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46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5460A KR20080055460A KR1020060128833A KR20060128833A KR20080055460A KR 20080055460 A KR20080055460 A KR 20080055460A KR 1020060128833 A KR1020060128833 A KR 1020060128833A KR 20060128833 A KR20060128833 A KR 20060128833A KR 20080055460 A KR20080055460 A KR 20080055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body
- front panel
- air
- air conditioner
- remote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된 원격 조작기 박스에 원격 조작기가 경사 방향으로 삽입/인출되므로, 원격 조작기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삽입/인출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원격 조작기의 외관 흠집을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작기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삽입/인출되거나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삽입/인출되는 경우 보다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전면 패널, 원격 조작기, 원격 조작기 박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모컨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모컨 박스가 열려졌을 때 확대 도시된 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모컨 박스가 닫혀졌을 때 확대 도시된 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회동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0: 전면 패널
21: 글래스 22: 글래스 패널
23: 커버 27: 디스플레이
29: 원격조작기 박스 162: 내측 커버
164: 박스 회피홈부 201: 수용부
202,203: 삽입홈부 204,205: 체결부
206,207: 걸림부 210: 고정체
221: 홈부 222,223: 힌지홈부
240: 회동체 250,251: 힌지 축
252: 홈부 260: 돌기
270: 가이드 280: 닫힘 유지부
290: 열림 유지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 조작기를 보관하는 원격 조작기 박스가 틸팅 방식으로 열리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 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컨을 별도로 구성하고, 리모컨의 분실 등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 특히 실내기의 일측에 리모컨을 보관하는 별도의 리모컨 보관부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2-0018342에는 캐비닛의 좌,우 중 일측면부에 보관홈이 형성되고, 보관홈의 내부에 일면이 개방되어 리모컨이 수납되는 별도의 보관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보관함의 개구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보관함을 회전시킨 다음 리모컨을 보관함에 넣어 보관하고, 보관함을 180°회전시켜 리모컨과 보관함의 개구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 보관함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보관홈과 보관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일체감을 주지 못하고 보관홈과 보관함의 사이에 먼지 등이 있는 경우 지저분해 보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90508에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개폐 가능토록 설치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모컨을 보관하는 리모컨 홀 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열어 전면 패널의 배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리모컨을 리모컨 홀더에 넣어 보관하고, 전면 패널을 닫아 전면 패널의 배면 및 리모컨, 리모컨 홀더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 전면 패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리모컨 홀더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모컨을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최대한 가깝게 하면서 리모컨 홀더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인출하므로, 리모컨과 전면 패널과 부딪힘에 따른 외관 흠집이 발생되기 쉽고, 리모컨의 삽입/인출 방향이 전면 패널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하므로, 그 삽입/인출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2-0004263에는 리모콘을 흡입 그릴에 보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은 캐비닛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캐비닛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그릴본체와, 그릴본체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리모콘이 수납되는 리모컨 수납구로 이루어지고, 리모컨 수납부는 공기 흡입구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릴본체의 상측면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일정폭 만큼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안쪽에 형성되어 리모컨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흡입 그릴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시켜 흡입 그릴을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킨 후 리모콘을 공간부로 경사 방향으로 삽입/인출한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을 보관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흡입 그릴은 리모콘의 삽입/인출시마다 흡입 그릴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시키므로, 흡입 그릴에 있던 먼지 등이 실내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주변이 자주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 조작기를 전면 패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인출할 수 있어 원격 조작기의 외관 흠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격 조작기의 삽입/인출 동작이 편리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 패널의 배면측 미관이 향상되고 원격 조작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 조작기 박스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원격 조작기 박스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작기 박스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원격 조작기 박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원 격 조작기가 경사 방향으로 삽입/인출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조작기 박스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후방으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원격 조작기가 올려지는 회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에 상기 고정체의 전부 혹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전면 패널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체는 하부 양측이 상기 고정체의 하부 양측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고정체는 배면이 개방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고정체의 배면을 개폐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격 조작기가 올려지는 하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는 상면부의 후단에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체는 회전 중심이 후방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고정체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회동체는 배면부의 상단에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가 경사 배치되거나 수직배치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동체와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회동체와 고정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의 회전시 상기 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회동체의 수직 배치시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동체가 경사 배치시 상기 돌기가 걸리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체는 상기 고정체의 좌측면부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좌측면부와, 상기 고정박스의 우측면부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우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회동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동체가 고정체를 닫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닫힘 유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동체가 고정체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 유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여닫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원격 조작기가 삽입/인출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 조작기 박스를 회피하는 박스 회피홈부가 형성된 내측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1)와, 본체(1)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본체(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다.
본체(1)는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0)는 전면 패널(20)을 본체(1)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배치시켜 닫았을 때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S)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조부(100)는 상부 패널(50)의 전면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20)이 상부 패널(50)의 좌,우,중앙 중에서 중앙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 부 패널(50)의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5)가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면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20)이 상부 패널(5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좌측부과 우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와 우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6)가 경사진 좌측부에 형성되고 우측 공기 토출구(7)가 경사진 우측부에 형성되며, 전면 패널(20)은 상부 패널(50) 중에서 경사진 좌측부와 경사진 우측부 사이의 부분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조부(100)는 상부 패널(50)의 전면 상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패널(50)의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부 패널(50)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구 베인(5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5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구 베인(5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52)을 회전시키는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 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측 공기 토출구(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측 토출구 베인(53)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53)을 회전시키는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하부 패널(70)(80)은 상부 패널(50)의 좌측부과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70)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부와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7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7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는 우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82)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 번호 27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전면 패널(20)의 여러 위치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2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전면 패널(20)은 본체(1)의 전면을 여닫도록 설치된 일종의 도어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1)와, 글래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2)과,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을 조립하는 커버(23)를 포함한다.
커버(23)는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글래스 패널(22)에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커버(23)는 단면이 대략 ‘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좌,우,상,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씌워지는 좌,우,상,하측의 네 개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21)의 배면에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부(24)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불투명 시트가 글래스(21)의 배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불투명부(24)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도록 그 상부와 하부 각각이 본체(1)의 전방부측에 힌지 연결된다.
전면 패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 일측의 대략 중앙부가 본체(1) 특히, 상부 패널(50)에 연결 기구로 연결되되, 연결기구는 전면 패널(50)이 급격하게 여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 기구는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25)를 포함하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54)가 형성되며,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드 안내부(26)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은 그 회전시 슬라이드부재(25)가 힌지 연결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부(26)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부재(25)에는 슬라이드시 전면 패널(20)에는 마찰력이 작용되며, 전면 패널(20)은 슬라이드 부재(25)와의 마찰력에 의해 그 급격한 여닫힘이 제한된다.
즉,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의 상부,중앙부,하부가 본체(1)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한편, 전면 패널(2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7)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사이에 디스플레이(27)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 패널(20)에는 디스플레이(27)를 위치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무빙 기구(2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무빙 기구(28)는 디스플레이(27)를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위치시키는 수동 방식의 무빙 기구도 적용 가능하고, 디스플레이(27)를 모터와 기어 등이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자동 방식의 무빙 기구도 적용 가능하며, 디스플레이(27)에 직접 연결되어 디스플레이(27)를 직접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 패널(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R)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29)가 설치된다.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배면측에 구비된다.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디스플레이(28)와 전면 패널(20)과 함께 전면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여기서,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할 경우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동작시 원격 조작기(R)가 전면 패널(2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어 원격 조작기(R) 외관이 손상되기 쉽고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는 반면에,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경우 원격 조작기(R)의 손상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원격 조작기(R)를 전면 패널(20)의 배면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 방향으로 삽입하고 전면 패널(20)의 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3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 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이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의 일부 특히, 베이스(30)에 체결되는 부분을 덮는 하부 브래킷 커버(35)가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후술하는 청소 기구(90)의 더스트 박스(9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착탈되는 박스 착탈부(36)가 형성된다.
캐비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후방부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좌,우 측면부(41)(42)가 배면부(43)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배치된다.
상부 패널(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면부(55)(56)가 전면부(57)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8)가 전면부(57)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힌지 브래킷(59)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부 힌지 브래킷(58)의 일부를 덮는 상부 브래킷 커버(60)가 구비된다.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좌측 필터(72)와 우측 필터(82)가 각각 고정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73)이 설치된다.
한편, 본체(1)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 유닛(90)이 구비된다.
여기서, 청소 유닛(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따라 이동되도록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좌,우 필터(72)(82)의 먼지를 수집하는 필터 키트(91)와, 상기 필터 키트(91)와 더스트 호스(9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92)의 먼지 등 필터 이물질이 흡입되게 하는 키트 송풍기(93)와, 상기 흡입된 필터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94)과, 상기 사이클론(9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트 박스(95)와, 상기 청소 유닛 특히 필터 키트(91)와 키트 송풍기(93)을 제어하는 청소 유닛 컨트롤 박스(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체(1)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본체(1) 외부의 공기를 본체(1)의 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본체(1)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가 구비된다.
열교환기(100)는 캐비닛(40)의 상부와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캐비닛(40)과 송풍기(11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캐비닛(40)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캐비닛(40)의 하부에 장착된 송풍모터(111)와, 송풍모터(111)의 연결된 송풍팬(112)과, 전면부에 개구부(113)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토출부(114) 가 형성되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5)과, 팬 하우징(115)의 전면에 배치된 오리피스(116)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열교환기(10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열교환기(70)가 올려져 지지되는 드레인 팬(117)이 형성된다.
한편, 송풍기(110)의 전방에는 송풍팬(112)의 회전시 오리피스(116)로 흡인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기구(120)가 설치된다.
정화 기구(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21)(122)(123)과,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21)(122)(123)가 착탈되도록 송풍기(110)에 장착된 정화 유닛 홀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 유닛 홀더(130)는 전면과 좌,우측면과 상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배면을 통해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30)는 정화 유닛(121)(122)(12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정화 유닛(121)(122)(123)의 삽입/인출 동작시 송풍기(110)의 전면이나 드레인 팬(117)과 접촉될 수 있어 정화 유닛(121)(122)(123)가 손상되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정화 유닛(121)(122)(123)의 삽입/인출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경우 정화 유닛(121)(122)(123)의 삽입/인출 동작을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에, 정화 유닛(121)(122)(12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정화 유닛(121)(122)(123)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정화 유닛(121)(122)(123)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인출하는 구조로 이루 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30)는 송풍기(100)에 고정 장착된 리어 정화 유닛 홀더(140)와, 상기 리어 정화 유닛 홀더(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 정화 유닛 홀더(150)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필터 홀더(150)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1)는 베이스(30)와 상부 패널(50)과 좌,우 하부 패널(70)(8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60)가 형성되는 바, 개구부(160)를 통해 정화 유닛(121)(122)(123)를 출입시켜 정화 유닛(121)(122)(123)의 청소나 교체를 할 수 있고, 아울러 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키트 송풍기(93)나 청소 유닛 컨트롤 박스(96) 등의 각종 구성품의 서비스를 한다.
한편, 본체(1)에는 개구부(160)를 막아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 미관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높이도록 개구부(160)를 막는 내측 커버(162)가 구비된다.
내측 커버(162)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부 패널(50)의 하부 등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커버(162)에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원격 조작기 박스(29)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원격 조작기 박스(29)를 회피하는 박스 회피홈부(164)가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참조 부호 170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청소유닛 컨트롤 박스(96)나 송풍모터(111)나 디스플레 이(27) 등과 전선 등의 케이블로 연결되고,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고 내측 커버(160)를 본체(1)에서 분리하였을 때 개구부(1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예를 들면 송풍기(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전면 패널(20)에 고정되게 장착된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경사 배치되거나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고정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체(240)를 포함하고, 원격 조작기(R)는 회동체(240)가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체(210)와 회동체(240)의 사이로 경사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하나에 올려지고, 고정체(210)와 회동체(240)의 사이를 통해 경사 방향으로 인출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격 조작기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격 조작기 박스가 열려졌을 때 확대 도시된 도이며,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격 조작기 박스가 닫혀졌을 때 확대 도시된 도이고,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회동체의 정면도이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 패널(22)에 고정체(210)가 장착되는 고정체 장착부(201)(202)(203)(204)(205)(206)(207)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 패널(22)의 배면에 고정체(210)의 전부 혹은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201)가 형성된다.
수용부(201)는 글래스 패널(22)의 배면에 전방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형성 된 홈부로서, 고정체(21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체(210) 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면 패널(20)은 글래스 패널(22)에 고정체(210)의 체결부(211)(212)가 삽입되는 삽입홈부(202)(203)가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체(210)의 체결부(211)(212)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213)(214)로 체결되는 체결부(204)(205)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의 삽입홈부(202)(203)는 고정체(210)의 체결 작업시 고정체(21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일종의 조립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수용부(201)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의 체결부(204)(205)는 삽입홈부(202)(203)의 내측에 위치되게 글래스 패널(22)에서 돌출된 체결보스로서, 삽입홈부(202)(203)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작게 돌출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20)은 글래스 패널(22)에 고정체(210)의 걸이부(215)(216)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206)(207)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의 걸림부(206)(207)는 수용부(201)와 통하도록 수용부(201)의 상부에 상하로 개구 형성된 개구부(206A)와, 개구부(206A)로 삽입된 고정체(210)의 걸이부(215)(216)가 후방으로 걸리는 판체부(206B)로 이루어진다.
고정체(210)는 좌,우 측면부(217)(218)에 체결부(211)(212)가 옆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부(220)에 걸이부(215)(216)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하, 고정체(210)의 장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체(210)의 걸이부(215)(216)가 걸림부(206)(207)의 개구부(206A) 하측에 위치되도록 고정체(210)를 전면 패널(20)의 수용부(201)로 삽입시키고, 걸이부(215)(216)를 걸림부(206)(207)의 개구부(206A)로 삽입시켜 걸림부(206)(207)의 판체부(206B) 전방에 위치시키면서 체결부(211)(212)를 삽입홈부(202)(203)에 삽입시키며, 체결부(211)(212)를 전면 패널(20)의 체결부(204)(205)에 밀착시킨다.
이때, 고정체(210)는 걸이부(215)(216)가 걸림부(206)(207)에 좌,우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 걸리고, 체결부(211)(212)가 삽입홈부(202)(203)에 상,하,좌,우로 걸리며, 상기와 같이 걸리는 구조에 의해 그 조립 위치가 결정된다.
이후, 체결부재(213)(214)를 고정체(210)의 체결부(211)(212) 구멍에 관통시켜 전면 패널(20)의 체결부(204)(205) 구멍에 체결시킨다.
즉, 고정체(210)는 상부가 수용부(201)의 상부측에 걸리고, 좌,우 양측이 수용부(201)의 좌,우 옆에 체결부재(213)(214)로 각각 체결 조립된다.
한편, 고정체(210)는 전면부(221)가 좌,우 측면부(217)(218) 및 상면부(220)와 직교하게 형성되고,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된다.
고정체(210)는 상면부(220)에 홈부(221)가 형성된다.
고정체(210)의 홈부(221)는 사용자 등이 회동체(240)를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일종의 회피부 또는 손잡이홈부로서, 상면부(220)의 후단에 전방을 향해 반원형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체(240)는 배면부(241)가 고정체(210)의 배면을 여닫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면부(242)가 고정체(210)의 하면을 막음과 아울러 원격 조작기(R)가 올려지도록 형성되며, 그 회전 중심이 후방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고정체(210)에 별도의 하면부가 형성되어 원격 조작기(R)가 고정체(210)의 하면부에 올려지거나, 고정체(210)와 회동체(240)에 원격 조작기(R)가 올려지는 하면부가 형성되지 않고 원격 조작기(R)가 전면 패널(20)의 수용부(201)에 직접 올려지고, 회동체(240)가 고정체(210)의 배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로서의 기능만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허나, 상기와 같이 원격 조작기(R)가 고정체(210)의 하면부에 올려지거나 전면 패널(20)의 수용부(201)에 직접 올려지는 경우에는 회동체(240)를 경사지게 회전시켜 고정체(210)의 배면을 개방했을 때 원격 조작기(R)가 고정체(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원격 조작기(R)를 손으로 잡기 어렵고, 원격 조작기(R)를 경사 방향으로 회전 혹은 위치 이동시킨 이후에 다시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하므로, 원격 조작기(R)의 인출 동작이 어렵게 된다.
반면에, 원격 조작기(R)가 회동체(240)의 하면부(242)에 올려지는 경우에는 회동체(240)를 경사지게 회전시켜 고정체(210)의 배면을 개방했을 때 원격 조작기(R)가 회동체(240)와 함께 경사지게 배치되고, 원격 조작기(R)는 대략 중앙과 상부가 고정체(210)의 배면 후방에 위치되며, 사용자 등은 고정체(210)의 상부와 회동체(240)의 상부 사이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원격 조작기(R)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되고, 원격 조작기(R)를 잡고 한 방향 즉, 경사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원격 조작기(R)를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동체(240)는 하부 양측이 고정체(210)의 하부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바,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하나에는 힌지 축(250)(251)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힌지 축(250)(25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홈부(222)(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체(240)와 고정체(210)의 회전 중심은 회동체(240)의 하면부(242)의 후단에 형성되거나 하면부(242)의 선단과 후단 중에서 후단에 더 가깝도록 형성되다.
이하, 회동체(240)의 후방 하부 양측에 힌지 축(250)(25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체(210)의 좌,우 양측면부(217)(218)에 힌지홈부(222)(223)가 대향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회동체(240)는 배면부(241)의 상단에는 홈부(252)가 형성된다.
회동체(240)의 홈부(252)는 사용자 등이 회동체(240)를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일종의 회피부 또는 손잡이홈부로서, 배면부(241)의 상단에 하측을 향해 반원형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체(240)는 배면부(242)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체(210)의 좌측면부(217) 좌측에 고정체(210)의 좌측면부(217)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좌측면부(253)와, 배면부(242)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체(210)의 우측면부(218)의 우측에 고정체(210)의 우측면부(218)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우측면부(254)를 포함한다.
회동체(240)는 경사지게 배치되었을 때, 그 좌측면부(253) 및 우측면부(254)의 상부와 고정체(210)의 좌측면부(217) 및 우측면부(218)의 상부와의 사이에 사용 자 등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틈이 존재하면, 회동체(240)와 고정체(210)의 상부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기 용이하게 되는 바, 회동체(240)의 좌측면부(253) 및 우측면부(254)는 그 상부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중앙부 보다 전후 폭이 작게 형성된다.
한편, 원격 조작기 박스(29)에는 회동체(24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회동체(240)가 경사 배치되거나 수직 배치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가 형성된다.
가이드는 회동체(240)와 고정체(2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260)와, 회동체(240)와 고정체(2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회동체(240)의 회전시 돌기(260)를 안내하고 회동체(240)가 수직하게 배치될 때 돌기(260)가 전방 방향으로 걸리며 회동체(240)가 경사지게 배치될 때 돌기(260)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가이드 레일(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기(260)와 가이드 레일(270)은 회동체(240)와 고정체(210)의 하부 이외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회동체(240)의 대략 중앙부와 고정체(210)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회동체(240)는 그 하부가 고정체(21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그 중앙부가 고정체(210)의 중앙부에 슬라이드 연결된다.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회동체(240)의 배면부(242)가 고정체(210)의 배면을 닫을 때, 돌기(260)와 가이드 레일(27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270)로 먼지 등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회동체(240)가 보다 안정감있게 회전/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70)가 고정체(210)의 좌,우 양측면부(217)(218)에 각각 형성되고, 돌기(260)가 회동체(240)의 좌,우 양측면부 각각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70)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유선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홀부로서, 회동체(210)가 수직하게 배치될 때 돌기(260)가 가이드(210)의 선단에 전방 방향으로 걸리게 형성되고, 회동체(210)가 경사지게 배치될 때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후단에 후방 방향으로 걸리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레일(270)는 회동체(210)의 전방측 과회전과 후방측 과회전을 제한하는 일종의 스토퍼의 기능을 함께 하게 된다.
또한,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동체(240)가 고정체(210)를 닫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닫힘 유지부(280)가 형성되고, 회동체(240)가 고정체(21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 유지부(290)가 형성된다.
여기서, 닫힘 유지부(280) 또는 개방 유지부(290)는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영구자석이 부착되는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후크가 탄성적으로 걸림/해제되는 후크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돌기(260)가 타고 넘을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26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어 돌기(260)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체(210)와 회동체(240)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 형성된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닫힘 유지부(280)와 개방 유지부(290)는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닫힘 유지부(280)는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선단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26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선단에 위치될 때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중앙을 향해 임의 이동되는 것을 막는 것에 의해 회동체(24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고,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선단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270)의 중앙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26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26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전방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진다.
전방 탄성 걸림부는 가이드 레일(270)의 하부에 가이드 레일(270)와 통하도록 형성된 전방 탄성홈부(282)와, 가이드 레일(270)의 하부 중에서 대략 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 돌기부(284)로 이루어져 고정체(210)에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열림 유지부(290)는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후단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26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후단에 위치될 때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중앙을 향해 임의 이동되는 것을 막는 것에 의해 회동체(240)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키고, 돌기(260)가 가이드 레일(270)의 후단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270)의 중앙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26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26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후방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진다.
후방 탄성 걸림부는 가이드 레일(270)의 하부 중에서 가이드 레일(270)와 통 하도록 형성된 후방 탄성홈부(292)와, 가이드 레일(270)의 하부 중에서 대략 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후방 돌기부(294)로 이루어져 고정체(210)에 일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참조 부호 255는 회동체(240)의 좌,우측면부(253)(254) 각각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이고, 참조 부호 225는 회동체(240)가 고정체(210)의 배면을 닫을 때 고정체(210)의 경사부(255)가 올려져 안착되는 안착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 조작기(R)의 인출시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개방하면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외부로 노출되고, 손가락을 고정체(210)의 홈부(221)와 회동체(240)의 홈부(252)로 삽입한 후 회동체(240)를 후방으로 당기면, 회동체(240)는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배면부(253)의 상부가 고정체(210)의 상부와 점차 멀어지고 회동체(24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회동체(240)의 경사 배치시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고정체(210)의 상부와 회동체(240)의 상부 사이가 개방되고, 원격 조작기(R)는 회동체(240)의 하면부(242)에 올려진 상태에서 회동체(240)와 함께 경사지게 배치되어 그 대략 상부와 중앙부가 고정체(210)의 배면 후방으로 노출되게 위치 이동되며, 사용자가 원격 조작기(R)를 손으로 잡고 경사 방향으로 원격 조작기(R)를 들어 올리면, 원격 조작기(R)는 고정체(210)의 상부와 회동체(24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고 사용자는 한 방향 즉, 경사 방향으로 원격 조작기(R)를 들어올리는 간단한 동작 으로 원격 조작기 박스(29)에서 원격 조작기(R)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원격 조작기(R)의 보관시 원격 조작기(R)의 인출시와 같이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전면 패널(20)은 배면이 개방되고,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외부로 노출되며, 원격 조작기(R)의 인출시와 같이 회동체(24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회동체(240)는 고정체(2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고정체(210)의 상부와 회동체(240)의 상부 사이가 개방된다.
원격 조작기(R)를 고정체(210)의 상부와 회동체(240)의 상부 사이로 삽입시키면 원격 조작기(R)는 회동체(240)의 하면부(242)에 올려진다.
이후, 원격 조작기(R)를 하측으로 계속하여 누르거나 회동체(240)를 전방으로 밀면, 회동체(240)는 하면부(242)에 원격조작기(R)가 올려진 상태에서 후방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 배면부(241)는 고정체(210)의 배면을 닫는다.
상기와 같은 회동체(240)의 회전시 원격 조작기(R)는 회동체(240)의 하면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체(210)의 내측 공간으로 위치 이동되어 보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원격 조작기가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된 원격 조작기 박스에 경사 방향으로 삽입/인출되므로, 원격 조작기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삽입/인출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원격 조작기의 외관 흠집을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작기가 전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인출되거나 전면 패널과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인출되는 경우 보다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의 배면에 고정체의 전부 혹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원격 조작기 박스가 전면 패널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원격 조작기 박스의 전부가 전면 패널의 배면에 돌출될 때 보다 슬림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고정체에 전면 패널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에 고정체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고정체의 체결부가 전면 패널의 삽입홈부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체의 조립 위치가 결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이 쉽고, 고정체가 전면 패널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고정체가 배면이 개방되고, 회동체가 고정체의 배면을 개폐하는 배면부와, 배면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격 조작기가 올려지는 하면부를 포함하여 원격 조작기의 보관시 원격 조작기가 고정체와 회동체에 의해 둘러싸여지므로, 외부로 임의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원격 조작기가 회동체의 하면부에 올려지고 회동체의 회전 중심이 회동체의 후방 하부에 위치되므로, 회동체를 경사 배치시킨 후 원격 조작기를 경사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원격 조작기를 인출/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고정체의 상면부와 회동체의 배면부에 홈부가 형성되어 사용자 등이 손가락을 홈부로 집어 넣어 회동체를 쉽게 잡을 수 있고, 회동체의 회전이 용이하여 원격 조작기가 쉽고 편리하게 보관/인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회동체와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회동체의 회전시 돌기를 안내하고 회동체가 수직 배치되거나 경사 배치되도록 돌기를 구속하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회동체의 과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회동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회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체가 고정체를 닫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닫힘 유지부가 형성되고, 회동체가 고정체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 유지부가 형성되어, 원격 조작기 박스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작기 박스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원격 조작기 박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동 박스의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전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본체에 개구부를 덮는 내측 커버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 커버에 원격 조작기 박스를 회피하는 회피홈부가 형성되어, 전면 패널과 본체를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과;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원격 조작기가 경사 방향으로 삽입/인출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조작기 박스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후방으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원격 조작기가 올려지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에 상기 고정체의 전부 혹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체는 상기 전면 패널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체는 하부 양측이 상기 고정체의 하부 양측에 힌지 연결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체는 배면이 개방되고,상기 회동체는 상기 고정체의 배면을 개폐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격 조작기가 올려지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체는 상면부의 후단에 홈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체는 회전 중심이 후방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고정체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체는 배면부의 상단에 홈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가 경사 배치되거나 수직배치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동체와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회동체와 고정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의 회전시 상기 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회동체의 수직 배치시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동체가 경사 배치시 상기 돌기가 걸리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레일은 유선형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체는 상기 고정체의 좌측면부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좌측면부와, 상기 고정박스의 우측면부 일부 혹은 전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회동체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동체가 고정체를 닫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닫힘 유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동체가 고정체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 유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상기 본체의 전면을 여닫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과;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원격 조작기가 삽입/인출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와;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 조작기 박스를 회피 하는 박스 회피홈부가 형성된 내측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8833A KR20080055460A (ko) | 2006-12-15 | 2006-12-15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8833A KR20080055460A (ko) | 2006-12-15 | 2006-12-15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5460A true KR20080055460A (ko) | 2008-06-19 |
Family
ID=3980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8833A KR20080055460A (ko) | 2006-12-15 | 2006-12-15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546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37859B (zh) * | 2008-11-04 | 2013-02-20 | Lg电子株式会社 | 空调机 |
CN113068986A (zh) * | 2021-04-06 | 2021-07-06 | 快住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基于蓝牙mesh的电动窗帘控制装置 |
-
2006
- 2006-12-15 KR KR1020060128833A patent/KR200800554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37859B (zh) * | 2008-11-04 | 2013-02-20 | Lg电子株式会社 | 空调机 |
CN113068986A (zh) * | 2021-04-06 | 2021-07-06 | 快住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基于蓝牙mesh的电动窗帘控制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8021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US7690143B2 (en) | Air conditioner | |
KR10131835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84154B1 (ko) | 공기조화기 | |
JP4020681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80055460A (ko) | 공기조화기 | |
KR10132576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6230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280374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25767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5461A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6509A (ko) | 공기조화기 | |
KR101327463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84153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25770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5459A (ko) | 공기조화기 | |
KR101280376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5012A (ko) | 공기조화기 | |
KR10115293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15424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00043987A (ko) | 공기 조화기 | |
KR20080056515A (ko) | 공기조화기 | |
WO2007091767A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84155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5011A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