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503A - Base assembl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Google Patents
Base assembl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4503A KR20090044503A KR1020070110625A KR20070110625A KR20090044503A KR 20090044503 A KR20090044503 A KR 20090044503A KR 1020070110625 A KR1020070110625 A KR 1020070110625A KR 20070110625 A KR20070110625 A KR 20070110625A KR 20090044503 A KR20090044503 A KR 20090044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lift
- outdoor unit
- air conditioner
- leg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편이 지게차홀의 하단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assembly of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a guide piece for facilitating fork insertion of a forklif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forklift hole.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을 지지하는 레그(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레그(120)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게차홀(13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게차홀(130)의 하단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132)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베이스어셈블리에 의하면, 지게차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base assembly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a base plate (110)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leg (120) for supporting the base plate (110); In the leg 120, a plurality of forklift holes 130 through which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are formed, and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at a lower end of the forklift hole 130. Guide piece 132 for guiding the protrusion is formed to the front. 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bas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using the forklift can be easily move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공기조화기, 실외기, 베이스, 레그, 지게차, 가이드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Base, Leg, Forklift, Gu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편이 지게차홀의 하단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assembly of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a guide piece for facilitating fork insertion of a forklif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forklift hol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cools a room by a repetitive action of inhaling hot air in a room, exchanging heat wit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room. -Condenser-Expansion valve-Evaporator which forms a series of cycles.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an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사무실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 사무실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 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recently, a multi-type air conditioner has been released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when installing two or more air conditioners in a home or when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in each office in a building having several offices. Such a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one outdoor unit, and the same effect as installing a plurality of separate air conditioners can be obtained.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는, 하부 외관을 베이스어셈블리가 형성하며, 이러한 베이스어셈블리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삽입 가능한 지게차홀이 관통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utdoor unit of such various types of air conditioner, the base assembly is formed in the lower appearance, the forklift hole through which the fork of the forklift (forklift) can be inserted.
그러나, 이러한 지게차홀은 상대적으로 실외기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높은 위치에 있는 지게차 작업자가 지게차홀을 인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orklift hole is relatively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outdoor unit, it is difficult for the forklift worker in a high position to recognize the forklift ho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베이스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지게차홀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편을 형성하여 상측에서도 지게차홀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uide piece protruding forward in the forklift hole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bas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the forklift hole from the upper side.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는, The base assembly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레그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게차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게차홀의 하단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leg supporting the base plate; The leg has a plurality of forklift holes through which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and a guide piece for guiding fork insertion of a forklift is protruded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orklift. It features.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베이스어셈블리는, 베이스판과 레그로 이루어지며, 레그에는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게차홀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게차홀의 하단에는 가이드편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outdoor unit bas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and a leg, and a plurality of forklift holes through which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leg. And, the lower end of the forklift hole is formed with a guide piece protruding forwar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지게차의 운전자가 바닥면에 놓인 실외기의 지게차홀(가이드편)을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게 되고, 이러 한 가이드편이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지게차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이동 작업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of the forklift in a relatively high posi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forklift hole (guide piece) of the outdoor unit placed on the floor, and such a guide piece is a fork of the forklift. Is guid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orklift hole.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during the outdoor unit movement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어셈블리 레그에는, 지게차홀 외에 복수의 로프홀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로프홀에 로프(rope)를 삽입하여 실외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이동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ope holes are formed in the base assembly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orklift hole. Therefore, since the outdoor unit can be moved by inserting a rope into the rope hole, the operation of moving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more convenien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어셈블리가 채용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타입(Type)인 상방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employing a b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 shows an example of an outdoor unit of a top discharge type air conditioner of a type in which air is discharged upwar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는 사각통상의 외형을 가지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실내기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이러한 실외기와 실내기는 상호간에 냉매의 유동이 일어나게 된다.As shown therein, the
상기 실외기(10)는 베이스어셈블리(100)에 의해 하부 외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상측에는 캐비넷(200)이 구비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200)의 상측에는 팔각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의 토출그릴(G)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그릴(G)을 통과하여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진다.The
도 2에는 상기 실외기(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200)은 다수의 판넬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선단에는 한 쌍의 전면판넬(210,212)이 구비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즉, 직사각평판의 전면좌측판넬(210)와 전면우측판넬(212)이 좌우에 쌍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전면좌측판넬(210)과 전면우측판넬(212) 사이에는 전면중앙프레임(220)이 상하로 길게 구비된다.As shown in the
상기 한 쌍의 전면판넬(210,212) 상측에는 한 쌍의 전면상단판넬(230,23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면상단판넬(230,232)은 전면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좌측과 우측의 전면상단좌측판넬(230) 및 전면상단우측판넬(23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전면상단좌측판넬(230)과 전면상단우측판넬(232) 사이에는 전면상단프레임(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면상단프레임(240)은 상기 전면중앙프레임(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전면상단판넬(230,232)을 지지하게 된다.The pair of front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좌측판넬(250)과 우측판넬(260)이 구비되어 좌측 및 우측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넬(250)에는 좌측그릴(2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판넬(260)에는 우측그릴(262)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좌측그릴(252)과 우측그릴(26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1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상면 후단에는 한 쌍의 후면그릴(270)이 구비된 다. 상기 후면그릴(270)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후면그릴(270)을 통해 실외기(10)의 후측으로부터 공기 유입이 이루어진다.A pair of
상기 한 쌍의 후면그릴(270)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중앙프레임(220)과 대응되는 후면중앙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후면그릴(270)을 지지하게 된다.A rear center fram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상기 좌측판넬(250)과 우측판넬(260)의 상단 사이에는 한 쌍의 상면판넬(280,282)이 구비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한다. 즉, 실외기(10)의 상면은 사각형상의 좌측상면판넬(280)과 우측상면판넬(28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상면판넬(280,282)에는 토출구(284)가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A pair of
그리고, 상기 토출구(284)에는 토출그릴(G)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G)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284)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의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discharge grill G is installed at the
상기 한 쌍의 후면그릴(270) 상측에는 한 쌍의 후면상단판넬(290,292)이 더 구비된다. 상기 후면상단판넬(290,292)은 후면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상단판넬(230,2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pair of
따라서, 상기 후면상단판넬(290,292)은, 좌측과 우측의 후면상단좌측판넬(290) 및 후면상단우측판넬(29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후면상단좌측판넬(290)과 후면상단우측판넬(292) 사이에는 후면상단프레임(294)이 더 구비된다. 상기 후면상단프레임(294)은 상기 전면상단프레임(2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후면상단판넬(290,292)을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rear
상기 캐비넷(200)의 내부에는 프레임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쉬라우드(420,422)와 송풍팬(400) 등의 부품을 지지하게 위한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210,212)의 상단에 설치된다.The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상측에는 한 쌍의 송풍팬(400) 및 팬모터(410)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송풍팬(400)은 한 쌍의 쉬라우드(420,422)에 의해 감싸여진다. 즉,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 상측에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좌측쉬라우드(420)와 우측쉬라우드(42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쉬라우드(420,422) 내측에 송풍팬(400)이 위치하게 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캐비넷(20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45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5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상측 좌측단과 후측단 및 우측단에 걸쳐 설치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450)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3 내지 도 5b에는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베이스판(110) 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는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의 레그(120) 사시도 및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3 to 5B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을 지지하는 레그(120) 등으로 이루어진 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베이스판(110)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직사각 형상의 베이스판(110) 선단과 후단 하측에 레그(120)가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The
상기 베이스판(11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판(110)의 테두리에는 상기 좌측판넬(250) 및 우측판넬(260)의 하단이 수용가능한 홈이 각각 형성된다. The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소정 부분 함몰되어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판(110)의 내측에는 다수의 포밍부(1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포밍부(112)가 형성되며, 이러한 포밍부(112)는 상기 레그(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center por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판(11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베이스판(110)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포밍부(112)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레그(120)의 길이방향(좌우방향)과 상기 포밍부(112)의 길이방향(전후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상기 레그(120)와 결합되도록 하는 레그결합부(114) 및 레그체결부(11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레그결합부(114)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선단부 및 후단부 중앙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하측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레그결합부(114)에는 스크류(screw)가 관통 또는 체결 가능한 체결공(H)이 관통 형성된다.The
상기 베이스판(110)의 네 모퉁이에는 상기 레그(120)와 체결되도록 하는 레그체결부(116)가 상방으로 소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레그체결부(116)에도 상기 레그결합부(114)와 같은 체결공(H)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Four corners of the
상기 레그(1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선단과 후단 하측에 구비되며, 'ㄷ'자 형상(측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레그(12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접하고, 하면은 건물의 바닥면에 접하게 된다.The
상기 레그(12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베이스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결합부(122)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레그결합부(114)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10)의 레그결합부(11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결합부(122)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결합부(122)에 상기 베이스판(110)의 레그결합부(114)가 수용되어 체결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레그(120)의 좌우 측단에는 베이스체결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체결부(124)는 상기 레그체결부(11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체결부(124)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그체결부(116)의 하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결합부(122)와 베이스체결부(124)에도 스크류(screw)가 관통 또는 체결 가능한 체결공(H)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레그(120)의 좌우 측면에는 측면결합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결합부(126)는 상기 좌측판넬(250) 또는 우측판넬(260)의 하단이 결합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레그(120)의 상면 좌우 단부에는 측면삽입부(12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면삽입부(128)는 상기 좌측판넬(250) 또는 우측판넬(260)의 하단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판넬(250) 또는 우측판넬(260)이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이다.In addition,
상기 레그(120)에는 복수의 지게차홀(13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게차홀(130)은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홀(hole)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의 지게차홀(130)은 통상의 지게차(forklift) 포크(fork)의 거리와 대응되는 거리를 가지며,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orklift holes 130 are formed through the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truck)]'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 전용의 특수 자동차를 말한다. Forklift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forklifts', are special vehicles for loading and unloading heavy vehicles.
상기 지게차홀(130)의 하단에는 가이드편(132)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132)은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상기 지게차홀(130)에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지게차홀(130)의 좌측과 우측에는 로프홀(134)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레그(120)의 좌우 단부 부근에는 로프(rope)가 삽입 가능한 로프홀(134)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로프홀(134)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이송하기 위해 로프(rope)하는 경우에 로프(rope)가 관통되도록 하는 홀(hole)이다.Rope holes 134 are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이스어셈블리에 의하면, 베이스판(110)과 레그(12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베이스어셈블리(100)에 형성된 지게차홀(130)을 통해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bas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어셈블리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 b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어셈블리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door unit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employing the b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이스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사시도 및 평면도.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그의 사시도 및 정면도.5A and 5B are perspective and front views of the leg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실외기 100. 베이스어셈블리10.
110. 베이스판 120. 레그110.Base plate 120.Leg
130. 지게차홀 132. 가이드편130. Forklift Hole 132.Guide
200. 캐비넷 210. 전면좌측판넬200.
212. 전면우측판넬 220. 전면중앙프레임212. Right
250. 좌측판넬 260. 우측판넬250.
300. 프레임어셈블리 400. 송풍팬300.
410. 팬모터 450. 열교환기410.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625A KR101401876B1 (en) | 2007-10-31 | 2007-10-31 | Base-assembly for out 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625A KR101401876B1 (en) | 2007-10-31 | 2007-10-31 | Base-assembly for out 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503A true KR20090044503A (en) | 2009-05-07 |
KR101401876B1 KR101401876B1 (en) | 2014-05-30 |
Family
ID=4085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06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1876B1 (en) | 2007-10-31 | 2007-10-31 | Base-assembly for out 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18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38086A (en) * | 2012-01-10 | 2012-07-04 |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 10-horsepower variable-frequency multi-connection central air-conditioning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23452B (en) | 2014-09-12 | 2019-01-22 | Lg电子株式会社 | The outdoor unit of air regulator |
KR20160031230A (en) | 2014-09-12 | 2016-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
US20160178290A1 (en) | 2014-12-17 | 2016-06-23 | Lg Electronics Inc. |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
KR101753955B1 (en) | 2014-12-17 | 2017-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302Y2 (en) * | 1990-01-06 | 1995-06-07 |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 Shipping pallets |
KR200233867Y1 (en) * | 1998-07-30 | 2001-09-25 | 황한규 | Base plate structure for a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JP2001141263A (en) * | 1999-11-12 | 2001-05-25 | Takasago Thermal Eng Co Ltd | Outdoor unit and outdoor unit construction method |
-
2007
- 2007-10-31 KR KR1020070110625A patent/KR1014018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38086A (en) * | 2012-01-10 | 2012-07-04 |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 10-horsepower variable-frequency multi-connection central air-conditioning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1876B1 (en) | 201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92156B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298404B1 (en) | Out 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EP2056029A2 (en) | Air conditioner | |
JP5028204B2 (en)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KR102133258B1 (en) |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 |
KR102396941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
KR20090053491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90044503A (en) | Base assembl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WO2022205896A1 (en) | Fan heater internal heating assembly, fan heater and fan heater heating control method | |
KR20080075258A (en) | Air conditioner | |
CN101660809B (en) | Air-conditioner | |
CN211177102U (en) | Floor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020002101A (en) | An air conditioner | |
CN100510565C (en) |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
CN215295167U (en) | The outdoor unit | |
CN110567050B (en) |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080102912A (en) | Indoor unit of ceiling air conditioner | |
KR100871496B1 (en) | Side cover fasten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CN222560166U (en) | Outdoor unit and heat pump equipment | |
KR100748163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30043048A (en) | A heat exchanger's supporter for the air-conditioner | |
KR20090044502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667100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230118466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60132170A (en)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