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334A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Cold and hot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1334A KR20090101334A KR1020080070845A KR20080070845A KR20090101334A KR 20090101334 A KR20090101334 A KR 20090101334A KR 1020080070845 A KR1020080070845 A KR 1020080070845A KR 20080070845 A KR20080070845 A KR 20080070845A KR 20090101334 A KR20090101334 A KR 200901013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urified water
- tank
- cold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9000008234 soft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HPQYMZQTOCNFJ-UHFFFAOYSA-N Calcium cation Chemical compound [Ca+2] BHPQYMZQTOC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4 calc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3 har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로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출수구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 및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출수구가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제 4 기능과,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function to generat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divided into cold / hot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soft water, and a second function for autoclaving the purified water tank for purified water storage and the cooling tank for cold purified water storage. A third function of disinfecting the user's cup, etc., close to the first outlet of the cold / hot purified water, with ultraviolet rays, a fourth function of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second outlet of th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with a fifth function that the filter unit built in the easy rotation extraction to the outside.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1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음용을 위해 냉/온 정수를 사용하고, 조리 등을 위해 정수를 사용하며, 손 세척 등을 위해 연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은 동시에 각각의 용도에 알맞은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제 2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냉온 정수기 내부를 열어 청소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덜어주며 한층 더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제 3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음용 시 자신의 컵 등을 수시로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편리하고, 제 4 기능을 통해 요리 등을 위해 부피가 큰 그릇에 물을 채우거나 손 등을 세척할 때 편리하고, 제 5 기능을 통해 필터교환이 손쉬워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최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rough the first function of the cold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cold / hot water for drinking, water purification for cooking, etc., soft water for hand washing, etc.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 and the second function saves the user from having to open and clean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purifier, and enables more hygienic management. It is hygienic and convenient because you can easily disinfect your cups at any time during drinking, and it is convenient when you fill a large bowl of water for cooking or washing your hands through the fourth function. It is easy to replace the filter, so anyone of all ages can easily change the filter to maintain the best water qua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로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출수구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 및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출수구가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제 4 기능과,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nd more specifically, a first function of generating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and distinguishing them into cold / hot water,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and a cooling water tank for purified water storage and a cooling tank for cold water storage. The second function of autoclaving itself, the third function of disinfecting the user's cup, etc., close to the first outlet of cold / hot water purific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second outlet of water purification and soft water discharged outside. And a fourth function to be extracted and a fifth function in which the filter unit built in the cold / cold water purifier is easily rotated to the outside and extracted.
일상생활에 널리 활용되는 정수기(water cleaner)는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먹는 물 관리법' 제5조 제3항 규정에 적합한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이다.A water cleaner widely used in daily life is a device for purify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with drinking water suitable for the provisions of Article 5 (3) of the Eating Water Management Act.
이러한 정수기는 목적이나 구성, 정수원리 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구분되지만, 가장 보편적인 분류기준인 정수원리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Such water purifiers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based on purpose, composition, water purification principle, etc., but may be divided into natural filtration, direct filtration, distillation, reverse osmosis, etc. according to water purification principles which are the most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이중에서 자연여과식은 일정용량의 원수를 저장하여 자체 하중으로 필터를 경유시켜 정수를 얻고, 직결여과식은 원수가 공급되는 수전구 등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여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경유시켜 정수를 얻는다. 또한 증류식은 원수를 끓여 수증기를 재 집수(集水)하는 방식을 취하며, 역삼투압식은 멤브레인(membrane)이라 불리는 반투막을 이용해서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Among them, the natural filtration formula stores the raw water of a certain capacity and obtains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with its own load. . In addition, distillation is a method of boiling raw water to recollect steam, and reverse osmosis uses a semipermeable membrane called a membrane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raw water.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연여과식과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필터에 의한 정수원리를 나타내므로 편의상 필터식 정수기라 총칭하면, 입수, 여과, 흡착, 본여과, 출수의 단계를 통해 정수를 제공하는바, 정수기로 입수된 원수는 여과단계를 통해 수중의 불순물이 걸러진 후 흡착단계를 통해 휘발성 유기물질이 제거된 다음, 본 여과단계를 통해 미세 불순물이 걸러져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그리고 이를 위한 필터식 정수기에는 침전필터와 카본필터 등 각 단계에 적합한 여러 종의 필터가 사용된다.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natural filtration and direct filtration water purifiers represent the principle of water purification by filter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filter water purifiers collectively provide water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main filtration, and water extraction. The raw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is filtered through the impurities in the water, the volatile organic substances are removed through the adsorption step, and fine impurities are filtered through this filtration step, and finally supplied to the user.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filters suitable for each stage are used in the filter type water purifier for this purpose.
따라서, 필터의 적절한 유지관리는 정수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건이 된다.Therefore, proper maintenance of the filter is a key requiremen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purifier.
이에 따라 필터의 오염정도 및 이에 근거한 필터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터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정수능력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지만, 여전히 객관적인 필터의 오염정도 및 이에 따른 교체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As a result, various measures have been sought to improve the filter usage efficiency and maintain the water purification capability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and the time of filter replacement based on the filter. There is a lack of a way to grasp.
때문에 현재로서는 단순한 시간경과나 주관적 판단, 예컨대 한 달에 한번과 같은 임의의 시간간격이나 물맛 등의 주관적 느낌을 기준으로 필터를 교체하고 있 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잦은 필터교체에 따른 비용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적절한 교체시기를 놓쳐 오염된 물을 음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For this reason, we are currently replacing filters based on simple subjects such as time-lapse or subjective judgments, such as once a month, or subjective feelings such as taste of water. Contaminated water is often consumed causing waste or missing proper replacement times.
또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필터교체에 수반되는 정수기의 분해과정이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In addition, the general water purifier has a large burden on the general user because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accompanying the filter replacement is complicated.
아울러, 정수기의 보급 및 사용이 크게 확대되면서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갖춘 제품이 소개되고 있는데, 일례로 냉/온 정수를 제공하는 형태는 이미 기본적이며, 별도의 제빙기능을 통해 정수의 얼음을 제공하는 기술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정수기는 위생 및 관리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개선될 부분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바, 상시적으로 물에 노출 및 접촉되는 정수기의 고유 특성상 소위 물때 등의 오염이나 세균번식가능성이 커서 필터뿐만 아니라 정수탱크 등을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as the spread and use of water purifiers are greatly expanded, products with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have been introduced. For example, the form of providing cold / hot water purification is already basic, and providing ice of purified water through a separate ice making function. Technology is also widely used. However, it is still pointed out that the water purifier has many improvements in hygiene and management aspects.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purifier, which is exposed to and exposed to water at all times, the water purifier has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r bacterial propagation. There is a need to clean the tank frequently.
또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여전히 음용수 제공의 역할에만 그치고 있고,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이면서도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기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general water purifier is still only in the role of providing drinking water, so the user expects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venience functions, more convenient and hygienic.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교환을 비롯한 전반적인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더욱 편리하며 위생관리적 측면이 크게 개선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verall maintenance is easy, such as filter replacement, by providing a variety of convenient functions more convenient and hygiene management aspects to provide a greatly improved water purifier hav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로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출수구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 및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출수구가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제 4 기능과,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the first function to provide a cold / hot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soft water and provide a second,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for purified water storage and the cooling tank for cold purified water storage itself. Function, a third function of disinfecting the user's cup, etc., close to the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cold / hot water with ultraviolet rays, a fourth function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d / cold water purifier having a fifth function of easily extracting a filter part embedded in the cold / cold water purifi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를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를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하는 냉각탱크가 구비된 탱크부와; 상기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제 1 배출구와,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 tank unit having a purified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 heating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with an on-line purified water, and a cooling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with cold purified water;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ld / hot purified wat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이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 및 연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soft water filter for softening the raw water to soft water,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 1 배출구와, 상기 연수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unit having a water filter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nd a soft water filter for softening the raw water to soft water;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oft water.
이때,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를 온 정수로 가열 및 저 장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를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하는 냉각탱크가 구비된 탱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배출구는 상기 냉/온 정수를 배출하고,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 및 연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 및 연수를 구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출수공과 상기 연수가 배출되는 제 2 출수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배출구는, 각각의 선단 저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출수공이 관통된 한 쌍의 나란한 파이프 형상의 제 1 및 제 2 출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출수구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water purification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 heating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to an on-line purified water, and a tank unit provided with a cooling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to a cold purified water, the first The discharge port discharges the cold / warm purified water,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and the soft water. The second discharge port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the soft water,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soft water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outlet includes a pair of parallel pipe-shaped first and second outlet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outlet holes penetrate the bottom surfaces of the respective tips, respective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idge for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수를 배출하며 고정된 제 1 배출구와, 상기 정수를 배출하며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purified water;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fixed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nd insert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 및 연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soft water filter for softening the raw water to soft water,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정수를 배출하며 고정된 제 1 배출구와, 상기 정수와 연수 중 적어도 하나를 배출하며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unit having a water filter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nd a soft water filter for softening the raw water to soft water;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first discharge port fixed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nd inserting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이때,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를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를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 여, 상기 제 1 배출구는 상기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 및 연수를 구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출수공과 상기 연수가 배출된 제 2 출수공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 및 추출방향을 따라 배열된 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출구는, 각각의 선단 저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출수공이 구비된 한 쌍의 나란한 파이프 형상의 제 1 및 제 2 출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출수구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모터 및 피니언과; 상기 제 2 배출구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렉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배출구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추출 및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outlet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 heating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to an on-line purified water, and a cooling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to a cold purified wate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ort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and the soft water separately. The second discharge port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charged soft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 is provided with a pipe shape arranged alo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outlet comprises a pair of parallel pipe-shaped first and second outlet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outlet holes on the bottom of each ti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idge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pinion; It further comprises a rack formed along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the second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and insertion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아울러 상기 모터는 상기 제 1 배출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배출구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정지홈이 형성된 위치표시돌기와; 상기 정지홈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광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가 제어되어 상기 제 2 배출구의 상기 삽입 및 추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배출구의 적어도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 1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to the first outlet, the position display projection formed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stop groove; And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stop groove, wherein the mo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optical sensor to adjust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second outlet, and at least one length of the second outlet. A guide protrusion formed along a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end provided in the first outlet for guiding the guide proj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가 저장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가 저장되는 냉각탱크가 구비된 탱크부와; 상기 가열을 위해 상기 히팅탱크에 내장된 제 1 히터와, 상기 냉각을 위해 상기 냉각탱크에 내장된 냉각코일과, 상기 정수탱크와 냉각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되어 상기 정수와 냉 정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와; 상기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 tank unit including a purified water tank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a heating tank in which on purified water is stored according to heating of the purified water, and a cooling tank in which cold purified water is stored according to cooling of the purified water; A first heater embedded in the heating tank for the heating, a cooling coil embedded in the cooling tank for the cooling, and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purified water con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oling tank. A second heater for heating;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ld / hot purified water.
이때, 상기 냉각탱크는, 상기 정수탱크와 물순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 히터는 상기 냉각탱크 또는 정수탱크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냉각탱크는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 하단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수의 순환홀이 관통된 채 상기 냉각탱크와 정수탱크 사이로 개재된 순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 또는 냉각탱크에 내장된 적어도 두 개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제 2 히터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각각 서로 다른 수위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플로트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oling tank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so as to enable water circulation and the second he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built in the cooling tank or water purification tank, wherein the cooling tank is located at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irculation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cooling tank and the water purification tank while a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are penetrated. And at least two temperature sensors embedd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or the cooling tank, wherein the second heater is turned off whe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s senses a temperature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t least two float sensors each detecting different water levels.
또한 본 발명은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가 구비된 본체와; 원수를 상기 정수로 정화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cation tank that stores purified water; Purifying the raw water to the purified water, and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filter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이때,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힌지고정단과; 상기 필터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고정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힌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90° 이하 각도범위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 터부는, 상기 힌지돌기가 양측에 마련된 유로하우징과; 상기 유로하우징 저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부가 걸려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회전고정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탱크부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pair of hinge fixed e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acing each other;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hinge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lter unit so as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inge ends, and the filter unit rotates in an angle range of 90 ° or less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connecting the pair of hinge protrus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the flow path housing provided with the hinge protrusions on both sid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water purification filt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w path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pper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lter is caught and maintained horizontal.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fixing e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fixed in the rotated state, the filt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ank side.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정수의 배출방향으로 자외선을 발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It is disposed close to the discharge por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n ultraviolet lamp for emitting ultraviolet light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배출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수의 배출방향을 향하는 중공이 관통된 채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관 형상의 램프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램프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ultraviolet 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tubular lamp housing fixed to the discharge portion while the hollow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is penetrated, the ultraviolet lamp is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lamp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를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를 냉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냉각탱크가 구비된 탱크부와; 상기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제 1 배출구 및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와; 상기 원수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는 제 1 유로, 상기 필터부의 정수를 상기 정수탱크로 전달하는 제 2 유로,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상기 냉각탱크로 전달하는 제 3 유로,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상기 히팅탱크로 공급하는 제 4 유로, 상기 냉각탱크 의 냉 정수를 상기 제 1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 5 유로, 상기 히팅탱크의 온 정수를 상기 제 1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 6 유로,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상기 제 2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 7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 부설된 제 1 밸브, 상기 제 2 유로에 설치된 제 2 밸브, 상기 제 5 유로에 부설된 제 3 밸브, 상기 제 6 유로에 부설된 제 4 밸브, 상기 제 7 유로에 부설된 제 5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purified water; A tank unit having a purified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 heating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an on-line purified water, and a cooling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a cold purified water; A discharge part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ld / hot water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 first flow path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lter part, a second flow path for deliver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a third flow path for transferr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to the cooling tank, and a purified water for the purified water tank A fourth flow path for supplying a heating tank, a fifth flow path for transmitting the cold purified water of the cooling tank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 sixth flow path for transferring the on constant of the heating tank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a purified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A seventh flow passage configured to transfer the second outlet to the second outlet; A first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flow path, a second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th, a third valve installed in the fifth flow path, a fourth valve installed in the sixth flow path, and a seventh flow path installed in the seventh flow path. Provided is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fifth valve.
이때, 상기 제 1 유로에 장착된 구동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밸브의 온 시간과, 상기 구동펌프의 구동시간과, 상기 제 2 밸브의 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정화하는 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원수를 상기 둘 이상의 정수필터에 차례로 경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further comprising a drive pump mounted to the first flow path, the at least one of the on time of the first valve, the drive time of the drive pump, and the on time of the second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unit,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ing two or more water filters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o the purified water, the first flow path is to pass the raw water through the two or more water filters in order. It features.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정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연수필터를 연결하는 제 8 유로, 상기 연수필터와 상기 제 2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9 유로와; 상기 제 9 유로에 부설된 제 6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밸브의 온 시간과, 상기 구동펌프의 구동시간과, 상기 제 2 밸브의 온 시간과, 상기 제 6 밸브의 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수필터는, 여과필터인 제 1 정수필터와, 프리카본필터인 제 2 정수필터와, 포스트카본필터인 제 3 정수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원수를 상기 제 1 정수필터에 공급하는 제 1-1 유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정수필터를 연결하는 제 1-2 유로와, 상기 제 2 및 제 3 정수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 8 유로가 연결된 제 1-3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제 1-2 유로에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ftening filter for softening the purified water into soft water, an eighth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oft water filter, and a ninth flow path connecting the soft water filter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 sixth valve attached to the ninth flow path, wherein the on time of the first valve, the drive time of the drive pump, the on time of the second valve, and the sixth valve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uni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on time, wherein the water filter, the first water filter is a filtration filter, the second water filter is a pre-carbon filter, the third is a post carbon filter And a first water flow path, wherein the first flow path includes a first flow path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rst water filter, a first flow path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ater filters, and the first flow pa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to third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water filter and the eighth flow path, wherein the first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low path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와, 탱크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버툼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좌우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와; 상기 배출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 선단에 배치되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리드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 전면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가 그 하단으로 노출되는 컨트롤케이스와; 상기 컨트롤케이스 상면을 덮는 탑커버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ilter unit, a tank unit, and a discharge unit; A bottom case on which the main body is seated; First and second side cases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 front case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discharge part and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 rear cas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 lead cas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control case coupled to the opening at the front of the front case and exposing the discharge part to the bottom thereof; It provid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top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case.
이때, 상기 버툼케이스의 전후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돌출된 제 1 내지 제 4 버툼측면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4 버툼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버툼측면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볼트와,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개구부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탱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2 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case, the rear cas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cases may further include first to fourth bottom sides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edges of the bottom case, respectively. 4 is coupled to the bottom side, wherein the tank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front case is a plurality of first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ttom side, and through the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inserted into the tank part to support the tank part across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front case,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end through which the second bolt is inserted. .
그리고 상기 제 3 및 제 4 버툼측면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슬릿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내면을 따라 내향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슬릿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릿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슬릿돌기의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부는 상기 본체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케이스는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버툼측면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3 볼트와,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4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어케이스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탱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4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lit holes penetrating along the third and fourth bottom surfaces; The first and second sidecase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li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al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cases. It is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slit projection, wherein the tank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rear case penetrates through a plurality of third bolts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and And a plurality of fourth bolts inserted into the tank portion, and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case to support the tank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into which the fourth bolt is inserted. .
아울러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제 1 및 제 2 프론트측면과; 상기 리드케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제 1 및 제 2 리드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론트측면으로부터 후단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측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각각의 상단 내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삽입돌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각각의 전단 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3 및 제 4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돌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교차돌기, 상기 제 3 및 제 4 삽입돌기와 상기 제 3 및 제 4 교차돌기는 서로의 내면으로 엇갈려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리어케이스 외면으로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는 각각 상기 절곡단을 관통해서 상기 리어케이스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5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edge of the front case;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ead side surfaces protruding downwardly from an upper edge of the lead case,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tersections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front side surfaces. Protrusion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tersecting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lead si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cas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insertion protrusions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cases,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secting protrusions, the second And the third and fourth insertion protrusions and the third and fourth intersecting protrusions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bent from the rea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cases and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cas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ent end, the first and the second sid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fth bolt is inserted into the rear case through the bent end is fixed.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필터교환을 비롯한 전반적인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위생관리적 측면이 크게 개선된 장점을 나타낸다.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and in particular, the hygiene management aspect is greatly improved by providing a variety of convenient functions and overall maintenance, including filter replacement.
즉,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로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는 음용을 위해 냉/온 정수를 사용하고, 조리 등을 위해 정수를 사용하며, 손 세척 등을 위해서 연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은 동시에 각각의 용도에 가장 알맞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function of generating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and separating them into cold / hot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the user uses cold / hot purified water for drinking, clean water for cooking, and washes hands. Soft water can be used for such purposes, so that the choice is wide and the water most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 can be supplied.
또한,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가 냉온 정수기 내부를 열어 청소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한층 더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function of autoclaving the purified water tank for purified water storage and the cooling tank for cold purified water storage by itself,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of the user by open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또한, 냉/온 정수 배출을 위한 제 1 출수구에 근접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제 3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는 수시로 자신의 컵 등을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편리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function of disinfecting the cup of the user, which is close to the first outlet for cold / hot water discharge, with ultraviolet rays, the user can easily disinfect his cup at any time and is hygienic and convenient.
또한, 정수 및 연수 배출을 위한 제 2 출수구가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4 기능의 경우에 요리 등을 위해 부피가 큰 그릇에 물을 채우거나 손 등을 세척할 때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urth function in which the second outlet for water and soft water discharge is ex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outside, it is very convenient when filling a bulky bowl for washing or washing hands.
또한,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 능의 경우에 필터교환이 손쉬워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fth function that the filter unit built in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s easily rotated to the outside, the filter is easily exchanged so that anyone can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filter, thereby maintaining the best water quality.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이때, 해당 도면은 개괄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며, 여기에서는 원수의 진행경로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개요를 살펴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content, so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and here, the overall overvie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rogress path of the enemy.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와 밸브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and valves, including the
먼저, 필터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와 연수필터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 및 연수필터(F5)로 이루어진다.First, the
이때,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제 1 정수필터(F1)는 침전 또는 여과필터, 제 2 정수필터(F2)는 1차 카본필터인 프리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제 3 정수필터(F3)는 2차 카본필터인 포스트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제 4 정수필터(F4)는 중공사막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혹은 역삼투압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를 차례로 경유하면 음용에 적합한 정수로 변화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to fourth purified water filters F1 to F4 are used to purify wa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For example, the first purified water filter F1 is a precipitation or filtration filter, and the second purified water filter F2 is 1. The pre-carbon filter which is the primary carbon filter, the post-carbon filter which is the secondary water filter (F3) is the post-carbon filter which is the secondary carbon filter, and the fourth water filter (F4) is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Ultra). Filtration filter or reverse osmosis filter can be used. Therefore, when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rst to fourth purified water filters F1 to F4 in sequence, the raw water is changed into a suitable integer for drinking.
그리고 연수필터(F5)는 물을 연수화하여 연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고분자물질인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다. 따라서 원수는 연수필터(F5)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수중의 칼슘이온(Ca2 +)과 마그네슘이온(Mg2 +) 등 경수성분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연수로 변화된다. And the soft water filter (F5) is for softening the water to produce soft water, the inside is filled with ion exchange resin, a polymer material. Therefore, the raw water is changed to soft soft water by removing hard water components such as calcium ions (Ca 2 + ) and magnesium ions (Mg 2 + ) in the water through the soft water filter (F5).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400)는 별다른 분해과정 없이도 외부로 손쉽게 회전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간편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Here, in particular, the
다음으로, 탱크부(100)는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를 포함한다.Next, the
이때, 정수탱크(T1)는 필터부(400)에서 생성된 정수가 저장되고, 냉각탱크(T2)는 정수탱크(T1)의 정수가 전달되어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되며, 히팅탱크(T3)는 정수탱크(T1)의 정수가 전달되어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된다. 이를 위해 냉각탱크(T2)에는 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이 내장되고, 히팅탱크(T3)에는 물의 가열을 위한 제 1 히터가 내장된다.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tank (T1) is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별도의 제 2 히터가 내장되어 정수 및/또는 냉 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로써 정수탱크 및/또는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Here,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tank (T1) and the cooling tank (T2) of the cold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second heater can be built in to heat the purified water and / or cold purified water. Water purification tanks and / or cooling tanks can be sterilized by themselves.
다음으로, 배출부(700)는 제 1 및 제 2 배출구(800,900)를 포함한다.Next, the
이때, 제 1 배출구(800)는 정수, 바람직하게는 냉/온 정수를 배출하고, 제 2 배출구(900)는 정수와 연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수와 연수를 구분 배출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1 배출구(800)는 그 위치가 고정된 반면 제 2 배출구(900)는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음용을 위해서는 제 1 배출구(800)에서 배출되는 냉/온 정수를 사용하는 한편 요리 등을 위해 부피가 큰 그릇에 물을 받거나 손 등을 세척할 때에는 외부로 추출된 제 2 배출구(900)에서 배출되는 정수 및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해서는 냉/온 정수의 배출방향으로 자외선을 발하는 자외선 램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음용 시 자신의 컵 등을 수시로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다음으로, 다수의 관로는 필터부(400)와 탱크부(100)와 배출부(700)를 적절히 연결해서 물이 흐를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이들 관로 중 적절한 지점에는 밸브가 부설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Next,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to the
구체적으로, 다수의 관로는 외부의 원수를 필터부(400)로 공급하는 제 1 관로(L1)와, 필터부(400)의 정수를 정수탱크(T1)로 전달하는 제 2 관로(L2)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냉각탱크(T2)로 전달하는 제 3 관로(미도시)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히팅탱크(T3)로 전달하는 제 4 관로(L4)와, 냉각탱크(T2)의 냉 정수를 제 1 배출구(800)로 전달하는 제 5 관로(L5)와, 히팅탱크(T3)의 온 정수를 제 1 배출구(800)로 전달하는 제 6 관로(L6)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제 2 배출구(900)로 전달하는 제 7 관로(L7)와, 제 1 관로(L1)와 연수필터(F5)를 연결하는 제 8 관 로(L8)와, 연수필터(F5)와 제 2 배출구(900)를 연결하는 제 9 관로(L9)를 포함하고, 이 중에서 제 1 관로(L1)는 또다시 원수를 제 1 정수필터(F1)에 공급하는 제 1-1 관로(L1-1)와, 제 1 및 제 2 정수필터(F1,F2)를 연결하는 제 1-2 관로(L1-2)와, 제 2 및 제 3 정수필터(F2,F3)를 연결하며 상기 제 8 관로(L8)가 연결되는 제 1-3 관로(L1-3)와, 제 3 및 제 4 정수필터(F3,F4)를 연결하는 제 1-4 관로(L1-4)로 세분화된다. 그리고 그 밖에도 히팅탱크(T3)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는 제 1 드레인관로(D1)와, 제 4 정수필터(F4)가 역삼투압필터인 경우에 역삼투압과정 중 발생되는 폐수를 외부로 드레인하는 제 2 드레인관로(D2)를 갖출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가 집적 연결된다면 제 3 관로는 생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pipes and the first pipe line (L1) for supplying the external raw water to the
그리고 다수의 밸브는 제 1 관로(L1), 정확하게는 제 1-2 관로(L1-2)에 부설된 제 1 밸브(V1)와, 제 2 관로(L2)에 부설된 제 2 밸브(V2)와, 제 5 관로(L5)에 부설된 제 3 밸브(V3)와, 제 6 관로(L6)에 부설된 제 4 밸브(V4)와, 제 7 관로(L7)에 부설된 제 5 밸브와, 제 9 관로(L9)에 부설된 제 6 밸브(V6)를 포함하고, 그 밖에 제 1-2 관로(L1-2)에는 구동펌프(M)가 부설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는 전자식밸브인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될 수 있고, 제 1 드레인관로(D1)에는 수동의 콕(cock)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alves may include a first valve V1 attached to the first pipe line L1, precisely, a 1-2 pipe line L1-2, and a second valve V2 installed on the second pipe line L2. A third valve V3 attached to the fifth conduit L5, a fourth valve V4 attached to the sixth conduit L6, a fifth valve attached to the seventh conduit L7, The sixth valve (V6) attached to the ninth conduit (L9), and the drive pump (M) may be installed in the other 1-2 pipe (L1-2). In this case, preferably, the first to sixth valves V1 to V6 may use solenoid valves, which are electronic valves, and a manual cock may be mounted on the first drain pipe D1. .
그 결과, 제 1 밸브(V1)가 오프(OFF)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모든 동작이 멈추며, 제 1 및 제 2 밸브(V1,V2)가 온(ON), 제 6 밸브(V6)가 오프되면 제 1-1 관로(L1-1)의 원수는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를 차례로 경유 해서 정수탱크(T1)로 집수 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 3 및/또는 제 4 밸브(V3,V4)가 온 되면 제 1 배출구(800)를 통해 냉 및/또는 온 정수가 배출되고, 제 5 밸브(V5)가 온 되면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정수가 배출된다. 또한 제 1 밸브(V1)가 온, 제 2 밸브(V2)가 오프 되고 제 6 밸브(V6)가 온 되면 제 1-1 관로(L1-1)의 원수는 제 1 및 제 2 정수필터(F1,F2)와 이온필터(F5)를 경유하여 연수로 변화된 후 제 2 배출구(900)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의 작동관계는 도시되지 않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As a result, when the first valve V1 is turned off, all operations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pped, and the first and second valves V1 and V2 are turned on and the sixth valve V6 is turned off. When off, the raw water of the first-first pipeline L1-1 is collected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T1 via the first to fourth water purification filters F1 to F4, in this case. 4 When the valves V3 and V4 are turned on, cold and / or warm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이때, 필요하다면 제 1 관로(L1)의 적절한 위치에 유량계 등을 장착하여 각 필터를 경유한 물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객관적인 필터의 오염정도 및 이에 따른 교체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발명 출원번호 10-2006-0063142호 등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또한, 유량계를 대신해서 제 1 밸브(V1)의 온 시간과 구동펌프(M)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필터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고 및/또는 제 2 밸브(V6)와 제 6 밸브(V6)의 온 시간을 토대로 필터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each filter by installing a flow meter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irst pipe line (L1),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objective filter and the replacement time accordingly. Bars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63142 issu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filter usage based on the on time of the first valve V1 and the drive time of the drive pump M in place of the flow meter and / or the second valve V6 and the sixth valve V6.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filter usage based on the on time.
아울러, 이상에서는 물이 흐르는 이동경로를 편의상 '관로'라 통칭하였지만, 이들은 필요에 따라 별도의 '관(tube)' 형태를 나타내거나 정수기 내에 적절히 형성된 홈 형상의 '유로(path)'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각각 살펴본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ipe', but these may have a separate 'tube' shape or a groove-shaped 'path' or other various shapes formed in the water purifier as necessary. You can show the form, which will be discussed in detai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를 포함한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와 도 6은 각각 케이스의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탱크부(100), 필터부(400), 배출부(700)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와 밸브 등 정수와 연수의 생성 및 배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본체(B)와, 이를 케이싱 하여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는 케이스로 나누어 볼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appearance including a case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4,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parts of the case. As can be seen in these figures,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generation and discharge of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such as a plurality of pipes and valves including the
이중에서 케이스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Let's look at the case first.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는 본체(B)를 지지하는 버툼케이스(1002)와, 양 측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와, 전 후면을 이루는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1302,1502)와, 윗면을 이루는 리드케이스(1602)를 포함하며, 프론트케이스(1302)의 전면에는 별도의 컨트롤케이스(1402)가 결합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방향을 정의하면, 냉온 정수기의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선단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하며, 냉온 정수기의 윗부분을 상방 또는 상단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하방 또는 하단이라 한다.As shown, the cas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버툼케이스(1002)는 본체(B)가 안착되는 밑면(1004)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 상향 돌출된 전후좌우의 제 1 내지 제 4 버툼측면(1012,1014,1016,101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중에서 제 3 및 4 버툼측면(1016,1018)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슬릿홈(1022,1024)이 일 정간격으로 줄지어 관통되고, 제 2 버툼측면(1014) 안쪽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032)이 마련된다.First, the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는 서로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하단 내면으로부터는 소정길이 내향 돌출된 후 선단을 향해 절곡된 제 1 및 제 2 슬릿돌기(1112,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줄지어 마련되고, 각각의 상단 내면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상향 돌출된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가 마련되며, 각각의 선단 내면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전향 돌출된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가 마련된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의 후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리어케이스(1502)의 좌우 가장자리를 덮는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을 이룬다.Next, the first and
다음으로, 프론트케이스(1302)는 냉온 정수기 선단에 결합되는 앞면(1304)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 후방 돌출된 상하좌우의 제 1 내지 제 4 프론트측면(1312,1314,1316,1318)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앞면(1304)에는 후술하는 콘트롤케이스(1402)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1306)가 존재하고, 상기 개구부(1306)의 상단에는 지지단(1308)이 가로지른다.Next, the
그리고 이러한 프론트케이스(1302)는 앞면(1304) 하단을 관통해서 버툼케이스(1002)의 제 1 버툼측면(1012)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볼트(B1)와, 지지단(1308)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본체(B)의 정수탱크(T) 일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볼트(B2)로 긴밀하게 고정되는데, 특히 지지단(1308)과 정수탱크(T1)의 결합 상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5를 별도로 참조하면, 지지단(1308)의 후면 상단에는 소정의 끼움단(1322)이 단차지게 만입되고, 이와 마주보는 정수탱크(T1)의 일측으로부터는 상기 끼움단(1322)에 삽입되는 소정의 제 1 삽입단(102)이 돌출되는바, 제 2 볼트(B2)는 이들을 함께 관통하여 지지단(1308)으로 하여금 정수탱크(T1)를 지지하게 한다.The
또한, 제 3 및 제 4 프론트측면(1316,1318) 각각의 후단 내면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후방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1332,1334)가 마련되며, 이들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의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와 엇갈려 서로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and
아울러 프론트케이스(1302)의 앞면(1304) 하단에는 복수의 끼움홀(1342)이 마련되어 별도의 물받이케이스(1350)가 결합되며, 상기 물받이케이스(1305)는 보울 형태의 로우커버(1352) 및 물빠짐홀이 관통되어 로우커버(1352) 상면에 안착되는 리드커버(13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중에서 로우커버(1352)의 후단 측면으로부터는 복수의 삽입돌기(1354)가 후방 돌출되어 프론트케이스(1302)의 앞면(1304) 하단의 끼움홀(1342)에 삽입된다. 이때, 제 1 볼트(B1)는 복수의 끼움홀(1342)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다음으로, 리어케이스(1502)는 냉온 정수기의 후단에 결합되는 사각의 테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냉각핀(1504)과 냉매순환관(1506) 등이 설치되고, 하면으로부터는 버툼케이스(1002)의 제 2 버툼측면(1014) 안쪽의 삽입홈(1032)에 끼워지는 삽입구(1512)가 하방 돌출되며, 상면으로부터는 본체(B)의 정수탱크(T1) 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1514)가 상향 돌출된다. Next, the
이러한 리어케이스(1502)는 버툼케이스(1002)의 제 2 버툼측면(1014)을 통해 삽입홈(1032)과 삽입구(1512)를 함께 관통하는 복수의 제 3 볼트(B3)와, 지지돌기(1514)를 관통하여 정수탱크(T1)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4 볼트(B4)로 긴밀하게 고정되는데, 특히 지지돌기(1514)와 정수탱크(T1)의 결합상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 7을 별도로 참조하면, 지지돌기(1514)는 정수탱크(T1)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4 볼트(B4)는 이들을 모두 관통하여 지지돌기(1514)로 하여금 정수탱크(T1)를 지지하게 한다.The
다음으로, 리드케이스(1602)는 냉온 정수기의 상면을 덮는 상면(1604)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 하향 돌출되어 리어케이스(1502)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에 안착되는 제 1 내지 제 3 리드측면(1612,1614,1616)으로 이루어진다. Next, the
그리고 이중에서 제 2 및 제 3 리드측면(1614,1616)의 내면을 따라서는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 3 및 제 4 교차돌기(1622,1624)가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12,1202)의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끼워 삽입되고, 리드케이스(1602)의 선단 일부에는 콘트롤케이스(1404)의 탑커버(1450)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개구공간(1632)이 마련되며, 상면(1604)과 제 2 및 제 3 리드측면(1614,1616) 선단으로부터는 프론트케이스(1302)의 제 1 내지 제 3 프론트측면(1312,1316,1318) 안쪽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642)이 그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전향 돌출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and
다음으로, 컨트롤케이스(1404)는 전면(1404) 그리고 이의 상단 및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돌출된 제 1 내지 제 3 콘트롤측면(1412,1414,1416)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1404)으로부터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레버(1408) 및 복수의 버튼(1406)이 노출된다. 그리고 이중에서 제 2 및 제 3 콘트롤측면(1414,1416)에는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에 끼워 고정될 수 있는 후크돌기(1422)가 마련되며, 하면은 개방되어 후술하는 본체(B)의 배출부(700)를 노출시킨다. 아울러 콘트롤케이스(1402)의 상면에는 별도의 탑커버(1450)가 덮여 외관을 완성한다.Next, the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를 결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본체(B)를 버툼케이스(1002)에 안착시켜 고정한 후, 제 1 및 제 2 볼트(B1,B2)를 이용하여 버툼케이스(1002) 및 정수탱크(T1)에 프론트케이스(1302)를 긴밀하게 고정하고, 제 3 및 제 4 볼트(B3,B4)를 이용하여 버툼케이스(1002) 및 정수탱크(T1)에 리어케이스(1502)를 긴밀하게 고정한다. Looking briefly how to combine the cas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first fixed the main body (B) by mounting on the bottom case (1002), the first and second bolts (B1, B2) The
이어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를 약간 뒤쪽에서 버툼케이스(1002) 및 리어케이스(1502)에 밀착시킨 다음 프론트케이스(1302) 방향으로 밀어, 제 1 및 제 2 슬릿돌기(1112,미도시)가 제 1 및 제 2 슬릿홈(1022,1024)에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가 프론트케이스(1302)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1332,1334)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을 관통해서 리어케이스(1502)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5 볼트(B5)를 체결한다.Subsequently, the first and
다음으로, 리드케이스(1602)의 선단이 아래쪽로 향하도록 기울여 삽입 핀(1642)을 프론트케이스(1302)의 제 1 내지 제 3 프론트측면(1312,1316,1318) 안쪽으로 삽입한 후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와 리어케이스(1502)에 안착시키면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와 제 3 및 제 4 교차돌기(1622,1624)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끼워진다. Next, the tip of the
이후,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에 콘트롤케이스(1402)를 끼우고, 탑커버(1450)를 덮은 후, 프론트케이스(1302) 하단에 물받이케이스(1305)를 결합하여 케이스의 조립을 완성한다. Thereafter,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중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는 탑케이스(1602)는 그 후단을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도 분리가 가능하고, 그 다음으로 빈번하게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는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에 관통 삽입된 제 5 볼트(B5)를 풀어낸 다음 약간 뒤쪽으로 밀면 간단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중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와 프론트케이스(1302)와 리드케이스(1602)은 서로의 연결부분이 엇갈려 끼워지는 형태를 나타내므로 틈새나 단차없이 조립될 수 있고, 프론트케이스(1302)와 리드케이스(1602)가 각각 정수탱크(T1)의 전후면을 지지함에 따라 그 내부에 저장된 정수압력 등에 의한 정수탱크(T1)의 형태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st frequently separated
이어서, 도 1과 함께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Subsequently, the main body B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eparately mentioned with reference to FIG. 1.
첨부된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은 본체(B)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체(B)의 분해사시도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ain body B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B,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B. FIG.
한편, 앞서 도 1을 참조해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와, 다수의 관로 및 밸브와, 구동펌프(M) 이외에도 냉각계통과 히팅계통과 제어부를 포함하는데, 도 8 및 도 9를 통해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와,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와, 구동펌프(M)와, 응축기(52), 냉각핀(1504), 냉매순환관(1506) 등 냉각계통의 일부와,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되는 PCB 케이스(1001)를 확인할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body B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이들 중 구동펌프(M), 응축기(52), 제 1 및 제 2 밸브(V1,V2)와 제 6 밸브(V6)는 버툼케이스(1002)에 안착되고, 이들 상부로는 제 5 밸브(V5)가 장착된 탱크부(100)와 필터부(400)가 배치되며, 탱크부(100) 전면에는 프론트케이스(1302)에 장착되는 배출부(700)가 위치한다. 아울러 본체(B)의 뒷편으로는 냉각핀(1504) 및 냉매순환관(1506)이 리어케이스(1502) 내부로 수직하게 배열되고, PCB 케이스(900)는 그외 버툼케이스(1002)의 여유공간에 고정된다.Among these, the driving pump M,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 본체(B)의 주요부분을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main part of the cold water purifier main body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s in detail.
먼저,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은 필터부(400)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평면 사시도에 해당되고, 도 11은 필터부(400)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낮은 곳에서 올려다본 저면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 12는 임의의 연수필터(F5)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각각 필터가 결합되는 유로하우징(500)의 제 1 유로플레이트(502)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15와 도 16은 각각 제 1 유로플레이트(502) 상면에 밀착되는 유로하우징(500)의 제 2 유로플레이트(602)에 대한 평면 도와 저면도이다.First, FIGS. 10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400)는 수평의 안정감 있는 박스형상을 나타내는 유로하우징(500) 및 이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필터(F1 내지 F5)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이중에서 유로하우징(500)은 복수의 필터(F1 내지 F5)가 장착되는 하단의 제 1 유로플레이트(502)와, 이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 1 유로플레이트(502)와의 사이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플레이트(602)의 상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필터(F1 내지 F5)는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와 연수필터(F5)를 포함한다.Of these, the flow path housing 500 forms a plurality of flow paths between the first
이때, 필터(F1 내지 F5)들은 원기둥 내지는 이와 유사한 모양을 나타내며, 각각의 상단에는 제 1 유로플레이트(502)와 긴밀하게 결합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5 회전플렌지(402,404,406,408,412)가 마련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lters F1 to F5 have a cylindrical or similar shape, and each of the first to fifth
이들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5)와 연수필터(F5)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발명 출원번호 10-2006-0063142호를 통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임의의 연수필터(F5)에 대한 단면도인 도 12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연수필터(F5)는 각각의 용도에 알맞은 물질, 예컨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통 모양의 상단에 제 5 회전플렌지(412)가 돌출되고, 상기 제 5 회전플렌지(412) 안쪽으로는 해당필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유입공(422)과 유출공(432)이 각각 관통된다. 그리고 이중에서 유출공은 소정길이의 유출관(440)을 통해 그 내부로 연장되어 하단에 도달되는바, 유입공(422)으로 유입된 물은 연수필터(F5) 내부 의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후 유출공(432)을 통해 배출된다.These first to fourth water purification filters (F1 to F5) and the soft water filter (F5) are introduced in detail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63142 by the present applicant to any soft water filter (F5) for convenience. 12,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ft water filter F5, the fifth
한편, 이상의 연수필터(F5)에 대한 내부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유입공(422)으로 유입된 물이 필터 내부의 필요물질을 경유한 후 유출공(432)으로 배출될 수 있는 한 세부적 형태는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ft water filter (F5) is only an example, as long a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유로플레이트(502)의 저면에는 각각의 필터(F1 내지 F5)가 일대일 대응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제 1 내지 제 5 고정플렌지(512,522,532,542,552)가 하방 돌출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해당 필터의 유입공과 연결되는 입수홀과 유출공과 연결된 유출홀이 관통된다.13 and 14, a plurality of first to fifth fixed flanges 512, 522, 532, 542 and 552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이때, 제 1 정수필터(F1)와 연결되는 두 홀을 제 1 유입홀과 유출홀(514,516), 제 2 정수필터(F2)와 연결되는 두 홀을 제 2 유입홀과 유출홀(524,526), 제 3 정수필터(F3)와 연결되는 두 홀을 제 3 유입홀과 유출홀(534,536), 제 4 정수필터(F4)와 연결되는 두 홀을 제 4 유입홀과 유출홀(544,546), 연수필터(F5)와 연결되는 두 홀을 제 1 유입홀과 유출홀(554,556)이라 하면, 제 1 및 제 2 유로플레이트(502,602)의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는 제 1 유입홀(514)에 연결된 제 1-1 유로(L1-1)와, 제 1 유출홀(516)과 제 2 유입홀(524)을 연결하는 제 1-2 유로(L1-2)와, 제 2 유출홀(526)과 제 3 유입홀(534)을 연결하는 제 1-3 유로(L1-3)와, 제 3 유출홀(536)과 제 4 유입홀(544)을 연결하는 제 1-4 유로(L1-4)와, 제 3 유출홀(546)과 연결된 제 2 유로(L2)와, 제 1-3 유로(L1-3)와 제 5 유입홀(554)을 연결하는 제 8 유로(L8)와, 제 5 유출홀(556)과 연결된 제 9 유로(L9)가 형성된다.In this case, two hole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filter F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nd outlet holes 514 and 516, and two hole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filter F2 may be the second inlet and outlet holes 524 and 526. Two holes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filter F3 are connected to the third inlet and outlet holes 534 and 536, and two holes connected to the fourth water filter F4 to the fourth inlet and outlet holes 544 and 546 and the soft water filter. When the two holes connected to the F5 are called the first inflow hole and the outflow holes 554 and 556, the first and second
이 경우 특히 제 1-2 유로(L1-2)는 중간이 단절되어 제 1 유출홀(516)에 연결된 일단과 제 2 유입홀(524)에 연결된 타단으로 나뉘어 있지만, 제 2 유로플레이트(602)에는 제 1-1 유로(L1-1)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구(612)와, 제 1-2 유로(L1-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및 제 3 연결구(614,622)와, 제 2 유로(L2)에 연결되는 제 4 연결구(642)와, 제 9 유로(L9)에 연결되는 제 5 연결구(652)가 마련되는바, 외부의 원수를 제 1 연결구(612)로 공급하고, 제 1 밸브(V1)와 구동펌프(M)를 매개로 제 2 및 제 3 연결구(614,622)를 연결하며, 제 4 연결구(642)를 정수탱크(T1)에 연결하고, 제 5 연결구(652)를 제 2 배출구(900)로 연결하면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관로의 구성과 동일하게 된다.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second flow path L1-2 is divided into one end connected to the
따라서, 각각의 '유로'는 도 1의 '관로'에 대응되는 요소이므로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Therefore, each 'euro' is a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ipe' of FIG.
다음으로, 첨부된 도 17과 도 1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 본체(B)의 탱크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은 탱크부(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는 탱크부(100)의 일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다.Next, FIGS. 17 and 1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탱크부(100)는 정수탱크(T1), 냉각탱크(T2), 히팅탱크(T3)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정수탱크(T1)의 일측 하단에 냉각탱크(T2)가 일체로 마련되어 물 순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순환홀(252)이 관통된 순환플레이트(250)로 구획되고,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는 정수탱크(T1) 상면을 덮는 리드캡(150)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된다. 그리고 히팅탱크(T3)는 별도로 존재한다. As shown, the
이때, 정수탱크(T1)의 일측에는 별도의 제 1 튜브 등을 통해 필터부(400)의 제 4 연결구(642)와 연결되어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홀(120)이 관통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정수탱크(T1) 내부의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정수배출홀(124,126)이 각각 관통되어 제 1 정수배출홀(124)은 별도의 제 2 튜브 등을 통해 히팅탱크(T3)의 정수공급홀(172)과 연결되며 제 2 정수배출홀(126)은 제 5 밸브(V5)를 매개로 별도의 제 3 튜브 등을 통해 배출부(700)의 제 2 배출구(900)과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부(400)의 제 4 연결구(642)와 정수탱크(T1)의 정수유입홀(120)을 연결하는 제 1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2 관로(L2)의 일부를 이루고, 정수탱크(T1)의 제 1 정수배출홀(124)과 히팅탱크(T3)의 정수공급홀(172)을 연결하는 제 2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4 관로(L4)를 이루며, 제 5 밸브(V5)를 매개로 정수탱크(T1)의 제 2 정수배출홀(126)과 배출부(700)의 제 2 배출구(900)를 연결하는 제 3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7 관로(L7)를 이룬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T1) is connected to the
또한, 비록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히팅탱크(T3) 내에는 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제 1 히터(미도시)가 내장되고, 냉각탱크(T2) 내에는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222)이 내장되어 응축기(52)를 비롯한 냉각핀(1504) 및 냉매순환(1506)관과 연결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ing tank T3 includes a first heater (not shown) capable of heat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이때 특히 냉각탱크(T2)에는 물 가열을 위한 별도의 제 2 히터(232)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 2 히터(232)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기(旣) 설정된 일정 시간간격마다 발열하여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 내부의 물을 끓임으로써 해당 공간을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과 달리 냉각코일(222)과 동 떨어진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정수탱크(T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시된 도면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바, 정수탱크(T1)의 내부 일측 하단에 냉각탱크(T2)가 단차지게 구비되어 물순환이 가능한 순환플레이트(252)로 구획되는 동시에 냉각탱크(T2) 내에 제 2 히터(232)가 내장되는 이유는 대류현상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 냉각탱크(T2)에는 비중이 높은 저온의 냉 정수가 저장되고 정수탱크(T1)에는 비중이 낮은 실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반면, 제 2 히터(232)의 발열에 의해 냉각탱크(T2)의 냉 정수가 가열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지므로 정수탱크(T1)의 정수와 활발히 순환되고, 이로써 정수탱크(T1) 및 냉각탱크(T2) 전체가 빠르게 가열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cooling tank (T2)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하지만 이는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으로, 도면과 달리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가 별도로 이루어져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히터(232)가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is can be modified as much as possible, unlike the drawing, the purification tank (T1) and the cooling tank (T2) may be made of a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2 기능으로서,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T1)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T2)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할 수 있다.As a result, as a second function of the cold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T1 for water purification and the cooling tank T2 for cold water storage may be sterilized by themselves.
그 외에도 정수탱크(T1)를 밀폐하는 리드캡(150)의 세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리드캡(150)의 해당 가장자리와 정수탱크(T1)의 상 끝단을 함께 고정하는 복수의 회전클립(152)이 설치되고, 정수탱크(T1)의 일 측면 상단을 따라서는 복수의 걸림홈(122)이 마련되는 한편, 이와 대응되는 리드캡(150)의 나머지 일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삽입되는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54)가 동수(同數)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드캡(150)을 기울여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22)에 먼저 결합되게 한 후 리드캡(150)을 정수탱크(T1)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복수의 회전클립(152)으로 리드캡(150)의 가장자리와 정수탱크(T1) 상 끝단을 긴밀하게 결합하여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를 외부로부터 유격없이 격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ong the three edges of the
또한, 냉각탱크(T2) 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온도센서(142,144)가 마련되어 온도를 감지하는데, 이들 온도센서(142,144)는 각각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제 2 히터(232)의 발열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가열을 막기 위한 것이며,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히터(232)가 정수탱크(T1)에 장착된다면 적어도 두 개의 온도센서(142,144)는 정수탱크(T1)에 설치될 수 있고,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가 분리된 채 각각에 제 2 히터(232)가 내장된다면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에 각각 두 개 이상의 온도센서(142,144)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두 개의 온도센서(142,144)는 각각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온도가 하강하면 냉각코일(222)의 냉각구동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과 냉각을 방지하는 한편, 히팅탱크(T3)에는 온 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또한, 정수탱크(T1) 내에는 서로 다른 수위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플로트센서(132,134)가 설치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기(旣) 설정된 최고수위에 도달될 경우에 정수공급을 차단하도록 제 1 밸브(V1)를 오프하고, 최저수위에 도달될 경우에 정수공급이 재개되도록 제 1 밸브(V1)를 온 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t least two
한편, 미설명 부호 174은 제 4 밸브(V4)를 매개로 별도의 제 4 튜브 등을 통 해 히팅탱크(T3) 내부의 온 정수를 제 1 배출구(800)로 공급하는 온수공급구를 나타내고, 176은 별도의 제 5 튜브 등을 통해 히팅탱크(T3) 내부의 온 정수를 드레인 하기 위한 제 1 드레인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 4 밸브(V4)를 매개로 히팅탱크(T3)의 온수공급구(174)와 제 1 배출구(800)를 연결하는 제 4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6 관로(L6)를 이루고, 히팅탱크(T3)의 1 드레인구(176)에 연결되는 제 5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1 드레인관로(D1)를 이룬다.On the other hand,
다음으로,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 본체(B)의 배출부(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는 프론트케이스(1302) 및 컨트롤케이스(1402)와 배출부(7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0는 배출부(7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0과 도 21은 각각 배출부(700)의 일부인 제 2 배출부(900)의 저면사시도와 단면도이다.Next, FIGS. 19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700)는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제 1 배출구(800)와 정수 및 연수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9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이때, 특히 제 1 배출구(800)는 그 위치가 고정되는 반면, 제 2 배출구(9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온 정수기의 내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일례로 제 1 배출구(800)는 냉온 정수기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에 고정된 수전구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제 2 배출구(900)는 모터(950)의 회전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냉온 정수기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으로부터 추출 또는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Look at each one in more detail.
먼저, 제 1 배출구(800)는 냉온 정수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냉/온 원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 제 1 및 제 2 홀(812,814)이 관통된 제 1 배출구하우징(810)과 토출구(832)가 관통된 제 2 배출구하우징(830)의 상하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배출구(800)는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를 관통해서 컨트롤케이스(1402) 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배출구하우징(810)의 제 1 홀(812)은 제 3 밸브(V3)를 매개로 별도의 제 6 튜브 등을 통해 냉각탱크(T2)에 연결되고, 제 2 홀(814)은 제 4 밸브(V4)를 매개로 앞서 언급된 별도의 제 4 튜브 등을 통해 히팅탱크(T3)의 온수공급구(17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3 밸브(V3)를 매개로 냉각탱크(T2)와 제 1 배출구하우징(810)의 제 1 홀(812)을 연결하는 제 6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5 관로(L5)를 이룬다. First, the
그 결과 냉 정수와 온 정수는 제 1 배출구(800) 내에서 합류되어 토출구(83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배출구(800)의 양측에는 이중슬릿 구조의 가이드단(840)이 마련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ld and warm purified water are combined in the
다음으로, 제 2 배출구(900)는 냉온 정수기의 일측으로부터 삽입 또는 추출되면서 연수 및 정수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해당 동작을 위해 렉 앤 피니언의 구동방식을 응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수공이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컨트롤케이스(1402) 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추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Next, the
이때, 연수와 정수는 그 사용목적이 다르므로 혼입의 여지없이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제 2 배출구(900)는 한 쌍의 나란한 파이프 형상의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로 구분되어 각각의 선단 저면에 정수배출을 위한 제 1 출수 공(916)과 연수배출을 위한 제 2 출수공(926)이 관통될 수 있고, 이중 제 1 출수구(912)의 후단은 제 5 밸브(V5)를 매개로 앞서 언급된 별도의 제 3 튜브 등을 통해 정수탱크(T1)와 연결되며, 제 2 출수구(922)의 후단은 제 6 밸브(V6)를 매개로 별도의 제 7 튜브 등을 통해 필터부(400)의 제 2 유로플레이트(602) 중 제 5 연결구(652)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유로플레이트(602)의 제 5 연결구(652)와 제 2 출수구(922)를 연결하는 제 7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9 관로(L9)의 일부를 이룬다.In this case, the soft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of their purpose of use, and thus it is preferable to be separated without limitation. The
그 결과 제 2 배출구(900) 내에서 정수와 연수는 서로 혼입될 여지가 없고, 제 1 출수구(912)의 제 1 출수공(916)을 통해서는 정수가, 제 2 출수구(922)의 제 2 출수공(926)을 통해서는 연수가 배출된다.As a result, the purified water and the soft water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그리고 이러한 제 2 배출구(900)는 컨트롤케이스(1402) 저면으로부터 삽입 또는 추출될 수 있도록 모터(950)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렉 앤 피니언의 구동방식을 취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는 브릿지(920)로 연결되고, 모터(950)는 별도의 모터브라킷(940)을 매개로 제 1 배출구(800)에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모터(950)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960)과 치합되는 렉(9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 1 배출구(800)의 가이드단(840)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930)가 마련되며, 이로써 제 2 배출구(900)는 제 1 배출구(800)에 가이드된 상태로 모터(95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콘트롤케이스(1402) 저면으로부터 추출되고 모터(950)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다시 삽입된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제 2 배출구(900)의 삽입 및 추출동작은 컨트롤케이스(1402)에 마련된 레버(1408)로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perations of the
여기서 더 나아가 제 2 배출구(9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추출정도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홈(936)이 형성된 위치표시돌기(934)가 마련되고, 프론트케이스(1302)의 내면 소정의 위치에는 광센서(980)가 구비되어 정지홈(936)을 감지한다. 그 결과 광센서(980)의 감지결과에 따라 모터(950)의 온/오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 2 배출구(900)의 삽입 및 추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은 컨트롤케이스(1402)에 마련된 레버(1408) 또는 버튼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Further, the extraction outlet of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배출구(800) 일측에는 상하방향의 중공이 관통된 별도의 램프하우징(820)이 마련되어 자외선 램프(850)가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자외선 램프(850)는 제 1 배출구(800)에 고정된 상태로 냉/온 정수의 출수방향으로 자외선을 발하여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850)의 구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케이스(1402)로부터 노출 설치된 버튼이나 레버로 해당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one side of the
한편,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14와 924는 각각 제 1 및 제 2 출수구(912,922) 내에서 정수와 연수가 지나는 내부통로를 표시하고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으로,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교 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3은 탱크부(100)와 필터부(400)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4와 도 25는 각각 필터부(400)의 서로 다른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Next, FIGS. 23 to 25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lter exchange method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400)는 냉온 정수기의 본체, 바람직하게는 탱크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90°이하 각도범위에서 회전되어 필터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이를 위해 필터부(400)의 유로하우징(500) 양측으로부터는 한 쌍의 힌지돌기(504)가 돌출되고, 탱크부(100), 엄밀하게는 정수탱크(T1)의 저면에는 상기 힌지돌기(504)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힌지고정단(302)이 마련된다. 따라서 필터부(400)는 한 쌍의 힌지돌기(504)를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일정 정도 회전 가능한데, 회전각도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필터부(400) 등에 연결된 각종 튜브들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90°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정수탱크(T1)의 저면으로부터는 필터부(400)의 수평을 고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돌기(306)와, 일정각도의 회전 상태를 고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고정단(304)이 구비되는바, 수평상태를 0°라 하면, 필터부(400)는 상기 준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90°이내의 각도범위에서 회전되고, 회전고정단(304)을 체결하면 그 회전상태가 고정된다. To this end, a pair of
따라서, 필터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필터부(400)를 기울인 후 회전고정단(304)으로 고정하면 보다 용이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고, 필터교환이 완료된 후 회전고정단(304)을 풀어내면 유로하우징(500)이 스토퍼돌기(306)에 걸려 다시 수평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필터교환이 한결 용이해진다.Therefore, when the filter is to be replaced, the
한편, 미설명 부호 506은 힌지돌기(502)와 힌지고정단(302)의 결합 후 힌지돌기(50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구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어부(1000) 및 이와 관련된 연동요소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해당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기능 및 동작 전반을 정리한다.Finally, Figure 2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이때, 앞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크게 다섯 가지 고유 기능을 나타낸다. 즉, 첫 번째는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를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이고, 두 번째는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T1)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T2)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이고, 세 번째는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하는 제 3 기능이고, 네 번째는 정수 및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배출구(900)가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제 4 기능이고, 다섯 번째는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400)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이다.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five unique functions. That is, the first is the first function to generate the purified water and soft water to distinguish between cold / hot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soft water, the second is the purified water tank (T1) for purified water storage and the cooling tank (T2) for cold purified water storage ) Is a second function of autoclaving itself, and the third function is a third function of ultraviolet disinfection of a user's cup or the like close to the
이 중에서 제 5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1000)를 통해 수행되며, 이를 위한 제어부(1000)는 다수의 버튼(1406) 및 레버(14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사항과 각종 센서, 예컨대 정수탱크(T1) 내의 플로트센서(132,134) 및 온도센서(142,144)와 배출부(700)의 광센서(980)의 검지결과를 토대로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와, 모터(700)와, 자외선 램프(850)를 제어하는 마이컴 등의 논리연산회로로 이루어진다.The rest of the functions except for the fifth function are performed by the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크게 다섯 가지의 동작모드를 나타낸다. 첫 번째는 '대기모드'로서 정수를 생성하여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각각 일정량의 정수 및 일정량, 일정온도의 냉/온 정수를 유지하고, 두 번째는 '냉/온 정수 배출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배출구(800)를 통해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저장된 냉/온 정수를 배출하고, 세 번째는 '자외선 소독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외선 램프(850)가 자외선을 발하여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소독하고, 네 번째는 '정수 또는 연수 배출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2 배출구(900)의 삽입 및 추출정도를 조절한 후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정수 또는 연수를 배출하고, 다섯 번째는 '자체살균 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제 2 히터(232)가 발열하여 정수탱크(T1) 및 냉수탱크(T2)를 살균한다.As a result,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five operating modes. The first is the 'standby mode' to generate the purified water to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a certain amount of cooling and temperature constant in the cooling tank (T2) and heating tank (T3), including the purified water tank (T1), respectively The first is the 'cold / hot purified water discharge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rough the
그리고 이들 각각을 위해, 대기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제 6 밸브(V6)를 오프 시킨 상태로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정수와 냉/온 정수를 공급하고, 정수탱크(T1)의 플로트센서(132,134)가 최고수위를 감지하면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닫아 일정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설치된 온도센서(142,144,미도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냉각코일(222)과 제 1 히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냉/온 정수를 각각 일정온도로 냉각 및 가열한다.For each of these, in the standby mode,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냉/온 정수 배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제 3 및 제 4 밸브(V3,V4)를 열어 제 1 배출구(800)를 통해 냉/ 온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각각 정수와 냉/온 정수를 보충하고,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2)에 설치된 온도센서(142,144,미도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냉각코일(222)과 제 1 히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냉/온 정수를 각각 일정온도로 냉각 및 가열한다.Next, when the user presses a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자외선 소독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자외선 램프(850)를 구동시켜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한다. 이때, 해당모드는 가급적 수초 이내에 자동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ultraviolet disinfection mode' by pressing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레버(1408)를 돌린 후 버튼(1406) 등을 눌러 '정수 또는 연수 배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광센서(98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모터(950)를 구동시켜 제 2 배출구(900)가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추출되게 한 후, 제 5 밸브(V5)를 열어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정수가 배출되게 하는 동시에 제 1 밸브(V1)를 열어 정수를 보충하거나, 제 1 및 제 6 밸브(V1,V6)를 열어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Next,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때,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또는 삽입에 대한 선택은 레버(1408)의 회전방향에 따라 모터(95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이 될 수 있고,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또는 삽입정도에 대한 선택은 레버(1408)의 회전정도에 따라 모터(950)의 회전정도를 제어하는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 과정 중에 제어부(1000) 는 광센서(980)의 감지결과를 통해 제 2 배출구(90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후 정수 또는 연수배출이 종료되면 수초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ion for the extraction or insertion of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자체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냉수탱크(T2) 내의 제 2 히터(232)를 발열시켜 정수탱크(T1) 및 냉수탱크(T2) 내부의 물을 끓임으로써 해당공간을 살균한다.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self-sterilization mode' by pressing the
이때, 제어부(1000)는 냉수탱크(T2)에 설치된 온도센서(142,144)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 2 히터(232)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과열을 막고, 필요하다면 해당 모드 후 제 3 및 제 5 밸브(V3,V5)를 열어 정수탱크(T1)와 냉수탱크(T2) 내부를 완전히 비우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 같은 자체살균 모드는 가급적 정수 사용량이 많지 않은 야간이나 기타 지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부(1000)에는 별도의 타이머(2002)가 마련될 수 있고, 그외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유닛(2004)이 마련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상세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사용에 있어서 제어부(1000)는 제 1 밸브(V1)의 온 시간과 구동펌프(M)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필터사용량을 집계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 밸브(V6)와 제 6 밸브(V6)의 온 시간을 토대로 필터 사용량을 집계하는 것도 가능한데, 더 나아가 상기 집계결과를 각 필터별 최대정화가능유량과 비교하여 개별 필터의 오염정도 및 교체시기를 파악한 후 표시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교체시기 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5 기능을 이용하여 필터부(400)를 외부로 회전 추출시킨 후 각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s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은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바, 이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y should 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개략적인 블럭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외관사시도.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Figure 3 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se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일부분해 확대도.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에 대한 일부분해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일부분해 확대도.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에 대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에 대한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분해사시도.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filter uni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임의의 필터에 대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y filter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과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 중 제 1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13 and 14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irst flow path plate of the filter uni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 중 제 2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15 and 16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second flow path plate of the filter uni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분해사시도.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nk portion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일부 평면도.18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tank portion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및 배출부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1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and the discharge par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배출부에 대한 분해사시도.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배출부 중 제 2 배출구에 대한 저면 사시도.2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outlet of the outlet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배출부 중 제 2 배출구에 대한 단면도.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outlet of the outlet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와 필터부의 분해사시도.Figure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nk unit and the filter uni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와 도 2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회전상태 사시도.24 and 25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tate of the filter uni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어부 및 관련요소를 나타낸 블럭도.2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and related elements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26657 | 2008-03-22 | ||
KR1020080026657 | 2008-03-22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903A Division KR100893294B1 (en) | 2008-03-22 | 2008-04-11 |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1334A true KR20090101334A (en) | 2009-09-25 |
Family
ID=407577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903A KR100893294B1 (en) | 2008-03-22 | 2008-04-11 | Water purifier |
KR1020080070845A KR20090101334A (en) | 2008-03-22 | 2008-07-21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KR1020090010337A KR100919432B1 (en) | 2008-03-22 | 2009-02-09 | water purifi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903A KR100893294B1 (en) | 2008-03-22 | 2008-04-11 | Water purifi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0337A KR100919432B1 (en) | 2008-03-22 | 2009-02-09 |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3) | KR100893294B1 (en) |
TW (1) | TW201000195A (en) |
WO (1) | WO2009119997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791B1 (en) * | 2009-12-03 | 2012-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urifier with steriliz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182B1 (en) * | 2009-09-07 | 2016-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mon use case for desk and stand type water purifier |
CN106037476A (en) * | 2016-07-25 | 2016-10-26 | 盐城工学院 | Full-automatic composit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oiled water, ice water and purified water |
EP3862312A1 (en) * | 2020-02-10 | 2021-08-11 | Riprup Company S.A. | Beverage dispenser with efficient water filtration |
KR20220007918A (en) * | 2020-07-13 | 2022-01-20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379B1 (en) * | 1993-03-11 | 1996-01-26 | 정중석 | A water purifier apparatus |
KR0135923B1 (en) * | 1994-12-12 | 1998-04-25 | 이영서 | Apparatus for up-down of water purifier |
KR0169562B1 (en) * | 1996-03-26 | 1999-01-15 | 이영서 | Dispenser system of water purifier |
KR20000037348A (en) * | 1999-10-18 | 2000-07-05 | 이태희 | Water purifier with readily replaceable filter |
KR100487872B1 (en) * | 2002-02-19 | 2005-05-03 | 주식회사 위닉스 | Structure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KR20030075128A (en) * | 2002-03-16 | 2003-09-22 | 손영석 | Water purifier with digital pollutant measuring sense and water softener |
KR100455600B1 (en) | 2004-01-16 | 2004-11-06 | 심종섭 |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with sterilizing system of outlet cock |
KR200327659Y1 (en) * | 2003-06-19 | 2003-09-22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filter support apparatus of water-cleaner |
JP2005007347A (en) | 2003-06-20 | 2005-0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odialysis type water purifier |
KR100656961B1 (en) * | 2003-10-29 | 2006-12-13 | 이중호 |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
KR20050088004A (en) * | 2004-02-28 | 2005-09-01 | 정석동 | Sterilizing system for water dispenser or water purifier |
KR100583408B1 (en) * | 2004-04-02 | 2006-05-2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Having The Bacterium Removing Device |
KR100598900B1 (en) * | 2004-09-13 | 2006-07-1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having function for producing ion water |
KR200409577Y1 (en) * | 2005-12-14 | 2006-02-22 | 김시준 | wate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lamp |
KR100772889B1 (en) * | 2006-04-18 | 2007-11-02 | 주식회사 위닉스 | Water filters and water filter assembly connector and water purifier structure these |
JP4233576B2 (en) | 2006-05-30 | 2009-03-04 | 博多港管理株式会社 | Water heater |
-
2008
- 2008-04-11 KR KR1020080033903A patent/KR1008932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7-21 KR KR1020080070845A patent/KR2009010133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
- 2009-02-09 KR KR1020090010337A patent/KR10091943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3-19 TW TW098108928A patent/TW201000195A/en unknown
- 2009-03-20 WO PCT/KR2009/001452 patent/WO200911999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791B1 (en) * | 2009-12-03 | 2012-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urifier with steriliz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119997A2 (en) | 2009-10-01 |
KR100893294B1 (en) | 2009-04-17 |
KR100919432B1 (en) | 2009-09-29 |
WO2009119997A3 (en) | 2009-12-17 |
KR20090101337A (en) | 2009-09-25 |
TW201000195A (en) | 2010-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0698B1 (en) | water purifier | |
KR101705529B1 (en) | Water purifier with self cleaning means and cleaning method for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 |
KR100919432B1 (en) | water purifier | |
KR101070406B1 (en) | Tank typ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 |
KR20240117070A (en) | water purifier | |
KR100911682B1 (en) | Water purifier | |
KR20130008433A (en) | Device for clean water | |
KR10162761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 |
KR102656807B1 (en) | Water purifier | |
US20080257802A1 (en) | Advanced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means | |
KR100918630B1 (en) | Water purifier | |
KR20100009985A (en) | Cold and warm water purifier | |
KR19980069541A (en) | Sterilizer of Water Dispenser | |
KR101934572B1 (en) | Water purifier being easy to assemble/disassemble | |
CN109717748A (en) | The water intaking portion assembly of drinking water dispenser | |
KR20120047139A (en) | Water purifier with self cleaning means and cleaning method for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 |
KR101358277B1 (en) | Device for clean water | |
KR950001016Y1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KR20110056160A (en) | Water puri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ng apparatus | |
KR19990005673A (en) | Water distributor | |
KR19990005671A (en) | Cooling structure of cold water container for water distributor | |
KR19980069523A (en) | Cold water extraction structure of cold water container for water distributor | |
KR19980069527A (en) | Leg Lock of Water Dispenser | |
KR19980069531A (en) | Heat exchanger of water distributor | |
KR19980069539A (en) | Intake device of water distribu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7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