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504A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0504A KR20090110504A KR1020080036039A KR20080036039A KR20090110504A KR 20090110504 A KR20090110504 A KR 20090110504A KR 1020080036039 A KR1020080036039 A KR 1020080036039A KR 20080036039 A KR20080036039 A KR 20080036039A KR 20090110504 A KR20090110504 A KR 200901105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er
- conveyor
- steel
- base frame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nsferring the direction of the steel bea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teel beam without shortening a separate space when transferring the steel, thereby reducing the travel time. It relates to a device for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eel beam.
일반적으로 형강은 자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형상을 하고 있는 강철재를 말하며, 이러한 형상으로는 여러 가지 형상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L", "H", "ㄷ", "I" 등이 있다. 또한 형강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section steel refers to a steel material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nd there are various shapes such as "L", "H", "c", and "I". In addition, the section steel is widely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according to its cross-sectional shape.
또한 형강은 압연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을 절단하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haped steel is formed by rolling, and is used by cut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necessary.
따라서 종래에는 형강의 가공 전후 이송을 위해 컨베어를 이용한 이송이 대표적이며 컨베어 등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리프트, 지게차 등을 이용해 이동시키곤 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conveying using a conveyor is typical for conveying before and after processing of the steel, and when moving to another position in the conveyor, etc., it was used to move using a lift, a forklift, and the like.
이러한 이송 방법들은 대부분이 시동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형강의 이동을 위한 별도 공간(지게차, 리프트 등의 진입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Most of these transfer methods have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t of start-up tim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space (entry space, forklift, lift, etc.) is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section steel.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easily and quickly switch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the section steel can be shortened the travel time through this, even without securing a separate space during the transfer of the section ste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ransfer of steel beam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는,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마주 보다는 단부에 마련되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형강을 다른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이송전환부; 및 상기 이송전환부를 안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transferring a steel beam dir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transport conveyor having different transport directions and facing each other; A transfer switching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to face the transfer steel to another transfer conveyor; And a base frame in which the transfer switching unit is placed.
또한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단부로 이송된 형강을 안치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안치되어 동작되게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switching unit is made up of the lifting means for placing the beam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lifting means, the lifting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is placed in the base frame to operat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수단에 안치되는 형강을 지지하는 보조 켄베이어;를 더 구비하게 한다.And the base fram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kenber for supporting the section steel placed in the lifting means.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형강을 안치하는 지지 테이블과, 상기 지지 테이블을 승강하게 하는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안치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 승부에 마련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 내측으로 내접되어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is composed of a support table for seating the section steel, and a lifting cylinder for elevating the support table,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is placed on the base frame, the guide rail is provided along the guide rail A rotating gear that moves, a drive gear that is inscribed inside the rotating gear to rotate the rotating gear, and a motor that rotates the driving gear.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switch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the steel beams, as well as to shorten the movement time through the transfer of the steel without securing a separate space.
또한 가공 또는 가공할 형강을 이송중 이송 방향으로 이송 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ransported by converting the shape steel to be processed or process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transfer direction in the transfer direction during transfer.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는,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마주 보다는 단부에 마련되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형강을 다른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이송전환부; 및 상기 이송전환부를 안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transferring the steel beam direction direction, at least one transport convey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port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 transfer switching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to face the transfer steel to another transfer conveyor; And a base frame in which the transfer switching unit is placed.
또한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단부로 이송된 형강을 안치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안치되어 동작되게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switching unit is made up of the lifting means for placing the beam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lifting means, the lifting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is placed in the base frame to operat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수단에 안치되는 형강을 지지하는 보조 켄베이어;를 더 구비하게 한다.And the base fram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kenber for supporting the section steel placed in the lifting means.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형강을 안치하는 지지 테이블과, 상기 지지 테이블을 승강하게 하는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안치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 승부에 마련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 내측으로 내접되어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is composed of a support table for seating the section steel, and a lifting cylinder for elevating the support table,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is placed on the base frame, the guide rail is provided along the guide rail A rotating gear that moves, a drive gear that is inscribed inside the rotating gear to rotate the rotating gear, and a motor that rotates the driving ge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이송전환부(10)는 다수개의 이송 컨베이어(1)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어 있어 각각의 이송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서 이송되는 형강(S)을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의 배치를 4개가 서로 직각이 되게 하였지만 2개 또는 3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다. 즉, 하나의 이송 컨베이가가 이송전환부 측으로 형강을 이동시키면 다른 이송 컨베이어는 이송전환부 측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또한 상기 이송전환부(1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에서 형강 이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 승강수단(120) 및 회전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바닥면에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지지대(141)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컨베이어(142)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보조 컨베이어로 하여금 이 송전환부로 진입하는 형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1)가 배치되는 형태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즉, 이송 컨베이어(1)가 도면과 같이 4개가 직교하게 배치되면 보조 컨베이어(142)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전환부로 진입한 형강을 지지하며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1)와 이웃하게 배치되기 위해 원주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주 상단에는 원 형태의 안내 레일(138)이 구비된다.The
상기 승강수단(120)은 다수개의 승강 실린더(122)에 하단이 지지되며 상하로 승강하는 지지 테이블(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테이블(124)은 각각의 이송 컨베이어(1) 단부와 이웃하게 위치되도록 원주 형태를 하고 중앙은 개구되어 상술한 보조 컨베이어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The elevating
상기 회전수단(1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단에 구비된 안내 레일(138)에 안치되며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회전기어(136)과, 상기 회전기어(136)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34)와 상기 구동기어(134)를 축설하는 모터(1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136) 하단에는 상기 안내 레일(138)이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136a)이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ng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120)의 승강 실린더(122)는 상기 회전기어(136)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승강수단이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있다.Here, the
예컨대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는 4개의 단부가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며, 마주보는 단부 상에 상기 이송전환부(1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이송전환부(10)는 일측의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형강을 다른 이송 컨베이어로 이동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게 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일측의 이송 컨베이어(1)로부터 이송된 형강(S)이 이송전환부(10) 측으로 진행하는 상태이며, 상기 이송전환부(10)는 상부의 지지 테이블(124)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 상단보다 하측이나 또는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진입하는 형강이 상기 지지 테이블(124) 상단에 위치게 되면, 중앙 위치한 보조 컨베이어(142)에 안치하게 되고, 안치된 형강의 양단이 상기 지지 테이블(124) 상단에 완전히 진입하면 상기 승강 실린더(122)가 작동하여 상기 지지 테이블(124)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승한 지지 테이블에 의해 형강은 보조 컨베이어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이와 동시에 하측에 마련된 모터(132)가 구동되어 구동기어(134)를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1 or FIG. 4, the steel S transferred from one side of the conveying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134)는 상기 회전기어(136)와 기어에 의해 접점된 상태여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마련된 안내 레일(138)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고 있어 회전기어가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기어에 안치된 승강수단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 테이블(124)에 안치된 형강은 양단이 처음 이송된 이 송컨베이어에서 이탈해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형강은 다른 공정을 위한 이송 컨베이어 측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section steel placed on the support table 124 is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conveyor to which the both ends are first transferred, and moves to the other transport conveyor side, and the moved section steel is located on the transport conveyor side for another process.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된 상태의 지지 테이블(124)은 다음 공정을 위한 이송 컨베이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고, 하강과 동시에 중앙 마련된 보조 컨베이어에 의해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support table 124 in the elevated state is lowered in the state positioned at the transport conveyor for the next process, and is transferred to the other transport conveyor side by the auxiliary conveyor centrally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lowering.
예컨대 상기 일측에서 이송전환부로 진입한 형강은 상기 이송전환부에 안치된 상태로 회전 이동하여 다음 공정을 위한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위치시키게 되고 이동된 형강은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진입하여 이송하게 됨으로 처음 이송된 이송 컨베이어 측에서 이송전환부를 통해 다른 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시켜 형강의 이송 방향을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ection steel entered from the one side into the transfer switching unit is rotated in the state of being placed in the transfer switching unit and positioned to the transfer conveyor side for the next process, and the moved section steel enters and transfers to the other transfer conveyor side, and then transfers the first transfer. It is possible to simply chang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tion steel by moving from the conveyor side to the other conveying conveyor side through the conveying switch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device for transferring a steel beam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evice for transferring the steel beam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기어 및 구동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rotary gear and the drive gear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4 and 5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for transferring the steel beam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이송 컨베이어 10 : 이송전환부1: transfer conveyor 10: transfer switching unit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승강수단110: base frame 120: lifting means
122 : 승강 실린더 124 : 지지 테이블122: lifting cylinder 124: support table
130 : 회전수단 132 : 모터130: rotation means 132: motor
134 : 구동기어 136 : 회전기어134: drive gear 136: rotary gear
138 : 안내 레일 141 : 지지대138: guide rail 141: support
142 : 보조 컨베이어142: auxiliary conveyo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6039A KR100960261B1 (en) | 2008-04-18 | 2008-04-18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6039A KR100960261B1 (en) | 2008-04-18 | 2008-04-18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0504A true KR20090110504A (en) | 2009-10-22 |
KR100960261B1 KR100960261B1 (en) | 2010-06-28 |
Family
ID=4153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6039A KR100960261B1 (en) | 2008-04-18 | 2008-04-18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026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152A (en) * | 2021-12-21 | 2023-06-29 | 세메스 주식회사 | Cross Rail Structure for OHT System and OHT System using thereof |
WO2024019254A1 (en) * | 2022-07-20 | 2024-01-25 | 최원석 | Water drying system for fruit or vegetable surfa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7791B1 (en) | 2009-04-23 | 2011-08-19 | 주식회사 태성기연 | 4-way logistics lif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71421A (en) | 1983-09-29 | 1985-04-23 | Dainichi Kiko Kk | Transfer device |
JPH05286520A (en) * | 1992-04-07 | 1993-11-02 | Nippon Steel Corp | Transferring device for cylindrical article |
JPH05294443A (en) * | 1992-04-16 | 1993-11-09 | Daifuku Co Ltd | Working swivel conveyer |
JP2007217079A (en) * | 2006-02-14 | 2007-08-30 | Asyst Shinko Inc | Turntable |
-
2008
- 2008-04-18 KR KR1020080036039A patent/KR10096026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152A (en) * | 2021-12-21 | 2023-06-29 | 세메스 주식회사 | Cross Rail Structure for OHT System and OHT System using thereof |
WO2024019254A1 (en) * | 2022-07-20 | 2024-01-25 | 최원석 | Water drying system for fruit or vegetable surf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0261B1 (en) | 2010-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96500B (en) | For handling slab with the method and apparatus of grinding steel slab surface | |
JP2011225376A (en) | Multi-gate conveyor | |
JP2010275059A (en) | Sheet glass carrying direction changing device | |
KR100960242B1 (en)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
JPH0812059A (en) | Conveying device for steel material and the like | |
CN105858168B (en) | A kind of conveying transferring device of heat insulating decorative board | |
KR20090130038A (en) | Substrate conveying apparatus | |
KR101951154B1 (en) | Slag removing device of laser processing machine support plate | |
KR100960261B1 (en) | 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 |
CN104444307B (en) | The full-automatic core box of a kind of core making machine changes mechanism | |
JP4825080B2 (en) | Pallet centrifugal dehydrator | |
KR101259832B1 (en) | Lift type glass direction switch device | |
KR101224986B1 (en) | Assembling apparatus of chock in rolling mill and method therefor | |
KR100702220B1 (en) | Conveyor system | |
JP6218044B2 (en) | Carriage transfer device | |
RU2500600C2 (en) | Device to transfer workpiece from conveyor to transport element | |
CN112246418A (en) | Sagger conveying device | |
KR100856302B1 (en) | Coil transfer apparatus between conveyors | |
CN220011204U (en) | Finished board supporting plate transverse moving device | |
JP3204840U (en) | Panel lifting and moving device | |
KR101207897B1 (en) | Multi gate conveyor | |
CN107244542B (en) | Ceramic sheet turning device | |
KR100525620B1 (en) | Pallet circulation conveyer | |
CN219929140U (en) | Structure for conveying titanium belt | |
KR20040100683A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arge-diameter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