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236A -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4236A KR20090054236A KR1020070120996A KR20070120996A KR20090054236A KR 20090054236 A KR20090054236 A KR 20090054236A KR 1020070120996 A KR1020070120996 A KR 1020070120996A KR 20070120996 A KR20070120996 A KR 20070120996A KR 20090054236 A KR20090054236 A KR 200900542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storage
- gate
- electrodes
- electrode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90 anti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9236 CoFe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321 Co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041 Pt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59—Cell acces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75—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93—Timing circuits or metho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Abstract
메모리 소자 및 그의 동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체, 상기 데이터 저장체 상에 구비된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을 상에 순차로 적층된 게이트절연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스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메모리 소자(이하, 종래의 메모리 소자)의 단위 셀(unit cell)은 스토리지 노드 및 그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다. 스위칭 소자는 스토리지 노드로의 신호의 접근(access)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 소자로는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가 주로 사용된다.
이렇게 종래의 메모리 소자는 단위 셀 각각에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의 셀 면적을 줄이기 힘든 문제가 있다.
예컨대, 단위 셀에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셀 면적은 8F2(F : feature size)인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6F2의 셀 면적을 갖는 디램도 제안되고 있으나, 그의 셀 면적을 4F2 이하로 줄이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및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도 모두 스토리지 노드 각각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갖기 때문에, 그의 셀 면적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셀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체; 상기 데이터 저장체 상에 구비된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을 상에 순차로 적층된 게이트절연층 및 제2 전극(이하,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스택;을 구비하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전극은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공유되며,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스택 사이 각각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채널층 및 상기 게이트스택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배선 형태이고, 상기 채널층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이격된 도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마련된 경우,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더미전극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더미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들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이 더 구비되며, 상기 채널층은 상기 도전성 더미셀과 상기 게이트스택들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체는 MTJ(Magnetic Tunneling Junction) 셀을 포함하거나, 저항변화층, 상변화층 및 강유전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상기 채널층 사이에 저항성 베리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체, 상기 데이터 저장체 상에 구비된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을 상에 순차로 적층된 게이트절연층 및 제2 전극(이하,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스택을 구비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방향으로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전류는 쓰기 전류, 읽기 전류 및 소거 전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공유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스택 사이 각각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제1 전압을 인가하고, 그를 제외한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는 0V일 수 있다.
상기 채널층 및 상기 게이트스택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배선 형태이고, 상기 채널층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이격된 도선이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도선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더미전극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더미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들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이 더 구비되며, 상기 채널층은 상기 도전성 더미셀과 상기 게이트스택들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상기 전위차를 형성할 때,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제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에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는 0V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된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전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채널을 오프시키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나머지 게이트전극에 제2 게이트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데 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체에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더미전극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더미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들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이 더 구비되며, 상기 채널층은 상기 도전성 더미셀과 상기 게이트스택들 사이로 연장된 경우,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된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전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채널을 오프시키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나머지 게이트전극에 제2 게이트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체에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상기 전위차를 형성할 때,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체는 MTJ(Magnetic Tunneling Junction) 셀을 포함하거나, 저항변화층, 상변화층 및 강유전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상기 채널층 사이에 저항성 베리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 및 그의 동작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전극(100) 상에 데이터 저장체(200)가 구비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체(200)는 그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저항상태, 예컨대, 저저항상태와 고저항상태를 갖는다. 데이터 저장체(200)는 MTJ(magnetic tunneling junction) 셀일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체(200)는 순차로 적층된 자유층(free layer)(10), 터널링층(20), 고정층(pinned layer)(30) 및 반강자성층(anti-ferromagnetic layer)(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층(10)과 고정층(30)은 강자성층이고, 터널링층(20)은 전자의 터널링을 위한 절연층으로서, 산화물층일 수 있다. 일례로, 자유층(10), 터널링층(20), 고정층(30) 및 반강자성층(40)은 각각 CoFeB층, MgO층, CoFeB층 및 PtMn층일 수 있다. 반강자성층(40)이 고정층(30)의 자화방향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정층(30)의 자화방향 은 소정 방향으로 고정된다. 자유층(10)의 자화방향은 데이터 저장체(200)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서 자유층(10), 고정층(30) 및 반강자성층(40)에 도시된 화살표는 그들 각각이 가질 수 있는 자화방향의 일례를 나타낸다. 자유층(10)이 고정층(30)과 같은 자화방향을 가질 때, 데이터 저장체(200)는 평행상태(parallel state)에 있다고 하고, 데이터 저장체(200)의 저항은 낮다. 반면, 자유층(10)이 고정층(30)과 반대의 자화방향을 가질 때, 데이터 저장체(200)는 반평행상태(anti-parallel state)에 있다고 하고, 데이터 저장체(200)의 저항은 높다.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저장체(200)의 구조는 MTJ 셀 구조의 일례에 불과하다. 데이터 저장체(200)로 사용될 수 있는 MTJ 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TJ 셀 구조를 갖는 데이터 저장체(200)는 그 위·아래가 역전될 수 있고, 고정층(30)과 반강자성층(40) 사이에 비자성 분리층(예, Ru층)과 강자성층(예, CoFe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체(200)는 MTJ 셀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 예컨대, RRAM, PRAM 및 FRAM 등에서 사용되는 저장유닛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데이터 저장체(200)는 저항변화층, 상변화층 및 강유전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저장체(200) 상에 적층패턴(300)이 구비되어 있다. 적층패턴(300)은 순차로 적층된 채널층(50), 게이트절연층(60) 및 상부전극(이하, 게이트전극)(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절연층(60)과 게이트전극(70)은 게이트스택을 구성할 수 있고, 채널층(50)은 상기 게이트스택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층(50) 물질로는 게이트전극(70)에 의해 전기적 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떤 물질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50)은 실리콘층 또는 강자성 반도체층이거나, Cr2O3층과 같은 반금속층(Half metal layer)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체(200)와 접한 채널층(50)의 일부를 제1 부분이라 하면,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된 채널층(50)의 제2 부분과 연결된 도선(4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전극(100)과 데이터 저장체(200) 사이에는 확산 방지를 위한 층으로서, TiN층과 같은 도전층이 구비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체(200)와 채널층(50) 사이에는 전류의 원치 않는 누설을 방지하고 그 밖의 다른 목적을 위해서, 마그네슘산화물층 또는 실리콘산화물층과 같은 저항성 베리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전극(100)은 적층패턴(300)과 교차하는 배선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메모리 소자에서는, 게이트전극(70), 하부전극(100) 및 도선(40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데이터 저장체(200)의 저항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채널층(50)에 채널이 형성되는데, 이때, 하부전극(100)과 도선(400)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데이터 저장체(200)를 통해 제1 또는 제2 방향(D1, D2)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전류의 크기 및/또는 인가 시간에 따라 데이터 저장체(200)는 저저항상태(평행상태) 또는 고저항상태(반평행상태)가 될 수 있다.
임계 전류(critical current)보다 큰 제2 방향(D2)의 전류에 의해 데이터 저장체(200)를 통해 제1 방향(D1)으로 전자가 이동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층(10)은 고정층(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화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층(30)과 같은 자화방향을 갖는 전자만이 고정층(30)을 통과하여 자유층(10)을 자화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임계 전류(critical current)보다 큰 제1 방향(D1)의 전류에 의해 데이터 저장체(200)를 통해 제2 방향(D2)으로 전자가 이동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층(10)은 고정층(30)과 반대 방향으로 자화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층(30)과 반대의 자화방향을 갖는 전자들이 자유층(10)에 축적(accumulate)되어 자유층(10)을 자화시키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은 구조에서는 하부전극(100)과 도선(400) 중 어느 하나가 소오스, 다른 하나가 드레인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층(50), 게이트절연층(60), 게이트전극(70), 하부전극(100), 도선(400) 및 데이터 저장체(200)는 일종의 스위칭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구조에 별도의 스위칭 소자를 부가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저장체(200)로의 신호의 접근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는 스위칭 소자 내에 데이터 저장체(200)가 구비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의 메모리 소자, 즉, 스토리지 노드와 스위칭 소자가 개별적으로 구비된 메모리 소자보다 작은 셀 면적, 예컨대, 4F2의 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는 도 1의 구조에서 변형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하부전극(100a, 100b) 상에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는 도 1의 데이터 저장체(200)와 등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 상에 그들을 연결하도록 적층패턴(3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의 구조에서는 제1 및 제2 하부전극(100a, 100b) 중 어느 하나가 소오스, 나머지 하나가 드레인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채널층(50)에 채널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 하부전극(100a, 100b)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를 통해 제1 또는 제2 방향(D1, D2)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전류의 크기 및/또는 인가 시간에 따라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는 저저항상태(평행상태) 또는 고저항상태(반평행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저장체(200a)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제1 방향(D1)이면, 제2 데이터 저장체(200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제2 방향(D2)이므로, 제1 및 제2 데이터 저장체(200a, 200b)는 서로 반대의 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3에서 하부전극(100a, 100b) 및 데이터 저장체(200a, 200b)의 수는 각각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세 개 이상의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 상에 데이터 저장체(200a∼200g)가 구비되고, 복수의 데이터 저장체(200a∼200g) 상에 그들을 연결하는 적층패턴(30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 상부에 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적층패턴(300a∼300g)이 구비되고, 하부전극(100a∼100g)과 적층패턴(300a∼300g)의 교차점에 데이터 저장체(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하부전극(100a∼100g)은 비트라인이라 칭할 수 있다.
도 5의 구조는 도 6과 같은 회로도로 나타낼 수 있고, 도 6에서 참조번호 50a∼50g 및 70a∼70g는 각각 도 5의 적층패턴(300a∼300g)에 대응하는 다수의 채널층 및 다수의 게이트전극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조는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과 이격된 더미전극(dummy electrode) 및 상기 더미전극과 적층패턴(300 또는 300a∼300g)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더미전극(100*)은 하부전극(100a∼100g)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더미셀(200*)은 금속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더미전극(100*) 및 더미셀(2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8의 구조는 도 9와 같은 회로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데이터의 쓰기방법, 즉, 프로그래밍 방법일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제1 전위차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앙의 하부전극(이하, 제4 하부전극)(100d)에 0V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양(+)의 제1 동작전압(VD1)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도 10a의 점선 처리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자들이 이동한다. 즉, 제4 하부전극(100d)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이하,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해 제2 방향(D2)으로 전자들이 이동하고,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과한 전자들은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로 분산된다. 따라서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에 흐르는 전류는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 각각에 흐르는 전류보다 크고,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만 선택적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때,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해 흐르는 전자의 방향은 제2 방향(D2)이기 때문에,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는 고저항상태(반평행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복수의 하부전극(100a∼100g)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제2 전위차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4 하부전극(100d)에 양(+)의 제1 동작전압(VD1)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도 10b의 점선 처리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자들이 이동한다. 즉, 제4 하부전극(100d)을 제외한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으로부터 그들 각각과 접하는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 및 채널층(50)을 거쳐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로 전자들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보다 크고,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만 선택적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때,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해 흐르는 전자들의 방향은 제1 방향(D1)이기 때문에,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는 저저항상태(평행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 후,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에 기록된 데이터가 무엇인지 판별하기 위해서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의 상태가 고저항상태(반평행상태)인지 저저항상태(평행상태)인지 알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0V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양(+)의 제2 동작전압(VD2)을 인가하거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70)에 문턱전압 이상의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양(+)의 제2 동작전압(VD2)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제2 동작전압(VD2)의 세기는 도 10a 및 도 10b의 제1 동작전압(VD1)의 세기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제4 데이터 저장체(200d)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프로그래밍을 위한 임계 전류보다 낮기 때문에,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의 상태는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의 상태에 따라 제4 하부전극(100d)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크게 달 라지기 때문에, 제4 데이터 저장체(200d)에 기록된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b와 유사한 도 12 및 그의 회로도인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N개의 하부전극(100(1)∼100(N)) 및 데이터 저장체(200(1)∼200(N))가 구비되어 있다. 게이트전극(70)에는 문턱전압 이상의 게이트전압(VG)이 인가된 상태에서, N개의 하부전극(100(1)∼100(N)) 중 어느 하나(이하, 제4 하부전극(100(4))에 제2 동작전압(VD2)이 인가되고, 나머지들에 OV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12에서 소정의 전류는 제4 하부전극(100(4)) 상의 데이터 저장체(이하, 제4 데이터 저장체)(200(4))를 통해 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로 분산되므로, 도 12는 도 13과 같은 회로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4 데이터 저장체(200(4))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과 같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하, 읽기 전류)의 크기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의 상태에 주로 의존하고, 상기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의 상태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표 1은 데이터 저장체(200(1)∼200(N))의 상태에 따른 상기 읽기 전류의 크기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 1에서 R1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의 저항을 나타내고, R(N-1)은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의 저항 의 합을 나타낸다. 표 1은 데이터 저장체(200(1)∼200(N))가 저저항상태일 때 1㏀의 저항을 갖고, 고저항상태일 때 3㏀의 저항을 가지며, N은 33이고, 제2 동작전압(VD2)은 0.1V인 경우에 대응하는 결과이다.
구 분 | R1(㏀) | R(N-1)(㏀) | 전체 저항(㏀) | 전체 전류(㎂) (읽기 전류) |
제1 조건 | 3 | 0.094 | 3.094 | 32 |
제2 조건 | 3 | 0.031 | 3.031 | 33 |
제3 조건 | 1 | 0.094 | 1.094 | 91 |
제4 조건 | 1 | 0.031 | 1.031 | 97 |
표 1에서 제1 조건은 제4 데이터 저장체(200(4))가 고저항상태를 갖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 또한 모두 고저항상태를 갖는 경우이고, 제2 조건은 제4 데이터 저장체(200(4))는 고저항상태를 갖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는 모두 저저항상태를 갖는 경우이다. 한편, 제3 조건은 제4 데이터 저장체(200(4))는 저저항상태를 갖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는 모두 고저항상태를 갖는 경우이고, 제4 조건은 제4 데이터 저장체(200(4)) 및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 모두 저저항상태를 갖는 경우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전체 전류(읽기 전류)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의 저항인 R1에 주로 의존하고, 상기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의 저항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R1이 3㏀인 경우와 1㏀인 경우 전체 전류(읽기 전류)가 최소 58㎂ 정도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의 읽기를 위한 충분히 큰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확보됨을 의미한다.
한편, N이 커질수록, 표 1의 R(N-1)은 감소하기 때문에, 도 13에서 하나의 적층패턴(300)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의 개수가 33개보다 훨씬 더 많다고 하더라도 메모리 소자의 동작에는 문제가 없다.
만약, 데이터 저장체(200(1)∼200(N))의 저저항상태의 저항과 고저항상태의 저항의 차이가 약 1000배 이상으로 매우 크고, 읽고자 하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의 저항이 저저항상태인 경우, 상기 읽기 전류는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의 저항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미전극(100*) 및 더미셀(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이 낮은 더미셀(200*)이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1)∼200(3), 200(5)∼200(N))와 함께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4 데이터 저장체(200(4))를 통과한 전류의 대부분은 저항이 낮은 더미셀(200*)을 통해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더미셀(200*)에 의해 R(N-1)은 크게 감소될 수 있고, 전체 전류(읽기 전류)는 제4 데이터 저장체(200(4))의 저항상태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더미전극(100*) 및 더미셀(200*)이 구비된 메모리 소자의 경우, 읽고자 하는 데이터 저장체가 연결된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읽고자 하는 데이터 저장체가 형성된 하부전극과 더미전극(10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소정의 읽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읽고자 하는 데이터 저장체가 형성된 하부전극과 더미전극(10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할 때, 상기 읽고자 하는 데이터 저장체가 형성된 하부전극과 그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전극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도 4의 구조를 갖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동작방법은 도 4의 구조를 포함하는 도 6의 메모리 소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6의 메모리 소자에서 다수의 게이트전극(70a∼70g)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도 10a 내지 도 11b에서 게이트전압(VG)이 인가되는 게이트전극(70)일 수 있다.
한편, 도 6의 메모리 소자에서 복수의 게이트전극(70a∼70g) 중 두 개 이상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하면, 게이트전압(VG)이 인가된 게이트전극들에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저장체에 동시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복수의 게이트전극(이하, 제1 내지 제7 게이트전극)(70a∼70g)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제1, 제2 및 제5 게이트전극(70a, 70b, 70e)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0V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제1 동작전압(VD1)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 및 제5 게이트전극(70a, 70b, 70e)과 제4 하부전극(100d)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고저항상태(반평행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4a에서 '0'이 기재된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상기 고저항상태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저장체들이다.
그 다음,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전극(이하, 제1 내지 제7 게이트전극)(70a∼70g) 중 나머지, 예컨대, 제3, 제4, 제6 및 제7 게이트전극(70c, 70d, 70f, 70g)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제1 동작전압(VD1)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3, 제4, 제6 및 제7 게이트전극(70c, 70d, 70f, 70g)과 제4 하부전극(100d)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저저항상태(평행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4b에서 '1'이 기재된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상기 저저항상태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저장체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하부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데이터 저장체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 저장체씩 프로그래밍하는 경우보다 프로그래밍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0a, 도 10b,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방법(쓰기방법)은 MTJ 셀을 데이터 저장체(200, 200a∼200g)로 사용하는 메모리 소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체(200, 200a∼200g)가 MTJ 셀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를 가질 때, 그에 따라, 전술한 동작방법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체(200, 200a∼200g)가 저항변화층이나 상변환층을 포함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가 RRAM이나 PRAM인 경우, 상기 저항변화층 및 상변화층은 세트전압(Vset) 및 리세트전압(Vreset)에 의해 그 상태가 변화된다. 이렇게 세트전압 및 리세트전압에 의해 저항상태가 변화되는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체를 갖는 메모리 소자의 경우,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게이트전극(70)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세트전압(Vset)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4 데이터 저장체(200d')가 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세트상태는 데이터 '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게이트전극(70)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리세트전압(Vreset)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4 데이터 저장체(200d')가 리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나머지 데이터 저장체(200a'∼200c', 200e'∼200g')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리세트상태는 데이터 '1'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세트전압 및 리세트전압에 의해 저항상태가 변화되는 데이터 저장체들이 다수의 행과 열을 갖고 배열된 메모리 소자의 경우에도, 도 14a 및 도 14b에서와 유사하게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저장체에 동시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a를 참조하면, 복수의 게이트전극(이하, 제1 내지 제7 게이트전극)(70a∼70g) 중 일부, 예컨대, 제1, 제2 및 제5 게이트전극(70a, 70b, 70e)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세트전압(Vset)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 및 제5 게이트전극(70a, 70b, 70e)과 제4 하부전극(100d)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6a에서 '0'이 기재된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상기 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저장체들이다.
그 다음,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전극(이하, 제1 내지 제7 게이트전극)(70a∼70g) 중 나머지, 예컨대, 제3, 제4, 제6 및 제7 게이트전극(70c, 70d, 70f, 70g)에 게이트전압(VG)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4 하부전극(100d)에 리세트전압(Vreset)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부전극(100a∼100c, 100e∼100g)에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하면, 제3, 제4, 제6 및 제7 게이트전극(70c, 70d, 70f, 70g)과 제4 하부전극(100d)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리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6a에서 '1'이 기재된 데이터 저장체들(200')이 상기 리세트상태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저장체들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9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0a 및 도 11a에서 제1 동작전압(VD1) 및 제2 동작전압(VD2)이 인가되는 하부전극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고, 도 10b 및 도 11b에서 0V의 전압이 인가되는 하부전극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도 14a 내지 도 16b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가해서, 도 10a, 도 10b, 도 14a 내지 도 16b의 동작방법은 데이터의 쓰기방법으로 설명되었지만 데이터의 소거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쓰기방법을 보여주는 사사도이다.
도 11a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읽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쓰기방법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쓰기방법을 보여주는 사사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쓰기방법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유층 20 : 터널링층
30 : 고정층 40 : 반강자성층
50, 50a∼50g : 채널층 60 : 게이트절연층
70, 70a∼70g : 게이트전극 100, 100a∼100g : 하부전극
100* : 더미전극 200, 200a∼200g : 데이터 저장체
200', 200a'∼200g' : 데이터 저장체 200(1)∼200(N) : 데이터 저장체
200* : 더미셀 300, 300a∼300g : 적층패턴
400 : 도선 D1, D2 : 제1 및 제2 방향
VD1, VD2 : 제1 및 제2 동작전압 VG : 게이트전압
Vset : 세트전압 Vreset : 리세트전압
Claims (26)
- 제1 전극;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체;상기 데이터 저장체 상에 구비된 채널층; 및상기 채널층을 상에 순차로 적층된 게이트절연층 및 제2 전극(이하,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스택;을 구비하는 메모리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공유되며,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스택 사이 각각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마련된 메모리 소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마련된 메모리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 및 상기 게이트스택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배선 형태이고, 상기 채널층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이격된 도선이 더 구비된 메모리 소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더미전극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더미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들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이 더 구비되며, 상기 채널층은 상기 도전성 더미셀과 상기 게이트스택들 사이로 연장된 메모리 소자.
- 제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체는 MTJ(Magnetic Tunneling Junction) 셀을 포함하거나, 저항변화층, 상변화층 및 강유전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
- 제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상기 채널층 사이에 저항성 베리어층이 더 구비된 메모리 소자.
-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체, 상기 데이터 저장체 상에 구비된 채널층, 및 상기 채널층을 상에 순차로 적층된 게이트절연층 및 제2 전극(이하,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스택을 구비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방향으로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는 쓰기 전류, 읽기 전류 및 소거 전류 중 어느 하나인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공유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스택 사이 각각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되며,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상기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배선 형태이고, 상기 게이트스택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의 교차점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가 구비되며,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제 1 전압을 인가하고, 그를 제외한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는 0V인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 및 상기 게이트스택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배선 형태이고, 상기 채널층에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이격된 도선이 더 구비되며,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상기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도선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더미전극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더미전극과 상기 게이트스택들의 교차점에 도전성 더미셀(dummy cell)이 더 구비되며, 상기 채널층은 상기 도전성 더미셀과 상기 게이트스택들 사이로 연장된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게이트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제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에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는 0V인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된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 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전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채널을 오프시키고,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나머지 게이트전극에 제2 게이트전압을 인가하고,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체에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된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체에 제1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전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채널을 오프시키고,상기 복수의 게이트전극 중 상기 제1 게이트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나머지 게 이트전극에 제2 게이트전압을 인가하고,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더미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상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체들 중 상기 제1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체에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체는 MTJ(Magnetic Tunneling Junction) 셀을 포함하거나, 저항변화층, 상변화층 및 강유전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데이터 저장층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체와 상기 채널층 사이에 저항성 베리어층이 더 구비된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0996A KR20090054236A (ko) | 2007-11-26 | 2007-11-26 |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0996A KR20090054236A (ko) | 2007-11-26 | 2007-11-26 |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4236A true KR20090054236A (ko) | 2009-05-29 |
Family
ID=4086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0996A KR20090054236A (ko) | 2007-11-26 | 2007-11-26 |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423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36978A1 (en) * | 2021-01-29 | 2022-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
-
2007
- 2007-11-26 KR KR1020070120996A patent/KR200900542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36978A1 (en) * | 2021-01-29 | 2022-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5184B1 (ko) | 전기장 및 자기장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저항특성을 갖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TW518597B (en) | MRAM-arrangement | |
US6944052B2 (en) |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MRAM) cell having a diode with asymmetrical characteristics | |
KR100878306B1 (ko) | 정보 저장 장치 | |
JP3906212B2 (ja) |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 |
JP5101125B2 (ja) | マグネティックドメイン移動を利用する磁気メモリ装置 | |
EP1329895A2 (en) | High-density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6861996B2 (ja) | 磁気抵抗効果素子及び磁気メモリ装置 | |
US8203875B2 (en) | Anti-parallel diod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 |
JP2004104127A5 (ko) | ||
US8780619B2 (en) | Magnetic memory element with multi-domain storage layer | |
US7885097B2 (en) | Non-volatile memory array with resistive sense element block erase and uni-directional write | |
EP1593126A1 (en) | Mram architecture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selectivity | |
US7414879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20150263068A1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30094282A1 (en) | Multi-bit spin-momentum-transfer magnetoresistence random access memory with single magnetic-tunnel-junction stack | |
JP3857658B2 (ja) |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 |
US20160203862A1 (en) | Memory device and access method | |
US20070195586A1 (en) | Magnetic memory device and methods thereof | |
TW202236269A (zh) | 儲存裝置 | |
KR20090054236A (ko) |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
JP4080795B2 (ja) | 磁気メモリ装置 | |
JP3844117B2 (ja) | メモリセル、記憶回路ブロック、データの書き込み方法及びデータの読み出し方法 | |
US7061795B2 (en) |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 |
KR20210053243A (ko) | 병렬로 소스 라인을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