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151A - Cover for hinge and hinge device for flip-up type hood - Google Patents
Cover for hinge and hinge device for flip-up type h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3151A KR20090033151A KR1020080095354A KR20080095354A KR20090033151A KR 20090033151 A KR20090033151 A KR 20090033151A KR 1020080095354 A KR1020080095354 A KR 1020080095354A KR 20080095354 A KR20080095354 A KR 20080095354A KR 20090033151 A KR20090033151 A KR 200900331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hinge
- cover
- actuator
- li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이 장해물에 충돌했을 때 후드의 후단부를 액추에이터의 압압에 수반하여 플립업시켜서, 장해물이 후드 위에 쓰러졌을 때의 충격을 완화 흡수하는 플립업식 후드의 힌지장치에 적합한 힌지용 커버 및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nge cover and a flip suitable for a hinge device of a flip-up hood that flips up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oo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obstacle, thereby absorbing the shock when the obstacle falls on the hood. A hinge device for an up-type hood.
도 13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립업식 후드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후드구조에서는 후드(110)와 차체(G)의 대응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후드(110)의 후단부를 통상 상태에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차체 전단부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구성부재의 일부를 압압시켜서 후드 후단부를 플립업 가능하게 하는 힌지장치(후드 힌지, 130)가 사용되어 있다. 이 힌지장치(130)는 후드측 링크(131), 차체측 링크(132), 양 링크(131,132)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링크(133), 로크편(138) 및 스프링(139)을 구비하고 있다.13 illustrates a flip-up hood structure disclosed in
이 중에서, 링크(131)는 일단측이 후드(110)의 하면에 장착되고, 타단측이 지지점 핀(134)에 의해 중간 링크(133)의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131)의 전방측에는 액추에이터(140)의 로드(141)와 맞닿는 받침편(143)이 장착되어 있다. 링크(132)는 차체(G)측에 장착되는 브래킷에 상당하고, 후방 상측의 U자형상 걸어맞춤부(132a)와, 전방측에서 후방 도중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드구멍(135)과, 슬라이드구멍(135)의 후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13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132)에는 로크편(138)이 핀(137)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크편(138)은 선단에 로크돌조(138a)를 가지며, 링크(132)의 전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39)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걸어맞춤부(132a)에 대한 지지점 핀(134)의 끼워맞춤상태를 로크돌조(138a)에 의해 유지한다. 후드(110)는 이 상태에서 지지점 핀(134)을 중심으로 해서 통상의 개폐가 행해진다. 또 슬라이드구멍(135)에는 중간 링크(133)의 타단측에 형성된 가이드 핀(13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또한 액추에이터(140)는 차체 전단부가 보행자 등의 장해물에 충돌했을 때, 센서가 그 충돌을 검출함과 아울러 제어부를 통해서, 로드(141)를 순식간에 돌출시키도록 작동시킨다.Among them, one end of the
상기 힌지장치(130)는 통상시에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110)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후드(110)가 걸어맞춤부(132a)를 중심으로 해서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에 대해서, 차량의 전면이 장해물에 충돌했을 때에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0)의 로드(141)가 돌출되어 받침편(143)에 맞닿아서 링크(131)를 상측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지지점 핀(134)이 로크돌 조(138a)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압압해서, 로크편(138)이 스프링(139)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지지점 핀(134)이 걸어맞춤부(132a)에서 빠짐과 아울러, 후드(110)의 후단부가 플립업된다. 이때, 가이드 핀(136)이 슬라이드구멍(135)을 따라 차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유지부(135a)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플립업 상태에서는 장해물이 후드 위에 쓰러졌을 때의 충격을 효율적이게 완화하거나 흡수할 수 있게 된다.In the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5-22539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25392
상기 플립업식 후드구조에 있어서는, 통상시에 후드(110)를 엔진룸을 덮고 있는 폐색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하면, 도 13(a)와 같이 힌지장치(130)의 구성부재가 노출되어 외관이 나빠진다. 이것은 힌지장치(130)의 구성부재 중, 특히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상측으로 압압되는 받침편(143) 등이 후드 내측에 있기 때문에 후드 개방상태에서 쉽게 눈에 띄어 외관이 나빠지는 요인이 된다.In the flip-up hood structure, when the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힌지장치(130)의 구성부재 중, 후드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를 전용 커버에 의해 덮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커버는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140)의 로드(141)가 맞닿았을 때에 견딜 수 있는 강성으로 하면 고가가 되고, 또 로드용 관통구멍을 형성하면 외관 특성이 만족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은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 즉 상기 통상시에 힌지장치의 구성부재인 링크들이 레버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의해 상기 레버를 압압함으로써 플립업시의 비 구속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로드가 상기 레버에 대해서 커버 대응부를 통해 압압하게 되기 때문에 작동 타이밍이 늦는 요인이 된다.As a countermeasure, it is also conceivable to cover, for example, a member disposed inside the hood with a dedicated cover among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따라서 본 발명 목적은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의 구성부재 중, 후드 내측에 배치되는 구성부재를 덮어도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용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cover and a flip provided with the same,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even when covering the component members disposed inside the hoo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hinge device for a flip-up hood. A hinge device for an up type hood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힌지용 커버는 후드와 차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드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차체 전단부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부재의 일부를 압압시켜서 후드를 상승 가능하게 하는 힌지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힌지장치의 구성부재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압압되는 개소를 포함해서 덮음과 아울러,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ing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n actuator interposed between the hood and the vehicle body to support the hoo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 and actuated when a collision load is input to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It is used in the hinge device which presses a part of a member and makes a hood riseable, and includes the part pressed by the said actuator among the structural members of the hinge device, and does not prevent the press operation of the actuator. The contact part is formed.
상기 힌지용 커버는 차체와 후드의 사이에 개재되는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의 구성부재 중, 적어도, 차체 전단부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압압되는 개소를 포함해서 덮는 것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필수로 하고 있다. 이때, 「 후드」는 보닛이라고도 칭한다. 「충돌하중」은 통상적으로, 장해물이 후드 전단부에 충돌한 것이 후드 전단부에 설치된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부에 보내지고, 이 제어부에서 액추에이터에 작동신호로서 보내지게 된다. 「액추에이터에 의해 압압되는 개소」란, 예를 들면 형태예에 나타낸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의 경우에는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의해 압압되는 레버의 압압부(23a)에 상당하고, 도 13의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후드 힌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의해 압압되는 받침편(43)에 상당한다.The hinge cover covers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flip-up hood hinge device inter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hood,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pressed by an actuator operating when a collision load is input to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It is essential to form a contact portion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At this time, "hood" is also called a bonnet. The "collision load" is usually detected by a sensor or the lik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a hood that an obstacle collides with the front end of the hood, and this detection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unit, which is sent to the actuator as an operation signal. In the case of the hinge device for a flip-up hood shown in the form example, "the location pressed by the actuator" corresponds to the press-up
또 상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embodied as follows.
(1) 상기 맞닿음부가 복수의 슬릿부를 통해서 분리 용이하게 구획지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1) The said contact part is comprised in the partition easily formed through a some slit part (claim 2).
(2) 상기 맞닿음부가 복수의 슬릿부를 통해서 변형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2) The said contact part is a structure in which deformation is easily formed through the some slit part (claim 3).
(3) 상기 맞닿음부가 주름관형상부를 통해서 변형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3) The said contact part is a structure in which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easily formed through a corrugated pipe shape part (claim 4).
(4) 상기 맞닿음부가 대응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4) The contact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claim 5).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용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이다(청구항 6).(5) It is the hinge apparatus for flip-up hoods provided with the hinge cover in any one of Claims 1-5 (claim 6).
청구항 1의 힌지용 커버는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의 구성부재 중, 적어도 차체 전단부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압압되는 개소를 포함해서 덮은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로 힌지장치의 구성부재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후드를 플립업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후드 내면측에 배치되는 힌지장치의 구성부재를 덮어도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이 커버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통해서 지장 없이 행해지므로,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inge cover of
청구항 2의 힌지용 커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커버의 맞닿음부로서, 맞닿음부가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슬릿부를 통해서 분리 용이하게 구획지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이점(利點)으로서는 슬릿부의 수나 슬릿부들 사이의 접속부의 폭치수 등에 의해 맞닿음부에 요구되는 설계상의 분리 하중을 간단히 충족시킬 수 있다.The hinge cover of
청구항 3의 힌지용 커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커버의 맞닿음부로서,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슬릿부에 의해 변형 용이하게 구획지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이점으로서는 슬릿부의 수나 슬릿부의 폭의 치수 등에 의해 맞닿음부에 요구되는 설계상의 변형 하중을 간단히 충족시킬 수 있다.The hinge cover of
청구항 4의 힌지용 커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커 버의 맞닿음부로서,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주름관형상부에 의해 변형 용이하게 구획지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이점으로서는 주름관형상부의 형상 고안 등에 의해 맞닿음부에 요구되는 설계상의 변형 하중을 간단히 충족시킬 수 있다.The hinge cover of
청구항 5의 힌지용 커버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커버의 맞닿음부로서, 도 11에 예시된 것과 같이 착탈 가능한 캡 구성이며, 이점으로서는 커버측 개구부와 맞닿음부의 끼워맞춤력 등에 의해 맞닿음부에 요구되는 설계상의 분리 하중을 간단히 충족시킬 수 있다.The hinge cover of
청구항 6의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힌지장치의 구성부재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후드를 플립업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용 커버에 의해 후드 내측에 배치되는 힌지장치의 구성부재를 덮어도,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이 커버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통해서 지장 없이 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후드 내측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inge device for a flip-up hood of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형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본 발명형태를 도 1 내지 도 8에 의해 명확히 한 후,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힌지용 커버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F」는 차체 전방측을 나타내고, 「R」은 후방 즉 프런트 글라스측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is description, 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clarified by Figs. 1 to 8, a modification of the hinge cover shown in Figs. 9 to 11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F" represents a vehicle body front side, and "R" shall represent a back surface, ie, a front glass side.
(전체의 구조)(The whole structure)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의 차량(1, 자동차)은 차체의 전단부(10)와, 양 사이드 보디(11)와, 프런트 글라스(12) 하단의 사이에 엔진룸을 가지며, 이 엔진룸이 플립업식 후드(15)에 의해 덮혀 있다. 후드(15)는 후단부(15a)가 좌우의 힌지장치(2,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어 차체의 전단부(10)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액추에이터(6)에 의해 힌지장치(2)의 구성부재의 일부가 압압되어, 후단부(15a) 부근의 상승에 수반하여 플립업된다. 물론, 후드(15)는 폐색상태에 있어서, 전단부(15b)가 로크기구(16)에 의해 로크된다.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vehicle 1 (car) of FIG. 12 has an engine compartment between the
또한, 후드(15)는 도 12의 모식확대부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우터 패널(17)과 이너 패널(18)을 중합한 구조이다. 그리고 후단부(15a)의 좌우측에 있어서, 양 패널(17,18)의 사이에는 각 힌지장치(2)가 차체측에 고정되는 브래킷(5)에 볼트―너트 등의 추축(樞軸, 19a)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힌지장치(2)의 구성부재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이 본 발명을 적용한 커버(4)에 의해 덮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너 패널(18)은 커버(4) 또는 커버(4)의 맞닿음부(45)에 대응한 개소가 노출되도록 개구(18a)되어 있다. 또 상기 이너 패널(18)은 도 1과 도 2 및 도 5와 도 6에 있어서 생략되어 있다.The
차체의 전단부(10)의 하측에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범퍼(13) 및 후드(15)의 전방측에는 보행자 등의 장해물에 충돌한 것을 검출하는 충돌검출수단으로서의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14)는 차실 내의 제어부(7)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7)는 센서(14)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따라, 후드(15)를 플립업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플립업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액추에이터(6)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액추에이터(6)는 돌출용 로드(6a) 및 가스발생수단(6b) 등을 가지며, 이 가스발생수단(6b)이 제어부(7)로부터의 작동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서, 이 가스압에 의해 로드(6a)를 순식간에 돌출시키는 구성이다.On the front side of the
(힌지장치)(Hinge Device)
좌우의 힌지장치(2)는 후드(15)의 후단측과 차체(엔진룸 내의 후단측)의 사이에 개재되어, 후드(15)의 후단부(15a)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액추에이터(6)에 의해 구성부재의 일부가 압압되어 후드(15)의 후단부(15a)가 상승 가능, 즉 플립업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 예에서는 도 1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화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힌지장치(2) 및 좌우의 액추에이터(6)는 구조적으로 같기 때문에(단, 힌지장치(2)의 경우는 암(arm, 제 1 링크(21))의 구부러진 형상 등이 변경된다) 일측만 설명하고, 타측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left and
도 1 ∼ 도 4에 있어서, 힌지장치(2)는 제 1 링크(21), 제 2 링크(22), 레버(23) 및 레버(23)를 일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스프링(24)을 가지며, 이들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브래킷(5)과 후드(15)의 아우터 패널(17)측에 고정되는 브래킷(3)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힌지장치(2)는 제 1 링크(21), 제 2 링크(22), 레버(23), 탄지스프링(24), 브래킷(3)에 의해 힌지 유닛(20)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나, 브래킷(5)을 포함해서 힌지 유닛(20)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1 to 4, the
또한, 이 예에서는 보조용 링크(25,26)가 브래킷(5)과 제 1 링크(21)의 사이 에 개재되어, 제 1 링크(21)의 요동을 보강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보조용 링크(25)와 보조용 링크(26)는 각 일단이 추축(19b)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용 링크(25)의 타단이 브래킷(5)에 추축(19c)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크(26)의 타단이 제 1 링크(21)에 추축(19d)(도 4 참조)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서는 생략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이때, 브래킷(5)은 단면이 대략 L형을 이루고, 차체 부착부 및 제 1 링크용축구멍 등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브래킷(3)은 외판에 내판을 접합 일체화 한 구성으로, 단면이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중간 판부(30) 및 양 편부(片部, 31)로 이루어진다. 중간 판부(30)에는 전후 단부에 대향해서 돌출된 레버용 지지편(32,32), 레버(23)의 대응부를 통과시키는 창부(33) 등이 형성되어 있다. 양 편부(31)에는 도면에서는 일측밖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커버용의 사각형의 걸림구멍(34)이 각각 대향된 상태로 복수(2개씩)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제 2 링크(22)는 일단이 브래킷(3)의 일측 편부(31)에 추축(19e)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제 1 링크(21)의 타단에 추축(19f)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브래킷(3)에는 레버(23)가 지지편(32)과 지지편(32)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One end of the
이 레버(23)는 대략 통형상인 본체의 주위부에서 돌출되어 창부(33)에 대향 배치되는 압압부(23a)와, 본체 주위부에서 압압부(23a)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링크(21)를 브래킷(3)에 구속(제 1 링크(21)를 브래킷(3)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시키는 규제부(23b)를 가지고 있다. 도 3의 규제부(23b)는 원리적으로 모식화 했지만, 이것 이외에 제 1 링크(21) 및 제 2 링크(22)를 함께 브래킷(3)에 구속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탄지스프링(24)은 도 3과 같이 코일형이며, 레버 본체의 대응 부분에 감긴 상태에서 일단(24a)이 브래킷(3)에 걸리고, 타단(24b)이 압압부(23a)의 배면측에 걸려 있다. 동 도면의 상태에서는 레버(23)가 탄지스프링(24)의 탄지력에 의해 규제부(23b)를 통해서 제 1 링크(21)를 브래킷(3)측으로 압압해서 구속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23)는 압압부(23a)가 액추에이터(6)에 의해 탄지스프링(24)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창부(33)측으로 회동되면, 규제부(23b)도 제 1 링크(21)와 함께 동 방향으로 회동되어 브래킷(3)에서 멀어진다. 그 결과, 브래킷(3) 및 후드(15)가 제 2 링크(22)의 추축(19e)을 지지점으로 해서 플립업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29는 브래킷(3)을 후드(15)측에 부착하는 볼트―너트 등의 부착부재이다.3 is a coil type as shown in FIG. 3, and one
(커버)(cover)
커버(4)는 상기 힌지장치(2)에 사용되며, 힌지장치(2)의 구성부재 중, 액추에이터(6)에 의해 압압되는 개소를 포함해서 덮음과 아울러, 액추에이터(6)의 압압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맞닿음부(45)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예에서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화 되어 있다. 또한, 커버(4)는 좌측의 힌지장치(2)인지 우측의 힌지장치(2)인지에 따라 링크 삽입부 위치 등이 우측이나 좌측으로 변경되지만, 기능적으로 같기 때문에 일측만 설명하고 타측에 대해서는 생략 한다.The
도 1,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커버(4)는 수지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장치(2)가 브래킷(3)을 통해 후드(15)에 부착된 상태에서, 힌지장치(2)를 제 1 링크(21)의 기단측을 제외한 대부분을 덮는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저벽(4a)에서 기립된 둘레벽으로서, 차체 전방측에 배치되는 조금 낮은 전방벽(40)과 프런트 글라스측에 배치되는 후방벽(41) 및 양 측벽(42,43)을 가지고 있다. 또 후방벽(41)과 측벽(43)의 사이에는 제 1 링크(21)를 커버 내에 여유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링크 삽입부(44)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1, 7 and 8, the
용기 저벽(4a)에는 맞닿음부(45)가 복수의 슬릿부(46)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45)는 액추에이터(6)의 로드(6a)에 대응한 위치 내지는 힌지장치(2)를 구성하고 있는 레버(23)의 압압부(23a)에 대응한 위치에 설정되며, 링크 삽입부(44)의 전방에서 측벽(42)측으로 변위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원의 선상(線上)에 복수의 슬릿부(46)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슬릿부(46)들의 사이를 파단용 접속부(45a)에 의해 저벽(4a)과 연결하고 있다. 형상적으로는 맞닿음부(45)로서 타원이나 각형(角形)의 선상에 복수의 슬릿부(46) 및 접속부(45a)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슬릿부(46) 및 접속부(45a)는 도 2(b)와 같이 로드(6a)가 맞닿음부(45)에 맞닿았을 때 맞닿음부(45)가 액추에이터(6)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용기 저벽(4a)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는 개수 또는 길이(슬릿부), 폭(접속부) 등으로 설정된다.The
또 양 측벽(42,43)의 내면에는 복수의 부착용 걸어맞춤부(47)가 대향해서 형 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부(47)는 도 8(b)와 도 8(d)에서 추찰되는 바와 같이 측벽 내면에 공동(空洞)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2개의 돌조부(48)를 형성한 구성이다. 각 돌조부(48)는 ㄷ자형의 슬릿(47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도면부호 49a는 커버(4)를 브래킷(3)에 볼트 등에 의해 필요에 따라 고정하는 보조용 부착구멍, 도면부호 49b는 브래킷(3)을 후드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 도면부호 49c는 커버용 위치결정부, 도면부호 49d는 임시 고정부이다. 이들은 구체적인 커버의 구성이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채용된다.Moreover, the some
(작동)(work)
상기 커버(4)의 부착요령과 작동특징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ttachment method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가) 커버(4)는 힌지장치의 브래킷(3)에 다음과 같은 조작으로 간단히 부착된다. 즉, 커버(4)는 예를 들어 도 1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3)에 대해서 상기한 브래킷 양 편부(31)의 걸림구멍(34)에 대응하는 커버의 걸어맞춤부(47)를 일치하도록 해서 브래킷측으로 압압하면, 각 걸어맞춤부(47)의 돌조부(48)가 대응하는 편부(31)에 압압되어 일단 돌출량을 줄이도록 변위된 후, 대응하는 편부(31)의 걸림구멍(34)에 대향되면 탄성 복원되어 걸림구멍(34)에 걸어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4개소의 걸어맞춤력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설치 강도를 보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나사를 부착구멍(49a)에서 브래킷(3)의 대응부에 체결한다. 이렇게 해서 이 구조에서는 힌지장치(2)의 구성부재 중, 암(제 1 링크(21))의 기단측을 제외하고는 커버(4)에 의해 보이지 않게 덮이기 때문에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The
(나) 또한 힌지장치(2)는 통상시(차체의 전단부(10)에 충돌하중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때)에도,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15)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면, 후드(15)가 가상선의 폐색상태에서, 추축(19a)을 중심으로 한 상측 즉, 실선의 개방상태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제 1 링크(21)가 레버(23)의 규제부(23b)에 의해 브래킷(3)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링크(22)와 브래킷(3) 및 후드(15)가 제 1 링크(21)의 회동에 연동해서 개방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된다.(B) In addition, even when the
(다) 이것에 대해서, 차량(1)의 주행시에 있어서, 장해물(보행자등)이 차체 전단부(10)에 충돌한 것이 센서(14)에 의해 검출되어, 이 검출신호가 제어부(7)에 보내지고, 이 제어부(7)로부터 액추에이터(6)의 가스발생수단(6b)에 작동신호가 송신되면, 가스발생수단(6b)이 구동되어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순식간에 돌출된다. 이 구조에서는 로드(6a)가 커버의 맞닿음부(45)에 맞닿으면, 맞닿음부(45)가 복수의 슬릿부(46)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6a)의 압압력에 의해 접속부(45a)가 파단되어 용기 저벽(4a)에서 간단히 분리된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로드(6a)가 분리된 맞닿음부(45)를 통해서(또는 분리된 맞닿음부(45)가 낙하했을 때에는 로드(6a) 단독으로) 레버(23)의 압압부(23a)를 탄지스프링(24)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창부(33)측으로 회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도 6에 양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15)의 후단부가 동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해서 플립업된다. 이 플립업상태에서는 장해물이 후드 위에 쓰러졌을 때의 충격을 후드 후단측에서 효율적으로 완화하거나 흡수할 수 있게 된다.(C) 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도 6의 후드 플립업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힌지장치(2)는, 도 3의 상태에 있어서 레버(23)가 로드(6a)를 통해서 상측으로 압압되어 회동되면, 제 1 링크(21)의 선단측이 레버측 규제부(23b)와 함께 압압부(23a)와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결과, 제 2 링크(22)의 추축(19e)을 지지점으로 해서 브래킷(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hood flip-up state of FIG. 6, when the
(제 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도 9의 변형예는 상기 커버(4) 중,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는 맞닿음부의 구성을 바꾼 것으로, 맞닿음부 이외에는 상기 형태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 맞닿음부(50)는 용기 저벽(4a)의 대응부를 두께가 얇은 원형상부로 설정함과 아울러, 이 두께가 얇은 원형상부를 기단을 지지점으로 해서 변형 용이한 복수의 탄성편부(51)로 형성한 것이다. 환언하면, 각 탄성편부(51)는 상기 두께가 얇은 원형상부의 중심부에서 원의 선상을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부(52)에 의해 구획지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편부(51)는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로드(6a)에 의해 압압되면, 원의 선상에 있는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상측을 향하도록 변형되어 로드(6a)의 통과를 허용한다. 환언하면, 이 구성에서는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음부(50)를 구성하고 있는 각 탄성편부(51)에 맞닿았을 때, 각 탄성편부(51)가 액추에이터(6)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탄성편부(51)나 슬릿부(52)의 개수 등이 설정되게 된다.The modified example of FIG. 9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art which the
(제 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10의 변형예는 상기 커버(4) 중,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는 맞닿음부의 구성을 더 변경한 것으로, 맞닿음부 이외에는 상기 형태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 맞닿음부(53)는 용기 저벽(4a)의 대응부를 주름관 구성에 의해 변형 용이하게 형성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드(6a) 보다 지름이 큰 원형의 중심부(55)와, 이 중심부(55)의 주위에 형성된 주름관형상부(5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맞닿음부(53)는 도 10(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심부(55)가 로드(6a)에 압압되면, 주름관형상부(54)의 연장 작용에 수반하여 레버측 압압부(23a)를 압압한다. 환언하면, 이 구성에서는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음부(53)를 구성하고 있는 중심부(55)에 맞닿았을 때 주름관형상부(54)가 액추에이터(6)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연장되도록 형상 등이 설정된다.The modified example of FIG. 10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art which the
(제 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도 11의 변형예는 상기 커버(4) 중,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는 맞닿음부의 구성을 더 변경한 것으로, 맞닿음부 이외에는 상기 형태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 맞닿음부(56)는 용기 저벽(4a)의 대응부를 캡 구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한 것으로, 맞닿음부 주위에 형성된 단면이 오목한 형상의 걸어맞춤부(57)를 가지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57)는 맞닿음부(56)에 대응해서 용기 저벽(4a)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에 형성된 단면이 볼록한 형상의 피 걸림부(4b)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또한 맞닿음부(56)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타원이나 각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걸어맞춤부(57)와 피 걸림부(4b)를 걸어맞춤 구성해서, 도 1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6)의 로드(6a)가 맞닿음부(56)에 맞닿았을 때 맞닿음부(56)가 액추에이터(6)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용기 저벽(4a)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설정된다.The modified example of FIG. 11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art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기술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커버형상이나 플립업식 후드용 힌지장치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technical elements specified in the claims, and the cover shape or the flip-up hood hinge device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형태의 힌지용 커버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형태로 나타낸 부착상태 내지는 사용상태의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ed state or a used state of the hing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단면으로 한 모식도FIG. 2 (a) is a schematic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2(b)는 도 2(a)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압압작동에 의해 커버의 맞닿음부가 분리된 형태의 모식도Figure 2 (b)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ver separat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in the state of Figure 2 (a).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힌지장치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형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device of FIGS. 1 and 2 as viewed from below.
도 4는 도 3의 힌지장치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형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device of Figure 3 in a form viewed from above
도 5는 후드가 힌지장치의 통상상태에서 개폐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작동도Figure 5 is a schematic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hood is opened and closed in the normal state of the hinge device;
도 6은 후드가 힌지장치를 통해서 플립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작동도6 is a schematic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d is flipped up through the hinge device;
도 7(a)는 상기 힌지용 커버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Fig. 7 (a) shows the inside of the hinge cover.
도 7(b)는 도 7(a)의 커버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ront of the cover of FIG.
도 8(a)는 도 7의 B-B선 단면도(A) is sectional drawing in the B-B line | wire of FIG.
도 8(b)는 도 7의 E-E선 단면도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도 8(c)는 도 7의 D부분을 확대한 도면FIG. 8C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7.
도 8(d)는 도 7의 C-C선 부분 단면도FIG. 8 (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9(a,b)는 제 1 변형예를 도 7(a)와 도 8(a)에 대응시켜서 나타낸 도면9A and 9B show the first modified example corresponding to FIGS. 7A and 8A.
도 10(a,b)는 제 2 변형예를 도 9에 대응시켜서 나타낸 도면(A, 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2nd modified example corresponding to FIG.
도 11(a,b)는 제 3 변형예를 도 9에 대응시켜서 나타낸 도면(A, 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3rd modification corresponding to FIG.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동차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tor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3(a,b)는 특허문헌 1의 플립업식 후드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13 (a, b)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flip-up hood structure of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량 3 - 후드측에 부착되는 브래킷 1-Vehicle 3-Bracket attached to hood side
2 - 힌지장치 4 - 커버2-Hinges 4-Covers
4a - 용기 저벽 4b - 피 걸어맞춤부4a-
5 - 차체측에 부착되는 브래킷 6 - 액추에이터5-Bracket attached to body side 6-Actuator
6a - 로드 6b - 가스발생수단6a-
10 - 차체의 전단부 12 - 프런트 글라스10-front part of the body 12-front glass
15 - 후드 21 - 제 1 링크15-Hood 21-First Link
22 - 제 2 링크 23 - 레버22-2nd Link 23-Lever
23a - 압압부 23b - 규제부23a-Pressing
24 - 탄지스프링 45 - 맞닿음부24-Tanger Spring 45-Butt Unit
45a - 접속부 46 - 슬릿부45a-connection 46-slit
50 - 당접부 51 - 요동편50-contact 51-swing
52 - 슬릿부 53 - 맞닿음부52-Slit 53-Butt
54 - 주름관형상부 55 - 중심부54-corrugated tubular section 55-center
56 - 맞닿음부 57 - 걸어맞춤부56-abutment 57-abutment
Claim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253802 | 2007-09-28 | ||
JP2007253802A JP4852507B2 (en) | 2007-09-28 | 2007-09-28 | Hinge cover and flip-up hood hing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3151A true KR20090033151A (en) | 2009-04-01 |
Family
ID=4065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5354A KR20090033151A (en) | 2007-09-28 | 2008-09-29 | Cover for hinge and hinge device for flip-up type ho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852507B2 (en) |
KR (1) | KR20090033151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39097B2 (en) * | 2008-01-29 | 2013-02-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
DE102010030274A1 (en) * | 2010-06-18 | 2011-12-2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Hinge for a bonnet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hinge |
DE102010030273A1 (en) * | 2010-06-18 | 2011-12-2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Clamping element for a holding device of a hinge and hinge for a front hood with such a clamping element |
JP7052738B2 (en) * | 2019-01-16 | 2022-04-12 | 豊田合成株式会社 | Vehicle extrud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74296B2 (en) * | 1998-03-19 | 2005-07-2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Automotive hood flip-up device |
JP3842022B2 (en) * | 2000-07-19 | 2006-11-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hood device |
JP4003660B2 (en) * | 2003-02-19 | 2007-11-0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Lift up hood |
JP4108020B2 (en) * | 2003-08-19 | 2008-06-25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Vehicle hood structure |
-
2007
- 2007-09-28 JP JP2007253802A patent/JP4852507B2/en active Active
-
2008
- 2008-09-29 KR KR1020080095354A patent/KR2009003315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852507B2 (en) | 2012-01-11 |
JP2009083584A (en) | 2009-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24936B2 (en) | Outer door grip, in particular for vehicles | |
US6257657B1 (en) | Vehicular hood apparatus | |
EP1564089B1 (en) | Flip-up type hood for vehicle | |
US9410345B2 (en) | Vehicle door lock device | |
US8465064B2 (en) | Vehicle door latching assembly including latch rod decoupling mechanism | |
US20030234544A1 (en) | Emergency-locking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door | |
JP3947278B2 (en) | Vehicle door unlock mechanism | |
WO2011013242A1 (en) |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 |
KR20090033151A (en) | Cover for hinge and hinge device for flip-up type hood | |
GB2189542A (en) | A door lock device for an automobile vehicle | |
JP3675209B2 (en) | Vehicle hood device | |
US8056183B2 (en) | Multiple position ball stud for closure strut | |
JP2011516766A (en) | Latch system applying value engineering | |
JP2011516766A5 (en) | ||
US11572255B2 (en) | Door lock operation member for elevator door lock device | |
KR101755452B1 (en)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
US20230349203A1 (en) | Motor vehicle lock, in particular motor vehicle door lock | |
CN113710548B (en) | Active pedestrian hood hinge with integrated latch assembly | |
EP1944223B1 (en) | Vehicle bonnet | |
JP4766259B2 (en) | Vehicle door | |
KR100380368B1 (en) | Impact Absorption Apparatus of Hood Lock for Car | |
KR100348057B1 (en) | Mounting structure of apparatus for open and close the door in auto mobile | |
KR100372429B1 (en) | an air guide operating device of hood in a vehicle | |
KR19980043186A (en) | Double locking device for cap tilting of large vehicles | |
KR0112378Y1 (en) | Handle structure of a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