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282A -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1282A KR20100041282A KR1020080100395A KR20080100395A KR20100041282A KR 20100041282 A KR20100041282 A KR 20100041282A KR 1020080100395 A KR1020080100395 A KR 1020080100395A KR 20080100395 A KR20080100395 A KR 20080100395A KR 20100041282 A KR20100041282 A KR 201000412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ixed
- piece
- vertical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모니터를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평판형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무게를 유지하며 모니터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의 모서리를 삽입하도록 상측판과 하측판을 "ㄷ"자로 형성하고 상기 상측판 상측면 후방으로 고정편을 돌출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편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수직암과, 상기 수직암의 상단부에 후방이 고정되어 수직암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수평암과, 상기 수평암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평판형 모니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전방에 평판형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하는 고정판으로 형성된 브라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모니터를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평판형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무게를 유지하며 모니터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본체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예전부터 사용하던 음극선관 모니터와 평판형 모니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 모니터(CRT: Catho de Ray Yube Monitor)는 저렴한 가격에 대비하여 화질이 선명한 장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사용시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평판형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평판형 모니터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종래 전형적인 일 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커버, 2는 고정브라켓, 3은 스탠드, 4는 받침대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씨디 모듈을 고정하는 커버(1)의 배면에 고정브라켓(2)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은 스탠드(3)에 고정된다.
상기 스탠드(3)는 고정브라켓(2)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며 상기 스탠드(3)는 일정한 넓이의 받침대(4)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는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의 넓이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해야 함으로써 음극선관 모니터 보다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모니터 저면을 차지하는 받침판의 크기로 인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고정장치를 바꿀 수 없어 제품에 따른 고정장치의 호환성이 저하되었으며 모니터의 각도조절 또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조절하던지 각도 조절 후 힌지부분을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평판형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무게에 따라 텐션을 조절할 수 있고 모니터의 무게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모니터의 고정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책상상판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의 모서리를 삽입하도록 상측판과 하측판을 "ㄷ"자로 형성하고 상기 상측판 상측면 후방으로 고정편을 돌출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편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수직암과, 상기 수직암의 상단부에 후방이 고정되어 수직암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수평암과, 상기 수평암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평판형 모니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전방에 평판형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하는 고정판으로 형성된 브라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측판의 상측면 전방으로 덮개편을 형성하여 렌치를 수납할 수 있는 렌치수납함을 형성하고 하측판에는 회전에 의하여 상측판과 개재되도록 단부에 밀착편을 형성한 나선이 형성된 회전봉을 체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암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고정판을 하단 후 방에 형성한 수직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의 내경에는 수직봉의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수직봉 외측으로는 고정링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봉 상단에는 수직봉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에 걸림 고정되도록 수평암의 후방에 연결링을 형성하며 전방 상측에는 돌출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텐션부는 상기 수평암의 돌출봉에 고정되는 제1연결구 후방에 링과, 전방으로는 한 쌍의 상측연결편과 상기 상측연결편 보다 긴 하측연결편을 상하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측연결편에는 전,후방연결편의 하단을 삽입하여 축 연결하며 상기 전,후방연결편의 상단은 제2연결구 후방에 길게 형성한 상부연결편과 상기 상부연결편보다 짧은 하부연결편에 축설하고 상기 제2연결구 전방에는 결합링몸체의 후방을 수평회전하게 고정하고 전방에는 결합링을 형성하여 브라켓부의 고정판과 수직회전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후방연결편 하단과 전방연결편 상단에는 인장스프링을 탄력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장스프링의 상단은 걸고리를 형성하여 전방연결편의 전방연결축에 걸림 고정하고 하단은 인장스프링 내경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상단에 형성하고 외경에 나선을 형성한 조절봉을 연결하며 상기 조절봉의 회전에 의하여 인장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후방연결편의 후방연결축에 형성된 나선공에 조절봉을 체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한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수직봉을 수용하면서 고정되는 전선정리링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정리링의 전방과 수평암의 전방 저면에는 전선정리고리를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판형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무게에 따라 텐션을 조절할 수 있고 모니터의 무게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모니터의 고정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게 함으로써 책상상판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는 책상의 상판(11)에 고정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일정한 높이에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고정하는 수직암(20)과, 상기 수직암(20)에 연결되는 수평암(30)과 상기 수평암(30)에 연결되는 텐션부(40)와 상기 텐션부(40)에 고정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브라켓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의 고정부(10)는 상측판(15)과 하측판(16)을 "ㄷ"자로 형성하여 책상 상판(11)의 모서리를 삽입하고 상기 상측판(15) 상측면 후방으로 고정편(12)을 돌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0)는 상측판(15)의 상측면 전방으로 덮개편(13)을 형성하여 렌치를 수납할 수 있는 렌치수납함(14)을 형성한다.
또한, 하측판(16)에는 회전에 의하여 승 하강함으로써 상측판(15)을 개재하도록 단부에 밀착편(18)을 형성하고 외경에 나선이 형성된 회전봉(17)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0)의 상측 고정편(12)에 수직으로 수직암(20)을 고정한다.
상기 수직암(20)과 고정편(12)의 고정은 상기 고정편(12)에 고정나사(21)로 고정되도록 수직관(23)의 하단 후방에 고정판(2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수직관(23)의 내경에 수직봉(24)의 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봉(24) 상단 외측으로는 고정링(25)을 렌치볼트에 고정하고 상기 수직봉(24) 상단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25)에 걸림 고정되도록 수평암(30)의 후방에 연결링(26)을 형성하고 전방 상측으로는 돌출봉(27)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암(30)의 전방 단부에는 평판형 모니터의 무게를 지지하고 모니터의 무게에 의해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텐션부(4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텐션부(40)는 상기 수평암(30)의 돌출봉(25)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1연결구(41')의 후방에 링(41)을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한 쌍의 상측연결편(42)과 상기 상측연결편(42) 보다 긴 하측연결편(43)을 상 하측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41') 상,하측연결편(42,43)에는 전,후방연결편(44,45)의 하단을 삽입하여 축 연결하며 상기 전,후방연결편(44,45)의 상단은 제2연결구(46) 후방에 길게 형성한 상부연결편(47)과 상기 상부연결편(47)보다 짧은 하부연결편(48)에 축설한다.
상기 제2연결구(46) 전방에는 결합링몸체(49)의 후방을 축 결합하여 수평회전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기 텐션부(40)의 후방연결편(45) 하단과 전방연결편(44) 상단에는 인장스프링(S)을 탄력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인장스프링(S)의 상단은 걸고리(S1)를 형성하여 전방연결편(44)의 전방연결축(44')에 걸림 고정하고 하단은 후방연결편(45)의 후방연결축(45')에 나선공(S2)을 형성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나선공(S2)에는 인장스프링(S)의 하단 내경에 걸림되는 걸림편(S3)을 상단에 형성하고 외경에 나선을 형성한 조절봉(S4)의 하단을 체결하여 조절봉(S4)의 회전에 의해 인장스프링(S)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텐션부(40)의 전방에는 결합링몸체(49)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링(49')에 브라켓부(50)의 고정판(51)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판(51)이 수직회전하도록 고정한다.
한편, 상기 수직봉(24)의 상단에 수직봉(24)을 수용하여 고정되는 전선정리링(31)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정리링(31)의 전방과 수평암(30)의 전방 저면에는 전선정리고리(3)를 형성하여 평판형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의 조립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에 수직암(20)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암(20)에 수평암(30)을 연결하지 않고 텐션부(40)의 제1연결구(41')를 직접 연결하여 좁은 책상을 사용할 경우 조립의 간편함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모니터의 돌출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고정부에 수직암(20)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암(20) 상단에 수평암(30)을 고정하거나 또는 텐션부(40)의 제1연결구(41')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는 상측판(15)과 하측판(16)의 사이에 상판(11)을 삽입시킨 후 하측판(16)에 나선 결합된 회전봉(17)을 회전시켜 밀착편(18)을 상승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밀착편(18)을 상승하게 하면 상측판(15)과 밀착편(18) 사이에 위치한 상판(11)을 밀착시키면서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책상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수직암(20) 또는 수평암(30)에 텐션부(40)의 결합링몸체(49)에 형성된 결합링(49')에 결합되는 브라켓부(50)의 고정판(51)을 평판형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하여 모니터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평판형 모니터의 각도 조절 및 모니터의 하중을 지탱하는 텐션부(40)의 텐션조절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서와 같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텐션부(40)의 조절봉(S4)의 단부에 삽입하여 회전시켜 조절봉(S4)이 후방연결축(45')에서 승하강 하면서 인장스프링(S)의 텐션을 조절한다.
즉, 평판형 모니터의 인치가 큰 상태라면 조절봉(S4)을 정회전 시켜 인장스프링(S)을 늘려서 모니터의 무게를 극복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모니터의 인치가 작은 상태라면 조절봉(S4)을 역회전시켜 인장스프링(S)의 길이를 줄여 인장스프링(S)의 텐션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연결구(46)에 연결되어 있는 결합링몸체(49)를 통하여 브라켓부(50)의 전체를 수평회전시켜 모니터를 원하는 수평각도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결합링(49')을 통하여 브라켓부(50)의 수직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모니터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의 텐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부 11 : 상판
12 : 고정편 13 : 덮개편
14 : 렌치수납함 15 : 상측판
16 : 하측판 17 : 회전봉
18 : 밀착편 20 : 수직암
21 : 고정나사 22 : 고정판
23 : 수직관 24 : 수직봉
25 : 고정링 26 : 연결링
27 : 돌출봉 30 : 수평암
31 : 전선정리링 32 : 전선정리고리
40 : 텐션부 41 : 링
42 : 상측연결편 43 : 하측연결편
44 : 전방연결편 45 : 후방연결편
46 : 제2연결구 47 : 상부연결편
48 : 하부연결편 49 : 결합링
50 : 브라켓부 51 : 고정판
Claims (6)
- 책상의 상판(11)의 모서리를 삽입하도록 상측판(15)과 하측판(16)을 "ㄷ"자로 형성하고 상기 상측판(15) 상측면 후방으로 고정편(12)을 돌출형성하는 고정부(10)와,상기 고정부(1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편(12)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수직암(20)과,상기 수직암(20)의 상단부에 후방이 고정되어 수직암(20)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수평암(30)과,상기 수평암(30)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평판형 모니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텐션부(40)와,상기 텐션부(40)의 전방에 평판형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하는 고정판(51)으로 형성된 브라켓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상측판(15)의 상측면 전방으로 덮개편(13)을 형성하여 렌치를 수납할 수 있는 렌치수납함(14)을 형성하고 하측판(16)에는 회전에 의하여 상측판(15)과 개재되도록 단부에 밀착편(18)을 형성한 나선이 형성된 회전봉(17)을 체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암(20)은 상기 고정편(12)에 고정나사(21)로 고정되는 고정판(22)을 하단 후방에 형성한 수직관(23)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23)의 내경에는 수직봉(24)의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수직봉(24) 외측으로는 고정링(25)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봉(24) 상단에는 수직봉(24)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25)에 걸림 고정되도록 수평암(30)의 후방에 연결링(26)을 형성하며 전방 상측에는 돌출봉(2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40)는 상기 수평암(30)의 돌출봉(27)에 고정되는 제1연결구(41') 후방에 링(41)과 전방으로는 한 쌍의 상측연결편(42)과 상기 상측연결편(42) 보다 긴 하측연결편(43)을 상하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측연결편(42,43)에는 전,후방연결편(44,45)의 하단을 삽입하여 축 연결하며 상기 전,후방연결편(44,45)의 상단은 제2연결구(46) 후방에 길게 형성한 상부연결편(47)과 상기 상부연결편(47)보다 짧은 하부연결편(48)에 축설하고 상기 제2연결구(46) 전방에는 결합링몸체(49)의 후방을 수평회전하게 고정하고 전방에는 결합링(49')을 형성하여 브라켓부(50)의 고정판(51)과 수직회전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후방연결편(45) 하단과 전방연결편(44) 상단에는 인장스프링(S)을 탄력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S)의 상단은 걸고리(S1)를 형성하여 전방연결편(44)의 전방연결축(44')에 걸림 고정하고 하단은 인장스프링(S) 내경에 걸림되는 걸림편(S3)을 상단에 형성하고 외경에 나선을 형성한 조절봉(S4)을 연결하 며 상기 조절봉(S4)의 회전에 의하여 인장스프링(S)의 텐션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후방연결편(45)의 후방연결축(45')에 형성된 나선공(S2)에 조절봉(S4)을 체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24)의 상단에 수직봉(24)을 수용하면서 고정되는 전선정리링(31)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정리링(31)의 전방과 수평암(30)의 전방 저면에는 전선정리고리(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니터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395A KR20100041282A (ko) | 2008-10-13 | 2008-10-13 |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395A KR20100041282A (ko) | 2008-10-13 | 2008-10-13 |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282A true KR20100041282A (ko) | 2010-04-22 |
Family
ID=4221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0395A KR20100041282A (ko) | 2008-10-13 | 2008-10-13 |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4128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9497A (ko) * | 2019-01-17 | 2020-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13614B1 (ko) * | 2020-07-23 | 2021-10-19 | 주식회사 로운 | 모니터 이송장치 |
-
2008
- 2008-10-13 KR KR1020080100395A patent/KR201000412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9497A (ko) * | 2019-01-17 | 2020-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13614B1 (ko) * | 2020-07-23 | 2021-10-19 | 주식회사 로운 | 모니터 이송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54735A (en) | Device for tiltably supporting a LCD | |
US6061104A (en) | Flat panel display and stand with vertical adjustment and tilt adjustment | |
US20090008349A1 (en) | Shelf for Display Apparatus | |
TW457445B (en) | Flat display capable of replacing different bases | |
CN201636510U (zh) | 液晶显示器支架 | |
US7448581B2 (en) | Display apparatus | |
US7251125B2 (en) | Flat screen display stand | |
GB2426445A (en) | Display stand for computer | |
US7213792B2 (en) |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 |
US20060077623A1 (en) | Display device | |
KR20100041282A (ko) |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 |
KR20090006342A (ko) | 진공흡착식 스탠드장치 | |
US20160050785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 |
CN204127590U (zh) | 电子显示设备支架 | |
CN101494013A (zh) | 挂式显示器 | |
KR20040042609A (ko) | 피봇을 갖는 2절 힌지구조의 영상 표시기기 | |
CN211010630U (zh) | 一种显示屏支架 | |
CN207780689U (zh) | 一种显卡托架及应用该显卡托架的机箱 | |
CN220399844U (zh) | 一种笔记本电脑扩展多屏显示器 | |
CN211738431U (zh) | 一种双屏显示器支架 | |
CN111061346B (zh) | 一种显示设备支架结构 | |
CN212480659U (zh) | 一种双显示屏支架 | |
CN217235159U (zh) | 显示装置 | |
CN220817246U (zh) | 一种可调节角度的显示屏支架 | |
CN214037759U (zh) | 一种折叠式键盘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