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7955A -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955A
KR20080087955A KR1020070030148A KR20070030148A KR20080087955A KR 20080087955 A KR20080087955 A KR 20080087955A KR 1020070030148 A KR1020070030148 A KR 1020070030148A KR 20070030148 A KR20070030148 A KR 20070030148A KR 20080087955 A KR20080087955 A KR 2008008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se substrate
converter
storage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최성식
류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7955A/ko
Priority to US12/056,397 priority patent/US20080297701A1/en
Publication of KR2008008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95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베이스 기판, 복수의 점광원들, 수납 용기 및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제1 커넥터가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점광원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다.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을 수납한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커넥터가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그리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내구성이 증가하며,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컨버터, 점광원, 백라이트 어셈블리, 표시 장치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BACKLIGHT ASSEMB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납 용기와 컨버터의 결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 표시 장치 200, 201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210-1 : 인쇄 회로 기판 215, 216 : 제1 커넥터
220 : 점광원 230, 230-1 : 수납 용기
235 : 개구부 240, 241 : 컨버터
245, 246 : 제2 커넥터 250 : 확산판
260 : 광학 시트 300 : 표시 패널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이면서 가벼운 평판 표시장치가 표시 장치로 주로 사용되며, 특히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패널이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는 수광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특히, 중소형 제품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크기가 작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직하형과 에지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광원,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액정 표시패널 방향으로 확산하는 확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및 확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 및 확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구동 컨버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구동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그러나, 연결 케이블을 통한 인쇄 회로 기판과 구동 컨버터의 연결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공정을 복잡하게 하며, 원가를 상승시키고,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베이스 기판, 복수의 점광원들, 수납 용기 및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제1 커넥터가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점광원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다.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을 수납한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커넥터가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베이스 기판들, 복수의 점광원들, 수납 용기 및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들은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열로 배열되며, 제1 커넥터들이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점광원들은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다.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베이스 기판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각각의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점광원들이 실장된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들 및 상기 개구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커넥터들이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제1 커넥터는 대응되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각각의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가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커넥터가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제1 커넥터를 복수의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단계, 측벽부 및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 제2 커넥터를 컨버터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컨버터를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개구부를 통과시켜 상기 제2 커넥터와 직접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컨버터가 연결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되므로, 조립 공정 및 외관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상기 컨버터의 불량시 교체가 용이하며, 표시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어 셈블리(200) 및 표시 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베이스 기판(210), 복수의 점광원(220)들, 수납 용기(230) 및 컨버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면에는 상기 점광원(220)들이 실장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면에는 제1 커넥터(215)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는 상기 점광원(220)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인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광원(220)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전면에 걸쳐 임의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점광원(220)들의 개수 및 배열 간격은 베이스 기판(210)의 크기 및 용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215)는 베이스 기판(210)의 하면 중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15)가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되는 경우, 베이스 기판(210)의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수납 용기(230) 및 컨버터(240)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커넥터(215)들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 및 중앙부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커넥터(215)가 상기 컨버터(240)의 제2 커넥터(245)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점광원(220)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면에 실장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점광원(220)들은 백색광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버터(240)에서 전원 전압을 제공받은 후,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제어 회로를 통해 점광원(220)들의 점등이 제어된다.
상기 점광원(220) 각각은 적색 파장의 적색광을 발생하는 적색 광원(221), 녹색 파장의 녹색광을 발생하는 녹색 광원(222) 및 청색 파장의 청색광을 발생하는 청색 광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원들은 각각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들은 하나의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은 서로 혼합되어 백색광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점광원(220)의 개수는 표시 패널의 크기 및 필요한 휘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수납 용기(230)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부(232)와 측벽부(231)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측벽부(231)는 상기 바닥부(232)와 실질 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바닥부(232)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납 용기(230)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베이스 기판(210) 등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납 용기(230)의 바닥부(232)는 개구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235)는 상기 제1 커넥터(2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커넥터(21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215)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되면, 상기 개구부(235)는 상기 측벽부(231)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커넥터(215)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중앙부에 연결되면, 상기 개구부(235)는 상기 바닥부(232)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1 커넥터(215)들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 및 중앙부에 동시에 연결되면, 복수의 개구부(235)들이 상기 측벽부(231)와 인접하는 위치 및 바닥부(232)의 중앙부에 동시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상기 개구부(235)를 통과하여 상기 컨버터(240)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35)를 통과하는 제1 커넥터(215)의 단면이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 개구부도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상기 개구부(235)와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10)과 수납 용기(23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부(235)는 상기 수납 용기(230) 금형을 통해, 상기 수납 용 기(230)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납 용기(230)가 형성된 후, 상기 바닥부(232)에 프레스 공정을 통해 개구부(2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240)는 상기 수납 용기(230)의 하부에 배치되며, 구동 전원을 상기 베이스 기판(210)으로 제공하여, 점광원(220)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컨버터(240)는 상기 수납 용기(230)와 예를 들어, 절연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수납 용기(230)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컨버터(240)로 전달되어 회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상기 컨버터(240)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2 커넥터(245)는 상기 제1 커넥터(245) 및 상기 수납 용기(230)의 개구부(235)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215)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235)가 상기 측벽부(23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2 커넥터(245)도 상기 컨버터(24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된다. 이 경우, 컨버터(240)의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베이스 기판(210) 및 수납 용기(230)와의 조립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커넥터(245)는 상기 컨버터(240)의 중앙부에 연결되거나, 복수의 제2 커넥터(245)들이 상기 컨버터(240)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 및 중앙부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245)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제1 커넥터(215)와 결합하도록, 상기 컨버터(24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연결된 제1 커넥터(215)는 상기 수납 용기(230)의 개구부(235)를 통과하여, 상기 컨버터(240)에 연결된 제2 커넥터(2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버터(240)에 연결된 제2 커넥터(245)가 상기 수납 용기(230)의 개구부(235)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연결된 제1 커넥터(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215) 및 제2 커넥터(245)가 상기 개구부(235)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확산판(250) 및 광학 시트들(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판(25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점광원(220)들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확산판(250)의 하면으로 입사되며, 상기 확산판(250)은 상기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킨다.
상기 광학 시트들(260)은 예를 들어, 확산 시트(261) 및 프리즘 시트들(2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 시트(261)는 상기 확산판(2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점광원(220)들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확산판(250)을 통과한 광을 확산시킨다. 상기 프리즘 시트들(262)은 상기 확산 시트(26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 시트(261)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여, 표시 패널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사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시트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면에 부착된 후, 상기 점광원(220)들이 상기 반사시트가 부착된 베이스 기판(210)의 상 면에 실장된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점광원(220)들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확산판(250)이 배치되지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확산판(250)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된 광을 확산판(250) 방향으로 다시 반사한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에 코팅된 반사층이 상기 반사 시트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제1 기판(311), 제2 기판(312), 액정층(미도시), 데이터 연성회로기판(320), 게이트 연성회로기판(330),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40)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판(311)은 색을 구현하기 위한 RGB 화소가 형성된 복수의 컬러필터(color filter: CF)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312)은 상기 제1 기판(3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312)은 상기 컬러필터들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전극(pixel electrode)들, 상기 각 화소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구동시키는 신호선(signal line)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기판(311) 및 제2 기판(312)의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 분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분자들은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어, 광투과율을 조절한다.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들(340, 350)은 상기 제2 기판(3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기판(312)에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50)은 별도의 신호 배선을 제2 기판(312)에 형성하여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연성회로기판들(320, 330)은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들(340, 350)과 상기 제2 기판(3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들(340, 350)에서 발생된 구동신호를 상기 제2 기판(312)으로 제공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들(320, 330)은 예를 들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납 용기와 컨버터의 결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215)와 제2 커넥터(245)는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210)과 컨버터(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넥터(215)는 제1 커넥터 단자(216)과 제1 커넥터 케이스(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단자(216)는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핀은 16개씩 2열로 3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케이스(217)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23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0mm 내지 12mm 사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단자(216)들의 제1 끝부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면 에 솔더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면에 결합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215)의 제1 끝부들이 상기 결합 단자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커넥터(215)의 제2 끝부들은 상기 컨버터(240)의 제2 커넥터(245)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커넥터(245)는 제2 커넥터 단자(246)과 제2 커넥터 케이스(247)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단자(246)는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단자(216)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커넥터 케이스(247)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23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0mm 내지 12mm 사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245)의 제1 끝부들은 상기 컨버터(240)의 하면에 솔더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버터(240)의 하면에 결합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커넥터(245)의 제1 끝부들이 상기 결합 단자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커넥터(245)의 제2 끝부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제1 커넥터(215)와 결합하도록, 상기 컨버터(24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커넥터(215)의 제1 커넥터 단자(216)들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245)의 제2 커넥터 단자(246)들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제1 커넥터 단자(216)들이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커넥터 단자(246)들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납 용기(2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버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1)는 상기 컨버터(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41)는 상기 수납 용기(230)의 하부와 예를 들어, 절연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1)에서는 베이스 기판(210-1), 수납 용기(230-1) 및 컨버터(24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1)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1) 및 표시 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1)는 복수의 베이스 기판(210-1)들, 복수의 점광원(220)들, 수납 용기(230-1) 및 컨버터(24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1)들은 일 방향으로 따라 복수 개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상면에는 상기 점광원(220)들이 실장되고,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하면에는 제1 커넥터(216)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에는 실장된 점광원(220)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어 회로가 각각 인쇄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216)는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하면에 한 개씩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216)는 베이스 기판(210-1)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된다. 이 경우, 베이스 기판(210-1)의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수납 용기(230-1) 및 컨버터(241)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커넥터(216)는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 및 중앙부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2개 이상의 제1 커넥터(216)들이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커넥터(216)들이 상기 컨버터(214)의 제2 커넥터(246)들과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216)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점광원(220)들은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에 일 열 또는 복수의 열로 실장될 수 있다. 즉, 점광원(220)들의 개수 및 배열 간격은 베이스 기판(210-1)의 크기 및 용도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광원(220)들의 구동은 점광원(220)들이 실장된 각각의 베이스 기판(210-1)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그리하여, 점광원(220)들의 국부적인 구동, 즉 로컬 디밍(local dimming) 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점광원(220)들 중 일부가 고장난 경우,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수납 용기(230-1)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1)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 닥부(232)와 측벽부(2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납 용기(230-1)의 바닥부(232)는 복수의 개구부(236)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236)들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2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1 커넥터(216)들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1)들 각각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되면, 상기 개구부(236)들은 상기 측벽부(231)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개구부(236)들은 상기 바닥부(23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36)들은 상기 측벽부(231)와 인접하는 위치 및 바닥부(232)의 중앙부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커넥터(216)들은 상기 개구부(236)들을 통과하여 상기 컨버터(241)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241)는 상기 수납 용기(230-1)의 하부에 배치되며, 구동 전원을 상기 베이스 기판(210-1)으로 제공하여, 점광원(220)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2 커넥터(246)들은 상기 컨버터(241)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2 커넥터(246)들은 상기 제1 커넥터(216)들 및 상기 수납 용기(230-1)의 개구부(236)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216)들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1)들 각각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236)들이 상기 측벽부(231)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면, 상기 제2 커넥터(246)들은 상기 컨버터(241)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커넥터(246)들은 상기 컨버터(241)의 중앙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컨버터(241)의 측부와 인접하는 위치 및 중앙부에 동시 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246)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1)의 제1 커넥터(216)들과 결합하도록, 상기 컨버터(24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10-1)에 연결된 제1 커넥터(216)들은 각각 상기 수납 용기(230-1)의 개구부(236)들을 통과하여, 상기 컨버터(241)에 연결된 제2 커넥터(246)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버터(241)에 연결된 제2 커넥터(246)들이 상기 수납 용기(230-1)의 개구부(236)들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10-1)에 연결된 제1 커넥터(216)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216)들 및 제2 커넥터(246)들이 상기 개구부(236)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과 컨버터가 연결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되므로, 조립 공정 및 외관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컨버터의 불량시 교체가 용이하며, 표시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제1 커넥터가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복수의 점광원들;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커넥터가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컨버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높이는 10mm 내지 12mm 사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확산판을 통과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들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열로 배열되며, 제1 커넥터들이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베이스 기판들;
    상기 각각의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복수의 점광원들;
    상기 베이스 기판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각각의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들 및 상기 개구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커넥터들이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컨버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커넥터는 대응되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각각의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확산판을 통과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1 커넥터가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커넥터가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컨버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복수의 점광원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확산판을 통과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커넥터를 복수의 점광원들이 실장된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단계;
    측벽부 및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
    제2 커넥터를 컨버터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컨버터를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개구부를 통과시켜 상기 제2 커넥터와 직접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확산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상기 확산판을 통과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20070030148A 2007-03-28 2007-03-28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ithdrawn KR20080087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148A KR20080087955A (ko) 2007-03-28 2007-03-28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2/056,397 US20080297701A1 (en) 2007-03-28 2008-03-27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148A KR20080087955A (ko) 2007-03-28 2007-03-28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955A true KR20080087955A (ko) 2008-10-02

Family

ID=4008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148A Withdrawn KR20080087955A (ko) 2007-03-28 2007-03-28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97701A1 (ko)
KR (1) KR20080087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52B1 (ko) * 2008-12-31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139B1 (ko) 2008-12-30 201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99780B1 (ko) * 2010-01-07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0802A (ko) 2010-09-20 201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9625139B2 (en) 2010-10-09 2017-04-18 Autronic Plastics, Inc. Modular LED lighting assembly
JP2015038808A (ja) * 2010-12-01 2015-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面発光照明装置
KR101992718B1 (ko) * 2012-04-24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487987B (zh) * 2013-05-07 2015-06-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及使用其之顯示裝置
US10386027B1 (en) 2013-09-13 2019-08-20 Clear-Vu Lighting Llc Pathway lighting system for tunnels
US9909748B2 (en) 2014-05-02 2018-03-06 Clear-Vu Lighting Llc LED light fixture for use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US10585229B1 (en) 2016-11-08 2020-03-10 Autronic Plastics, Inc. Lighting system with particular sealing arrangement
US10443827B2 (en) 2018-01-29 2019-10-15 Clear-Vu Lighting Llc Light fixture and wireway assembly
US11490474B1 (en) 2019-03-29 2022-11-01 Autronic Plastics, Inc. Bi-level light fixture for public transportation tunnels
CN110750012B (zh) * 2019-10-30 2022-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组件
WO2023058270A1 (ja) * 2021-10-06 2023-04-13 株式会社カネカ 面光源
US11785719B2 (en) * 2021-11-03 2023-10-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8284B (de) * 1998-01-19 2001-10-25 Swarco Futurit Verkehrssignals Optikeinheit für signal-, verkehrs- und anzeigegerä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ägung
TWI321688B (en) * 2005-09-06 2010-03-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WO2007064001A1 (en) * 2005-11-29 2007-06-07 Showa Denko K.K. Reflector frame, flat light source device provided with the reflector fr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flat light source device
KR101301954B1 (ko) * 2006-06-30 201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52B1 (ko) * 2008-12-31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7701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795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47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55833B1 (ko) 액정표시장치
US854041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04892B1 (ko) 발광다이오드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280390B1 (ko) 엘이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8001359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80074902A1 (en) Lcd backlight assembly with leds
KR10129913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1215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862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95146B1 (ko) 액정표시소자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8848134B2 (en) LED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2262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820009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1067986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30126407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2123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1596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53631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0277853A (ja) バックライト
US2008002469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875724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