 하부커버(13)의 커버 본체(14) 위에 배치되고,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연결 파이프(24)는 장방형관 부분(24a)과 원통형 관부분(24b)으로 구성된다. 장방형관 부분(24a)은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을 구성하는 제1반원통부(23)의 후방 중앙에 형성된 배출개구(27)와 연결되고, 원통형 관부분(24b)은 상부커버(15)와 하부커버(12)의 후방에 형성된 제 및 제2반원형 개구(28, 29)를 통해 노즐 몸체(12)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관부(82)와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공기유로(30)는 상부커버(15)의 공기유입구(19)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 터빈유닛 설치공간(33), 중간 연결공간(36), 및 공기방향 전환덕트(45)로 구성된다. 터빈유닛 설치공간(33)은 노즐 본체(12)의 후방에서 상부커버(15)와 하부커버(13)의 커버 본체(14)에 의해 상부커버(15)와 커버 본체(14) 사이에 형성되며, 상부커버(15)의 공기유입구(19)와 연통된다. 중간 연결공간(36)은 노즐 본체(12)의 전방에서 상부커버(15)와 커버 본체(14)의 제1반원통부(23)에 의해 상부커버(15)와 제1반원통부(23) 사이에 형성되며, 공기방향 전환덕트(45)에 의해 터빈유닛 설치공간(33)과 연결되고 제1반원통부(23)의 연통개구(25)를 통해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연통한다. 따라서, 제2공기유로(30)의 중간 연결공간(36)은 제1반원통부(23)의 연통개구(25)를 통해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합쳐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방향 전환덕트(45)는 하부커버(13)의 후방에서 하부커버(13) 위에 설치되고, 터빈유닛 설치공간(33)에 설치된 터빈유닛(40)과 중간 연결공간(36) 사이에 연결되어 터빈유닛(40)을 통과한 공기를 중간 연결공간(36)으로 가이드한다. 공기방향 전환덕트(45)는 하부가 노출된 ㄱ자형 관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방향 전환덕트(45)의 전방에는 터빈유닛 설치공간(33)과 중간 연결 공간(36)을 서로 분리하는 격판(47)이 형성된다. 격판(47)은 제1원통부(23)의 배출개구(27) 위쪽에서 상부커버(15)와 하부커버(13)의 커버 본체(14) 사이에 좌우방향(도 4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또,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방향 전환덕트(45)의 일측에는 터빈유닛(40)의 터빈(41)의 회전축(42)의 일측상에 형성된 구동치차(44)와 메인 브러시(50)의 회전 드럼(50a)에 형성된 피동치차(48)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48)를 밀페하는 벨트 커버부(51)가 형성된다.
터빈유닛(40)은 메인 브러시(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제2공기유로(3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된다. 이를 위해, 터빈유닛(40)은 제2공기유로(30)의 터빈 설치공간(33)에 설치되고, 터빈 케이스(52), 터빈(41), 및 회전축(42)을 구비한다. 터빈 케이스(52)는 접선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입구(52a, 52b; 도 6 참조)를 구비한 원통체를 형성한다. 터빈 케이스(52)는 제1 및 제2커버(53, 54)로 구성되고, 제1커버(53)의 중앙에는 터빈(41)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53a)가 형성된다. 제1커버(53)의 출구(53a)는 터빈(41)을 통과한 공기를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연통된 중간 연결공간(36) 쪽으로 가이드하는 공기방향 전환덕트(45)의 입구와 연결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빈(41)은 터빈 케이스(5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42)은 터빈(41)에 고정되어 터빈(41)과 함께 회전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42)의 일단은 터빈(41)의 중앙에서 터빈 케이스(52)의 제1커버(52)의 출구(53a)와 공기방향 전환덕트(45)를 관통 돌출되어 제1지지보스(56)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타단은 제2커버(54)의 관통개구(54a)를 통해 돌출되어 제2지지보스(57)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메인 브러시(50)는 하부커버(13)의 제1오물흡입구(17) 근처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지지축(17a)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메인 브러시(50)는 회전 드럼(50a), 및 회전 드럼(50a)의 표면에 설치된 펫 헤어와 같은 브러시 털(50b)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 브러시(50)는 터빈(41)의 회전축(42)의 구동치차(44)와 회전 드럼(50a)의 피동치차(48)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49)를 통해 터빈유닛(40)의 터빈(4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청소기의 구동시, 메인 브러시(50)가 타이밍벨트(49)를 통해 터빈(4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의해 회전하면, 브러시 털(50b)이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털어 제1오물흡입구(17)를 통해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 쪽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보조 브러시(60)는 피 청소면에 붙은 오물, 헤어 등을 메인 브러시(50)의 앞에서 1차로 피 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메인 브러시(50) 근처, 즉, 제1오물흡입구(17)의 전방에 인접하게 하부커버(13)의 브러시 커버(16)에 형성된 제2오물흡입구(18) 근처의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에 배치된다. 제1반원통부(23)와 제2반원통부(59) 사이에는 상부커버(15)와 함께 중간 연결공간(36)을 구획하는 분리판(6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은 제2오물흡입구(18)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연통된다.
보조 브러시(60)는 청소시 사용자에 의해 노즐 본체(12)가 전후로 이동할 때, 노즐 본체(12)의 이동에 따라 브러싱 동작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브러시(60)는 표면에 펫 헤어와 같은 브러시 털(60b)을 구비한 회전드럼(60a), 및 보조 브러시(60)의 양단에서 브러시 커버(16)의 제3 및 제4지지축(16b; 도 3에 제3지지축만 도시됨)에 고정된 래칫부(60c; 도 3 참조)를 구비하여, 노즐 본체(12)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지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조 브러시(60)는 브러시 털(60b)을 구비한 회전드럼(60a) 형태로 형성되는 대신, 브러시 털을 갖는 긴 판 형태(도시하지 않음)로 형성되어 노즐 본체(12)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로 피봇되어 피 청소면을 긁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10)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를 위해, 흡입노즐 조립체(10)를 구비한 진공청소기(100)의 청소기 본체(130)의 모터부(120)에 설치된 흡입모터가 구동되면, 하부커버(13)의 제1오물 흡입구(17) 근처의 공기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제1오물흡입구(17)을 통해 피청소면에 붙어 있는 오물과 함께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흡입된 후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다. 또한, 제2오물흡입구(18) 근처의 공기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제2오물 흡입구(18)을 통해 피 청소면에 붙어 있는 오물과 함께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으로 흡입된 후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다.
한편, 흡입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부커버(15)의 공기유입구(19) 근처의 공기 역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유입구(19)를 통해 제2공기유로(30)의 터빈 설치공간(33)으로 흡입된다. 터빈 설치공간(33)으로 흡입된 공기는 터빈 케이스(52)의 제1 및 제2입구(52a, 52b)을 통해 터빈 케이스(52)내부로 유입된 후, 터빈(41)을 회전시킨 다음, 터빈 케이스(52)의 제1커버(53)의 출구(53a) 및 공기 방향 전환덕트(45)를 통해 중간 연결공간(36)으로 이동된다. 중간 연결공간(36)으로 이동된 공기는 제1반원통부(23)의 연통개구(25)를 통과하여 제1공기유로(20)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의 공기 및 오물과 합쳐져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다.
또한, 터빈(41)이 터빈 케이스(52)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메인 브러시(50)의 회전드럼(50a) 역시 타이밍벨트(49)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 드럼(50a)이 회전하면, 피 청소면의 오물은 피 청소면과 접촉하는 메인 브러시( 50)의 브러시 털(50b)에 의해 피 청소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오물흡입구(17)를 통해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 쪽으로 상승되어,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터빈(41)의 동작 중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힐 경우, 터빈유닛(40)이,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18)를 통해 흡입된 오물이 함유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20)와 별도로 형성된 공기유입구(19)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30)에 설치되므로, 터빈유닛(40)의 터 빈(41)은 제2공기유로(3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계속 구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를 막은 오물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메인 브러시(50)는 계속적으로 제1오물흡입구(17)에 막힌 오물과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1오물흡입구(17)의 막힘은 자동으로 뚫려질 수 있다.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 오물이 함유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30)에 설치된 집진부(135)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후 모터부(120)을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3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동작시, 사용자가 노즐 본체(12)를 전후로 이동하면, 보조 브러시(60)는 노즐 본체(12)의 이동에 따라 브러싱 동작을 한다. 즉, 보조 브러시(60)는 노즐 본체(12)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여 피청소면의 헤어를 포함하는 오물을 제2오물흡입구(18)를 통해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 쪽으로 상승시키고, 노블 본체(12)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지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져 피 청소면의 오물을 피 청소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브러싱 동작에 의해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으로 유입된 오물은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의 공기와 함께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이동하여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으로 흡입된 공기 및 오물과 합쳐져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된다.
또한, 이때, 제2오물흡입구(18)가 오물 등에 의해 막히더라도, 보조 브러시(60)는 노즐 본체(12)의 이동에 따라 브러싱 작동을 계속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제2오물흡입구(18)를 막은 오물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보조 브러시(60)는 계속적으로 제2오물흡입구(18)에 막힌 오물과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2오물흡입구(18)의 막힘은 자동으로 뚫려질 수 있다.
또, 제1오물흡입구(17)만 오물 등에 의해 막힌다면, 제2오물흡입구(18)가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을 통해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보조 브러시(60)에 의해 피 청소면으로부터 분리된 오물은 제2오물흡입구(18)를 통해 공기와 함께 보조브러시 설치공간(63)으로 흡입되어 메인브러시 설치공간(22), 연결 파이프(24), 및 연장관부(82)를 통해 청소기 본체(13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오물흡입구(18)에 막힌 오물을 바로 제거하지 않더라도 청소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노즐 본체(12)를 전후로 이동하는 중에 노즐 본체(12)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면, 공기유입구(19)의 홀들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1 및 제2오물흡입구(17, 18)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조절하는 공기유입구(19)의 홀들의 크기와 갯수에 따라, 메인 브러시(50)는 회전이 정지되거나 느린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흡입노즐 조립체와 같이 노즐 본체가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발생되는 메인 브러시의 급격한 회전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흡입노즐 조립체에서 공기방향 전환덕트와 터빈 케이스를 더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를 도 4의 선 VI-VI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를 도 4의 선 VII-VII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를 도 4의 선 VIII-VIII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1의 흡입노즐 조립체가 적용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흡입노즐 조립체 12: 노즐 본체
17, 18: 오물흡입구 19: 공기유입구
20; 제1공기유로 22: 메인브러시 설치공간
24: 연결파이프 30: 제2공기유로
33: 터빈유닛 설치공간 36: 중간 연결공간
40: 터빈유닛 41: 터빈
42: 회전축 52: 터빈 케이스
50: 메인 브러시 60: 보조 브러시 63: 보조브러시 설치공간 100: 진공청소기
Claims (20)
- 제1오물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커버와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상기 제2공기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유닛;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제1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브러시; 및상기 메인 브러시 근처에 배치된 보조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상기 노즐 본체가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되어 상기 터빈유닛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커버 본체; 및상기 커버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브러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는,상기 브러시 커버의 상기 제1오물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 및상기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 위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는,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 사이에 형성된 터빈유닛 설치공간;상기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형성된 중간 연결공간; 및상기 터빈유닛 설치공간의 상기 터빈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중간 연결공간으로 가이드하는 공기방향 전환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향 전환덕트는 상기 터빈유닛 설치공간과 상기 중간 연결공간을 서로 분리하는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기유로는 상기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상기 중간 연결공간 사이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통개구를 통해 서로 합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유닛은,적어도 두 개의 입구를 구비한 터빈 케이스;상기 터빈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터빈; 및상기 터빈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터빈의 중앙에서 상기 터빈 케이스의 외부 로 돌출된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터빈 케이스는 제1 및 제2커버를 포함하며,상기 제1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터빈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출구는 상기 터빈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의 상부로 가이드하는 공기방향 전환덕트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제1오물흡입구에 인접하게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2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에 의해 브러싱 동작을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보조브러시 설치공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노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지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
- 흡입노즐 조립체; 및상기 흡입노즐 조립체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며,상기 흡입노즐 조립체는,제1오물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커버와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상기 제2공기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유닛;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제1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 브러시; 및상기 메인 브러시 근처에 배치된 보조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가 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1오물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의 양 보다 작게 되어 상기 터빈유닛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는 크기와 갯수를 갖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제1오물흡입구에 인접하게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2오물흡입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에 의해 브러싱 동작을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메인브러시 설치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보조브러시 설치공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는 상기 노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질 때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전이 정지되어 피 청소면을 긁으면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8361A KR20100059551A (ko) | 2008-11-26 | 2008-11-26 |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8361A KR20100059551A (ko) | 2008-11-26 | 2008-11-26 |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551A true KR20100059551A (ko) | 2010-06-04 |
Family
ID=4236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8361A KR20100059551A (ko) | 2008-11-26 | 2008-11-26 |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955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014B1 (ko) * | 2013-05-24 | 2014-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KR101523444B1 (ko) * | 2013-12-31 | 2015-05-27 | 강석만 | 휴대형 스위퍼 |
GB2614914A (en) * | 2022-01-25 | 2023-07-26 | Dyson Technology Ltd |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
-
2008
- 2008-11-26 KR KR1020080118361A patent/KR201000595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014B1 (ko) * | 2013-05-24 | 2014-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KR101523444B1 (ko) * | 2013-12-31 | 2015-05-27 | 강석만 | 휴대형 스위퍼 |
GB2614914A (en) * | 2022-01-25 | 2023-07-26 | Dyson Technology Ltd |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
GB2614914B (en) * | 2022-01-25 | 2024-07-10 | Dyson Technology Ltd |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0423B1 (ko) | 스틱형 진공청소기 | |
KR100615360B1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 |
KR101204440B1 (ko) |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 |
US7412750B2 (en) | Floorcloth attached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 |
KR20080087596A (ko) | 로봇청소기 | |
KR20070074146A (ko) | 청소기 시스템 | |
KR100837360B1 (ko) | 배기환류를 이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
KR20090084227A (ko) | 바이패스타입 청소장치 | |
JP2008086550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
JP2013059527A (ja) | 電気掃除機 | |
WO2012140825A1 (ja) |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
KR20100059551A (ko) |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
JP4482034B2 (ja) | 真空清掃ヘッド | |
KR20090034493A (ko) | 로봇청소기 | |
CN100515301C (zh) | 一种多用途清洁装置 | |
JP2006231027A (ja) | 真空清掃機用ブラシ組立体 | |
JP2000107094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 |
KR101349199B1 (ko) | 진공청소기 | |
JP2008086549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
KR20020056320A (ko) |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청소구조 | |
KR101292537B1 (ko) | 로봇청소기 | |
KR100631571B1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 |
JP2013052008A (ja) | 空気噴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
KR100432556B1 (ko) | 전기청소기의흡입구체및전기청소기 | |
KR20070016420A (ko) | 청소기의 흡입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