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646A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1646A KR20090021646A KR1020070086303A KR20070086303A KR20090021646A KR 20090021646 A KR20090021646 A KR 20090021646A KR 1020070086303 A KR1020070086303 A KR 1020070086303A KR 20070086303 A KR20070086303 A KR 20070086303A KR 20090021646 A KR20090021646 A KR 20090021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device
- remote control
- portable terminal
- function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장치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 온/오프 및 다른 특정 기능을 원격으로 구동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장치가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인 경우, 그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 또는 명령을 해석하고, 그 명령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가 아니거나 요청한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에러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휴대 단말기, 원격 구동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장치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 온/오프 및 다른 특정 기능을 원격으로 구동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는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을 위해, 소정의 동작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요구할 수 있는데,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을 경우 상호작용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구동하고자 할 때, 그 외부 장치의 인증 여부에 따른 적절한 응답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수의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거나, 상기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가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인 경우, 그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 또는 명령을 해석하고, 그 명령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가 아니거나 요청한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에러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호 작용이 필요한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스위치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호 작용이 필요한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증된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한하여, 상호 작용이 필요한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 경고 또는 에러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 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네비게이션,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별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 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SIM/UIM card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인 경우,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만약,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폴더 타입 단말기인 경우, 제1 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타입이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 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 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 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C Card),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최근 많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기능 확장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와 상호 작용(interact)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예: 인터넷, 무선통신, 디스플레이, 음향 입/출력 등)을 이용하고자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좀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와 같이 단말기와 상호 작용하는 기능을 이용할 때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모듈(200)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수의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300A ~ 300N)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300A ~ 300N)과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거나, 상기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300A ~ 300N)은 보안을 위하여 인증되거나 등록된 장치로 한정할 수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300A ~ 300N)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10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의 스위치 온/오프 신호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전원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원회로 구성에 따라, 제어부(180) 또는 전원 공급부(190)에 상기 전원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스위치 온 시켜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다시 휴대 단말기를 스위치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구성하거나, 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특정 포트를 통해 외부에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기존의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되거나 인터페이스부(170)의 기능을 확장시킨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을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구성할 경우, 그 형태는 UICC(Universal IC Card) 타입이 될 수도 있고, 칩 타입이 될 수도 있으며, 여러 전자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비접촉 모듈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자체의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210)을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19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s)에 의해 발생시킨 전원이거나 배터리에 의한 전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자체에 저장부(220)를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6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체에 별도의 제어부(230)를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 제어 모듈(200)에 별도로 구비된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220)에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 및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가 테이블 또는 리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각 외부 장치에도 원격 제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는 추후 인증을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은 자체에 유선/무선 통신 모듈(240)을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110) 중 일부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300A ~ 300N)은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를 스위치 온/오프시키거나, 휴대 단말기가 스위치 온 되어 있는 동안 특정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켜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증되지 않은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경우 보안이 약화 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방법, 및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 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가 원격 제어 모듈(200)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S101), 원격 제어 모듈(200)의 제어부(230)는 원격 제어(또는 접속)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102).
상기 인증 방법은 첫 번째로, 외부 장치로부터 비밀번호(PIN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입력받는 것이다. 즉,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그 외부 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에 비밀번호를 저장해 두고 그 외부 장치에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페어링(pairing) 된 외부 장치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가 이미 페어링 된 장치인지 확인한다.
상기 페어링은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의 정보를 원격 제어 모듈(200)에 등록하는 것으로, 페어링 등록을 위한 최초 접속시에는 외부 장치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지만, 비밀번호 인증이 완료되면 그 외부 장치를 페어링 시킨다. 한번 페어링이 완료되면 그 이후부터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가 페어링 된 장치임이 확인되면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원격 제어 모듈(200)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등록된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허용된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 및 그 외부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각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220)에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및 그 외부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각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또는 리스트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외부 장치에는 그 외부 장치가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예. IMEI :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 중 특정 외부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기능에 대한 정보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또는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 모듈(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각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그 정보가 다르지 않을 경우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로 인증한다.
상술한 세 가지의 외부 장치를 인증하는 방법은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세 가지 인증 방법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이 완료된 후 그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인 경우(S103), 제어부(230)는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또는 명령)을 해석한다(S104).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스위치 오프 되어있을 경우 외부 장치는 스위치 온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모듈로 전송할 것이다. 또는, 휴대 단말기가 스위치 온 되어있을 경우 외부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모듈로 전송할 것이다. 또는,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 시켜 상호 작용을 한 후에는 그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휴대 단말기를 스위치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모듈로 전송할 것이다. 물론, 상기 제어 신호와 함께 필요한 데이터가 함께 전송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를 해석한 제어부(230)는, 도6A에 도시된 리스트 또는 테이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원격 제어를 요청한 기능이 그 외부 장치에 허용된 기능인지 확인한다(S105).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요청한 제어 기능이 그 외부 장치에 허용된 기능인 경우, 제어부(23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요청한 기능을 수행한다(S106). 상기 요청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경우 제어부(230)는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로 상기 원격 제어를 요청한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가 아니거나, 또는 두 번째로 원격 제어가 허용되지 않은 기능에 대하여 제어를 요청하였거나, 또는 세 번째로 상기 외부 장치가 비록 인증된 장치이고 원격 제어가 허용된 기능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였다고 하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예 : 배터리의 레벨이 너무 약한 경우) 에러 동작을 수행한다(S107).
상기 에러 동작은 경고와 함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경고는 에러뿐만 아니라 정상 동작이 가능한 경우에도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서 원격 제어를 요청할 때마다 경고를 출력하거나, 그 요청된 원격 제어의 기능이 수행될 경우에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원격 제어가 요청되었거나 요청된 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러 동작에는 외부 장치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도 포함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예를 첨부된 도8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비접촉으로 동작하는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600)를 휴대하고 있으며, 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외부 장치(비용 결제를 위한 단말기, 500)의 앞에 서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폰뱅킹 및 모바일 전자지갑(e-purse),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장치를 조작하여 결제할 요금을 입력한 후 결제를 요청할 경우,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상호 작용을 통해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400)가 휴대 단말기(600)를 통한 요금 결제를 선택할 경우(S201), 외부 장치(500)는 휴대 단말기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지 체크한다. 그런 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을 경우, 외부 장치는 휴대 단말기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원격 제어 모듈(200)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스위치 온 시킨 후, 폰뱅킹 또는 모바일 신용카드 기능을 활성화시킨 다음(S202) 요금 결제 요청을 한다(S203).
이때,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모듈(200)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더라도, 외부 장치로부터 방사된 전자기장 필드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 온 및 폰뱅킹 또는 모바일 신용카드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204).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원격 제어 모듈(200)을 통해 폰뱅킹 또는 모바일 신용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외부 장치에 요구한다(S205). 외부 장치는 상기 비밀번호 요구 메시지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06).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207). 상기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로 전달됨으로써(S208)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고(S209), 그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서 요청된 결제 요금이 폰뱅킹 또는 모바일 신용카드 기능을 통해 결제될 수 있다(S210).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사용자(400)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능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500)를 구비한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600)는 스위치 오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GPS 장치(500)는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 안내 요청을 받고(S301), GPS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판단한 후(S302), 트래픽 정보 서버(700)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얻기 위해 휴대 단말기(600)와 연결을 시도한다.
그런데, 상기 휴대 단말기(600)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을 경우, GPS 장치(500)는 상기 원격 제어 모듈(200)을 통해 휴대 단말기(600)를 원격으로 스위치 온 시킨 후(S303), 휴대 단말기의 트래픽 서버 접속 기능을 수행시켜(S304), 인터넷 또는 통신 기능을 통해 트래픽 서버(700)에 접속한다(S305). 휴대 단말기(600)는 상기 트래픽 서버(700)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여(S306) GPS 장치(500)로 전달한다(S307). 상기 트래픽 정보를 수신한 GPS 장치(500)는 휴대 단말기(600)를 다시 스위치 오프 시킨 후(S308), 현재 위치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출력한다(S309).
상기 실시예에서 인증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술한 인증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별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와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및 그 외부 장치들에 의해 원격 제어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정보 테이블.
도 6b는 본 발명에 관련된 외부 장치에 저장되는 원격 제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정보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Claims (16)
- 휴대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수의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고,상기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거나, 상기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인증되거나 기 등록된 외부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원격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비접촉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모듈로서, UICC(Universal IC Card)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 칩(Chip) 타입, 또는 여러 전자 부품을 조합한 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상기 외부 장치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거나 특정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 저장부, 제어부,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s)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전원, 또는 배터리에 의한 독립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외부 장치가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모듈에서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인 경우, 그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 또는 명령을 해석하고, 그 명령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와;상기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가 아니거나 요청한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 우 에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해석 단계는,상기 외부 장치가 요청한 명령이, 그 외부 장치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기능에 대한 명령인지 확인하여,그 외부 장치에 허용된 기능에 대해서만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는,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상기 위부 장치가 페어링 된 장치인지 확인하거나,상기 원격 제어 모듈에 등록된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허용된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 및 그 외부 장치에 등록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각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방법 중,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및 그 외부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각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그 외부 장치가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 중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외부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그 외부 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외부 장치에 비밀번호를 저장해 두고 그 외부 장치에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은,그 페어링 등록을 위한 최초에는 외부 장치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상기 페어링 등록 후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 장치가 페어링 된 장치임이 확인되면 비밀번호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기능은,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 온/오프 기능, 또는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동작은,상기 원격 제어를 요청한 외부 장치가 인증된 장치가 아니거나,원격 제어가 허용되지 않은 기능에 대하여 제어를 요청하였거나,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외부 장치에서 요청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듈은,외부 장치에서 원격 제어를 요청할 때마다 경고를 출력하거나,그 요청된 원격 제어의 기능이 수행될 경우에 경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6303A KR20090021646A (ko) | 2007-08-27 | 2007-08-27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PCT/KR2008/000696 WO2009020264A1 (en) | 2007-08-07 | 2008-02-04 | Mobile terminal power up by extern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6303A KR20090021646A (ko) | 2007-08-27 | 2007-08-27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1646A true KR20090021646A (ko) | 2009-03-04 |
Family
ID=4034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6303A KR20090021646A (ko) | 2007-08-07 | 2007-08-27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21646A (ko) |
WO (1) | WO200902026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21219B2 (en) | 2010-04-21 | 2013-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lural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
JP5633336B2 (ja) | 2010-11-29 | 2014-12-03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US9204398B2 (en) | 2011-03-21 | 2015-12-01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with secure element |
US8620218B2 (en) * | 2011-06-29 | 2013-12-31 | Broadcom Corporation | Power harvesting and use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
US9158383B2 (en) | 2012-03-02 | 2015-10-1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Force concentrator |
USRE48963E1 (en) | 2012-03-02 | 2022-03-0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
EP2823433B1 (en) * | 2012-03-06 | 2020-10-1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
US20130281015A1 (en) * | 2012-04-23 | 2013-10-24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s circuit in a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4660A (ja) * | 1992-02-26 | 1993-09-21 | Tokyo Electric Co Ltd | 無線端末装置 |
JPH11145892A (ja) * | 1997-11-13 | 1999-05-28 | Toshiba Tec Corp | 無線通信ボード及びこの無線通信ボードを備えた無線端末装置 |
KR20010045885A (ko) * | 1999-11-09 | 2001-06-05 | 박종섭 |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
JP2002176473A (ja) * | 2000-12-07 | 2002-06-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電話機のワイヤレス電源制御システム |
KR100597519B1 (ko) * | 2004-12-07 | 2006-07-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텔레매틱스 장치의 전원 가동 장치 및 방법 |
-
2007
- 2007-08-27 KR KR1020070086303A patent/KR200900216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
- 2008-02-04 WO PCT/KR2008/000696 patent/WO200902026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20264A1 (en) | 2009-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842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87341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582687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록킹 해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1404692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090021646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 |
KR20140099005A (ko) | 착탈식 듀얼 이동 단말기 | |
KR101690330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090037618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 |
KR101386472B1 (ko) |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 |
KR101816152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40025680A (ko) |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 |
KR101833812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 |
KR20110127413A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110136307A (ko) |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 |
KR10201854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01865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0974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근거리 통신방법 | |
KR10188337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07651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72590B1 (ko) | 통합 심 카드 및 통합 심 카드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 |
KR2014007540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366266B1 (ko)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 |
KR101556153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 |
KR101279517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048695A (ko) |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