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7728A -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728A
KR20080037728A KR1020087006644A KR20087006644A KR20080037728A KR 20080037728 A KR20080037728 A KR 20080037728A KR 1020087006644 A KR1020087006644 A KR 1020087006644A KR 20087006644 A KR20087006644 A KR 20087006644A KR 20080037728 A KR20080037728 A KR 2008003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ece
water activation
flow
column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733B1 (ko
Inventor
키쿠오 타무라
Original Assignee
키쿠오 타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쿠오 타무라 filed Critical 키쿠오 타무라
Publication of KR2008003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5Systems or processes based on supernatural or anthroposophic principles, cosmic or terrestrial radiation, geomancy or rhabdom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6Stirrers shaped as cylinders, ball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50Pipe mixers, i.e. mixers wherein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 continuously through pipes, e.g. column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5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driven by the mov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 및 제한된 유로 길이로도, 활수화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수류의 교반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유로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활수피스(4)를, 그 축(41)을 포함하는 관통포트(42)를 뚫어 형성하여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활수피스의 축을 유로방향을 따라 유로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 유압에 의해 활수피스를 축회전시키는 나선 돌조(spiral grooves, 43)를 외주면과 내주면에 연속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나선 돌조는, 상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시계방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활수피스를 그 축방향이 유로를 따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구성의 홀더(3)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홀더를 하우징의 내부공간(26)에 다단형상으로 배치하여 활수피스(1)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WATER ACTIVATION PIECE FOR USE IN FLOW PASSAG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TER ACTIVATION PIECE, AND WATER ACTIVATION DEVICE USING THE WATER ACTIVATION PIECE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본원발명은 수도수로, 특히 상수도에 배치하여 물을 활성화시키는 활수장치의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의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간부에 내린 비나 적설이 땅속으로 침투한 지하수는, 샘물이 되어 강의 원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물은 광물이나 암석으로부터의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작용, 자기작용에 의해 물분자의 수소결합집단(클러스터)이 세분화되거나, 바위와의 충돌이나 폭포로부터의 낙하 등 물분자들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전자를 받아들여 환원성의 물, 즉 활수(活水)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활수의 활수상태는 그다지 장기간 유지되지는 못하며, 상기 활수에 의한 각종 효과도 서서히 소실되어 간다. 이 때문에, 종래 상기한 활수화 작용의 원리를 응용하여 내부공간에 볼형상의 세라믹 소성 알갱이(이하, 「세라믹 볼」이라 함)를 배치하거나 또는 자장을 형성하는 등의 처리를 하고, 여기에 물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교반하여 수류(水流)의 마찰을 얻음으로써, 활수효과가 소실된 수도수를 다시 활수화시키는 장치(이하, 「활수장치」라 함)가 실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세라믹 볼이 내부에 수납되는 동시에 통수(通水)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의 케이스를, 수도수의 통수관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통형상의 하우징 내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그 밖에도, 특허문헌 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수도수의 통수관 등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하우징 내에, 작은 유통구멍이 형성된 근사(近似)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반 그룹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층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각 세라믹 반을 그 위에 형성된 충돌날개에 의해 회전시키는 활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가령,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1-058191호(제3-5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0-107752호(제2-3페이지, 도 1)
그러나, 종래의 활수장치에서의 제한된 유로길이로는 활수화 작용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으며, 물분자가 세분화되지 못하여 산화환원전위가 저하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가령, 특허문헌 1의 활수장치는, 세라믹 볼의 편재(偏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수류에 압력손실이 생겨 물이 잘 흐르지 않게 되거나 체류하는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오랜 세월동안 세라믹 볼이 서로 접촉함에 따른 마모나 감소에 의해 활수화 효과의 저하가 초래되어, 세라믹 볼의 교환이나 보충 또는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문헌 2의 활수장치에서는, 세라믹반(盤)을 회전시켜 수류를 교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세라믹 볼 등을 배치한 특허문헌 1 등의 경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활수재와 물의 접촉저하를 피할 수가 없으며,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작용, 자기작용의 영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충돌날개가 형성된 세라믹반은 제조비용이 높은데다가 오랜 기간 사용함에 따라 회전기구에 손상 등이 발생하여 회전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능저하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한 구조 및 제한된 유로길이로도, 활수화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수류의 교반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유로배치용 활수피스 및 상기 활수피스의 배치구성과,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활수피스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활수피스(4)를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체, 가령 원기둥체로 형성하고, 활수피스(4)의 축(41)을 유로방향을 따라 유로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압에 의해 활수피스(4)를 축회전시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오목조(凹條)(43) 또는 볼록조(凸條)(43)를 그 외주면에 불연속 또는 연속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기둥형상체 형상의 활수피스(4)에 축(41)을 포함하는 관통포트(42)를 뚫어 형성하여, 이를테면 활수피스(4)를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포트(42)의 내주면에도 유로 내에 배치했을 경우에 활수피스(4)를 축회전시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오목조(43) 또는 볼록조(43)를 불연속 또는 연속 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조 또는 볼록조는, 예컨대 나선 돌조(spiral grooves, 43)로 형성하여, 외주면측 및 내주면측 모두에 상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시계방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활수피스(4)의 유로 내에서의 배치구성은 이하와 같다.
즉, 1개 또는 2개 이상의 활수피스(4)를, 그 축방향이 유로를 따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구성의 홀더(3)에 유지시키고, 나아가 이것을 유로를 따라 다단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3)에는, 유로의 유선에 변경을 가하는 블레이드편(34a,34c,34d)을 갖는 다수의 통수포트(34)가, 유로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원발명에 관한 활수장치(1)는, 상기한 구성의 활수피스(4) 또는 활수피스의 배치구성의 활수피스그룹(4,4,…)을, 그 내부공간(26)에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수장치(1)는 유입포트(24a)와 유출포트(24b)를 갖는 도전성의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외주측을 절연재(22)로 덮고, 또한 통수관(5)과 절연된 도전성의 피복체(23)로 구성한 것이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서류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항목에서 기재한 괄호속 부호는, 발명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자 참고로서 도면부호를 부기한 것이며, 이러한 도면상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효과)
본원발명의 활수피스는 상기한 구성이기 때문에, 유로 내에 배치했을 경우에는, 외주면 및(또는) 관통포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조 내지는 볼록조, 또는 나선 돌조에 의해 활수피스와 유수가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하며 활수피스 자체가 축회전하여 유로에 소정방향(상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의 와류(渦流)를 다수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유수는 상기 접촉 표면적의 증대 및 와류에 의해 효율적인 활수화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특히, 와류는 물분자들의 충돌이나 마찰에 의해 전자를 발생시켜 활수화 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유로 길이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인 활수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활수피스를, 유수의 유선(流線)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홀더에 유지시키며 다단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와류의 발생영역이 가급적 증대하여 활수화 정도가 높아지고, 나아가 활수상태의 장기적인 유지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활수피스 또는 활수피스 그룹이 배치된 활수장치는, 유지관리가 불필요하며, 제한된 유로에서 종래장치에는 없는 효율적인 활수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그 산업계에 대한 공헌이 현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홀더의 일부 절결 사시도 및 활수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홀더 내에서의 활수피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활수장치 2 : 하우징
21: 본체 22 : 절연재
23 : 피복체 24 : 연결관
24a : 유입포트 24b : 유출포트
24c : 내부 나사 25 : 절연 링
26 : 내부공간 3 : 홀더
31 : 유지부 31a : 유지벽
32 : 연결기둥 32a : 연결포트
33 : 측벽 34 : 통수포트
34a : 선회 블레이드편 34b : 내측 링
34c : 내측 블레이드편 34d : 외측 블레이드편
4 : 활수피스 41 : 축
42 : 관통포트 43 : 나선 돌조
5 : 통수관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에 관계된 활수장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홀더에 관한 일부 절결 사시도 및 활수피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형태예에 따른 활수장치의 홀더 내부에서의 활수피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예의 활수피스 및 활수피스의 배치구성을, 이들이 내부에 배치되는 활수장치와 함께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예의 활수장치(1)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내부공간 내에 복수 개의 활수피스(4)를 보유한 홀더(3)를 다단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활수장치(1)는 통상적으로 수도관 등의 통수관(5)과 연결하여 땅속에 매설하거나 또는 건물 내 배관로의 도중에 연결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하우징(2)은 원하는 길이로 형성된 금속제 원통관인 본체(21)와, 그 외측 둘레면의 거의 전면을 덮는 전기절연성 절연재(22)와, 더욱이 그 절연재(22)의 외측 둘레면을 덮는 도전성의 피복체(23)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양단부에는, 그 개구부에 덮이도록 하여 수도관 등의 통수관(5)에 직렬연결하기 위한 연결관(24)이 수밀(水密)상태로 나사결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체(21)에 대하여 연결관(24)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연결관(24)과 대향되는 피복체(23)의 양 엣지부와의 사이에 전기절연성의 절연 링(25)을 둘러 장착한 상태로 위치시키며, 이로써 연결관(24)과 피복체(23)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본체(21)에 부착 된 연결관(24)의 개방단 내주면에는, 통수관(5)과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나사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내부 나사(2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24)은, 그 한쪽이 유입포트(24a), 다른 쪽은 유출포트(24b)로 되어 있다.
하우징(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포트(24a)와 유출포트(24b)를 동일 직선 혹은 동일 곡선상에 배치함으로써, 물이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의 저감을 도모한다.
또한, 활수장치(1)는 땅속에 매설한 경우에는 어스(접지) 접속이 불필요하지만,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복체(23)를 어스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의 원통형 내부공간(26)에는, 주로 수지성형에 의한 홀더(3)를, 내부공간(26)의 내주면에 거의 맞춘 상태에서, 다단형상이면서 동축상으로 다수 개가 연속된 상태로 배치한다. 상기 홀더(3)의 배치개수는 유량이나 활성화의 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한다.
상기 홀더(3)의 형태는, 대략 그물코형상으로 다수의 통수포트(34)가 형성된 대략 원반형상을 이루는 유지부(31)와, 상기 유지부(31)의 중앙부로부터 연직형상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형성된 소정 높이의 연결기둥(32)과, 상기 연결기둥(32)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상기 유지부(31)의 외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측벽(33)과, 상기 측벽(33)의 내측이면서 유지부(31)로부터 세워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된 3개의 띠형상 유지벽(31a)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3)는 유지부(31), 측벽(33), 유지벽(31a)에 의해 1개 또는 복수 개의 활수피스(4)를 소정의 배치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기둥(3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연결포트(32a)를 형성하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른 홀더(3)와 동축상태로 끼움결합함으로써, 다단형상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홀더(3)의 통수포트(34)는 연결기둥(3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이어 설치하여 측벽(33)과 연결되는 복수의 선회 블레이드편(34a)과, 상기 선회 블레이드편(34a)과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기둥(32)과 동심원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내측 링(34b), 내측 블레이드편(34c), 2개의 외측 블레이드편(34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블레이드편(34c) 및 외측 블레이드편(34d)의 하단측은, 측벽(33) 및 선회 블레이드편(34a)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하방향의 길이가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선회 블레이드편(34a)에는, 상방으로부터의 수류(화살표 a)가 상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시계방향, 화살표 d)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 블레이드편(34c)에는, 내측 방향으로 편향(화살표 e)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측 블레이드편(34d)에는 외측 방향으로 편류(偏流, 화살표 f)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편(34a,34c,34d)에 형성된 경사면은, 통과되는 수류를 하우징(2)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각각 선회방향, 내측 방향, 외측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그 결과, 이른바 난류(亂流)를 발생시킨다.
또한, 내측 블레이드편(34c) 및 외측 블레이드편(34d)의 배치나 개수는, 본 실시형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전체를 내측 블레이드편(34c)으로 하거나, 반대로 전체를 외측 블레이드편(34d)으로 하거나, 또는 내측 블레이드편(34c) 을 외주부에 배치하거나 내지는 외측 블레이드편(34d)을 내주부에 배치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홀더(3)의 유지부(31)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활수피스(4)를 소정의 배치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활수피스(4)는 다원소광물(세라믹, 인공전기석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성(燒成)체를, 축(41)을 포함하는 관통포트(42)를 뚫어 형성한 대략 원통체이다. 상기 활수피스(4)는, 그 높이치수를 홀더(3)의 연결기둥(32)보다 약간이나마 낮은 정도로 하고, 그 직경은 유지부(31) 반경의 대략 반 정도로, 관통포트(42)는 연결기둥(32)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또, 활수피스(4)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상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시계방향)하는 요철조(凹凸條)가 되는 나선 돌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 돌조(43)에 의해, 활수피스(4)의 표면적은 실질적으로 증대하며, 활수피스(4)의 상방으로부터의 수류(화살표 a)는 대략 우측으로 선회하는 편향류(화살표 c)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상기 나선 돌조(43)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된 연속조(條)이지만, 불연속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의 활수피스(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의 내부공간(26)에 다단형상으로 배치되는 각 홀더(3,3,…)에 이하의 배치구성으로 유지되어 있다.
즉, 홀더(3)의 연결기둥(32)에 관통포트(42)를 통해 1개의 활수피스(4)를 끼워넣어 배치하고, 그 주위의 유지벽(31a)의 내측에 복수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활수피스(4)를,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구성이다. 달리 말하면, 홀더(3)의 유지부 내에서 1개의 활수피스(4)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복수 개의 활수피스(4,4,…)가 원주등분(圓周等分)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활수피스(4)의 배치구성에 의해, 활수피스(4)의 표면에는 빈틈없이 유수가 접하게 되며, 나선 돌조(43)에 의해 활수피스 자체가 우방향(시계방향, 화살표 b)으로 축회전하게 된다.
(작용)
상기한 구성의 활수피스(4) 및 활수피스(4)의 배치구성을 이용한 활수장치(1)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먼저, 하우징(2)의 유입포트(24a)로부터의 유입수(화살표 a)는, 홀더(3)의 유지부(31)에 유지된 활수피스(4)와 충돌하면서 활수피스 사이를 통과하여 유지부(31)에 도달한다. 이 때, 각 활수피스(4)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 배치, 및 외주면과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돌조(43)에 의해, 각 활수피스(4)의 배치장소에서 자체가 우방향으로 축회전(화살표 b)하는 동시에, 유입수가 우선회(c)의 편향류가 되도록 작용한다.
다음으로, 우(右)선회의 편향류 상태로 유지부(31)에 도달한 유입수는, 통수포트(34)를 통과할 때 선회 블레이드편(34a), 내측 블레이드편(34c), 외측 블레이드편(34d)에 의해, 우(右)선회류(화살표 d), 내(內)편향류(e), 외(外)편향류(f)로 만드는 편향도 가해져, 기본적으로는 복수의 우선회 와류의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이른바 다양한 난류(亂流)상태가 된다.
상기 난류상태가 된 유입수는, 하우징 내의 내부공간(26)에 다단형상으로 배치된 각 홀더(3)를 통과할 때, 상기와 동일한 작용이 그때마다 가해져, 유출포 트(24b)로부터 유출(화살표 g)되게 된다.
이러한 유출수는, 활수피스(4)로부터의 원적외선에 의해 물분자의 수소결합집단(클러스터)이 세분화되는 동시에, 물분자들의 마찰에 의해 전자를 발생시켜 환원성의 물이 되어 이른바 활수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활수상태의 정도 또한, 활수피스(4)나 이들을 유지하는 홀더(3)의 구성에 의해, 우측으로 선회하는 복수의 와류가 내측이나 외측으로 편향된 다양한 난류상태, 달리 말하면, 효율적인 교반작용이 미치게 되어, 전하발생이 가급적 증폭된 보다 높은 활수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작용에 추가하여, 홀더(3)의 외형(외측 테두리)을 하우징(2)의 내부공간(26)의 내주면에 거의 맞춤으로써, 통과된 유입수의 전량이 홀더(3)의 유지부(31)에 형성된 통수포트(34)를 통과하여 활수피스(4)와 충돌함으로써 활수화 작용을 증폭시킨다. 또한, 활수화의 정도는, 다단형상으로 배치하는 홀더(3)의 개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2)의 내부공간(26)과 피복체(23)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활수장치(1)가 전기 이중층 컨덴서로서 기능하여, 내부공간 내에 발생된 전자가 하우징(2)의 외부로부터 플러스 전하를 끌어당겨 활수화 작용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활수장치(1)의 전식(電蝕) 등도 방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의 가능성)
상기 실시형태예의 활수피스(4)는, 그 외주면 및 내주면에 요철(凹凸)의 나선 돌조(4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나선 돌조(43)를 독립적인 이른바 핀(블레이드)을 조합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활수피스(4)는 자체를 축회전시키는 축심부에 관통포트(42)를 형성한 원통체이지만, 1개의 활수피스(4)에 대하여 복수의 관통포트(42)를 뚫어 형성(가령, 연탄형상으로 복수의 관통포트 등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홀더(3)에 대한 활수피스(4)의 배치수도, 각 활수피스(4)의 접촉상태를 피하는 한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으며, 다단형상으로 배치하는 홀더(3)마다 배치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활수장치(1)를 통수관(5)과 하우징(2)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원통형상, 각진 통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박스체 등 물이 스미지 않는 적절한 형상 및 상태의 저류수조에, 피처리수의 유입포트와 유출포트를 형성하여 내부를 통수가 원활한 형태로 구성하는 동시에 복수의 홀더를 유선(流線)형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시생략).

Claims (7)

  1.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체를 이루며, 상기 기둥형상체의 축(41)을 흐름에 따라 배치했을 경우에, 유압(流壓)에 의해 기둥형상체를 축회전시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오목조(43) 또는 볼록조(43)를 기둥형상체의 외주면에 불연속 또는 연속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배치용 활수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더욱이 상기 기둥형상체에 축(41)을 포함하는 관통포트(42)를 뚫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둥형상체의 축(41)을 흐름에 따라 배치했을 경우에, 상기 기둥형상체를 축회전시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오목조(43) 또는 볼록조(43)를 상기 관통포트(42)의 내주면에 불연속 또는 연속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배치용 활수피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체의 축(41)을 흐름에 따라 배치했을 경우에, 상기 기둥형상체를 축회전시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오목조 또는 볼록조를, 불연속 또는 연속의 나선 돌조(43)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배치용 활수피스.
  4. 흐름과 거의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유선(流線)에 변경을 가하는 블레이 드편(34a,34c,3d)을 갖는 다수의 통수포트(34)를 구비한 홀더(3)에,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활수피스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1개 또는 2개 이상 흐름에 따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수피스의 배치구성.
  5. 제 4항에 있어서,
    흐름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수피스의 배치구성.
  6. 유입포트(24a)와 유출포트(24b)를 갖는 도전성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외주측을 절연재(22)에 의해 덮고, 또한 통수관(5)과 절연된 도전성의 피복체(23)와,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작은 덩어리형상으로 성형한 활수피스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26)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활수장치로서,
    활수피스를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수장치.
  7. 유입포트(24a)와 유출포트(24b)를 갖는 도전성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외주측을 절연재(22)에 의해 덮고, 또한 통수관(5)과 절연된 도전성의 피복체(23)와,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작은 덩어리형상으로 성형한 활수피스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26)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활수장치로서,
    제5항에 기재된 활수피스 그룹의 배치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수장치.
KR1020087006644A 2005-08-22 2005-08-22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 KR101031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5200 WO2007023516A1 (ja) 2005-08-22 2005-08-22 流路配置用の活水ピース及びこの活水ピースの配置構成、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活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728A true KR20080037728A (ko) 2008-04-30
KR101031733B1 KR101031733B1 (ko) 2011-04-29

Family

ID=377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644A KR101031733B1 (ko) 2005-08-22 2005-08-22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1378B2 (ko)
EP (1) EP1942080A4 (ko)
JP (1) JP5236945B2 (ko)
KR (1) KR101031733B1 (ko)
CN (1) CN101248011B (ko)
CA (1) CA2623383A1 (ko)
WO (1) WO2007023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2569A1 (ja) * 2005-12-22 2007-06-28 Kikuo Tamura 活水装置
US7658844B2 (en) * 2007-05-30 2010-02-09 Arch Chemical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chemical tablets
JP5174168B2 (ja) * 2007-08-23 2013-04-03 チョン ヘン ジョ 陰イオン発生浄水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4868179B2 (ja) * 2008-06-27 2012-02-01 邦光産業株式会社 活水装置
CN102666392A (zh) * 2010-04-27 2012-09-12 田村喜久雄 活水器
JP5342501B2 (ja) * 2010-05-25 2013-11-13 株式会社Gns 活水器
JP5129383B1 (ja) * 2011-09-05 2013-01-30 佳子 守安 浄水装置及び浄水方法
US9470251B1 (en) 2014-05-02 2016-10-18 EcoAeon USA, Inc. Water activation device
DE102014209396A1 (de) * 2014-05-19 2015-11-19 Klaus-Jürgen Althoff Fluidisierungsvorrichtung
CN106179147B (zh) * 2016-06-30 2018-04-17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选择反应器及其对应的选择连通器
CN110898711A (zh) * 2019-12-16 2020-03-24 江西辙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水性环保漆生产用的高效搅拌混合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996U (ko) * 1987-01-13 1988-07-19
JPH0283084A (ja) 1988-09-20 1990-03-23 Shoei Pack:Kk 水質改善器
DE9103657U1 (de) * 1991-03-18 1991-06-20 Strachwitz, Michael, Graf, 6200 Wiesbaden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von durch Wasser verursachter Korrosion und Kalkablagerung
JPH0884984A (ja) * 1994-09-16 1996-04-02 Fujioka:Kk 活性水製造器
AU7109596A (en) * 1995-09-27 1997-04-17 Technicat, Inc. Water treatment arrangement
JP3733453B2 (ja) 1996-09-10 2006-01-11 伸栄産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浄水器
DE19810283A1 (de) * 1998-03-10 1999-09-16 Jans Manfred Ernst Permanentmagnetisches Flüssigkeitsbehandlungsgerät
JP2000107752A (ja) 1998-10-05 2000-04-18 Kanagawa Densan Kk 水の活性化装置
JP2001058191A (ja) 1999-06-16 2001-03-06 Mtg:Kk 活水器
JP2002263655A (ja) * 2001-03-06 2002-09-17 Toshiaki Tsunematsu 磁気処理水生成装置および液体燃料磁気処理装置
JP3670258B2 (ja) 2002-08-09 2005-07-13 喜久雄 田村 活水装置
JP2005144354A (ja) * 2003-11-17 2005-06-09 Honma Kogyo Kk 殺菌浄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733B1 (ko) 2011-04-29
US20090101564A1 (en) 2009-04-23
EP1942080A1 (en) 2008-07-09
JPWO2007023516A1 (ja) 2009-02-26
JP5236945B2 (ja) 2013-07-17
US7981378B2 (en) 2011-07-19
WO2007023516A1 (ja) 2007-03-01
CN101248011A (zh) 2008-08-20
CA2623383A1 (en) 2007-03-01
CN101248011B (zh) 2011-09-21
EP1942080A4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33B1 (ko) 유로 배치용 활수피스 및 이들을 이용한 활수장치
CN108978837B (zh) 一种多煤层水库排压疏水连接装置
KR100497502B1 (ko) 활수장치
KR101263135B1 (ko) 활수화 장치
CN202149248U (zh) 一种用于矿山机械的分水阀
WO2009125451A1 (ja) 活水化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活水装置
CN216737771U (zh) 一种管道式阻垢器
RU24509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тализации воды
CN200946696Y (zh) 恒温水阀
KR101969911B1 (ko) 자화수 생성장치
US20230002257A1 (en) Multi-stage apparatus for producing magnetized water
KR200446430Y1 (ko) 난류발생수단이 구비된 수처리 장치
EP1980537A1 (en) Water activation apparatus
CN214936397U (zh) 厌氧布水器
KR102120341B1 (ko) 물 클러스터 분리 장치
KR101280209B1 (ko) 경량화 및 유로를 개선한 히트펌프용 이온화식 수처리 배관
JP2023108220A (ja) 切削油活性化装置
CN217479120U (zh) 一种用于碟管式反渗透组件的膜芯
JP2022117602A (ja) 活水化装置
KR100540193B1 (ko) 수질 개선 장치
CN208996921U (zh) 一种浮动式十字阀压电泵
KR20050123054A (ko) 액체 처리장치
KR102341220B1 (ko) 용존산소공급을 통한 정체수역 수질정화 시스템
CN112028171A (zh) 一种环锥形间隙可调节的空化器
KR200251421Y1 (ko) 자화수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