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241A - Eyelet - Google Patents
Eye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5241A KR20090115241A KR1020080040963A KR20080040963A KR20090115241A KR 20090115241 A KR20090115241 A KR 20090115241A KR 1020080040963 A KR1020080040963 A KR 1020080040963A KR 20080040963 A KR20080040963 A KR 20080040963A KR 20090115241 A KR20090115241 A KR 200901152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yelet
- rim
- slip
- washer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2—Setting hooks or ey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00—Setting or removing eyelets, buttons, lacing-hooks, or elastic gussets in shoes
- A43D100/02—Punching and eyelet-setting machines or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64—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76—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88—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by separable snap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일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착되는 소재와의 미끌림을 방지한 아일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yele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let which prevents slippage with a material to be mounted.
일반적으로 아일렛(eyelet)은 방수포나 텐트, 차량용 커버, 현수막(플랜카드) 등에 설치되어 와이어로 용이하게 묶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일렛은 가방이나 핸드백, 옷이나 액세서리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eyelets are used to easily bundle with wires by installing them on a tarpaulin or a tent, a vehicle cover, or a placard (plan card). Eyelets are also used in bags, handbags, clothes and accessories.
이러한 아일렛(eyelet)은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고정되는 아일렛 와셔 및 아일렛 베이스로 구성되며, 아일렛 베이스와 아일렛 와셔를 포개어 압착함으로써 대상물에 장착된다.The eyelet is composed of an eyelet washer and an eyelet base fixed on both sides with an objec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yelet is mounted on the object by overlapping and compressing the eyelet base and the eyelet washer.
현재의 아일렛 와셔와 아일렛 베이스는 압착에 의해 형태를 변형시켜 대상물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금속 재질(예; 알루미늄, 철, 구리 등)로 제작되고 있다.Current eyelet washers and eyelet base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eg, aluminum, iron, copper, etc.) because the shape of the eyelet washers and the eyelet base must be mounted on the object by pressing.
그런데 이와 같이 금속 재질로 아일렛을 제작하기 때문에 아일렛과 아일렛이 장착된 대상물 간에 미끌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미끌림은 잡아당김이나 바람 등과 같이 외부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아일렛이 대상물에서 헛돌거나 빠지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However, since the eyelet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slippage occurs between the eyelet and the object on which the eyelet is mounted, and the slippage causes the eyelet to swing or fall off from the target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tug or wind is applied. Cause problems.
이러한 대상물에서 아일렛이 헛돌거나 빠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림 부위에 Teeth나 Spur 형태의 가시(돌기)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Teeth나 Spur 형태의 가시는 마모에 의해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고 아일렛 와셔에도 Teeth나 spur 형태의 가시에 대응하는 형태가 설치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which the eyelets fall or fall in such an object, conventionally, a thorn (protrusion) in the form of Teeth or Spur may be formed on the rim. However, Teeth or Spur-shaped thorns do not last long due to abras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yelet washers must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eeth or spur-shaped thor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상물과의 미끌림을 방지하여 장착대상물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아일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let that prevents slipping with the object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mounting objec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물에 밀착하는 림 및 상기 림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을 통과하여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렐부를 포함하는 아일렛 베이스와 상기 아일렛 베이스의 바렐부를 중앙부에 결합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플렌지를 구비한 아일렛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물에 밀착되는 상기 림의 배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제1 소재의 미끌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eyelet base and the eyelet base including a rim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and the barre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m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And an eyelet washer having a flange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rrel while being tight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bject,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rim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forms an anti-slip portion of the first material to prevent sliding with the object. It is.
여기서 상기 미끌림 방지부의 제1 소재는 고무, 스펀지, 마찰력이 강한 천, 핫멜트(hot melt) 중 적어도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미끌림 방지부는 띠 형태로 상기 림의 배면 전반에 걸쳐 형성되거나, 상기 림의 배면 일부에 형성된다. Here, the first material of the anti-slip part is at least one of rubber, sponge, cloth with strong friction, and hot melt. In addition, the anti-slip part is formed over the rear surface of the rim in the form of a band, or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rim.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물에 밀착하는 림 및 상기 림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을 통과하여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렐부를 포함하는 아일렛 베이스와 상기 아일렛 베이스의 바렐부를 중앙부에 결합하면서 상기 대상물에 상면이 밀착 고정되는 플렌지를 구비한 아일렛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물에 밀착되는 상기 플렌지의 상면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제1 소재의 제1 미끌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eyelet base and the eyelet base including a rim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and a barrel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m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hrough the object; It includes an eyelet washer having a flange coupled to the barrel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is fixed tightly to the object,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prevent the first slip of the first material to prevent the slip with the object An addition is formed.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아일렛 베이스는 상기 대상물에 밀착되는 상기 대상물과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상기 제1 소재로 하여 상기 림의 배면에 형성된 미끌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yelet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slip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im as the first material to prevent slipping with the object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일렛 베이스 또는/및 아일렛 와셔에형성된 미끌림 방지부에 의해 대상물에서 아일렛이 헛돌거나 빠지지 않게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yelets from slipping or falling off the object by the anti-slip formed in the eyelet base or / and the eyelet wash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ye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은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를 포함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ye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 eye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아일렛 와셔(20)는 암놈(female)으로서 내부에 형성된 와셔홀을 포함하고, 아일렛 베이스(10)는 숫놈(male)으로서 림(11)과 바렐부(barrel)(12)를 포함하며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아일렛 와셔(20)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아일렛 와셔(20)와 체결된다.The
아일렛 베이스(10)의 림(11)은 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위에서 보면 도넛 형상이다. 여기서 림(11)의 모양을 원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삼각형, 사각형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림(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아일렛 와셔(20)의 모양 또한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바렐부(12)는 림(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원통형, 분리된 원통형 또는 레그(leg)형 등으로 형성되어 대상물 및 와셔홀을 통과하여 아일렛 와셔(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아일렛 베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1)과 바렐부(12)에 더하여 미끌림 방지를 위한 수단인 미끌림 방지부(13)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베이스의 상세도로서, (a)는 아이렛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b)는 아일렛 베이스의 횡단면도이다.In addition to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림 방지부(13)는 림(11)의 배면(즉, 아일렛 와셔와 맞닿는 면) 전반에 형성되며, 형성된 형태를 보면 림의 형태를 따라 원형인 것이 양호하다.As shown in FIG. 2, the
그러나 본 발명의 미끌림 방지부(13)는 림(11)의 배면에 형성되는 부위나 형태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미끌림 방지부(13)의 형태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일 수 있다. However, the
그리고 미끌림 방지부(13)가 형성되는 위치는 림(11)의 배면 전반에 형성되나, 림(11)의 배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폐루프 형태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폐루프 형태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경우에 미끌림 방지부(13)는 하나의 띠(loop) 형태이거나,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2 이상의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 And the position where the anti-slip 13 is formed is formed on the entire back of the
또한 미끌림 방지부(13)는 림(11)의 배면 전반에 걸쳐 형성하되 징검다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5 참조), 징검다리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림(11)의 배면 중 일부부에만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slip 13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back of the
미끌림 방지부(13)는 천이나 옷감, 가죽 등과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사용한다. 예컨대, 고무, 스펀지, 마찰력이 강한 천, 핫멜트(hot melt)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사용한다.Since the
핫멜트는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 실온에서 100% 고체인 불휘발성, 불연성, 열가소성 수지로 만든 접착제를 지칭하는 것으로,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 Ethyle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상온에서 100% 고형분만을 열에 의해 용해 도포한 후, 자연 냉각을 통해 짧은 시간에 고화되어 접착 성질을 갖 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핫멜트는 다른 용제형 접착제나 수분산형 접착제와 달리 건조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무용제의 특성상 공해와 화재 위험성이 없고, 고화속도가 빠르며, 고속 작업이 가능하다.Hot melt refers to an adhesive made of a nonvolatile, non-flammable, thermoplastic resin that is 100% solid at room temperature without containing any solvent, and the thermoplastic resin such as EVA (Ethylene Vinyl Acetate) and PE (Poly Ethylene) at 100 It refers to having adhesive property by only dissolving and applying only% solids by heat and then solidifying in a short time through natural cooling. Unlike other solvent-type adhesives or water-dispersible adhesives, such hot melts do not require a drying process, so there is no risk of pollution and fire due to the nature of the non-solvent, high solidification speed, and high speed operation.
여기서 미끌림 방지부(13)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면, 미끌림 방지부(13)의 소재가 고무, 스펀지, 마찰력이 강한 천 등 중 하나의 소재("제1 소재"라고 함)인 경우에, 우선 림(11) 부위 중 제1 소재를 접착하기 위한 부위에 접착제를 바른다. 그런 다음 제1 소재를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고 나서 접착제가 발린 림(11)의 해당 부위에 제1 소재를 접착하여 말린다.He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다음으로 핫멜트를 이용하여 미끌림 방지부(13)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면, 우선 림(11)의 해당 부위에 달궈진 핫멜트를 접착시킨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핫멜트는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핫멜트를 림(11)의 해당 부위에 접착시키고 나면, 핫멜트가 굳기를 기다리면 된다. 일반적으로 핫멜트는 굳어지면 접착 부위에 강하게 접착하게 된다.Nex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한편, 상기에서 미끌림 방지부(13)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방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다음으로 아일렛 와셔(20)를 보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와셔(20)는 아일렛 베이스(10)의 바렐부(1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림(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진 플렌지(21)를 포함한다.1, the
그리고 아일렛 와셔(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21)에 더하여 미끌림 방지를 위한 수단인 미끌림 방지부(22)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와셔의 상세도로서, (a)는 아이렛 와셔의 사시도이고, (b)는 아일렛 와셔의 횡단면도이다.In addition to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림 방지부(22)는 플렌지(21)의 상면(즉, 아일렛 베이스와 맞닿는 면) 전반에 형성된다. 여기서 플렌지(21)에 형성되는 미끌림 방지부(22)는 상기 림(11)의 배면에 형성되는 미끌림 방지부(13)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끌림 방지부(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21)의 상면 전반에 형성하되 징검다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미끌림 방지부(22)는 림(11)에 형성되는 미끌림 방지부(13)와 같이 천이나 옷감, 가죽 등과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사용한다. 예컨대, 고무, 스펀지, 마찰력이 강한 천, 핫멜트(hot melt)(일명 글루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사용한다.And the
미끌림 방지부(22)의 제작 공정은 림(11)에 형성되는 미끌림 방지부(13)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아일렛 베이스와 아일렛 와셔가 대상물에 장착되는 과정 및 대상물과의 장착시에 미끌림 방지부(13, 22)와 대상물 간의 접촉 관계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process of mounting the eyelet base and the eyelet washer on the object and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베이스와 아일렛 와셔가 대상물에 장착되는 과정 및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대상물(A)에 아일렛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b)는 대상물(A)에 아일렛을 장착한 후의 상태도이며, (c)는 (b)의 횡단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and a state in which the eyelet base and the eyelet washer are mounted on th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eyelet is mounted on the object A, and (b) is the object It is a state figure after attaching an eyelet to (A),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이 옷이나 천, 현수막 등의 대상물(A)에 장착되기 전에는 대상물(A)을 사이에 두고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가 대향하여 배치된다.As shown in (a) of FIG. 4, before the eyelet is mounted on the object A such as clothes, cloth, or a banner, the
그런 다음 별도의 장치(예; 프레스 등)를 통해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를 밀착시키고 압착하면 (b)와 같이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는 대상물(A)에 장착된다. 즉, 아일렛 베이스(10)는 대상물(A)의 상면(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에 장착되고, 아일렛 와셔(20)는 대상물(A)의 배면(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에 장착된다.Then, the
이때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의 결합 상태를 보면 (c)와 같다.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베이스(10)의 바렐부(12)는 압착에 의해 휘어져 아일렛 와셔(20)의 플렌지(21)를 아래쪽에서부터 눌러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를 더욱 밀착시킨다.At this time, the coupling state of the
여기서 아일렛 베이스(10)의 미끌림 방지부(13)는 림(1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상물(A)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대상물(A)에 마찰력을 가한다. 그리고 아일렛 와셔(20)의 미끌림 방지부(22)는 플렌지(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상물(A)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대상물(A)에 마찰력을 가한다.Since the
이와 같이 대상물에 아일렛이 장착된 경우에 미끌림 방지부(13, 22)는 대상 물(A)에 상측 및 하측에서 마찰력을 가하여 아일렛이 대상물에서 헛돌거나 빠지지 않게 한다.In this way, when the eyelet is mounted on the object, th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일렛 베이스(10)와 아일렛 와셔(20) 모두에 미끌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lip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in both the
즉,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아일렛은 림(11)에 미끌림 방지부(13)가 형성된 아일렛 베이스(10)와 미끌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아일렛 와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아일렛은 미끌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아일렛 베이스와 플렌지에 미끌림 방지부(22)가 형성된 아일렛 와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the eye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ye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베이스의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view of an eyelet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와셔의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of the eyelet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일렛 베이스와 아일렛 와셔가 대상물에 장착되는 과정 및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and a state in which an eyelet base and an eyelet washer are mounted on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0963A KR20090115241A (en) | 2008-05-01 | 2008-05-01 | Eye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0963A KR20090115241A (en) | 2008-05-01 | 2008-05-01 | Eyel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241A true KR20090115241A (en) | 2009-11-05 |
Family
ID=4155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0963A KR20090115241A (en) | 2008-05-01 | 2008-05-01 | Eye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1524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958B1 (en) * | 2011-06-22 | 2013-02-08 | 이상훈 | Disc type coupl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disc type coupling |
KR200466043Y1 (en) * | 2012-09-18 | 2013-03-25 | 서재호 | The Eyelet for printed circuit board |
KR101638149B1 (en) | 2016-02-16 | 2016-07-11 | 김홍관 | Metal decoration fixing device |
CN110811085A (en) * | 2018-08-07 | 2020-02-21 | 邱庆祝 | Eyelet washer and eyelet fastener thereof |
-
2008
- 2008-05-01 KR KR1020080040963A patent/KR2009011524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958B1 (en) * | 2011-06-22 | 2013-02-08 | 이상훈 | Disc type coupl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disc type coupling |
KR200466043Y1 (en) * | 2012-09-18 | 2013-03-25 | 서재호 | The Eyelet for printed circuit board |
KR101638149B1 (en) | 2016-02-16 | 2016-07-11 | 김홍관 | Metal decoration fixing device |
CN110811085A (en) * | 2018-08-07 | 2020-02-21 | 邱庆祝 | Eyelet washer and eyelet fastener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115241A (en) | Eyelet | |
CN1770991A (en) | Fastener tapes | |
US5362374A (en) |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stickers | |
JP2005502762A5 (en) | ||
US9126096B2 (en) | Ski skin | |
US20100194075A1 (en) | Ski skin made directionally oriented flock | |
CN104333988B (en) | Can be conveniently detached and have the fixing device of the hand-held electronic equipment of decoration functions | |
SE0201480D0 (en) | Attachment clip for attaching a surface covering object, such as a tarpaulin, banner, disc or the like | |
ATE373055T1 (en) | ADHESIVE TAPE MADE USING A HOT MELTING TECHNOLOGY AND WHICH CONTAINS AN OPAQUE BOPP BACKING LAYER | |
KR101665629B1 (en) | Coating Jig for Camera Component of Mobile Device | |
KR200464808Y1 (en) | Velcro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GB2210491A (en) | Display plates | |
EP0056529A2 (en) | Removal of adhesive labels or other adherent members | |
WO2004037938A1 (en) | Sheet material with high duct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JP6310338B2 (en) | Protective film with protective material, protective material, and adhesion method of protective film | |
WO2007034393A3 (en) | Medical device adhesive backing having a multi-piece support | |
KR970000184B1 (en) | Adhesive tape | |
JP3211388U (en) | Sticky support | |
KR100763971B1 (en) | Method for preparing adhesive sticker that can be reused repeatedly and adhesive sticker produced therefrom | |
KR950006910B1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 |
NL2010978C2 (en) | Assembly of a cover layer having an adhesive area provided with a removable protective layer and an applicator for applying the cover lay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2018102907A5 (en) | ||
US9187048B2 (en) | Method of mounting cable on headliner and headliner used therefor | |
US587723A (en) | Peery g | |
US20060196088A1 (en) | Use and proceeding at football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