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641A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4641A KR20080104641A KR1020070051677A KR20070051677A KR20080104641A KR 20080104641 A KR20080104641 A KR 20080104641A KR 1020070051677 A KR1020070051677 A KR 1020070051677A KR 20070051677 A KR20070051677 A KR 20070051677A KR 20080104641 A KR20080104641 A KR 200801046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washing machine
- dispenser
- type washing
- rod ty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세제투입장치를 나타낸 세탁기의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ing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세제투입장치를 나타낸 세탁기의 부분 평면도,3 is a partial plan view of a washing machine showing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of FIG.
도 4는 도 1의 세제투입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ergent dosing device of Figure 1 separated;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of FIG. 4 separately;
도 6은 도 4의 디스펜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enser of FIG. 4 separately;
도 7은 도 4의 하우징 및 디스펜서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part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dispenser of FIG. 4;
도 8은 도 7의 하우징에 대하여 디스펜서가 가이드부를 따라 제1단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rotates in a first step along the guide uni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FIG. 7;
도 9는 도 7의 하우징에 대하여 디스펜서가 가이드부를 따라 제2단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is rotated along a guide unit in a second step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세탁기 110: 케비넷100: washing machine 110: cabinet
111: 탑커버 112: 리드 111: top cover 112: lead
113: 컨트롤패널 120: 저수조113: control panel 120: reservoir
130: 세탁조 160: 펄세이터130: washing tank 160: pulsator
170: 구동부 200: 컨트롤 패널170: drive unit 200: control panel
220: 밸브조립체 230: 호스220: valve assembly 230: hose
240: 연결단자 300: 세제투입장치240: connection terminal 300: detergent injection device
310: 하우징 311: 덕트310: housing 311: duct
312: 구획판 313: 파이프312: partition plate 313: pipe
320: 디스펜서 321: 수용판320: dispenser 321: receiving plate
330: 가이드부 331: 제1가이드홈330: guide portion 331: first guide groove
332: 제1가이드돌기 333: 제2가이드홈332: first guide protrusion 333: second guide groove
334: 제2가이드돌기 340: 고정부334: second guide protrusion 340: fixed part
341: 수용홈 342: 마찰돌기341: receiving groove 342: friction projection
R1: 제1저장부 R2: 제2저장부R1: first storage unit R2: second storage unit
S1: 제1수용부 S2: 제2수용부S1: first accommodating part S2: second accommodating part
S: 사이폰관 S: siphon tub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투입장치를 컨트롤 패널에 설치한 탑로드형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in a control panel.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류, 침구 등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removing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laundry, such as clothes and bedding, by using the emulsification of the detergent, the friction action of the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and the impact action applied to the laundry by the pulsator.
한편, 이러한 세탁기 중 세탁물을 상측에서 투여하는 탑로드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와, 케비넷의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tub)와, 저수조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 또는 탈수시 회전하는 세탁조(basket)와, 저수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펄세이터 및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세탁과정에서는 펄세이터와 세탁조를 모두 회전시키고 탈수과정에서는 세탁조만 회전시키도록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방향을 결정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p-load washing machine for administering the laundry from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 cabinet forming the appearance, a tub accommodated in the cabinet, the laundry tank (basket) accommodated inside the reservoir and rotated when washing or dehydrating And a m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o rotate the pulsator and the washing tank, and a clutch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rotate both the pulsator and the washing tank in the washing process and to rotate only the washing tank in the dehydration process. do.
한편, 케비넷의 상부에는 탑커버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탑커버의 후방 상측에는 세탁행정을 조작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조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 패널이 부착된다. 탑커버의 중앙에는 세탁물을 세탁조에서 인출 또는 수용하기 위한 리드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p cove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top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operating the washing stroke and a control panel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is attached. In the center of the top cover is installed a lid for taking out or accommodating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는 세탁조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이 연결되는 밸브조립체가 설치된다.At the rear of the control panel, a valv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한편, 탑커버의 내측 하측에는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투입장치가 설치된다. 세제투입장치는 호스에 의해 밸브조립체와 연결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공급받는다.On the other hand,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for supplying a detergent to the washing tank is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op cover.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valve assembly by a hose receives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일반적으로 세제투입장치는 국내등록특허 10-0303532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급수관과 연통되도록 개구되어 있는 세제케이싱 과, 세제케이싱에 인출 및 철회가능하게 수용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일시 수용하여 분말형태의 세제를 용해시켜 세탁조내에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세제용기를 포함한다.Generally,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top cover and is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pipe, as shown in FIG. It includes a detergent container for temporarily receiving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dissolution of the detergent in the form of powder to supply the liquid in the washing tank.
상술한 종래의 세제투입장치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제투입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사용자는 리드를 열고 케비넷 내부에 손을 집어넣은 후, 세제용기를 세제케이싱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세제케이싱으로부터 세제용기를 인출한다. 다음으로 인출된 세제용기에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하고 다시 전방으로 밀어 세제케이싱에 세제용기를 장착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제투입장치는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두운 케비넷 내부에서 정확한 양의 세제를 세제용기에 투입해야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order to inject the detergent into the conventional detergent dosing device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dosing process as follows. First, the user opens the lid, puts his hand inside the cabinet, and pulls the detergent container backwards from the detergent casing, and withdraws the detergent container from the detergent casing. Next, put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in the dispensed detergent container and push it forward again to install the detergent container in the detergent casing. However, the conventional detergent dos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inject the detergent, it is difficult to put the correct amount of detergent in the detergent container in the dark cabinet.
또한, 탑커버가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탑커버의 내측에 세제케이싱을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를 뚫어야 하는 데 이는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op cover is made of steel (steel) material, it is necessary to drill a separate fastener to install a detergent casing on the inside of the top cover, which has a problem that is not goo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단순 및 간단한 세제투입장치를 구비한 탑로드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제투입장치를 근본적으로 탑커버의 내측이 아닌 다른 곳에 설치하여 탑커버가 스틸재질일 경우에도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탑로드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load washing machine having a simple and simple detergent input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basically installed in a place other than the inner side of the top cover, even if the top cover is made of ste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소정각도 슬라이딩하여 탈착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세제투입장치;를 포함한다.Top-load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panel; And a detergent dispens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and a dispenser that is detached by slid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housing.
이렇게 세제투입장치가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어 있어,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단순하고 간단해진다. 또한, 탑커버가 스틸재질일 경우에도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탑로드형 세탁기가 제공된다.Thus, the detergent dos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the process of adding detergent is simple and simple. In addition, even if the top cover is made of steel is provided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that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탑로드형 세탁기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며,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밸브조립체와 상기 세제투입장치를 연결하는 호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스는 연결의 편의를 위해 유연한 고무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the housing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ontrol panel, the valve assembly in which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s; And a hose connecting the valve assembly and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Here, the hose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for the convenience of connection.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세탁수가 유출되는 덕트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덕트를 통해 세제투입장치에서 세탁수와 섞인 세제가 세탁조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스펜서가 탈착되기 위한 경사진 장착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is fastened to the control panel, it is preferable that the duct is installed to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e detergent mixed with the wash water from the detergent input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through the duc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mounting hole for detaching the dispenser is formed in the housing.
또한, 세제투입장치의 하우징 전방 하측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딩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이 수납부에 삽입될 경우 하우징의 하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공간을 전장부품등을 설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장치가 컨트롤 패널에 설치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front lower side of the detergent dosing device is concavely rounded in an arc shape. As a result, when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 empty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empty space may be used to install electrical compon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loss caused by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한편, 상기 하우징에 상기 디스펜서가 장착된 후, 진동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디스펜서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dispenser is mounted to the housing, in order to prevent the dispens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by vibration, a fixing par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ousing or the dispenser.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과 이에 수용되는 상기 디스펜서에 형성된 마찰돌기로 구성되며,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디스펜서에 이러한 마찰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and a friction protrusion formed in the dispenser accommodated therein, of course, forming a friction protrusion in the housing by a design change and forming an accommodation groove into which the fric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dispenser. You could do it.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디스펜서에는 상기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using and the dispenser are provided with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rotation.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펜서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이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에 제1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이러한 제1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가이드홈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guide unit preferably includes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dispenser and a first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and moved in the dispenser. Of course, the first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by a design change, and the first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by inserting and moving the first guide protrusion.
한편,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디스펜서를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과 이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기 디스펜서에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에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이러한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uide the dispenser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the guide portion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dispenser that is inserted into and moved therei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protrusion. Of course, a second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by a design change, 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여기서, 상기 다스펜서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 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 보다 곡률반경이 작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groove is longer in length than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s designed to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first guide groove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dos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하우징은, 분말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양측에 형성된 분말세제 또는 섬유유연제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판; 및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로 물을 각각 뿌려주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the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wder detergent;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a powder detergent or a fabric soften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orage unit; A partition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And pipes each spraying water into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reservoir.
여기서, 상기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의 바닥에는 사이폰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phon tube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1저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수용부; 상기 제2저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구획하는 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nser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part; A second accommodation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part; And a receiving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수용판에는 깊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하며, 결합 후에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디스펜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receiving plate is formed with a slit in the depth direction and when the dispenser is mounted to the housing, the partition plate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slit. The slit serves as a guide when the dispenser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serves to support the dispenser in a stable coupling state after coupling.
상기 파이프에는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의 물 분사방향은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로 모두 흘러내리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세탁수를 뿌려주어 이를 상기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로 흘러 내려가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투입된 세제가 남김 없이 모두 세탁에 사용될 수 있어 세제 사용량이 절감된다.The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hole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his is for the case where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left without flowing into both the first storage part and the second storage part,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the first storage part and the second storage part. 2 To flow down to storage. This reduces the amount of detergent used because all the detergent can be used for washing without leav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세제투입장치를 나타낸 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showing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110)과, 케비넷(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세탁수가 채워져 있는 저수조(120)와, 저수조(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 또는 탈수시 회전하며 외벽(132)과 내벽(131)으로 구성된 세탁조(130)와, 내벽(131)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휘저워 주는 펄세이터(160)와, 세탁조(130) 또는 펄세이터(160)를 동시 또는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부(170)를 포함한다.1 and 2, the top-loaded
상기 세탁조(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132)과, 외벽(132)과 안쪽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131)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외벽(132)과 내벽(131)에는 복수개의 배수공(131a, 131b)이 뚫어져 있어, 저수조(120)에 채워져 있던 세탁수가 자유롭게 세탁조(130)로 들어오고 나가게 된다.A plurality of
상기 케비넷(110)의 상부에는 탑커버(111)가 설치된다. 탑커버(111)의 상부에는 세탁조(130)를 개폐하는 리드(1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탑커버(111)의 전방에는 표백제를 담을 수 있는 표백제 투입공간(110a)이 형성된다. 표백제 투입공 간(110a)에 담겨 진 표백제는 밸브조립체(220)와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섞여진 후, 표백제 투입공간(110a)을 넘쳐서 세탁조(130)로 투입된다.The
상기 컨트롤 패널(200)은 탑커버(111)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며, 세탁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준다. 이를 위해 컨트롤 패널(100)의 내부에는 마이콤과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진 컨트롤박스(C)가 내장되어 있다.The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후면에는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밸브(221)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밸브(222)를 포함하는 밸브어셈블리(220)가 설치된다.A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는 수납부(210)가 형성되며, 세제투입장치(300)는 수납부(210)에 삽입되는 하우징(310)과, 그 하우징(310)에 소정각도 슬라이딩하여 탈착되는 디스펜서(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310)은 컨트롤 패널(200) 또는 탑커버(111)에 나사 또는 힌지체결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세제투입장치(300)가 컨트롤 패널(200)에 설치되어 있어,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단순하고 간단해진다. 또한, 탑커버(111)가 스틸재질일 경우에도 세제투입장치(300)가 자체가 종래와 같이 탑커버(111)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탑커버(111)의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탑로드형 세탁기가 제공된다.An
도 3은 도 1의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세제투입장치를 나타낸 세탁기의 부분 평면도이다.3 is a partial plan view of a washing machine showing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310)의 하측으로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덕트(311)가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311)를 통해 세제투입장치(300)에서 세탁수와 섞인 세제가 세탁조(130)로 투입된다. 밸브조립체(220)와 세제투입장치(300)는 호스(230)로 연 결된다. 여기서, 호스(230)의 재질은 밸브조립체(220)와 세제투입장치(300)를 쉽게 연결하기 위하여,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230)는 후술할 제1단자(241)와 제2단자(242)와 제3단자(243)에 각각 연결되는 제1호스(231)와 제2호스(232)와 제3호스(23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도 4는 도 1의 세제투입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디스펜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점선 화살표는 분사공에서 배출되는 물을 나타낸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ergent dosing device of Figure 1 separa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of Figure 4 separa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enser of Figure 4 separated. Here, the dotted arrow indicate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hol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10)은 세제가 저장되는 사각형의 박스로 전면에 디스펜서(320)가 탈착되기 위한 장착구(311)가 형성된다. 장착구(311)를 통해 디스펜서(320)가 가이드부(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디스펜서(330)가 가이드부(330)에 의해 가이드 되어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가 되기 위해 장착구(311)는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져 뚫려 있다.4 and 5, the
상기 장착구(311)의 하단에는 디스펜서(330)가 하우징(310)에 장착된 후 손잡이(322)와 맞닿아 더 이상 디스펜서(330)가 하우징(31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315)가 형성된다. The
상기 하우징(310)의 전방 하측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딩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310)이 수납부(210)에 삽입될 경우 하우징(310)의 하측으로 빈공간(V)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공간(V)을 전장부품등을 설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장치(300)가 컨트롤 패널(200)에 설치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ront lower side of the
상기 하우징(310)은 분말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R1); 제1저장부(R1)의 양측에 형성된 분말세제 또는 섬유유연제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R2);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를 구획하는 구획판(312); 및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로 물을 각각 뿌려주는 파이프(313);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의 바닥에는 사이폰관(314)이 설치된다. 사이폰관(S)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원리는 국내공개특허 10-2006-85978을 참조하기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상기 하우징(310)의 후면에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240)가 관통설치되며, 단자(240)는 밸브조립체(220)와 호스(230)로 각각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240)는 제1단자(241)와 제2단자(242)와 제3단자(243)로 구성되며, 제1호스(231)와 제2호스(232)와 제3호스(233)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제1단자(241)와 제2단자(242)는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의 상측에서 물을 뿌려주기 위한 하면에 복수개의 분사공(313a)이 형성된 파이프(313)와 연결된다.A terminal 240 for supplying wash water is install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분사공(313a)의 물 분사방향은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를 향한다. 이는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에 장착될 경우,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에 수용된 세제가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로 모두 흘러내리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세탁수를 뿌려주어 이를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로 흘러 내려가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투입된 세제가 남긴없이 모두 세탁에 사용될 수 있어 세제 사용량이 절감된다.The water injection direction of the
상기 디스펜서(320)는, 상기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측면이 부채꼴 형상을 가진 박스로, 디스펜서(320)의 전면 하측에는 사용자 잡고 하우징(310)에 디스펜서(320)를 탈착할 수 있는 손잡이(322)가 설치되어 있다.The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공개실용(20-1994-002275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도어개방수단을 디스펜서(320)의 전면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door open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in a one-touch manner as disclosed in the public room (20-1994-0022755)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제1저장부(R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수용부(S1); 제2저장부(R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수용부(S2); 및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를 구획하는 수용판(321);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에 장착될 경우, 제1수용부(S1)는 제1저장부(R1)에 위치하게 되어 제1수용부(S1)에 저장된 세제가 제1저장부(R1)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제2수용부(S2)는 제2저장부(R2)에 위치하게 되어 제2수용부(S2)에 저장된 세제가 제2저장부(R2)로 흘러들어가게 된다.A first accommodating part S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part R1; A second accommodation part S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part R2; And a receiving
한편, 수용판(321)에는 깊이 방향으로 슬릿(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에 장착시 구획판(312)은 슬릿(321a)에 삽입된다. 슬릿(321a)은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에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하며, 결합 후에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디스펜서(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슬릿(321a)을 구획판(312)에 형성하고, 수용판(321)이 슬릿(321a)에 삽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10)에 디스펜서(320)가 장착된 후, 진동에 의해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310) 및 디스펜서(320)에는 고정부(340)가 형성된다.4, 5, and 6, after the
상기 고정부(340)는 하우징(310)에 형성된 수용홈(341)과 이에 수용되는 디스펜서(320)에 형성된 마찰돌기(342, 도 6참조)로 구성된다.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하우징(310)에 마찰돌기(342)를 형성하고 디스펜서(320)에 이러한 마찰돌기(342)가 수용되는 수용홈(341)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용홈(341)을 없애고 마찰돌기(342)가 직접 하우징(310)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xing
상기 하우징(310) 및 디스펜서(320)에는 하우징(310)에 대한 디스펜서(32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30)는 하단을 원호형상으로 따낸 하우징(310)에 원활하게 디스펜서(320)가 탈착되도록 하기 위해창안되었다.The
상기 가이드부(330)는 디스펜서(320)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331)과 이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332)를 포함한다.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디스펜서(320)에 제1가이드돌기(332)를 형성하고 하우징(310)에 이러한 제1가이드돌기(33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가이드홈(331)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펜서(320)를 하우징(310)에 탈착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부(330)는, 제1가이드홈(331)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333)과 이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디스펜서(320)에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334)를 더 포함한다. 물론, 설계변경에 의해 디스펜서(320)에 제2가이드 홈(333)을 형성하고 하우징(310)에 이러한 제2가이드홈(333)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334)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guide the
여기서, 디스펜서(320)가 하우징(31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 제2가이드홈(333)은 제1가이드홈(331) 보다 길이가 긴 원호이며, 제2가이드홈(333)은 제1가이드홈(331) 보다 원호의 곡률반경이 작게 설계된다.Here, in order for the
이하, 상술한 세제투입장치의 설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etergent do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도 4의 하우징 및 디스펜서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하우징에 대하여 디스펜서가 가이드부를 따라 제1단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하우징에 대하여 디스펜서가 가이드부를 따라 제2단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part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dispenser of FIG. 4,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rotates in a first step along the guide par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FIG. 7, and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dispenser rotated 2nd step along the guide part.
도 2를 참조하면,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디스펜서(320)의 손잡이(322, 도 6참조)를 잡고 화살표 A방향으로 디스펜서(320)를 하우징(310)으로부터 잡아당긴다.Referring to FIG. 2, in order to inject detergent, the user grasps the handle 322 (see FIG. 6) of th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우징(310)이 디스펜서(320)에 대해 상대운동하도록, 디스펜서(320)를 하우징(310)에 대하여 잡아당겨 제1단계 회전시킨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332)가 제1가이드홈(331)을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331)의 중간부분까지 이동하게 되고, 제2가이드돌기(334)도 제2가이드홈(333)을 따라 제2가이드홈(333)의 중간 부분까지 이동하게 된다.7 and 8, the user pulls th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우징(310)이 디스펜서(320)에 대해 상 대운동하도록, 디스펜서(320)를 하우징(310)에 대하여 더 잡아당겨 제2단계 회전시킨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331)은 제1가이드돌기(332)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하게 되고, 제2가이드돌기(334)는 제2가이드홈(333)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8 and 9, the user pulls the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사용자는 디스펜서(320)의 제1수용부부(S1)에 분말세제를 채우고, 제2수용부(S2)에 분말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를 채운 다음, 디스펜서(320)의 손잡이(322)를 잡고 화살표 B방향으로 디스펜서(320)를 하우징(310)으로 밀어넣는다.2 and 6, next, the user fills the powder detergent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1 of the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수용부(S1)는 제1저장부(R1)에 위치하게 되어 제1수용부(S1)에 저장된 세제가 제1저장부(R1)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제2수용부(S2)는 제2저장부(R2)에 위치하게 되어 제2수용부(S2)에 저장된 세제가 제2저장부(R2)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표백제를 표백제 투입공간(110a, 도 2참조)에 표백제 투입공간(110a)을 넘쳐서 세탁조(130)로 투입된다.2 and 5,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1 is positioned in the first storage part R1, and the detergent stor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1 flows into the first storage part R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2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R2, and the detergent stor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2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part R2. If necessary, the user overflows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00)의 세탁동작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세탁수가 밸브조립체(220)와 호스(230)와 단자(240)와 파이프(313)를 통해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의 상측으로 각각 공급된다. 공급된 세탁수는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에 저장된 세제와 섞인다. 이때, 분사공(313a)의 물 분사방향(점선, 도 4참조)은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를 향하고 있어,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에 남아 있는 세제가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로 씻겨져 흘러 내려간다.3 and 4, when the user presses a washing operation button (not shown) of the
한편,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로 유입된 세탁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사이폰의 원리에 의해 사이폰관(S)을 통해 제1저장부(R1)와 제2저장부(R2)를 빠져나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torage unit (R1) and the second storage unit (R2)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first storage unit (R1) and the first through the siphon tube (S) by the principle of the siphon 2 It exits the storage section R2.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이폰관(S)을 빠져나간 세제와 섞인 세탁수는 덕트(311)를 통해 세탁조(130)의 상측으로 유도된 후, 세탁조(130)로 공급된다. 이후, 일반적인 세탁과정에 의해 세탁이 진행된다.1 and 4,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the detergent leaving the siphon tube S is guided to the upper sid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형 세탁기에 의하면, 세제투입장치가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리드를 열고 케비넷 내부에 손을 집어넣는 과정이 생략된다.According to the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input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so that the user does not open the lid to put the detergent in and puts his hand inside the cabinet. .
또한, 어두운 케비넷 내부에서 정확한 양의 세제를 세제용기에 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결론적으로, 세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단순하고 간단해진다.In addition, the problem of having to put the correct amount of detergent in the detergent container in the dark cabinet is solved.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adding detergent is simple and straightforward.
또한, 세제투입장치가 탑커버의 내측이 아닌 컨트롤 패널에 설치됨으로써, 탑커버가 스틸재질일 경우에도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탑로드형 세탁기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not the inside of the top cover, it is provided with a top-load washing machine that does not damage the aesthetics even when the top cover is made of steel.
또한, 세제투입장치의 하우징의 하단은 원호형상으로 내측으로 따져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이 수납부에 삽입될 경우 하우징의 하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공간을 전장부품등을 설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장치가 컨트롤 패널에 설치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of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arcuately opened inward. As a result, when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 empty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empty space may be used to install electrical compon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loss caused by the detergent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또한, 세제투입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된 파이프의 물 분사방향이 디스펜서의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향하고 있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남아 있는 세제가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로 씻겨져 흘러 내려간다. 이로 인해 투입된 세제가 남김없이 모두 세탁에 사용될 수 있어 세제 사용량이 절감된다.In addition, the water jet direction of the pipe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detergent dispensing apparatus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dispenser, so that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stored in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t is washed down into the reservoir and flows down. This reduces the amount of detergent used because all of the detergent can be used for washing.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1677A KR100873681B1 (en) | 2007-05-28 | 2007-05-28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US12/099,361 US20080295546A1 (en) | 2007-05-28 | 2008-04-08 |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
AU2008202222A AU2008202222B2 (en) | 2007-05-28 | 2008-05-20 |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
CNA2008101087312A CN101314910A (en) | 2007-05-28 | 2008-05-23 |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1677A KR100873681B1 (en) | 2007-05-28 | 2007-05-28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4641A true KR20080104641A (en) | 2008-12-03 |
KR100873681B1 KR100873681B1 (en) | 2008-12-12 |
Family
ID=4010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1677A KR100873681B1 (en) | 2007-05-28 | 2007-05-28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3681B1 (en) |
CN (1) | CN10131491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47446A1 (en) * | 2023-01-05 | 2024-07-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09503B2 (en) * | 2010-10-01 | 2014-10-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rum washing machine |
CN105821624A (en) * | 2015-01-04 | 2016-08-03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Washing machine automatic putting system and washing machine |
USD899720S1 (en) | 2017-12-21 | 2020-10-20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
USD866887S1 (en) | 2017-12-21 | 2019-11-12 | Whirlpool Corporation | Pedestal |
USD874764S1 (en) | 2017-12-21 | 2020-02-04 | Whirlpool Corporation | User interface |
USD848692S1 (en) | 2017-12-21 | 2019-05-14 | Whirlpool Corporation | Bulk dispensing drawer |
USD865306S1 (en) | 2017-12-21 | 2019-10-29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
USD877431S1 (en) | 2017-12-21 | 2020-03-03 | Whirlpool Corporation | User interface |
US11019982B2 (en) | 2018-12-10 | 2021-06-01 | Midea Group Co., Ltd. | Multiple use detergent dispens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53691A (en) * | 1981-03-17 | 1982-09-22 | Sanyo Electric Co | Injector for finishing compound, etc. of washing machine |
KR100987447B1 (en) * | 2003-10-16 | 2010-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suppling detergent in the washing machine |
KR100556791B1 (en) * | 2003-12-31 | 2006-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measuring container |
-
2007
- 2007-05-28 KR KR1020070051677A patent/KR10087368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5-23 CN CNA2008101087312A patent/CN101314910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47446A1 (en) * | 2023-01-05 | 2024-07-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3681B1 (en) | 2008-12-12 |
CN101314910A (en) | 2008-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3681B1 (en)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
US11649579B2 (en) | Washing machine | |
KR101215448B1 (en) | Washing machine | |
AU2008202222B2 (en) |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 |
KR101491574B1 (en) | Washing Machine | |
KR20070059425A (en) | Detergent box of drum washing machine | |
KR20120044427A (en) |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 |
KR101384759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013374B1 (en) |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 |
KR20130125199A (en) |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20080089813A (en) | Washing machine | |
KR20080104642A (en) | Top loader type washing machine | |
KR101954153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474433B1 (en) | Cleaning material feeder for washer | |
KR20030009845A (en) | device for providing detergent in washing machine | |
KR20070117914A (en) | Washing method of washer | |
KR101529912B1 (en) | Cleaning material feeder for washer | |
KR101544760B1 (en) |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 | |
KR101144792B1 (en) | Detergent box of washer | |
JPH11319380A (en) | Washing machine | |
KR101192193B1 (en) | Dual detergent throwing device for auto washer | |
KR20070015303A (en) | Detergent box of drum washing machine | |
KR20110004747A (en) | Detergent throwing device for auto washer | |
KR100267925B1 (en) | Washing machine | |
KR20100082983A (en) | Top-cov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