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4478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786A
KR20090044786A KR1020070111032A KR20070111032A KR20090044786A KR 20090044786 A KR20090044786 A KR 20090044786A KR 1020070111032 A KR1020070111032 A KR 1020070111032A KR 20070111032 A KR20070111032 A KR 20070111032A KR 20090044786 A KR20090044786 A KR 2009004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kit
filter
moving
ai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786A/ko
Publication of KR2009004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쓸어내는 이동 청소 킷과;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청소 킷을 따라 이동된 이물질을 상기 이동 청소 킷과 분리시키는 분리 부재와; 상기 이동 청소 킷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동 청소 킷이 필터의 먼지를 공간부로 쓸어내고, 이동 청소 킷에 붙은 먼지가 분리 부재에 의해 분리되어 공간부로 낙하되므로, 필터에 있던 이물질이 이동 청소 킷 등에 남지 않고 모두 청결하게 처리될 수 있고, 필터가 이동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의 흩날림이나 공간 활용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70111032
공기조화기, 필터, 이동 청소 킷, 분리 부재, 흡입 안내 수단, 흡입 기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청소 킷이 필터의 이물질을 분리시키면서 이동되고, 분리 부재가 이동 청소 킷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며, 이동 청소 킷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흡입 안내수단을 통해 이동되어 처리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 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는 띠 형상의 에어 필터를 실내기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한 조출/권취용 축 사이에 걸쳐 흡입부에 이면으로부터 임하도록 걸치고, 한쪽축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 필터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이 에어 필터의 하단부 근방에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시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청소용 브러시의 하방에 청소용 브러시에 의해 긁혀 떨어진 먼지를 회수하는 더스트 박스(dust box)를 설치한 에어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 개시된 에어 필터 장치는, 에어 필터가 조출축과 권취용 축을 따라 회전되므로, 에어 필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에어 필터가 조출축을 따라 돌면서 에어 필터에 있던 이물이 더스트 박스 이외로 낙하될 수 있어 오히려 오히려 지저분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 브러시에 긁혀 떨어진 먼지 중 일부가 청소용 브러시에 붙게 되므로, 에어 필터의 청소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청소용 브러시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40호에는 공기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로운 흡입 노즐과, 그 흡입노즐에 연통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인배기하는 흡인 배기 장치와, 그 흡인 배기장치와 흡입 노즐을 연통시키는 신축이 자유로운 흡인 호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흡인 호스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 상자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일단부가 흡인 배기장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인 배기 장치에서 보아서 흡입 노즐의 반대측의 측면에 연결되어 중간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40호에 기재된 공기조화기는 흡인 호스의 중간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 경우, 흡입 호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되어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흡입 호스가 필터의 전방을 일부 막아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시 공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의 위치가 고정이고 이동 청소 킷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컴팩트화할 수 있고,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동 청소 킷 등에 이물질이 남지 않고 모두 처리되어 청결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청소 킷 등에 이물질이 남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청소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청소 운전시 소비전력을 최소화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쓸어내는 이동 청소 킷과;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청소 킷을 따라 이동된 이물질을 상기 이동 청소 킷과 분리시키는 분리 부재와; 상기 이동 청소 킷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이동 청소 킷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청소 킷 이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좌우 중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이동 청소 킷은 상기 청소 킷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게 연결된 청소 킷 바디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분리시키면서 좌우 방향으로 쓸어내도록 상기 청소 킷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측 브러시의 강성이 좌, 우측 브러시의 강성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단이 상기 공간부 보다 높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부재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이물질 통과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리부 각각은 돌출부와 홈부가 분리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교번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분리부는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 및 홈부가 교번 형성된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공간부 주변에 장착된다.
상기 공간부에 연결된 흡입 안내 수단과; 상기 흡입 안내 수단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흡입 안내수단에 연결된 흡입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안내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연결된 흡입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기구와; 상기 청소 킷 이동 기구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 기구에 의해 상기 이동 청소 킷이 상기 분리 부재와 접족되는 위치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흡입 기구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가 이동되는 경우 보다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먼지 날림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청소 킷에 붙어 있던 이물질이 분리 부 재에 의해 모두 분리되므로, 이동 청소 킷에 이물질이 남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동 청소 킷에 이물질이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청소 킷이 필터를 청소하므로, 장기간 사용 이후에도 청소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의 상측에 이동 청소 킷만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공기조화기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이동 청소 킷이 분리 부재와 접족되는 위치이면 흡입 기구가 동작되어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와;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200)을 포함한다.
본체(2)는 공기 흡입부(4)와 공기 토출부(6)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부(4)로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부(6)를 통해 토출하는 공조부로서, 이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체(2)는 공기 흡입부(4)가 본체(2)의 전면과 상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6)가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00)이 전방으로 전진되거나 상부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2)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흡입부(4)가 본체(2)의 상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6)가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00)이 본체(2)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공기 흡입부(4)가 본체(2)의 상부 특히 본체(2)의 상면측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부(6)가 본체(2)의 하부 특히 본체(2)의 하면측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과, 흡입 그릴(21)과, 토출 유닛(30)을 포함한다.
섀시(10)는 실내의 벽에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가 형성되며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스이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섀시(10)의 전방에 배치된다.
흡입 그릴(21)은 실내의 공기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게 하면서 그 하측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면 개구부인 공기 흡입부(4)에 그릴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가 개방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필터 청소 중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 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 및 흡입 안내수단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섀시(10)는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된 공기를 공기 토출부(6)로 안내하는 송풍 유로 가이드(12)가 형성되고, 송풍 유로 가이드(12)의 좌,우 중 하나의 옆에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13)가 형성된다.
섀시(10)에 형성된 송풍 유로 가이드(12)는 후술하는 팬(54)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가이드(15)(16)와, 좌,우 가이드(15)(16) 사이의 중앙 가이드(17)를 포함하고, 좌,우 가이드(15)(16) 중 하나에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섀시(10)는 전장부(13)에 후술하는 팬모터(5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모터 설치부(14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청소기구의 팬 하우징(181)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하우징 설치부(14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섀시(10)는 전장부(15)에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와, 이동기구(120)의 이동용 모터(121)와,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의 청소용 모터(182)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인 제어부(70)가 설치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고, 섀시(10)에 형성된 전장부(13)를 보호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상면과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면 개구부가 공기 흡입부(4)로 작용하고, 전면 개구부(5)가 서비스 등을 위한 서비스 홀로 작용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에 전면 개구부(5)가 전후 개구 형성되고,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 상측에 상면 개구부가 상하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상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되고,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연결 호스(33)가 연결되며, 드레인부(32)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에는 공기 토출부(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하는 베인(3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인(34)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35)가 설치되고, 공기 토출부(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3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4)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부(6)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를 포함한다.
송풍기(50)는 새시(10) 특히, 전장부(13)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4a)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팬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유로 가이드(12)에 위치되는 팬(54)과, 팬모터(52)를 덮도록 섀시(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를 포함한다.
팬(54)은 유로 가이드(15)(16)(17) 특히 좌,우 유로 가이드(15)(16)의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60)는 공기 흡입부(4)와 팬(5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2)의 공간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부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하단은 드레인부(32)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수직부(6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부(64)와,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부(6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80)와, 필터(8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80)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동 청소 킷(110)과, 이동 청소 킷(110)을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20)와, 이동 청소 킷(110)에 의해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 하는 처리 기구(160)를 포함한다.
필터(8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82)와, 수평부(82)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3)를 포함한다.
본체(2)에는 필터(8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90)이 설치된다.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부(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고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92)와, 수평부(92)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93)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가 열교환기(60)의 후방 경사부(66)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경사부(93)는 열교화기(60)의 전방 경사부(64)의 전방 상측에 전방 경사부(64)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90)에는 이동 청소 킷(1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경로 하측에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98)가 형성된다.
공간부(98)는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측에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수평부(92) 및 경사부(93)에 걸쳐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공간부(98)는 후술하는 청소 흡입력 발생 유닛이 작동되지 않으면, 이동 청소 킷(110)에 의해 쓸려진 이물질과 이동 청소 킷(1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일종의 이물질 저장부로서, 이동 청소 킷(110)의 하단으로 안내된 이물질도 흩어지지 않고 낙하되도록 이동 청소 킷(11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하단이 이동 청소 킷(110)의 하단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동 청소 킷(110)은 필터(8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80)의 이물질을 필터(80)에서 분리시키고 이물질을 처리 기구(160)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필터(80)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청소 킷(110)은 이동 기구(120)에 의해 이동되게 이동 기구(120)에 연결되고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9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청소 바디(112)와, 필터(80)의 이물질을 필터(80)에서 분리시키면서 분리된 이물질을 좌우 방향으로 쓸어내도록 형성된 브러시(114)를 포함한다.
청소 바디(112)는 필터(80)의 수평부와 대향되는 수평부와, 필터(80)의 경사부와 대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수평부와 경사부가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90)의 절곡 각도와 같거나 유사하게 절곡된다.
브러시(114)는 일부가 청소 바디(112)의 수평부에서 필터(80)의 수평부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나머지가 청소 바디(112)의 경사부에서 필터(80)의 수평부에 접촉되게 형성된다.
브러시(114)는 복수개(115)(116)(117)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하 좌,우 방향으로 좌, 중앙, 우측 브러시(115)(116)(117)를 포함한다.
브러시(114)는 좌측 브러시(115)와 우측 브러시(117)에 의해 필터(80)에서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이 중앙 브러시(117)에 의해 필터(80)에서 분리되도록 중앙 브러시(116)의 모가 좌,우측 브러시(115)(117)의 모 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된다.
이동 기구(120)는 필터 프레임(90)의 상부 또는 섀시(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케이스(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섀시(10)의 상부에 케이스(130)가 설치되고, 케이스(130)에 필터 프레임(90)과 이동 기구(120)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며, 이동 기구(120) 및 케이스(130)에 대해서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처리 기구(160)는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필터(80)를 따라 이동된 이물질이 이동 청소 킷(110)과 분리하게 하는 분리 부재(162)와; 이동 청소 킷(1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안내되도록 배치된 흡입 안내수단(170)과; 흡입 안내수단(170)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도록 흡입 안내수단(170)에 연결된 흡입 기구를 포함한다.
분리 부재(162)는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와 마찰되면서 브러시(114)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도록 복수개의 돌출부(16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분리 부재(162)에는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에 의해 쓸려진 이물질과 돌출부(163)에 의해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낙하되고,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이물질 통과홀(164)이 다수 형성된다.
분리 부재(162)는 공간부(98)의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상단 특히, 돌출부(163)의 상단은 공간부(98)의 개방된 상면 보다 돌출되게 위치된다.
흡입 안내수단(170)은 분리 부재(162)의 주변에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직접 흡입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간부(98)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간부(98)로 낙하된 혹은 낙하되는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공간부(98)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흡입 덕트(17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필터 프레임(90)의 공간부(98)에는 흡입 덕트(170)가 연통되는 개구부(99)가 형성되고, 흡입 덕트(170)는 개구부(99)에 연통되게 필터 프레임(90)에 설치된다.
흡입 덕트(170)는 상면이 개방된 하부 덕트(171)와, 하부 덕트(171)와의 사이에 이물질 및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덕트(172)를 포함한다.
흡입 덕트(170)는 하부 덕트(171)와 상부 덕트(172)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하부 덕트(171) 및 상부 덕트(172)의 입구부가 공간부(98)의 측판부에 형성된 개구 부(99)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하부 덕트(171) 및 상부 덕트(172)의 출구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 덕트(170)는 하부 덕트(171)와 상부 덕트(172)의 출구부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후술하는 연결호스(184)와 연결되는 커넥터(173)를 더 포함한다.
흡입 기구는 흡입 덕트(17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와,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담아 두고 공기만을 배출하는 집진 통(190)을 포함한다.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는 송풍기로서, 청소 팬하우징(181)과, 청소 팬하우징(181)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된 청소 팬과, 청소 팬을 회전시키도록 청소 팬하우징(181)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된 청소용 모터(182)를 포함하고, 청소 팬하우징(181)에 형성된 입구부(183)에 연결 호스(184)가 연결되고, 출구부(186)가 집진 통(190)과 통하게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일면이 개방된 집진 박스(191)와, 집진 박스(191)의 개방면을 막도록 집진 박스(191)와 결합되는 집진 커버(192)를 포함한다.
집진 통(190)은 청소 팬하우징(181)의 토출부(186)와 연통되어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93)가 형성되고, 집진 통(19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94)가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서로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되는 바, 집진 박스(191)에 흡입구(193)가 전후 개구되게 형성되고, 집진 커버(192)에 공기 배출구(194)가 상하 개구되게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집진 박스(191)의 내부에 ′U′자 형의 분리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195)이 형성되는 바, 격벽(195)은 집진 박스(191)의 저면부와 이격되도록 집진 커버(192)에서 집진 박스(19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40은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을 외부로 알리도록 이동 청소 킷(110)과 결합된 엘이디 어셈블리 등의 발광 장치로서, 발광 장치(140)에는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도록 리드 와이어(143)가 연결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215는 사용자 등이 전면 패널(200)을 열지 않고도 발광 장치(140)의 광을 알 수 있도록 전면 패널(200)에 형성된 투명부이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50은 발광 장치(140)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143)를 보호함과 아울러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필터 프레임(90)의 하부에 설치된 내측 커버로서, 내측 후방 커버(152)와, 내측 후방 커버(152)의 사이에 리드 와이어(143)가 위치되는 내측 전방 커버(154)를 포함한다.
내측 후방 커버(152)와 내측 전방 커버(154) 중 적어도 하나에는 리드 와이어(143)의 일부가 끼워지는 와이어 끼움부인 한 쌍의 리브(153)가 길게 형성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동 기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청소 킷(110)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동용 모터(121)와, 이동용 모터(121)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롤러(122)와 구동 롤러(122)와 이격되게 배치된 종동 롤러(123)와, 구동 롤러(122) 와 종동 롤러(123)에 감긴 벨트(124)를 포함한다.
이동용 모터(121)는 케이스(130)에 형성된 모터 삽입부(131)에 삽입되고, 모터 삽입부(131)에 옆에 형성된 보스(13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33)로 체결된다.
구동 롤러(122)는 이동용 모터(121)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게 연결된다.
종동 롤러(123)는 케이스(130) 중에서 모터 삽입부(131)의 반대편에 형성된 회전 지지부(1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벨트(124)는 와이어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에는 후술하는 캐리어(127)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24a)(124b)가 고정된다.
이동 기구(120)는 벨트(124)가 연결되고 흡입 유닛(110)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26)로 연결되는 캐리어(127)를 더 포함한다.
캐리어(127)에는 벨트(124)의 고정 부재(124a)(124b)가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127a)(127b)가 좌,우 형성된다.
캐리어(127)에는 커넥터(128)가 연결되고, 커넥터(128)에는 롤러(129)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터(128)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롤러(129)는 커넥터(128)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130)에는 커넥터(128) 및 롤러(129)가 내측에 위치되어 안내되는 가이드(136)가 설치되는 바, 가이드(136)는 케이스(13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37)로 체결되는 앵글(138)과 케이스(130)의 상단에 형성된 상판부(139) 사이 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가이드(136)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판부(136a)의 상단에 상판부(136b)가 전방으로 절곡되고, 후판부(136a)의 하단에 하판부(136c)가 전방으로 절곡되며,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커넥터(128) 및 롤러(129)는 상판부(136b)와 하판부(136c)의 사이에서 가이드(136)의 안내를 받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등의 각종 공조 운전 명령이나 필터 청소 등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10)와, 이동 청소 킷(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기구를 포함한다.
감지 기구는 이동 청소 킷(110)이 분리 부재(162)와 접촉되는 위치인 접속 위치(A)를 감지하는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2)와,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필터 청소 운전을 대기하는 초기 위치(B)를 감지하는 초기 위치 감지 기구(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입력부(210)의 입력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청소 운전 개시시 이동 청소 킷(110)을 초기 위치(B)에서 접속 위치(A)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기구(120)의 이동용 모터(121)를 제어하고,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에 위치되면 이동 청소 킷(110)이 초기 위치(B)를 향해 이동되도록 이동 기구(120)의 이동용 모터(121)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필터(80)의 청소 도중 즉,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도중에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동 청소 킷(110)이 분리 부재(162)와 접촉되는 위치 즉 접속 위치(A)에 위치할 때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70)는 소비 전력을 저감하도록 감지 기구 특히,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4)에 의해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210)를 통해 청소 명령이 직접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 등과 같이 기설정된 청소 운전의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70)는 이동 기구(120)의 이동용 모터(121)를 구동시킨다.
제어부(70)는 이동 청소 킷(110)이 도 3에 도시된 초기 위치(B)인 필터 프레임(90)의 좌측부 상측에 위치될 경우, 이동용 모터(121)를 전진 모드로 구동시킨다.
이동 청소 킷(110)은 이동용 모터(121)의 전진 모드시, 초기 위치(B)에서 접속 위치(A)를 향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 청소 킷(110)의 우측 슬라이드 이동시, 필터(80)에 붙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이동 청소 킷(110)의 우,중앙,좌측 브러시(114)에 의해 필터(80)에서 분리된다.
필터(8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이동 청소 킷(110)은 우,중앙,좌측 브러 시(114)에 붙어 우측 방향으로 쓸리면서 이동되고,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에 위치되면,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2)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70)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의 청소용 모터(182)를 작동시킨다.
한편,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에 위치될 때,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 및 브러시(114)에 붙은 이물질은 분리 부재(162)의 돌출부(163)와 마찰되면서 접촉되고, 이때 브러시(114)에 붙어 있던 이물질은 브러시(114)가 분리 부재(162)에 의해 휘었다가 탄성 복원되는 것에 의해 브러시(114)에서 털어지면서 분리된다.
즉, 분리 부재(162)는 브러시(114)를 털어서 브러시(114)에 붙어 있던 이물질을 떼어낸다.
상기와 같은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와 분리 부재(162)의 접촉시, 흡입 덕트(170) 및 공간부(98)에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고, 이물질은 공간부(98)의 주변에서 공간부(98)를 통해 흡입 덕트(170)로 흡입되는 공기에 휩쓸리면서 흡입 덕트(170)로 흡입된다.
흡입 덕트(170)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연결 호스(184)와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를 통과하여, 집진 통(190)의 내부로 유동되고, 이물질은 집진 통(190)의 내부에서 공기와 분리되어 집진 통(190)에 담겨지며, 공기는 집진 통(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어부(70)는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B)에 위치되기 시작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이동 기구(120)의 이동용 모터(121)를 역구동시킨다.
제어부(70)는 이동용 모터(121)를 후퇴 모드로 구동시킨다.
이동 청소 킷(110)은 이동용 모터(121)의 후퇴 모드시, 접속 위치(A) 에서 초기 위치(B)를 향해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와 같은 이동 청소 킷(110)의 좌측 슬라이드 이동시, 이동 청소 킷(110)의 브러시(114) 및 브러시(114)에 붙어 있던 이물질은 분리 부재(162)의 돌출부(163)와 재차 마찰되면서 접촉되고, 이동 청소 킷(110)의 우측 이동시 분리 부재(162)에 의해 미처 분리되지 못했던 이물질은 분리 부재(162)의 돌출부(163)에 의해 재차 분리된다.
한편,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를 벗어나면,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2)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70)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의 청소용 모터(182)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청소 킷(110)은 필터(80)를 따라 초기 위치(B)를 향해 이동되고, 이동 청소 킷(110)이 초기 위치(B)에 위치되면, 초기 위치 감지 기구(224)에 의해 감지되고, 이동 청소 킷(110)의 후퇴는 완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이동 청소 킷(110)이 초기 위치(B)와 접속 위치(A)를 1회만 왕복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고, 2회 이상 왕복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청소 킷(110)이 초기 위치(B)와 접속 위치(A)를 1회만 왕복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70)의 청소용 모터(182)를 작동시키기 시작한 이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 동안만 작동시키고, 이후 정지시킨다.
반면에, 제어부(70)는 이동 청소 킷(110)이 초기 위치(B)와 접속 위치(A)를 2회 이상 왕복 이동하는 경우,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청소 흡입력 발생기(170)의 청소용 모터(182)를 작동 정지시킨다.
즉, 이동 청소 킷(110)이 접속 위치(A)를 벗어나면, 접속 위치 감지 기구(222)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70)는 청소 흡입력 발생기(170)의 청소용 모터(182)를 작동 정지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필터 프레임 및 흡입 안내수단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부재(162′)가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분리부(165)(166)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분리부(165)(166) 각각은 돌출부(167)와 홈부(168)가 분리부(165)(166)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교번 형성된 요철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분리부(165)(166)는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부(167) 및 홈부(168)가 교번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분리부(165)(166) 중 좌측 분리부(165)의 돌출부(167) 옆 위치에는 복수개의 분리부(165)(166) 중 우측 분리부(166)의 홈부(168)가 위치되고, 복 수개의 분리부(165)(166) 중 좌측 분리부(165)의 홈부(168) 옆 위치에는 복수개의 분리부(165)(166) 중 우측 분리부(166)의 돌출부(167)가 위치되게 형성된다.
분리 부재(162′)는 복수개의 분리부(165)(166)가 전체적으로 이동 청소 킷(110)와 같이 절곡 형성되는 바, 복수의 분리부(165)(166)는 수평부의 후단이 라운드진 후단 연결부(162a)로 연결되고, 경사부의 하단이 라운드진 하단 연결부(162b)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분리 부재(162′)는 복수개의 분리부(165)(166)의 수평부 후단과 선단 사이 위치에 복수개의 분리부(165)(166)를 고정시키는 수평 고정부(169a)가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분리부(165)(166)의 경사부 상단과 하단 연결부 사이 위치에 복수개의 분리부(165)(166)를 고정시키는 경사 고정부(169b)가 이동 청소 킷(1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분리 부재(162′)는 수평 고정부(169a) 및 경사 고정부(169b)가 복수개의 분리부(165)(166) 각각과 용접 고정된다.
한편, 분리 부재(162′)가 필터 프레임(90)의 공간부(98) 내측 또는 주변에 장착된다.
참조 부호 98a는 분리 부재(162′)의 후단 연결부(162a)가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후단 장착부이고, 참조 부호 98b는 분리 부재(162′)의 하단 연결부(162b)가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하단 장착부이고, 참조 부호 98c는 수평 고정부(169a)의 좌측단이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좌측 수평부 장착부이고, 참조 부호 98d는 수평 고정부(169a)의 우측단이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우측 수 평부 장착부이며, 참조 부호 98e는 경사 고정부(169b)의 좌측단이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좌측 경사부 장착부이고, 참조 부호 98f는 경사 고정부(169b)의 우측단이 필터 프레임(90)에 장착되는 우측 경사부 장착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부(98)가 필터 프레임(90)과 별도로 이루어지고 필터 프레임(90)에 착탈되는 박스로 이루어져 공간부(98)가 외부로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동 청소 킷(110)의 전진 개시시부터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이동 청소 킷(110)의 후퇴 완료시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가 개방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필터 청소 중일 때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물질이 먼지가 수거될 때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 및 흡입 안내수단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이 수거될 때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필터 프레임 및 흡입 안내수단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부
6: 공기 토출부 10: 섀시
20: 프론트 패널 21: 흡입 그릴
30: 토출구 유닛 80: 필터
90: 필터 프레임 98: 공간부
99: 개구부 110: 이동 청소 킷
112: 청소 킷 바디 114: 브러시
116: 중앙측 브러시 120: 이동기구
162: 분리 부재 163: 돌출부
164: 이물질 통과홀 170: 흡입 덕트
180: 청소 흡입력 발생기 190: 집진 통

Claims (13)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쓸어내는 이동 청소 킷과;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청소 킷을 따라 이동된 이물질을 상기 이동 청소 킷과 분리시키는 분리 부재와;
    상기 이동 청소 킷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이동 청소 킷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청소 킷 이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좌우 중 일측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청소 킷은 상기 청소 킷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게 연결된 청소 킷 바디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분리시키면서 좌우 방향으로 쓸어내도록 상기 청소 킷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측 브러시의 강성이 좌, 우측 브러시의 강성 보다 높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단이 상기 공간부 보다 높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이물질 통과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장착된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리부 각각은 돌출부와 홈부가 분리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교번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리부는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 및 홈부가 교번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공간부 주변에 장착된 공기조화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연결된 흡입 안내 수단과;
    상기 흡입 안내 수단에 흡입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흡입 안내수단에 연결된 흡입 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안내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연결된 흡입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청소 킷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기구와;
    상기 청소 킷 이동 기구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 기구에 의해 상기 이동 청소 킷이 상기 분리 부재와 접족되는 위치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흡입 기구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111032A 2007-11-01 2007-11-01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32A KR20090044786A (ko) 2007-11-01 2007-11-0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32A KR20090044786A (ko) 2007-11-01 2007-11-0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86A true KR20090044786A (ko) 2009-05-07

Family

ID=4085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032A KR20090044786A (ko) 2007-11-01 2007-11-0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7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0333A1 (en) 2019-01-3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20200095956A (ko)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22280A (ko) 2019-02-01 2020-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41974A (ko) 2019-02-0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0333A1 (en) 2019-01-3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EP4227589A1 (en) 2019-01-31 2023-08-1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20200095956A (ko)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22280A (ko) 2019-02-01 2020-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41974A (ko) 2019-02-0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166B2 (ja) 空気調和機
JP2004044933A (ja) 空気調和機
JP2004156794A (ja) 空気調和機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13405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JP4840565B2 (ja) 空気調和機
KR1014203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JP405077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22098A (ko) 공기조화기
JP4269141B2 (ja) 空気調和機
KR100919157B1 (ko) 공기 조화기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101442113B1 (ko) 공기조화기
JP4165246B2 (ja) 空気調和機
KR101323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0532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0630829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JP2007170789A (ja) 空気調和機
CN101581468A (zh) 空调器
KR1014662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8005873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