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9375A -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 Google Patents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375A
KR20090129375A KR1020090052015A KR20090052015A KR20090129375A KR 20090129375 A KR20090129375 A KR 20090129375A KR 1020090052015 A KR1020090052015 A KR 1020090052015A KR 20090052015 A KR20090052015 A KR 20090052015A KR 20090129375 A KR20090129375 A KR 2009012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support
support element
support element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7856B1 (en
Inventor
제프리 엠 아프타나스
제럴드 제이 크미타
도널드 알 포터
존 엠 휴처트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36,854 external-priority patent/US8251267B2/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vehicle article carrier is provided for a user to move a pair of cross bars between a loading position and an operating position without a tool. CONSTITUTION: A pair of first support elements(16,18) is fixed to an external body surface adjacently to the first part of the external body surface. A pair of second support elements(20,22) is fixed to an external body surface adjacently to the second part of the external body surface. In a first end portion, a first cross bar(24)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In a second end portion, the first cross bar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A second cross bar(26) has a first end portion which is pivotally fixed to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The second cross ba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in the second end part.

Descrip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Vehicle article carrier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본 발명은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필요 없을 경우 한쌍의 지지 레일에 평행한 적재 위치로 피봇될 수 있는 한쌍의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크로스 바아중 적어도 하나는 크로스 바아의 일 단부로부터 동시에 로킹 및 로킹 해제될 수 있는 로킹 조립체를 대향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s and methods, and in particular, to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s and methods comprising a pair of cross bars that can be pivoted to a loading position parallel to a pair of support rails when not needed. At least one of which has a locking assembly at the opposite end that can be simultaneously locked and unlocked from one end of the cross bar.

차량 물품 캐리어는 차량의 외부 본체 상면상에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차용 용도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한쌍의 길다란 레일이 대체로 서로 평행한 차량의 외부 본체 상면에 고정된다. 다음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크로스 바아는 대향 단부가 레일에 고정된다. 전형적으로, 크로스 바아는 적재 가능하지 않고, 물품 캐리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라도, 크로스 바아는 레일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일에 고정된다. 물론, 크로스 바아가 제거 가능하다면, 이들은 레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만, 이것은 크로스 바아를 보관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크로스 바아를 차량 물품 캐리어의 나머지 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종종, 이러한 분리에는 외부 도구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불편함을 가중시킨다. 또한, 이러한 부품을 차량내에 저장하는 것은 어렵고 및/또는 유용하고 한정된 적재 공간을 낭비한다. 차량과 별개로 크로스 바아를 보관하는 것은 차량 물품 캐리어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불편한 상황을 야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는 차량과 함께 집이나 작업장에서 멀리 있지만, 크로스 바아는 집이나 작업 위치에 보관되어 있다.Vehicle article carriers are used in a variety of automotive applications for carrying articl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ior body of the vehicle. Typically, a pair of long rail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ody of the vehicle, which is generally parallel to each other. Next, one or more cross bars have opposite ends fixed to the rail. Typically, the cross bars are not loadable and the cross bars are secured to rails extending vertically between the rails, even when no article carrier is being used. Of course, if the cross bars are removable, they ar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rails, but this not only causes the problem of having to store the cross bars but also the inconvenience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cross bars from the rest of the vehicle article carrier. Often, this separation may require external tools, which adds additional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storing such parts in a vehicle is difficult and / or wasteful of useful and limited loading space. Storing the crossbars separately from the vehicle can create an inconvenient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the use of a vehicle goods carrier may occur, while the user is away from home or work with the vehicle, while the crossbars are stored at home or at work locations. have.

크로스 바아가 레일상에 조정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형태이라면, 이것은 통상적으로 그 각 단부에 로킹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을 것이다. 로킹 메카니즘은 크로스 바아를 레일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레일상의 크로스 바아의 위치설정을 조정하는 것은 통상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고, 차량의 다른 측면 둘레로 걸어가고, 그리고 크로스 바아의 대향 단부에 제 2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크로스 바아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다음에 제 2 단부 지지체는 로킹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차량의 반대측 주변으로 걸어가서, 단부 지지체를 제 1 단부에 로킹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순서는 물품 캐리어 시스템을 종종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If the cross bar is of a type that can be adjustablely positioned on the rail, it will typically have a locking mechanism at each end thereof. The locking mechanism is used to secure the cross bar to the rail. Adjusting the positioning of the crossbar on the rail typically involves unlocking the first end support of the crossbar, walking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and unlocking the second end support at the opposite end of the crossbar. do. The cross bar is then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second end support is locked. The user then walks around the opposite side of the vehicle, locking the end support to the first end. As can be appreciated, this order can be somewhat cumbersome for those who often use the item carrier system.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크로스 바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고정식으로 고정된 지지 요소의 관련 쌍에 적재될 수 있는 한쌍의 크로스 바아를 구비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크로스 바아중 어느 것도 지지 요소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크로스 바아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어떠한 특정 도구도 필요 없다. 또한, 크로스 바아중 하나는 설계된 쌍의 지지 바아를 따라 복수의 상이한 종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a pair of cross bars that can be loaded onto an associated pair of fixedly fixed support elements when there is no need to use a cross bar. Preferably, none of the cross bars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element and no special tool is required for the user to move the cross bar between the stowed position and the actuated position. In addition, one of the cross bars may be locat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longitudinal positions along the designed pair of support bars.

일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로스 바아의 적어도 하나는 단일측형 해제 로킹 메카니즘을 구비하며, 이 메카니즘은, 사용자가 크로스 바아의 일 단부에서 로킹 메카니즘을 작동시킬 때, 크로스 바아의 양 단부에서의 단부 지지체를 설계된 쌍의 지지 요소와 함께 로킹 맞물림으로부터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선 사용자가 제 1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차량 둘레에서 다른 측으로 걸어가서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에서 동일한 조작을 실행하고, 다음에 그들 각 지지 요소로부터 양 단부 지지체를 로킹시키는 이들 조작을 반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In one particula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ross bars has a unilateral release locking mechanism, which end support at both ends of the cross bar when the user activates the locking mechanism at one end of the cross bar. Can be released simultaneously from the locking engagement with the designed pair of support elements. Thus, this first allows the user to unlock the first end support, then walk to the other side around the vehicle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t the second end of the cross bar, and then to lock both end supports from their respective support elements. Eliminates the need to repeat these operations.

도시된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영역 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drawings shown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의 요지,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gist, application or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12)의 외부 본체 상면(14)에 장착된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10)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방 지지 요소(16, 18)와, 각각 제 1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포함한다. 제 1 (즉, "작동(operative)") 구성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 바아(24)는 전방 지지 요소(16, 18)로부터 지지되고,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후방 지지 요소(20, 22)로부터 지지된다. 제 2 (즉, "적재된(stowed)") 구성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 바아(24)는 지지 요소(16, 20)로부터 지지되는 동시에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지지 요소(18, 22)로부터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적재된 구성에 있어서, 크로스 바아(24, 26)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최소화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hrough 3, there is shown a vehicle article carrier device 10 mounted to an outer body top surface 14 of a motor vehicle 12. In general, the apparatus 10 comprises first and second anterior support elements 16, 18,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posterior support elements 20, 22, respectively. In a first (ie “operative”) configuration, the front cross bar 24 is supported from the front support elements 16, 18 and the rear cross bar 26 is the rear support elements 20, 22. Is supported. In a second (ie "stowed") configuration, the front cross bar 24 is supported from the support elements 16, 20 while the rear cross bar 26 is from the support elements 18, 22. Supported. In the stacked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the cross bars 24, 26 are preferably positioned to minimize aerodynamic drag.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방 지지 요소(16)는 부분 구형 리세스(28)와, 한쌍의 구멍(30)을 포함한다. 리세스(28)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피봇 운동을 위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1 단부 지지체(24a)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구멍(30)은 외부 체결 요소를 지지 요소(16) 아래에서 외부 본체 상면(14)에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지지 요소(16)를 외부 본체 상면(14)에 고정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세스(28)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체(24a)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멍(32)을 구비한다.3 and 4, the first anterior support element 16 includes a partial spherical recess 28 and a pair of holes 30. The recess 28 is used to mount the first end support 24a of the front cross bar 24 for the pivoting movement which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The hole 30 enables the external fastening element to be used to secure the bracket (not shown) to the outer body upper surface 14 under the support element 16, and also to support the outer element upper surface 14. To be fixed in place. The recess 28 also includes a hole 32 that facilitates mounting of the end support 24a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 및 도 5는 제 2 전방 지지 요소(18)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 요소(18)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2 단부 지지체(24b)와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제 1 단부 지지체(26a) 중 어느 하나가 지지 요소(18)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34)를 포함한다.3 and 5 show the second anterior support element 18 in more detail. The support element 18 enables one of the second end support 24b of the front cross bar 24 and the first end support 26a of the rear cross bar 26 to be fixed to the support element 18. Opening 34 is included.

도 3 및 도 6은 제 1 후방 지지 요소(20)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 요소(20)는 복수의 이격된 슬롯(36)을 포함하고, 복수의 이격된 슬롯(36) 각각은 복수의 이격된 슬롯(36)과 정렬된 고정 루프(securing loop)(38)를 갖는다. 슬롯(36) 중 어느 하나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단부 지지체(26a)와 지지 요소(20)의 맞물림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따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조정가능한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개구(40)는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에 있을 때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단부 지지체(24b)가 지지 요소(20)와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42)은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재위치될 때 채널(42)을 따르는 단부 지지체(26a)의 활주 이동을 허용한다. 바닥벽(42) 내의 구멍(44)은 예를 들어 상표명 리브넛(RIVNUT®) 체결구(fastener)와 같은 외부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지지 요소(20)를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3 and 6 show the first posterior support element 20 in more detail. The support element 2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slots 36,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d slots 36 having a securing loop 38 aligned with the plurality of spaced slots 36. . Any one of the slots 36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support element 20 with the end support 26a of the rear cross bar 26 when the rear cross bar 26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This also allows for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rear cross bar 26 along the rear support elements 20, 22. The opening 40 allows the end support 24b of the front cross bar 24 to engage the support element 20 when the front cross bar 24 is in the stowed position. The channel 42 allows sliding movement of the end support 26a along the channel 42 when the rear cross bar 26 is repositioned. The hole 44 in the bottom wall 42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fastening element (not shown) such as, for example, the brand name RIVNUT ® fastener, which supports the support element 20 with the outer body of the vehicle 12. Enable to be used to secure to surface 14.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단부 지지체(24a)의 구성이 도시 된다. 단부 지지체(24a)는 체결구(52)가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구멍(50)을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를 포함한다. 구형부(54)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단부 지지체(24b)에서 지지 요소(18)로부터 멀어지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56)을 포함한다. 구형부(54)는 또한 체결구(52)를 중심으로 한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체결구(52)는 개구(60)를 통해 브래킷(58)에 고정되어, 일단 단부 지지체(24a)가 지지 요소(16)에 조립되면 브래킷(58)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다. 브래킷(58)은 브래킷(58)의 한쌍의 플랜지 내의 구멍(62)을 통해 연장하는, 예를 들어 상표명 리브넛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한쌍의 체결 요소에 의해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에 유지될 수 있다. 외부 본체 표면(14)에 단단히 고정된 브래킷(58)은 단부 지지체(24a)에 구조적으로 강한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support 24a of the front cross bar 24 is shown. End support 24a includes end support component 48 having a hole 50 through which fastener 52 can be inserted. The spherical portion 5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support component 48 and the slot 56 allows the front cross bar 24 to be lifted away from the support element 18 at the end support 24b. ). The spherical portion 54 also enables pivotal movement of the front cross bar 24 about the fastener 52. The fastener 52 is secured to the bracket 58 through the opening 60 so that once the end support 24a is assembled to the support element 16, it cannot be easily removed from the bracket 58. The bracket 58 extends through the holes 62 in the pair of flanges of the bracket 58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2 by a pair of fastening elements, for example a brand name rib nut fastener (not shown). It can be held on the body surface. The bracket 58 securely fixed to the outer body surface 14 provides a structurally strong attachment point to the end support 24a.

단부 지지 구성요소(48)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의 제 1 단부(64a)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는, 예를 들어 압출된 또는 롤 형성된 알루미늄과 같은 구조적으로 강한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관형 구성요소를 형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체결 요소(66)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가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 1 단부(64a)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하여 단부 지지 구성요소(48)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릴 수 있다. The end support component 48 can be secured to the first end 64a of the cross bar component 64 of the front cross bar 24. In this regar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ross bar component 64 forms a tubular component that is preferably made of a structurally strong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extruded or rolled aluminum. The fastening element 66 extends through the hole (not shown) in the first end 64a to secure the end support component 48 to the cross bar component 64 in the end support component 48. May engage with a hole (not shown).

도 7을 더 참조하면, 지지 요소(16)는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 상에 놓인 장착 패드(68)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 패드(68)는 지지 요소(16)가 외부 본체 표면(14)에 설치되는 동안 외부 본체 표면(14)이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7, the support element 16 may be positioned over a mounting pad 68 lying on the exterior body surface 14 of the vehicle 12. The mounting pad 68 can be made of rubber or any other suitable material that can prevent the outer body surface 14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while the support element 16 is installed on the outer body surface 14. .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2 단부 지지체(24b)의 구성이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단부 지지체(24b)는 목부(neck portion)(74) 및 베이스부(76)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72)를 포함한다. 목부(74)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의 단부(64b)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에 단부(64b)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그리고 목부(74)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체결 요소(75)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또한 지지 요소(20)와 외부 본체 표면(12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77a)을 갖는 패드(77)를 도시한다. 구멍(77a)은 체결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구멍(77a)을 통해 그리고 지지 요소(20)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 지지 요소를 외부 본체 표면(12a)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nd support 24b of the front cross bar 24 is shown in more detail. End support 24b includes end support component 72 having a neck portion 74 and a base portion 76. The neck 74 is inserted into the end 64b of the cross bar component 64 of the front cross bar 24 and then through the hole (not shown) of the end 64b and the hole of the neck 74. It may be secured through one or more conventional fastening elements 75 extending through (not shown). 8 also shows a pad 77 having a plurality of holes 77a tha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element 20 and the outer body surface 12a. The hole 77a enables the fastening element (not shown) to extend through the hole 77a and through the opening in the support element 20 to secure the support element to the outer body surface 12a.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지지부(76)는 로킹 부재(locking member)(80)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구(78)를 갖는다. 로킹 부재(80)는 손으로 파지가능한 부분(82)과 턱부(jaw portion)(84)를 포함한다. 보어(86)는 피봇 핀(88)을 수용하고, 피봇 핀(88)은 단부 지지 구성요소(72) 내의 보어(90)를 통해 또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80)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개구(78) 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The support 76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72 has an opening 78 for receiving a locking member 80 therein. The locking member 80 includes a hand grippable portion 82 and a jaw portion 84. Bore 86 receives pivot pin 88, which also extends through bore 90 in end support component 72. In this way, the locking member 80 is pivotally supported in the opening 78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72.

도 9를 잠시 참조하면, 바이어스 요소(biasing element)(92)는 피봇 핀(88) 위에 위치되고, 로킹 부재(80)의 표면(94)과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내벽면(96) 에 맞물린다. 바이어스 요소(92)는 로킹 부재(80)의 턱부(84)를 도 17에 도시된 평상시 로킹 위치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적재 위치에서, 턱부(84)는 지지 요소(20) 내의 개구(40)와 맞물린다.Referring briefly to FIG. 9, a biasing element 92 is positioned above the pivot pin 88 and includes a surface 94 of the locking member 80 and an inner wall 96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72. To interlock. The bias element 92 acts to press the jaw 84 of the locking member 80 to the normally locked position shown in FIG. In the stowed position, the jaw 84 engages the opening 40 in the support element 20.

도 10을 참조하면,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제 1 단부 지지체(26a)가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 1 단부 지지체(26a)는 목부(100)와 베이스부(102)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98)를 포함한다. 목부(100)는 관형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의 단부(103a)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에 종래의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 요소(105)를 통해 단부(103a)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요소(105)는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그리고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목부(100)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내로 연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end support 26a of the rear cross bar 26 is shown in more detail. The first end support 26a includes an end support component 98 having a neck 100 and a base 102. The neck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end 103a of the tubular cross bar component 103 and then secured to the end 103a through a plurality of conventional threaded fastening elements 105. The fastening element 105 may extend through a hole (not shown) in the cross bar component 103 and into a threaded bore in the neck 100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98.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베이스부(102)는 로킹 부재(106)가 그 안에 위치되는 개구(104)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06)는 피봇 핀(110)을 수용하는 보어(108)를 포함하고, 피봇 핀은 또한 베이스부(102) 내의 보어(112)를 통해 연장하여 로킹 부재(106)는 개구(104) 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틀림 스프링 형태의 바이어스 요소(114)가 조립 동안 피봇 핀(110) 위에 위치되며, 하나의 레그(leg)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표면(116)과 접촉하고, 바이어스 요소(114)의 나머지 하나의 레그는 로킹 부재(106)의 내부 벽면(118)과 접촉한다. 이것은 로킹 부재(106)를 도 17에 도시된 평상시 로킹 위치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The base portion 102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98 includes an opening 104 in which the locking member 106 is located therein. The locking member 106 includes a bore 108 that receives the pivot pin 110, which also extends through the bore 112 in the base portion 102 such that the locking member 106 has an opening 104. Pivotally supported therein. Referring to FIG. 11, a biasing element 114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is positioned above the pivot pin 110 during assembly, one le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116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98, The other leg of the bias element 11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18 of the locking member 106. This helps to continuously press the locking member 106 to the usual 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106)는 또한 손으로 파지가능한 부 분(120)과 턱부(12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로킹 부재(106)를 로킹 해제 위치로 강제하고, 따라서 단부 지지체(26a)가 부착된 지지 요소[즉, 지지 요소(18)와 지지 요소(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단부 지지체(26a)가 결합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가능한 부분(120)을 파지할 수 있다. 턱부(122)는 지지 요소(18, 20)들 중 어느 하나에 단부 지지체(26a)를 로킹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10 and 11, the locking member 106 also includes a hand grippable portion 120 and a jaw portion 122. The user forces the locking member 106 to the unlocked position, and thus the end support 26a from the support element to which the end support 26a is attached (ie, either of the support element 18 and the support element 20). The grippable portion 120 can be gripped by hand to enable it to be disengaged. Jaw 122 helps to lock end support 26a on either of support elements 18, 20.

도 10을 더 참조하면, 브래킷(124)은 개구(34) 내에 위치되고 브래킷(124) 내의 구멍(128)을 통해 연장하는 한쌍의 종래의 체결 요소(126)에 의해 외부 본체 표면(14)에 고정된다. 체결 요소(126)는 상표명 리브넛 체결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부재일 수 있다. 브래킷은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작동 위치에 있고 지지 요소(18)에 로킹될 때 단부 지지체(24b)의 턱부(84)가 맞물릴 수 있는 립(lip)(130)을 포함한다.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패드(132)가 외부 본체 표면(14) 상에 위치된다. 컷-아웃(cut-out)(134)은 브래킷(124)에 간극을 제공한다. 단부 지지 구성요소(98)는 베이스부(102)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138)에 의해 베이스부(102)에 유지된 휠(136)을 추가로 포함한다. 휠(136)은 단부 지지체(26a)가 후방 지지 요소(20)의 채널(42) 내에 맞물릴 때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원활한 활주 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10, the bracket 124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34 and extends to the outer body surface 14 by a pair of conventional fastening elements 126 extending through the hole 128 in the bracket 124. It is fixed. The fastening element 126 may be a brand name ribnut fastener or any other suitable fastening member. The bracket includes a lip 130 with which the jaw 84 of the end support 24b can engage when the front cross bar 24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and locked to the support element 18. A protective pad 132 is positioned on the outer body surface 14 to protect the surface. Cut-out 134 provides a gap in bracket 124. End support component 98 further includes wheels 136 held in base portion 102 by threaded fasteners 138 that engage holes (not shown) in base portion 102. . The wheel 136 may rotate to help facilitate smooth sliding movement of the rear cross bar 26 when the end support 26a engages in the channel 42 of the rear support element 20.

도 12를 참조하면, 단부 지지체(26b)의 구성이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단부 지지체(26b)는 베이스부(142), 구형부(144) 및 목부(146)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포함한다. 조립 동안, 목부(146)는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의 단 부(103b) 내로 삽입된다. 종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147)가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 내의 구멍을 통과하여 그리고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되어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에 고정식으로 유지한다. 12,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support 26b is shown in more detail. End support 26b includes end support component 140 having a base portion 142, a spherical portion 144, and a neck 146. During assembly, the neck 146 is inserted into the end 103b of the cross bar component 103. A conventional threaded fastener 147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in cross bar component 103 and into a threaded hole (not shown) in end support component 140 to end support component 140. ) Is fixed to the cross bar component 103.

단부 지지체(26b)는 또한 로킹 부재(150)가 그 안에 위치되는 개구(148)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50)는 베이스부(152), 손으로 파지가능한 부분(154) 및 턱부(156)를 갖는다. 베이스부(152)는 피봇 핀(160)이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보어(158)를 추가로 포함한다. 피봇 핀(160)은 또한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보어(162)를 통해 삽입된다. 따라서, 피봇 핀(160)은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로킹 부재(150)의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End support 26b also includes an opening 148 in which locking member 150 is located. The locking member 150 has a base portion 152, a hand grippable portion 154, and a jaw portion 156. The base portion 152 further includes a bore 158 through which the pivot pin 160 can be inserted. Pivot pin 160 is also inserted through bore 162 in end support component 140. Thus, pivot pin 160 enables pivoting movement of locking member 150 in end support component 140.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단부 지지 부재(140)는 또한 지지 요소(22)에 형성된 채널(166) 내에 배치되는 장착 블록(164)에 의해 피봇 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채널(166)은 반원형 벽부(168)를 구비하는데, 이 반원형 벽부(168)는 단부 지지 부재(140)가 그곳에 조립될 때 단부 지지 부재(140)의 구형부(144)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개구(170)는 장착 블록(164)이 채널(166)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지지 요소(22)는 각각 구멍(174)을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벽부(bottom wall portion)(172)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22)를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에 체결하는 경우, 예컨대 RIVNUT® 패스너와 같은 종래의 패스너가 구멍(174)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다. 고정 루프(176)에 의해 로킹 부재(150)의 턱 부(156)가 고정 루프(176) 내로 삽입되어 작동 상태에 있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종방향 운동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고무제 장착 패드(175) 또는 다른 적당한 보호 형태의 패드가 지지 요소(22)와 외부 본체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멍(175a)은 RIVNUT®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가 장착 패드(175)를 통해 연장할 수 있게 한다.12 and 14-16, the end support member 140 is also fixed to pivot by a mounting block 164 disposed in a channel 166 formed in the support element 22. The channel 166 has a semicircular wall 168 that helps to support the spherical portion 144 of the end support member 140 when the end support member 140 is assembled there. . Opening 170 allows mounting block 164 to be inserted into channel 166. The support element 22 comprises a plurality of bottom wall portions 172 each having a hole 174. When fastening the support element 22 to the outer body surface 14 of the vehicle 12, conventional fasteners, such as for example RIVNUT ® fasteners, may be inserted through the holes 174. The fastening loop 176 inserts the jaw portion 156 of the locking member 150 into the fastening loop 176 to secure the rear cross bar 26 in an operational stat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motion. A rubber mounting pad 175 or other suitable protective type pa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element 22 and the outer body surface. Holes 175a allow fasteners such as RIVNUT ® fasteners to extend through mounting pad 175.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부 지지 부재(140)는 리테이닝 부재(retaining member)(180)의 부분적으로 나사가 형성된 축을 수용하는 슬롯(178)도 구비한다. 개구(179)는 로킹 부재(150)의 턱부(156)가 그 개구(179)를 통해 돌출할 수 있게 한다. 리테이닝 부재(180)의 축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압력 끼워맞춤(press fit)되는 패스너(182)는 장착 블록(164)이 지지 요소(22)의 채널(166) 내에 배치된 후에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장착 블록(164)에 고정한다. 구면(144)과 장착면(166)의 맞물림과 더불어, 슬롯(178)은 후방 크로스 바아(26b)로 하여금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뿐만 아니라 단부 지지체(26a)에서 상승되게 한다. 슬롯(178)의 사용은, 단부 지지체(26a)가 지지 요소(18, 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됨에 따라 단부 지지체(26a)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2개의 지지 요소(18, 20) 사이에서 단부 지지체(26a)를 이동시킬 때 생길 수도 있는 임의의 간격 문제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12 and 13, the end support member 140 also includes a slot 178 for receiving a partially threaded shaft of the retaining member 180. The opening 179 allows the jaw 156 of the locking member 150 to protrude through the opening 179. Fasteners 182 that are screwed or press-fit to the axis of retaining member 180 are end-supported components after mounting block 164 is disposed within channel 166 of support element 22. Fix 140 to mounting block 164. In addition to the engagement of the spherical surface 144 and the mounting surface 166, the slot 178 is not only pivoted between the stowed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but also raised from the end support 26a by the rear cross bar 26b. To be. The use of the slot 178 allows the two support elements 18, 20 to be raised or lowered by the end support 26a being raised or lowered as the end support 26a is engaged or separated from either of the support elements 18, 20. It is very advantageous because it can eliminate any spacing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moving the end support 26a between the < RTI ID = 0.0 >

도 14 내지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장착 블록(164)은 지지 요소(22)로부터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분리할 필요 없이 지지 요소(22)의 채널(166) 내에서 활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후방 지지 요소(18, 20)를 따라 재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고정 루프(38, 176)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고정될 수 있는 4개의 서로 다른 종방향 위치를 형성한다.Referring back to FIGS. 14-16, the mounting block 164 is capable of sliding in the channel 166 of the support element 22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rear cross bar 26 from the support element 22. Is formed to the size of. Thus, the rear cross bar 26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repositioned along the rear support elements 18, 20 if necessary. In this example, the fastening loops 38, 176 form four different longitudinal positions in which the rear cross bars 26 can be fixed.

이제, 도 10, 도 12, 도 16 및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케이블(184)은 단부 지지체(26a)의 로킹 부재(106)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단부(184a)를 구비한다. 케이블(184)은 강(steel) 이나 나일론 또는 다른 적당한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단부(184a)는 로킹 부재(106)의 채널(186) 내에 지지되어 있고, 케이블(184)의 확대된 헤드부(188)는 케이블이 로킹 부재(106)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184)의 제 2 단부(184b)는 로킹 부재(150) 내의 아치형 숄더(190) 위로 연장되고, 확대된 헤드부(192)는 케이블(184)이 로킹 부재(150)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일 스프링(194) 형태의 편향 요소가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의 목부(146)의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196) 내에 배치되어 있다. 편향 요소(194)는 케이블(184)에 크림핑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블록(198)(도 16 및 도 17 참조)과 맞붙어 있어서, 로킹 부재(106, 150)를 평상시의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도 16 참조).Referring now again to FIGS. 10, 12, 16, and 17, the cable 184 has a first end 184a that is secured to the locking member 106 of the end support 26a. The cable 184 may be made of steel or nylon or other suitable rigid material. The first end 184a is supported in the channel 186 of the locking member 106, and the enlarged head portion 188 of the cable 184 prevents the cable from being recovered from the locking member 106. The second end 184b of the cable 184 extends over the arcuate shoulder 190 in the locking member 150, and the enlarged head portion 192 prevents the cable 184 from being recovered from the locking member 150. do. A deflection element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194 is disposed within the blind bore 196 of the neck 146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140. The deflection element 194 engages a block 198 (see FIGS. 16 and 17) that is crimped or otherwise securely secured to the cable 184, thereby locking the locking members 106, 150 normally. It is possible to apply tension to the cable which serves to assist in keeping it in position (see FIG. 16).

도 16 및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작동 상태와 적재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2개의 후방 지 지 요소(20, 22)를 따라 종방향으로 재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로킹 부재(106)의 수동 맞물림 가능한 부분(120) 또는 로킹 부재(150)의 수동 맞물림 가능한 부분(154)을 각각 수동으로 파지하고, 연관된 단부 지지 구성요소(98, 14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상승될 수도 있다. 동시에 케이블(184)에 의해 로킹 부재(106) 또는 로킹 부재(150) 중 나머지 하나는 로킹 해제 위치로 피봇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로킹 부재(106 또는 150)를 상승된 위치에 유지시키는 동안,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전체적으로 다른 한쌍의 고정 루프(38, 176)에 의해 형성되는 새로운 위치로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따라 활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지지체(26a)가 지지 요소(18) 상에 배치됨과 더불어 작동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피봇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단부 지지 구성요소(106)의 후크부(122)는 전방 지지 요소(18)의 개구(34)에 맞물린다.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는 차량(12)의 한 측면으로부터의 지지 요소(20, 22)로부터 양 단부 지지체(26a, 26b)를 로킹 및 로킹 해제할 수 있다. 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재배치하기 위해, 또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경우에 사용자가 차량(12)의 양 측면 사이에서 앞뒤로 걸을 필요가 없게 한다. 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조작함에 있어서 용이성과 편의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Referring again to FIGS. 16 and 17, when the rear cross bar 26 has to be moved between an operating state and a loaded state, or the rear cross bar 26 follows two rear supporting elements 20, 22. If it is to be re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ser manually grips the manually engageable portion 120 of the locking member 106 or the manually engageable portion 154 of the locking member 150, respectively, and the associated end support component. It may be raised upward from 98 and 140,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other of the locking member 106 or the locking member 150 is pivoted to the unlocked position by the cable 184. While holding the selected locking member 106 or 150 in the raised position as shown in FIG. 16, the rear cross bar 26 is rearward to the new position formed by the other pair of fixed loops 38, 176 as a whole. It can slide and move along the support elements 20, 22. Optionally, the rear cross bar 26 may be pivot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with the end support 26a disposed on the support element 18, as shown in FIG. 19. In this position, the hook portion 122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106 engages the opening 34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18. In either case, the user can lock and unlock both end supports 26a, 26b from the support elements 20, 22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12.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user to walk back and forth between both sides of the vehicle 12 to reposition the rear cross bar 26 or to move the rear cross bar 26 between a stowed position and an operating position. Thi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ase and convenience in handling of the rear cross bar 26.

도 18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 로킹 부재(80)의 턱부(84)는 지지 요소(18)의 개구(34)를 통해 연장되어, 브래킷(124)의 플랜지(130)와 맞물린다[플랜지(130)는 도 10에도 도시되어 있음].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적재 위치에 있는 경우, 단부 지지체(26a)의 로킹 부재(106)는 개구(34)를 통해 연장되어, 지지 요소(18)와 맞물린다(도 19 참조). 크로스 바아의 적재 위치에서, 크로스 바아(24, 26)는 지지 요소 쌍(16, 20) 및 지지 요소 쌍(18, 22)을 브릿지 연결하는, 매끄럽고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크로스 바아(24, 26)를 적재하는 것은 또한 차량 물품 캐리어(10)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장점은 어떠한 단부 지지체(24a, 24b, 26a, 26b)도 지지 요소(16, 18, 20, 22)로부터 분해하지 않고서도 크로스 바아(24, 26)의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크로스 바아(24, 26)를 적재 위치에 재배치하거나 또는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어떠한 외부 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8, when the front cross bar 24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jaw 84 of the locking member 80 extends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support element 18, thereby extending the bracket 124. Engages flange 130 (flange 130 is also shown in FIG. 10). When the rear cross bar 26 is in the stowed position, the locking member 106 of the end support 26a extends through the opening 34 to engage the support element 18 (see FIG. 19). In the loading position of the cross bars, the cross bars 24, 26 form a smooth, aesthetically pleasing component that bridges the support element pairs 16, 20 and the support element pairs 18, 22. Loading the cross bars 24, 26 also serves to further improve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vehicle article carrier 10. A particular advantage is that the loading of the cross bars 24, 26 can be made without any of the end supports 24a, 24b, 26a, 26b being disassembled from the support elements 16, 18, 20, 22. In addition, no external tools are needed to relocate the cross bars 24 and 26 to the stowed position or to move them from the stowed position to the operational position.

본 예에서,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은 차량의 후방부(12b)에서보다 차량의 전방부(12a)에서 약간 더 넓다는 것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지 요소(20, 22)의 채널(42, 166)은 각각 후방 지지 요소(20, 22)의 최외측 에지(200, 202)에 다소 평행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요소(20, 22)는 외부 본체 표면(14)의 종방향 측방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는 반면에, 채널(42, 166)은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채널(42, 166)의 평행한 위치 설정에 의해 단부 지지체(26a, 26b)는 구속 없이 채널(42, 166)을 따라 활주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지지 요소(16, 18)의 약간 더 넓은 이격은 개구(28)과 개구(34) 사이의 간격이 채널(42)와 채널(166)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더 클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전체 길이 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전체 길이보다 아주 약간 더 길다. 이는 또한 전방 지지 요소(16)의 리세스(28)와 후방 지지 요소(20)의 개구(40) 사이의 종방향 이격 거리가 전방 지지 요소(18)의 개구(34)와 최후방 고정 루프(176a)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더 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물론, 전방 지지 요소(16, 18) 간의 이격 거리 및 후방 지지 요소(20, 22) 간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는 크로스 바아(24, 26)의 전체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이는 지지 요소 쌍(16, 20) 및 지지 요소 쌍(20, 22) 상의 단부 지지체 고정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이하게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In this example, it can be seen from FIG. 3 that the outer body surface 14 of the vehicle 12 is slightly wider at the front portion 12a of the vehicle than at the rear portion 12b of the vehicle. However, the channels 42, 166 of the support elements 20, 22 are formed somewhat parallel to the outermost edges 200, 202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20, 22, respectively. The support elements 20, 22 can thereby be mou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lateral edges of the outer body surface 14, while the channels 42, 166 rema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parallel positioning of the channels 42, 166 allows the end supports 26a, 26b to slide and move along the channels 42, 166 without restriction. Furthermore, the slightly wider spacing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s 16, 18 means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opening 28 and the opening 34 will be slightly lar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channels 42 and 166. Due to this, the total length of the front cross bar 24 is very slightly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rear cross bar 26. This also means that the longitudin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cess 28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16 and the opening 40 of the posterior support element 20 is such that the opening 34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18 and the rearmost fixed loop ( Results in being slightly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176a). Of course,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pport elements 16, 18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elements 20, 22 are the same, the overall length of the cross bars 24, 26 may be the same, which means that the pair of support elements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16, 20 and the end support fixing points on the pair of support elements 20, 22 will not need to be different.

로킹 부재(106, 150)뿐만 아니라, 단부 지지 구성요소(98, 140)도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강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지지 요소(16, 18, 20, 22)도 고강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강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locking members 106 and 150, the end support components 98 and 140 may also be made of high strength plastic or any other suitable rigid and durable material. The support elements 16, 18, 20, 22 may also be made of high strength plastic, aluminum or any other suitable rigid and durable material.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될 수 있는 변형예 및 변화예들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예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한정은 관련된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만 필요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는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examples are illustrated as various embodiments,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refore, such a limitation is only necessary in view of the related prior ar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as open.

도 1은 작동 가능한(즉, 비적재) 위치에서의 캐리어의 한쌍의 크로스 바아와 함께 자동차의 루프 부분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차량 물품 캐리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rticl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roof portion of an automobile with a pair of cross bars of the carrier in an operable (ie, unloaded) position;

도 2는 도 1의 차량 물품 캐리어와 유사하지만 2개의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rticle carrier similar to the vehicle article carrier of FIG. 1 but with two cross bars in a stowed position; FIG.

도 3은 크로스 바아가 위치되어 있지 않은 차량 물품 캐리어의 평면도,3 is a top view of a vehicle article carrier without a cross bar;

도 4는 전방 지지 요소중 제 1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도 5는 전방 지지 요소중 제 2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support element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도 6은 후방 지지 요소중 제 1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

도 7은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at the first end of the front cross bar,

도 8은 후방 지지 요소의 제 1 지지 요소에 추가하여,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at the second end of the front cross bar, in addition to the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부 지지체의 단부 지지 부품내에의 로킹 부재의 장착을 도시하는 횡단면 측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of the locking member in the end support component of the end support shown in FIG. 8; FIG.

도 10은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at the first end of the rear crossbar,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부 지지체의 단부 지지 부품내에 장착된 로킹 부재의 횡단면 측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locking member mounted in the end support component of the end support shown in FIG. 10; FIG.

도 12는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at the second end of the rear cross bar and the second rear support element;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부 지지 부품의 저면도,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end support component shown in FIG. 12;

도 14는 제 2 후방 지지 요소와 맞물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의 저면 사시도,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nd of the rear cross bar in engagement with a second rear support element;

도 15는 제 2 후방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osterior support element,

도 16은 후방 크로스 바아의 로킹 부재가 로킹 위치에 있는, 후방 크로스 바아 및 2개의 후방 지지 요소의 횡단면 측면도,1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rear cross bar and the two rear support elements, with the locking member of the rear cross bar in the locked position;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로킹 부재가 로킹 위치에 있는 크로스 바아 및 지지 요소의 도면,FIG. 17 is a view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6 but with cross bars and support elements with the locking member in the locked position; FIG.

도 18은 전방 지지 요소의 제 2 하나와 맞물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 지지체의 횡단면 사시도,1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nd support of the front cross bar in engagement with a second one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s, FIG.

도 19는 전방 지지 요소의 제 2 하나와 맞물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지지체의 부분 횡단면 측면도.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first end support of the rear cross bar in engagement with a second one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2 : 자동차10 vehicle vehicle carrier apparatus 12 car

16, 18 : 제 1 및 제 2 전방 지지 요소 24 : 전방 크로스 바아16, 18: first and second anterior support elements 24: anterior cross bar

20, 22 : 제 1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 26 : 후방 크로스 바아20, 22: first and second rear support elements 26: rear crossbar

28 : 리세스 56 : 슬롯28: recess 56: slot

58 : 브래킷 68 : 장착 패드58: bracket 68: mounting pad

74 : 목부 75 : 체결 요소74: neck 75: fastening element

77 : 패드 78 : 개구77: pad 78: opening

Claims (20)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A vehicle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an article on an outer body surface of a vehicle, the article comprising: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제 1 부분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요소와,A pair of first support elements secured to the outer body surface adjacent the first portion of the outer body surface;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제 2 부분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요소와,A pair of second support elements fixed to the outer body surface adjacent the second portion of the outer body surface;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다른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크로스 바아와,A first cross bar detachably attached to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at a first end and pivotally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at a second end;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A second cross bar having a first end pivotally secured to on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the second cross bar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s at a second end,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는 각각 그 일단부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하여 상기 크로스 바아를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요소에 선택적으로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바아를 작동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1 지지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며,The first and second cross bars respectively pivotally move at one end thereof to selectively fix the cross bar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elements, thereby placing the cross bar i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first cross bar extends between the first support elements, the second cross bar extends between the second support elements, 상기 크로스 바아는 적재 위치에 배치되도록 각각 그 일단부로부터 피봇가능 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크로스 바아는 대체로 서로 평행하고 상기 차량의 주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며,The cross bars are each pivotably movable from one end thereof to be placed in a stowed position, the cross bars being fixed to the support element such that they are gener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extend parallel to the main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대향 단부에 한 쌍의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그것 중 하나의 이동을 통해 동시에 이동가능한One of the first and second cross bars includes a pair of locking members at opposite ends, the locking members being movable simultaneously through movement of one of them.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킹 부재는 모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파지가능하고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사용자 파지가능식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The locking member all includes a user grippable locking member that is manually grippable by a user and movable between a locking position and an unlocking posi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킹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크로스 바아 중 상기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로킹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고 로킹 부재의 동시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A cable extending through said one of said crossbars with said locking member, said cable coupling said locking member and facilitating simultaneous movement of said locking member.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지지 요소는 각각 상기 크로스 바아 중 하나의 활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용 채널을 포함하는The second support elements each comprise an auxiliary channel for enabling sliding movement of one of the cross bars.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나의 크로스 바아는 그것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각 상기 단부 지지체는 내장되어 있는 상기 로킹 부재 중 상기 하나를 포함하는The one cross bar includes an end support formed at its opposite end, each end support including the one of the locking members embedded therei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A vehicle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an article on an outer body surface of a vehicle, the article comprising: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지지 요소와,A pair of rear support elements secured to said outer body surface adjacent said rear portion of said outer body surface;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 지지 요소와,A pair of anterior support elements secured to the outer body surface adjacent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body surface;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 크로스 바아와,A rear cross bar detachably attached at a first end to a first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and pivotally attached at a second end to a second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A front cross bar having a first end pivotally fixed to a first one of said anterior support elements, said second end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a second one of said support elements,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이동하고,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에 작동 위치로 위치설정되며,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는 적재 위치에 있고,The second end of the front cross bar pivotally moves from a position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element of the front support element, the front cross bar at a position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 Position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front cross bar is in the stowed position,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 중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된 위치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된 위치에 작동 위치로 위치설정되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적재 위치에 있으며,Said first end of said rear crossbar is pivotally movable from a position attached to said first support element of said rear support element, said rear crossbar being attached to said second support element of said front support element. Position in the working position, the rear cross bar in the stowed position,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를 따라 복수 개의 이격된 위치에 종방향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될 수 있는One of the front and rear cross bars may be positioned and fixed longitudinally in a plurality of spaced locations along the rear support element.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2 단부는 그것으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동 맞물림 가능한 로킹 부재를 구비하는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는The second end of the front cross bar includes an end support having a manually engageable locking member pivotally supported therefrom.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1 단부는 그것으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동 맞물림 가능한 로킹 부재를 구비하는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는 The first end of the rear cross bar includes an end support having a manually engageable locking member pivotally supported therefrom.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1 단부는 제 1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2 단부는 제 2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부 지지체는 피봇가능하게 지지되고 수동 파지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케이블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The first end of the rear cross bar includes a first end support, the second end of the rear cross bar includes a second end support, and each end support is pivotally supported and manually grippable. A locking member, the locking members being mutually coupled by a cable, 상기 단부 지지체는 모두 상기 로킹 부재에 의해 각각의 지지 요소에 로킹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 지지체는 모두 상기 로킹 부재 중 하나를 수동으로 맞물리고 이동시킴으로써 각 단부 지지체로부터 동시에 로킹 해제될 수 있는The end supports can all be locked to each support element by the locking member, and the end supports can all be unlocked simultaneously from each end support by manually engaging and moving one of the locking members. 차량 물품 캐리어. 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는 상기 작동 위치와 적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를 이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외부 본체 표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를 멀어지도록 피봇팅하게 하는 슬롯을 포함하는The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front support element includes a slot for pivoting the front cross bar away from the outer body surface prior to moving the front cross bar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stowed posi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후방 지지 요소 각각은 채널을 포함하고, 이 채널을 따라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활주 이동할 수 있는Each of the posterior support elements includes a channel along which the rear crossbar can slide.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그것의 각 단부에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는 사용자에 의해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수동 맞물림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The rear cross bar includes an end support at each end thereof, and each of the end supports includes a manually engageable locking member that is movable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n unlocked position by a user, 상기 각각의 후방 지지 요소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작동 위치에 있고 상기 후방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로킹 부재의 일부와 맞물리기 위한 복수 개의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Each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aligned and spaced fastening loops for engaging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when the rear cross bar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and secured to the rear support element. doing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상기 로킹 부재와 맞물리기 위한,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벽부에 있는 복수 개의 이격된 개구를 포함하는At least one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openings in the wall portion of the rear support element for engaging the respective locking members.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에 내장되어 있는 바이어스 요소와,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상기 로킹 부재를 모두 로킹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상에 작용하는 And a biasing element embedded in the rear crossbar, and a block coupled to the cable, the biasing spring acting on the cable to assist in maintaining the locking member in a locked posi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A vehicle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an article on an outer body surface of a vehicle, the article comprising: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지지 요소와,A pair of rear support elements secured to said outer body surface adjacent said rear portion of said outer body surface;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 지지 요소와,A pair of anterior support elements secured to the outer body surface adjacent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body surface;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 크로스 바아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맞물릴 수 있고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수동 파지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와,A rear cross bar detachably attached to a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at a first end and pivotally attached to a second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s at a second end, wherein th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comprises a manual grippable locking member that is engageable by a user and movable between a locking position and an unlocking position;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A front cross bar having a first end pivotally fixed to a first one of said anterior support elements, said second end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a second one of said support elements,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에 작동 위치로 위치설정되며,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는 적재 위치에 있고,The second end of the front cross bar is pivotally movable from a position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element of the front support element, and the front cross bar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 Is position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front cross bar is in the stowed position,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 중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된 위치로부터 피봇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의 상기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된 위치에 작동 위치로 위치설정되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적재 위치에 있으며,Said first end of said rear crossbar is pivotally movable from a position attached to said first support element of said rear support element, said rear crossbar being attached to said second support element of said front support element. Position in the working position, the rear cross bar in the stowed position,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를 따라 복수 개의 이격된 위치에 종방향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될 수 있으며, One of the front and rear cross bars can be positioned and fixed longitudinally in a plurality of spaced locations along the rear support element, 상기 로킹 부재 중 하나는 상기 로킹 부재 중 하나를 각각의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시에 로킹 해제될 수 있는One of the locking members can be unlocked at the same time by moving one of the locking members to the respective unlocking posi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내부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에 의해 결합되는The locking member is joined by a cable extending through an inner region of the rear cross bar.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각각의 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1 단부에 있는 제 1 단부 지지체와 상기 제 2 단부에 있는 제 2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 지지체에는 상기 로킹 부재 중 하나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단부 지지체에는 상기 로킹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내장되어 있는Each rear cross bar includes a first end support at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support at the second end, the first end support having one of the locking members embedded therein, the seco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end support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는 각각의 로킹 부재를 평상시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하는Each said end support includes a biasing element to assist in holding each locking member in the normally locked posi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루프에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가 고정될 수 있는At least one of the posterior support ele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spaced fastening loops, each of which end supports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loops.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와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는 각각 상기 제 1의 후방 지지 요소 또는 제 2의 전방 지지 요소 중 하나에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A second support element of the anterior support element and a first support element of the rear support element each have an opening for securing the front cross bar to one of the first rear support element or the second anterior support element. Containing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goods carrier.
KR1020090052015A 2008-06-11 2009-06-11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KR1016278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36,854 US8251267B2 (en) 2007-06-13 2008-06-11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US12/136,854 2008-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75A true KR20090129375A (en) 2009-12-16
KR101627856B1 KR101627856B1 (en) 2016-06-07

Family

ID=413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15A KR101627856B1 (en) 2008-06-11 2009-06-11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7856B1 (en)
DE (1) DE102009025034A1 (en)
FR (1) FR29324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54B1 (en) 2018-10-31 2019-10-17 안성섭 Functional sign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5369A1 (en) * 2010-01-22 2011-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Motor car, has props pivoted around vertical pivotal axis and extending in transverse direction of vehicle roof in use position, where load is introduced into aperture such that load is supportable on props
FR3039477B1 (en) 2015-07-29 2017-12-08 Mecaplast France ROOF RACK
US10576901B2 (en) 2017-01-17 2020-03-03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wing-in-place and stowable cross ba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137A (en) * 1993-06-29 1995-03-14 Happich Fahrzeug Dachsyst Gmbh Roof carrier for vehicle
JP2004142723A (en) * 2002-10-22 2004-05-20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a simplified fixing mechanism
KR20050099676A (en) * 2004-04-12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mounting of cross bar assembly in roof rack assembly for automobile
US20060060621A1 (en) * 2004-09-22 2006-03-23 Klinkman John E Article carrier assembly with removable stowable cross-rails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137A (en) * 1993-06-29 1995-03-14 Happich Fahrzeug Dachsyst Gmbh Roof carrier for vehicle
JP2004142723A (en) * 2002-10-22 2004-05-20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a simplified fixing mechanism
KR20050099676A (en) * 2004-04-12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mounting of cross bar assembly in roof rack assembly for automobile
US20060060621A1 (en) * 2004-09-22 2006-03-23 Klinkman John E Article carrier assembly with removable stowable cross-rails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54B1 (en) 2018-10-31 2019-10-17 안성섭 Functional sign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856B1 (en) 2016-06-07
FR2932439B1 (en) 2014-12-19
DE102009025034A1 (en) 2009-12-24
FR2932439A1 (en) 200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267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US8276794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US10780837B2 (en) Vehicle rack with loading apparatus
EP2995505B1 (en) Vehicular rack having modular design with outside handle and quick release
US7878743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cooperative tie-down and load bar assemblies
US9278704B2 (en) Wheeled system for coolers
US5135145A (en) Mountain bike rack
US8496145B2 (en) Vehicle rack for carrying a wheel
US6505887B2 (en) Infant&#39;s restraining seat
EP1104718A2 (en) Roof rack assembly
EP1095818A2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adapted for use within a cargo area of a vehicle
US20080035688A1 (en) Loading System for Vehicle Roofrack
US20090243331A1 (en) Tonneau cover cargo containment track rail system
EP1963136B1 (en) Load device for vehicles
US201300450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US20140191527A1 (en) Modular load support an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 vehicle
KR20090129375A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US20040028510A1 (en) Mechanically assisted vehicular roof rack
CA2345680C (en) Tire mountable stepstool
US20080296330A1 (en) Mountable storage arrangement
US20070207005A1 (en) Cargo restraining device
US6786494B2 (en) Vehicle hardtop carrier
US20230365068A1 (en) A vehicle-mountable rack
WO2006040671A2 (en) Load support for pickup trucks
US20130257075A1 (en) Modular load support an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