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67830A - 화상독취유닛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30A
KR20080067830A KR1020070005233A KR20070005233A KR20080067830A KR 20080067830 A KR20080067830 A KR 20080067830A KR 1020070005233 A KR1020070005233 A KR 1020070005233A KR 20070005233 A KR20070005233 A KR 20070005233A KR 20080067830 A KR20080067830 A KR 2008006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source
cover
module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30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04N1/0318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source, a lens array and a photodetector array which are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원고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과,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광원은 프레임과 별도의 부품인 광원모듈로 모듈화되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원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화상독취유닛, 프레임, 광원모듈, 착탈

Description

화상독취유닛{Image read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완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의 램프모듈이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프레임 12...이미지센서
15...소켓 16...커버결합돌기
20...프레임커버 22...커버결합홈
23...모듈결합돌기 30,40...제 1,2 광원모듈
31,41...제 1,2 몸체 32,42...제 1,2 램프
34,44...제 1 단자 36,45...모듈결합홈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에 빛을 주사하고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센싱하여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화상독취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장치는 스캐너 또는 스캐너 등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문서나 사진 등의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인쇄매체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는 문서나 사진 등의 원고가 놓이는 투명의 글래스 플레이트와, 글래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고를 스캔하여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시키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한다. 화상독취유닛은 글래스 플레이트에 놓인 원고에 빛을 조사하고,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빛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통상적으로, 화상독취유닛은 빛을 발생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리플렉터나 광가이드로 구성되는 조명광학 부분과, 반사미러와 렌즈로 구성되는 결상광학계 부분과, 이미지센서와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센서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구성부품들은 글래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에 설치된다.
화상독취유닛의 광원으로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나, 제논 램프(Xe Lamp), 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이용된다. 이들 각각의 광원은 최대 광밀도와 고유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독취유닛은 결상광학계 부분과, 센서 부분은 모두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광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모델로 제조된다. 따라서, 램프가 바뀌면 결상광학계 부분과 센서 부분이 설치된 프레임을 포함한 화상독취유닛의 전체의 구조가 새로 설계된다.
이렇게 광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조가 새로 설계되면 새로운 모델 설계에 따른 설계 비용이 발생되고, 이러한 설계 비용은 제품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에서 광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설계 비용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독취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원고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프레임과 별도의 부품인 광원모듈로 모듈화되어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광원모듈 및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광원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듈고정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고정구조는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모듈결합돌기와, 상기 모듈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머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모듈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된 일측면을 덮을 수 있는 프레임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프레임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커버 및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커버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커버고정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고정구조는 상기 프레임커버와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커버결합돌기와, 상기 커버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머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광원모듈에는 상기 소켓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커버(20)와, 프레임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광원모듈(30)을 포함한 다.
프레임(10)은 화상독취장치의 원고가 놓이는 투명한 글래스 플레이트(미도시)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화상독취장치의 가이드바(1)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1a)이 구비된 결합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10)에는 화상독취장치의 구동벨트가 연결된다. 구동벨트가 작동하면 프레임(10)은 가이드바(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원고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이미지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12)와, 원고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센서(12)로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사미러(13)와, 이미지센서(12)의 광경로 상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미지센서(12)로 향하는 빛을 포커싱시키는 렌즈(14)와, 제 1 광원모듈(3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소켓(15)이 설치된다.
프레임커버(20)는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 일부를 덮는다. 프레임커버(20)와 프레임(10)에는 프레임커버(20)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는 커버고정구조(21)가 구비된다. 커버고정구조(21)는 프레임(10)에 구비되는 후크 형태의 복수의 커버결합돌기(16)와 이들 커버결합돌기(16)에 대응하도록 프레임커버(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결합홈(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커버(20)가 프레임(10)에 결합될 때 복수의 커버결합돌기(16)가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커버결합홈(22)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커버(20)는 프레임(10)에 후크결합된다.
여기에서, 커버결합돌기(16)와 커버결합홈(22)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프레임커버(20)를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구조(21)는 후크결합 구조 이외에 스크류를 통한 나사결합 구조 또는 프레임커버(20)를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결합 구조가 가능하다.
제 1 광원모듈(30)은 상부면이 개방된 제 1 몸체(31)와, 제 1 몸체(3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램프(32)와, 각 제 1 램프(32)의 상부 일부를 덮는 램프커버(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몸체(3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 1 램프(3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단자(34)가 구비된다. 이 제 1 단자(34)는 조립시 프레임(10)의 소켓(15)에 결합된다.
한 쌍의 제 1 램프(예컨대, 냉음극형광램프(CCFL), 32)는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제 1 몸체(31)에 설치된다. 각 제 1 램프(32)의 하부면과 후면에는 각 램프(32)에서 발생되는 빛을 각 램프(32)의 상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램프커버(33)의 하부면에도 반사시트가 구비되어 각 램프(32)에서 발생되는 빛이 넓은 영역으로 발산되지 못하고 제한된 영역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각 램프커버(33)는 외부의 빛이 제 1 광원모듈(3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막는 역할도 한다.
제 1 광원모듈(30)은 프레임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광원모듈(30)이 프레임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광원모듈(30)과 프레임커버(20)에는 모듈결합 구조(35)가 구비된다. 이 모듈결합 구조는 프레임커버(20)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후크 형태의 복수의 모듈결합돌기(23)와, 각 모듈결합돌기(23)에 대응하도록 제 1 몸체(31)에 구비되는 복수의 모듈결합홈(36)을 포함하 여 구성된다. 제 1 광원모듈(30)에 프레임커버(20)에 결합될 때 복수의 모듈결합돌기(23)가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모듈결합홈(36)에 결합됨으로써 제 1 광원모듈(30)은 프레임커버(20)에 후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독취유닛은 조립완료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커버(20)가 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 1 광원모듈(30)은 프레임커버(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 1 광원모듈(30)은 그 단자(34)가 프레임(10)의 소켓(15)에 결합됨으로써 각 제 1 램프(32)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프레임(10)과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3은 제 1 광원모듈(30) 대신에 제 2 광원모듈(40)을 프레임(10)에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제 2 광원모듈(40)은 제 1 광원모듈(30)과 교체되어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광원모듈(40)은 프레임커버(20)에 상부가 개방되고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41)와, 제 2 몸체(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램프(예컨대, 제논램프(Xe Lamp), 42)와, 제 2 램프(42)에서 발생되는 빛을 제 2 램프(42)의 상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43)과, 제 2 램프(4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프레임(10)의 소켓(15)에 결합되는 제 2 단자(44)를 포함한다.
제 1 광원모듈(30)과 마찬가지로 제 2 광원모듈(40)에는 프레임커버(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모듈결합돌기(23)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듈결합홈(45)이 구비된다. 이들 복수의 모듈결합홈(45)은 복수의 모듈결합돌기(23)와 함께 제 2 광원모듈(40) 이 램프커버(33)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듈결합구조(24)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은 이미지센서(12), 반사미러(13), 렌즈(14)가 설치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프레임커버(20)는 그대로 두고 광원모듈(30)(40)만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램프의 수리나 교체 작업이 쉬어 관리가 편리하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은 제 1 및 제 2 광원모듈(30)(40)은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과 같고, 프레임(50)이 프레임커버부(51)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50)의 내부에는 이미지센서(52)와, 복수의 미러(53)와, 렌즈(미도시)와, 소켓(54)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50) 상부에 프레임커버부(51)에는 복수의 모듈결합돌기(55)가 돌출 구비된다. 이 모듈결합돌기(55)는 제 1 및 제 2 광원모듈(30)(40)의 각 모듈결합홈(36)(45)과 함께 각 광원모듈(30)(40)을 고정하기 위한 모듈고정 구조(56)(57)를 구성한다.
여기에서도, 모듈고정 구조는 후크결합 구조 이외에 다른 다양한 결합 구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독취유닛 역시 프레임(50)은 규격화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프레임(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원모 듈(30)(40)만 교체함으로써 부품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센서, 반사미러, 렌즈 등이 설치된 프레임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원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가 구비된 광원모듈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램프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쉽고 관리가 편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원고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화상독취유닛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프레임과 별도의 부품인 광원모듈로 모듈화되어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 및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광원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듈고정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고정구조는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모듈결합돌기와, 상기 모듈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머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모듈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된 일측면을 덮을 수 있는 프레임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프레임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커버 및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커버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커버고정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구조는 상기 프레임커버와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커버결합돌기와, 상기 커버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머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광원모듈에는 상기 소켓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유닛.
KR1020070005233A 2007-01-17 2007-01-17 화상독취유닛 KR20080067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33A KR20080067830A (ko) 2007-01-17 2007-01-17 화상독취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33A KR20080067830A (ko) 2007-01-17 2007-01-17 화상독취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30A true KR20080067830A (ko) 2008-07-22

Family

ID=3982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33A KR20080067830A (ko) 2007-01-17 2007-01-17 화상독취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3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760A (ja) * 1992-11-13 1994-05-27 Fuji Photo Film Co Ltd 透過原稿照明装置
JP2000321682A (ja) * 1999-05-07 2000-11-24 Ricoh Co Ltd 読取装置
JP2002287273A (ja) * 2001-03-23 2002-10-03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760A (ja) * 1992-11-13 1994-05-27 Fuji Photo Film Co Ltd 透過原稿照明装置
JP2000321682A (ja) * 1999-05-07 2000-11-24 Ricoh Co Ltd 読取装置
JP2002287273A (ja) * 2001-03-23 2002-10-03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7937B1 (en) Integrated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active transparency adapter
JP2008123766A (ja) ライトガイド、光源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34296A (ja) 画像読取装置
US6614563B1 (en) Flat panel illuminator active transparency adapter
US2011022835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11632B2 (en) Image scanning device
KR100499616B1 (ko) 조명장치 및 화상판독장치
CN104121502A (zh) 发光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US10033899B2 (en) Lighting device including a board to mount the light source on a mount surface opposite a cover,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69673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WO2009011550A1 (en) Hand drier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JP5012790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S604368A (ja) 光学読取装置
US20070091283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20080067830A (ko) 화상독취유닛
CN100515011C (zh) 扫描装置
JPH05299701A (ja) ライン照明ユニット
CN210571921U (zh) 一种用于表面检测的光源装置
JP5169569B2 (ja) 読取用光源装置
CN101551075A (zh) 光源装置及原稿读取装置
CN114143409A (zh) 照明装置及图像读取装置
US20070182593A1 (en) Circuit module integrating a light driver and an optical sensor
KR101398898B1 (ko) 스캐닝장치
CN212009243U (zh) 一种成像照明一体化结构
JP5396328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