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53A - Bridge bearing - Google Patents
Bridge bea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0053A KR20070090053A KR1020050122245A KR20050122245A KR20070090053A KR 20070090053 A KR20070090053 A KR 20070090053A KR 1020050122245 A KR1020050122245 A KR 1020050122245A KR 20050122245 A KR20050122245 A KR 20050122245A KR 20070090053 A KR20070090053 A KR 200700900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receiving groove
- groove
- polyurethan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받침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k support,
도 2는 종래의 포트 받침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rt suppo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가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h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도 4는 도 3 교좌장치에 압력이 가해져 폴리우레탄 패드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urethane pad is compress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eating device of FIG. 3;
도 5는 도 3의 폴리우레탄 패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lyurethane pad of FIG.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패드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6 and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lyurethane pad used in the te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hair apparatus shown in FIG. 3;
도 11은 도 3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aching apparatus of FIG.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파단 사시도로서, 도 12는 초기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볼트를 통해 초기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12 and 13 are broken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pressing, Figure 13 shows the initial pressing state through the bolt,
도 14는 도 12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G.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홈부재 216 : 패드 수용홈210: groove member 216: pad receiving groove
220 : 수직연장부 222 : 확장부220: vertical extension 222: extension
250 : 폴리우레탄 패드 252 : 측면250: polyurethane pad 252: side
253 : 볼록부 254 : 오목부253: convex portion 254: concave portion
280 : 삽입부재 282 : 돌출부280: insertion member 282: protrusion
290 : 힌지축 300 : 제 1완충부재290: hinge axis 300: first buffer member
304 : 제 2완충부재 310 : 볼트304: second buffer member 310: bolt
본 발명은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하부구조물 상에 지지하여주는 데 사용되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on the lower structure.
이러한 교좌장치들 중에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디스크를 배치하고 하판에는 구멍을 상판에는 폴리우레탄 디스크의 구멍을 통과하여 하판의 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형성하여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받침, 일측 판에 고무수용부를 형성하여 여기에 고무를 넣고 고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무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금속링을 배치한 상태에 서 타측 판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고무수용부로 삽입하여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포트(pot)받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Among these teaching devices, a polyurethane disk having a hole formed in the center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a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ower plate through the hole of the polyurethane disc in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The disk support, which has a rubber receiving part on one side plate, is placed in the rubber receiving part, and a rubber ring projected from the other side is placed in the state where a metal ring is placed to prevent the rubber from coming out along the edge of the rubber. There is a pot support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 to support the load of the superstructure. Thi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받침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k support.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받침(100)은 기초너트(102)에 결합되는 볼트(104) 등을 통해 교량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110)과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판(120)을 구비한다. 하판(120)의 중앙부에는 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110)의 중앙부근에는 돌출부(130)가 나사결합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돌출부(130)로는 고강도 핀이 이용된다.As show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는 중앙부에 통공(142)을 갖는 폴리우레탄 디스크(140)가 장착되어 있고, 돌출부(130)는 디스크(140)의 통공(142)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홈(122)까지 연장되어 있다.As illustrated, a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30)는 홈(122)보다 직경이 작게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30)의 외주면과 홈(122)의 내주면은 서로 떨어져 있다. 돌출부(130)의 직경을 홈(122)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은 돌출부(130)의 상하 운동을 허용하면서도, 제한된 각도 내에서 디스크(14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돌출부(130)의 좌우 회전운동, 즉 기울어짐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홈(122)과 대략 동일 직경의 돌출부(130)가 홈(122)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130)의 상하운동은 허용되지만 돌출부(130)가 좌, 우로 기울어지는 회전운동은 허용되지 않는다.As can be seen in FIG. 1, the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좌장치(100)는 돌출부(130)의 외주면과 홈(122)의 내주면 사이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교각 또는 교량 상판에 큰 수평력이 작용하는 경우 힘이 작용하는 초기에는 그 힘을 받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판은 힘을 받는 방향으로 가속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돌출부(130)가 홈(122)의 내주면에 부딪히는 경우 돌출부(130)는 매우 큰 충격을 받아 쉽게 파손되게 된다.In 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교좌장치에서는 고강도 핀의 외주면과 핀이 결합되는 상판 또는 하판에 나선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핀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핀을 상판 또는 하판에 결합하는 작업도 매우 힘든 작업이다.In the conventional stabilization device as shown in Figure 1 to form a spiral on the upper or lower plat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gh-strength pin and the pin is not only a very difficult task but also because the weight of the pin is a lot of coupling the pin to the upper or lower plate To do is a very difficult task.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교좌장치에서는 핀이 하판의 표면 아래쪽으로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측면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파손된 우려가 크다.In addition, since the pin must be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below the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conventional stapling device as shown in FIG.
도 2는 종래의 포트 받침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rt support.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받침(150)은 교각 등의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부재(160)를 구비한다. 이 하부부재(160)는 교각 등에 고정되어 있는 기초너트(162) 등에 볼트(164) 등을 통해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하부부재(160)의 상면부 중앙부근에는 탄성고무 수용홈(16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고무 수용홈(166)에는 탄성고무(170)가 수용되어 있다. 탄성고무(170)는 그 둘레의 측면이 탄성고무 수용홈(166)의 측면과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고무(170)는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주고 상부구조물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 한다. 이러한 탄성고무(170)로는 A형 듀로미터 경도(HAD, type A durometer hardness)가 50 ~ 60 A인 천연고무(natural rubber) 또는 인공합성고무(neoprene)가 사용된다.As show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무(17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금속링(180)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금속링(180)들은 압축된 탄성고무(17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As shown,
포트 받침(150)은 상부부재(190)를 구비한다. 상부부재(190)는 빔이나 거더,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기초너트(162) 등에 볼트(164) 등을 통해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상부부재(19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탄성고무 수용홈(166)으로 삽입되는 돌출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92)의 저면은 탄성고무(170)에 접촉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탄성고무(170)로 전달한다. 이러한 돌출부(192)는 탄성고무 수용홈(166)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을 받고, 상하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92)는 그 끝단 위쪽은 오목하게 되어 탄성부재 수용홈(166) 속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포트 받침(150)은 상판 등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허용한다.The
이러한 포트 받침(150)은 돌출부(192)가 탄성고무 수용홈(166)의 측벽과 거의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구조물에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부재(190)와 하부부재(160) 사이에 큰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포트 받침(150)은 디스크 받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수평력에도 견딜 수 있다.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트 받침(150)의 큰 단점은 비록 탄성고무(170)가 탄성고무 수용홈(166)의 측변과 돌출부(192) 사이를 통해 외부로 삐져나오지 못하도록 금속링(180)들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상판의 수축과 팽창의 반복, 차량통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동하중 등에 따라 금속링(180)들에 변형 및 파손이 잘 생기고, 이에 따라 탄성고무(170)가 돌출부(192)와 탄성고무 수용홈(166)의 측벽 사이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이 경우 포트 받침(150) 전체를 다시 교체하여주어야 한다.A major disadvantage of the port support 150 as shown in FIG. 2 is that although the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상호간에 작용하는 큰 수평력을 견딜 수 있고, 금속링이 필요치 않고, 충전물이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arrangement that can withstand the large horizontal forces acting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the undercarriage of a bridge, does not require a metal ring, and does not cause leakage of the filling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성이 뛰어난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ility device having excellent stability.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상기 하부구조물상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주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기울어짐을 허용하기 위한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 또는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상부구조물 또는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구조물 또는 상기 상부구조물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패드 수용홈이 형성된 홈부재, 상기 패드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커짐에 따라 탄성 변형에 의해 두께가 점점 감소되면서 유동되는 부분이 채워질 수 있는 빈 공간을 상면과 하면 사이의 상기 패드 수용홈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가지는 폴리우레탄 패드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패드 수용홈에 삽입되어 수평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마주보는 면을 가압하며 상기 패드 수용홈 속에서 기울어짐이 허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구조물 또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설치 가능한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in the teaching apparatus for allowing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elastically on the lower structure, the A groove member which can be installed in an upper structure or the lower structure, and has a pad receiving groove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lower structure or the upper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or the lower structure is installed, and is received in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Polyurethane pad and the opening having at leas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pad receiving groov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mpty space for filling the flow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as the pressure applied in the received state increases Is inserted into the pad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It is constrained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n insert member that presses an opposit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pad and has a protrusion that is allowed to tilt in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substructure or the superstructure.
상기 패드 수용홈의 측벽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는 상기 패드 수용홈의 바닥에서 상기 개구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wall of the pad receiving groove is disposed vertically, the polyurethane pad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clined sid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smaller from the bottom of the pad receiving groove toward the opening.
상기 패드 수용홈의 측벽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측면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중간 부위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The side wall of the pad receiving groove may be disposed verticall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vex portion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convex outwardly.
상기 패드 수용홈의 측벽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측면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중간 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The side wall of the pad receiving groove may be disposed verticall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cave portion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concave inwardly.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에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두께방향으로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groove or a hole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yurethane pad.
경우에 따라, 상기 패드 수용홈의 측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some cases,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outward along the side of the pad receiving groove.
상기 패드 수용홈의 바닥과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쪽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 반대쪽의 표면과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쪽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기 돌출부 끝면은 볼록하게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bottom of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olyurethane pad are formed concave, the end surface of the projecting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he opening of the polyurethane pad and the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vexly formed configuration.
상기 패드 수용홈의 바닥과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쪽의 표면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 반대쪽의 표면과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기 개구쪽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기 돌출부 끝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The bottom of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opening side of the polyurethane pad are formed convex, and the projecting end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he opening of the polyurethane pad and the surface of the opening side of 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cave formed configuration.
상기 패드 수용홈과 상기 돌출부 바깥쪽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을 따라 상기 홈부재와 삽입부재 사이에 제 1완충재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홈부재와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패드 수용홈과 상기 돌출부 바깥쪽을 따라 연결수단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초기 가압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패드의 초기 가압정도는 상기 연결수단의 결합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groove member and the insertion member along a portion facing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member and the insertion member extend outside the pad receiving groove and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an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lyurethane pad is initially pressed by the connecting means, the initial pressure of the polyurethane pad may have a configur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upling degree of the connecting means.
상기 홈부재와 삽입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대방 쪽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대방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를 통해 상기 홈부재와 삽입부재를 상호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홈부재와 삽입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At least one of the groove member and the insertion member has a vertical extension part which extends vertically toward the other side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side, and a hinge axi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groove member and the insertion member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extension part. The groove member and the insertion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hinge axis.
상기 돌출부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표면을 따라 제 2완충재가 개재되고, 상기 홈부재에는 상기 제 2완충재를 가압하여 상 기 돌출부가 상기 패드 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A latching jaw is formed along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second buffer is interposed along the surface of the locking jaw, and the groove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buffer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pad receiving groove.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가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 교좌장치에 압력이 가해져 폴리우레탄 패드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폴리우레탄 패드의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teaching apparatus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yurethane pad is compress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teaching apparatus of Figure 3, Figure 5 is a polyurethane pad of Figure 3 Perspective view.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거더, 빔, 상판 등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저면 또는 교각 등 교량의 하부구조물 상면에 설치되는 홈부재(210)를 구비한다. 이 홈부재(210)의 설치는 기초너트(212)와 볼트(214),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재(210)는 패드 수용홈(216)을 구비한다. 이 패드 수용홈(216)은 원형이 사각형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재(210)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개구는 반대편의 하부구조물 또는 상부구조물을 향한다.As shown in FIG. 3,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수용홈(216)에는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수용되어 있다. 이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종래의 포트 받침에 사용되던 탄성고무보다는 훨씬 큰 탄성을 가진다. 이 폴리우레탄 패드(250)로는 A 타입 듀로미터 경도(HAD, type A durometer hardness) 90 A이상이고 D 타입 듀로미터 경도(HDD, type D durometer hardness) 65 D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A 타입 듀로미터 경도(HAD, type A durometer hardness) 95 A이상이고 D 타입 듀로미터 경도(HDD, type D durometer hardness) 62 D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경도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뒤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압력을 받더라도 전체 부피는 거의 줄어들지 않으며 형상만 바뀐다.As shown in FIG. 3, the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도 3과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면(256) 쪽이 가장 넓고 상면(255)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측면(25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은 패드 수용홈(216)의 측벽(217)과 떨어져 있고, 그 결과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측면(252)과 패드 수용홈(216)의 측벽(217) 사이에 빈 공간(270)이 형성된다.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경사진 측면(252)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곡면으로 형성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 기울어진 평면으로 하여도 된다.As can be seen in FIGS. 3 and 5, the
빈 공간(270)은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가압되어 그 높이가 낮아질 때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일부가 유동되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빈 공간(270)은 폴리우레탄 패드(250) 측면을 기울어지게 하거나 홈을 형성하는 것, 패드 수용홈(216) 측벽(217)을 기울어지게 하거나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빈 공간(270)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유동 가능한 체적을 증가시키거나, 지지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의 폴리우레탄 패드(250)를 사용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경도 범위를 벗어나는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사용될 수 있다.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삽입부재(280)를 구비한다. 이 삽입부재(280)의 설치 역시, 기초너트(212)와 볼트(214),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이 삽입부재(280)는 홈부재(210)의 반대편의 교량의 하부구조물 또는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패드 수용홈(216)에 삽입되는 돌출부(282)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282)는 패드 수용홈(2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마주보는 면을 가압하며, 그 수평방향의 이동은 제한되고 어느 일측으로의 회전 즉 기울어짐은 허용될 수 있도록 하단은 패드 수용홈(216)과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위쪽은 그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도 3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부재(280)와 홈부재(210) 상호간에 압축 하중을 받는 경우 돌출부(282)는 폴리우레탄 패드(250)를 가압하고, 그에 따라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압착되면서 그 두께는 줄어들고, 두께가 줄어듦에 따른 두께방향의 부피는 빈 공간(270)으로 유동되어 빈 공간(270)을 채워가며 탄성변형 되면서 두 부재 상호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주고 충격을 완충하여 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종래 포트 받침에서와 같은 큰 수평력에 견디는 장점을 가지면서도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돌출부(282)와 패드 수용홈(216)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는 종래 포트 받침과 종래 디스크 받침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That is, the te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port support and the conventional disk support.
그리고 폴리우레탄 패드는 종래 포트 받침에 사용되던 탄성고무에 비해 큰 지지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는 탄성고무보다 훨씬 얇은 폴리우레탄 패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트 받침 형태의 교좌장치의 두께를 많이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And since the polyurethane pad has a greater bearing capacity than the elastic rubber used in the conventional port support, the te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much thinner polyurethane pad than the elastic rubber, according to the It allows you to reduce the thickness a lot.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그 두께는 줄어들면서 빈 공간 채운 상태는 도 4를 보면 알 수 있다. The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패드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lyurethane pad used in the te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폴리우레탄 패드(250)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측면(252)의 상하 중앙 부위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볼록부(253)가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경우에 따라,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상면(255)과 하면(256) 사이 측면(252)의 상하 중간 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54)를 갖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낸 교좌장치(201)는 홈부재(210)와 삽입부재(280)의 일측을 힌지축(290)으로 연결하여 그 힌지축(290)을 중심으로 좌 또는 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힌지축(290) 설치를 위한 수직연장부(220)를 구비한다. 이 실시 예에서, 수직연장부(220)는 홈부재(210)에 삽입부재(280) 쪽을 향해 수직 하게 연장되어 삽입부재(280)의 일측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수직연장부(220)를 통해 홈부재(210)와 삽입부재(280)는 힌지축(290)에 의해 상호 좌, 우 회전 가능케 연결된다. 이 경우, 힌지축(290)이 결합되는 구멍의 크기를 크게 하여 돌출부(282)와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상, 하 방향으로 약간의 직선운동을 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재(210)와 삽입부재(280)는 힌지축(29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수직연장부(290)는 삽입부재(280)에 설치될 수도 있다.8, the
앞의 도 3과 도 4를 통해 설명한 교좌장치(200)는 각 구성요소들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실시 예에 나타낸 교좌장치(201)는 그 구성요소들을 사각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9와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hair apparatus shown in FIG.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2)는 패드 수용홈(216)의 바닥과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상면은 위로 볼록하게 하고,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하면과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상면과 접촉되는 돌출부(282)의 표면은 위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보다 안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위로 볼록한 부분과 돌출부(282)의 오목한 부분의 접촉면적의 증가, 돌출부(282)가 패드(250) 상단부를 감싸는 효과로 인해 돌출부(282)의 수평방향의 이동에 저항하는 힘이 종래의 것이 비해 커지며, 돌출부(282)가 기울어지더라도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가압되면서 유동되어 패드(250)와 돌출부(282)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주고 각 부위에서의 지지하중을 균일하게 하여주고, 돌출부의 일측이 하방으로 다운되어 기울어지면 그 중심이 다운된 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지만 이 경우 상호 가압되는 오목 및 볼록곡면의 작용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려는 힘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이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9, the
도 9에 나타낸 것과는 반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수용홈(216)의 바닥과 폴리우레탄 패드(250) 상면(255)은 오목하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하면과 돌출부(252)의 저면은 볼록하게 형성하여 교좌장치(203)를 구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도 9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Contrary to that shown in FIG. 9, the bottom of the
도 11은 도 3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eaching apparatus of FIG. 3.
도 11을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폴리우레탄 패드(250)는 그 측면(252)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패드 수용홈(216)의 하단 부근에 바깥쪽으로 확장부(222)를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4)를 구성할 수도 있다.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측면(252)에 경사를 준 것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Referring to FIG. 11, in some cases, the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파단 사시도로서, 도 12는 초기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볼트를 통해 초기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and 13 are broken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state before the initial pressing,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itial pressing through the bolt.
도 12와 13을 참조하면, 홈부재(210)의 패드 수용홈(216)과 돌출부(282) 바깥쪽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을 따라 홈부재(210)와 삽입부재(280) 사이에 제 1완충 재(300)가 개재되어 있다. 이 제 1완충재(300) 역시 폴리우레탄 패드(250)와 동일한 재료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28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12 and 13, a first buffer is provided between the
삽입부재(280), 제 1완충재(300) 및 홈부재(210)의 마주보는 부분을 따라서는 구멍(284, 302)과 볼트 체결공(2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84, 302)들로 볼트(310)가 삽입되어 체결공(224)에 체결되어 있다. 이들은 홈부재(210)와 삽입부재(28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폴리우레탄 패드(250)를 초기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수단의 초기가압은 교좌장치(205)가 사용되는 장소의 여건에 맞추어 작업자나 설계자가 결정하여 조정하면 된다.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초기 가압정도는 연결수단의 결합정도에 따라, 여기에서는 볼트(310)의 결합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초기 가압되어 있는 경우, 그 높이가 낮아져 특히, 교좌장치(205) 교체 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리는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초기 가압이 없는 교좌장치(205)를 사용하는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함에 따라 그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던 폴리우레탄 패드(250)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고, 그에 따라 상부구조물을 폴리우레탄 패드(250)가 완전히 팽창하는 높이 이상으로 인상하여야 하는 단점이 생긴다. 나머지 사항은 도 3과 도 4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When the
도 14는 도 12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12.
경우에 따라, 삽입부재(286)의 상면에 T형 돌기를 형성하고, 그 위에 T형 홈 (322)을 가지며 교량의 상부구조물이나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0)를 구비하여 일방향 가동단의 교좌장치(206)로 이용할 수 있다. 고정단의 교좌장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삽입부재(280)를 직접 교량의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고정하거나 수평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별도로 구속부재를 통해 상부구조물 또는 하부구조물에 설치하면 된다. 양방향 가동단의 교좌장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320)와 삽입부재(280)에 T형 돌기(286)와 T형 홈(322)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간의 접촉면에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PTFE판을 각각 설치하여 어느 방향으로 서로 유동될 수 있게 하면 된다. 나머지 사항은 도 12와 1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In some cases, the one-way movable end is provided with a T-shaped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재(280)의 돌출부(282)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288)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288)의 표면을 따라 제 2완충재(304)가 개재되고, 홈부재(210)에는 제 2완충재(304)를 가압하여 돌출부(282)가 패드 수용홈(2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330)를 볼트(332) 등으로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207)를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a locking
그리고 홈부재(216)의 패드 수용홈(216)에 수용되는 폴리우레탄 패드(250)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구멍(258)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큰 유동공간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좌장치(207)를 구성하는 경우, 삽입부재(280)의 돌출부(282)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5 교좌장치 (207)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는 큰 수평대항력을 가지면서도 탄성재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elastic material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while having a large horizontal counter force.
더구나 종래의 포트 받침에 필수 구성요소로 사용되던 금속링들도 필요치 않다.Moreover, the metal rings used as essential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port bearings are not necessary.
그리고 기존의 두께가 큰 탄성고무 대신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폴리우레탄 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포트 받침에 비해 그 두께를 많이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a relatively thin polyurethane pad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thick elastic rubb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much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rt support.
그 외에 패드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면과 하면 및 이에 대응되는 패드 수용홈의 바닥과 돌출부의 표면을 오목 또는 볼록곡면으로 형성함으로 써 균형성이 뛰어나고 상부구조물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지지면적이 넓어서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d polyurethane pads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ottom and protrusions of the pad receiving grooves are concave or convex, so that the balance is excellent and the support area is wide even when the upper structure is inclined to one side. There is also an advantag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2245A KR100773879B1 (en) | 2005-12-13 | 2005-12-13 | Bridge bea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2245A KR100773879B1 (en) | 2005-12-13 | 2005-12-13 | Bridge bea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0053A true KR20070090053A (en) | 2007-09-05 |
KR100773879B1 KR100773879B1 (en) | 2007-11-06 |
Family
ID=3868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2245A KR100773879B1 (en) | 2005-12-13 | 2005-12-13 | Bridge bea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38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1439A3 (en) * | 2020-08-04 | 2022-04-21 |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 Pinned base connection for a structural memb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490B1 (en) * | 2008-03-11 | 2008-11-06 | 조영철 | Support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
KR102411500B1 (en) | 2019-09-25 | 2022-06-21 | 매크로드 주식회사 | Elastic disk structure comprising flow holes formed inside the body and bridge bearing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0828B2 (en) * | 1995-08-25 | 1997-10-08 | 株式会社カイモン | Elastic bearing device for cross girder bearin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KR100283782B1 (en) * | 1998-01-24 | 2001-03-02 | 이서형 | Friction dampening rubber feet for seismic isolation of structures |
KR20010011886A (en) * | 1999-07-30 | 2001-02-15 | 이정수 | Pot Bearing Using Friction Damping Mechanism for Base Isolation System |
KR200262491Y1 (en) | 2001-09-29 | 2002-03-20 | 조영철 | A Structural Bearing with a Large Shock Absorbing Force |
KR200295891Y1 (en) | 2002-08-10 | 2002-11-23 | 협성실업 주식회사 | Elastomeric Bearing for Large-span Bridge |
KR200340118Y1 (en) | 2003-10-17 | 2004-01-3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Bridge bearing |
KR100613027B1 (en) * | 2003-11-05 | 2006-08-16 | (주)한국해외기술공사 | A polyurethane for a bridge support earthquake control bearing |
-
2005
- 2005-12-13 KR KR1020050122245A patent/KR100773879B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1439A3 (en) * | 2020-08-04 | 2022-04-21 |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 Pinned base connection for a structural member |
US11447970B2 (en) | 2020-08-04 | 2022-09-20 |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 Pinned base connection for a structural mem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3879B1 (en) | 2007-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2956B1 (en) | Bearing for supporting a structure and elastic device for the bearing | |
KR100773879B1 (en) | Bridge bearing | |
KR101351069B1 (en) | A dumping bearing with a shock absorbing device | |
KR101232906B1 (en) | Friction device to decrease vibration and isolator utilizing the same | |
KR101289819B1 (en) | Supporting device for structure with shearing rubber spring | |
KR102138940B1 (en) | Elastic friction damper using wedge and damp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365093B1 (en) | Earthquake isol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 |
KR101194307B1 (en) | Repairing and Exchanging To Easy Changing Of Bridge Bearing | |
KR200262491Y1 (en) | A Structural Bearing with a Large Shock Absorbing Force | |
KR20090112512A (en) | Wedge type shear key | |
EP4174239A1 (en) | Composite sliding block for frictional-type seismic isolators and seismic isolators with said composite sliding block | |
JP5119383B1 (en) | A sliding support device for structures that has an uneven adjustment function. | |
KR100816890B1 (en) | Disk bearing having a sleeve structure for distributing impact load | |
KR101293331B1 (en) | Elastic device and mechanism to control horizontal displacement utilizing a horizontal component of elastic force and bridge bearing using the same | |
US11913492B2 (en) | Uni-directional and multi-directional mechanical structural bearing | |
KR20080109198A (en) | Pot bearing | |
JP4257802B1 (en) | Bridge bearing device | |
NO782244L (en) | STOCK FOR HIGH LOADS FOR USE IN BRIDGES AND SIMILAR CONSTRUCTIONS | |
KR101846344B1 (en) | Dual bumper device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ucture utilizing the same | |
KR20040085997A (en) | Pot bearing | |
KR20020095271A (en) | Bridge having elasticity-slide base | |
KR101667695B1 (en) | Elastomeric bridge bearing with rotary type wedge for up-lifting force control | |
KR20200116699A (en) | Disk bearing for bridge | |
KR200231056Y1 (en) | bridge bearing which enables absorbing impact load | |
JP4417646B2 (en) | Pile head joi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