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42A - 접속 소자 - Google Patents
접속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2042A KR20070082042A KR1020070015178A KR20070015178A KR20070082042A KR 20070082042 A KR20070082042 A KR 20070082042A KR 1020070015178 A KR1020070015178 A KR 1020070015178A KR 20070015178 A KR20070015178 A KR 20070015178A KR 20070082042 A KR20070082042 A KR 200700820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 group
- support
- positioning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과제
지지체에 고정 접점이나 탄성 접점을 구비한 접속 시트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고정 후에는 접속 시트가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는 접속 소자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기 지지체 (2) 의 길이 (Y)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 (3f) 에, 상기 접속 시트 (10) 를 고정시키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를 형성한다. 접속 시트 (10) 를 제 1 위치 결정부 (6a) 를 기준으로 부착함으로써, 접속 시트 (10) 를 상기 지지체 (2) 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6a) 는 상기 지지체 (2) 의 일부를 돌출시킨 돌출부 (8, 8) 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 (8, 8) 가 접속 시트 (10) 의 양가장자리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접속 시트 (10) 가 용이하게 지지체 (2) 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접속 소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는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평면도,
도 2B 는 지지체의 정면도,
도 3 은 제 2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지지체의 부분 사시도,
도 4 는 접속 소자로 사용되는 접속 시트의 사시도,
도 5 는 상기 접속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접속 소자의 사시도,
도 7A 는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평면도,
도 7B 는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속 소자
2 지지체
3 기판 유지부
3a 제 1 대향면
3b 제 2 대향면
3c 부착측면
3d 배측면
3e 에지부
3f 단면
4 부착부
6a 제 1 위치 결정부
6b 제 2 위치 결정부
7 위치 결정 구멍
8 돌출부
10 접속 시트
11 가요성 기판
12 제 1 접점군
13 제 2 접점군
14 패턴 선
15, 16 탄성 접점 (스파이럴 접촉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5859호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이나 IC 패키지 등의 회로 부재의 도통부에 사용되는 접속 소자로서, 각각의 접점간을 도통 접속하는 복수의 탄성 접점을 갖는 접속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특허 문헌 1 에는, 절연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스파이럴상의 탄성 접점이 형성되고, 타방의 면에 상기 탄성 접점과 일 대 일로 도통된 복수의 고정 접점이 형성된 접속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 소자의 상기 고정 접점이 모(母)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도통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IC 패키지의 구상 접속 단자가 접속 소자의 상기 탄성 접점에 가압 된다. 그리고, 접속 소자를 통하여, IC 패키지의 상기 구상 접속 단자와 모기판의 도통부가 개별적으로 도통된다.
이 발명은, IC 패키지의 구상 접속 단자가, 상기 접속 소자의 탄성 접점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접속되기 때문에, IC 패키지의 교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접속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접속 소자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 접점을 모기판의 각각의 도통부에 일 대 일의 관계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접속 소자를 마더 기판에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 IC 패키지를 접속 소자 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IC 패키지에 형성된 구상 단자를, 접속 소자의 탄성 접점에 일 대 일로 대응시킨 상태에서 IC 패키지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접속 소자를 형성하는 상기 탄성 접점과 상기 고정 접 점이, 상기 지지체의 양면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에는, 상기 탄성 접점이나 상기 고정 접점을 접속 시트의 양면에 형성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탄성 접점이나 상기 고정 접점을 갖는 접속 시트를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고정시킬 때에, 상기 탄성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을 상기 지지체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또 상기 지지체에 부착된 접속 시트의 박리를 방지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지지체에 고정 접점이나 탄성 접점을 구비한 접속 시트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접속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고정 후의 접속 시트가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도록 한 접속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장척체 (長尺體) 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상기 장척체를 형성하는 각 면 중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1 쌍의 대향면 및 폭 방향의 일방의 부착면의 3 면에 고정되는 접속 시트를 구비한 접속 소자로서,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에는, 상기 접속 시트를 고정 시키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 소자에서는, 접속 시트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시트를 상기 위치 결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체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위치 결정에 의해, 접속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탄성 접점과, 회로 부재에 형성된 도통부를 확실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 또는 쌍방으로 돌출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위치 결정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시트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방 면에 형성된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 및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을 도통시키는 배선군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점군이 일방의 대향면에 위치하고, 제 2 접점군이 타방의 대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요성 기판이 상기 제 1 접점군과 상기 제 2 접점군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절곡부를 중심으로 굽혀져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의 양가장자리부 중, 상기 절곡부 를 형성하는 부분이 위치 결정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상기 절곡부를 제외한 측방 부분이 위치 결정되는 구성이어도 되다. 나아가서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측방 부분의 쌍방에서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재의 두께 치수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치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으로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요성 기판의 가장자리부 또는 모서리부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탄성 접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의 각각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모두 탄성 접점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의 접속 소자는, 1 장의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고, 지지체의 2 개의 대향면에 서로 도통된 탄성 접점이나 고정 접점을 각각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접점은 스파이럴 접촉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는 다른 탄성 접점과 비교하여 접점압이 작기 때문에, 탄성 접점에 대한 가압력이 적어도 확실하게 접점간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접속 소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는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평면도, 도 2B 는 지지체의 정면도, 도 3 은 제 2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지지체의 부분 사시도, 도 4 는 접속 소자에 사용되는 접속 시트의 사시도, 도 5 는 상기 접속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 (1) 는, Y 방향이 길이 방향이고, X 방향이 폭 방향, Z 방향이 두께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길이 방향의 치수를 세로 치수, 폭 방향의 치수를 폭 치수, 두께 방향의 치수를 두께 치수로 한다.
이 접속 소자 (1) 는 지지체 (2) 를 갖고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지지체 (2) 는 세로 치수가 폭 치수보다 큰, 세로로 긴 형상 (장척체) 이고, 두께 치수는 폭 치수보다 작은 판상이다. 지지체 (2) 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 수지 등과 같이, 각 부의 치수를 고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선 팽창 계수가 작고,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동이 작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지지체 (2) 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탄성 변형 가능한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체 (2) 는 기판 유지부 (3) 를 갖고 있다. 기판 유지부 (3) 는, Z 방향의 상측으로 향하는 평면형의 제 1 대향면 (3a) 과, Z 방향의 하측으로 향하는 평면형의 제 2 대향면 (3b) 을 갖고 있다.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은 상하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이고, 서로 평행하다.
기판 유지부 (3) 는, 상기 제 1 대향면 (3a) 및 제 2 대향면 (3b) 의 쌍방과 연속하는 부착측면 (3c) 을 갖고 있다. 부착측면 (3c) 은,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의 쌍방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혹은 X 방향으로 향하여 약간 오목형으로 된 만곡면이다. 부착측면 (3c) 에 대향하는 배측면 (3d) 은,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의 쌍방에 수직인 평면이다.
지지체 (2) 의 상기 기판 유지부 (3) 의 길이 방향의 양단면 (3f, 3f) 에는, 상기 부착측면 (3c) 을 갖는 X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8, 8)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과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 (8, 8) 의 전측부 (8c, 8c) 가, 기판 유지부 (3) 의 부착측면 (3c) 보다 전방 (X 방향) 으로 돌출해 있고, 이 돌출 부분에는 부착측면 (3c)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는 평면이고, 상기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및 부착측면 (3c) 의 각각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와 제 1 위치 결정부 (6a) 는 서로 평행하다.
도 3 의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 (8, 8) 의 상측 부 (8a) 및 하측부 (8b) 를, 상기 제 1 대향면 (3a) 및 제 2 대향면 (3b) 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고, 기판 유지부 (3) 의 두께 치수보다 조금 두꺼워지도록 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 (8, 8) 에는, 상기 제 1 대향면 (3a) 으로부터 상방으로, 또한 제 2 대향면 (3b) 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유지부 (3) 에는, 접속 시트 (10) 가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시트 (10) 는 장방형의 가요성 기판 (11) 을 갖고 있고,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복수의 탄성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점군 (12) 과, 동일하게 복수의 탄성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점군 (13) 및, 상기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상기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을, 일 대 일로 대응시켜 접속하는 복수의 패턴 선 (14) 으로 이루어지는 배선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시트 (10) 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패턴 선 (14) 으로 이루어지는 배선군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상기 접속 시트 (10) 의 절곡부 (10C) 이다.
도 5 는, 상기 가요성 기판 (11) 의 일부와, 탄성 접점 (15) 및 탄성 접점 (16) 과 패턴 선 (14)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가요성 기판 (11) 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합성 수지 시트 혹은 비도전성의 금속 시트 또는 비금속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형성된 탄성 접점 (15) 은, 예를 들어 스파이럴 접촉자이다. 즉, 탄성 접점 (15) 은 고정부 (15a) 가 상기 표면 (11a) 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 (15a) 로부터 일체로 연속되는 스파이럴상의 탄성 변형부 (15b) 를 갖고 있다. 탄성 변형부 (15b) 는,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권취 중심부 (15c) 를 향함에 따라 표면 (11a) 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는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탄성 접점 (16) 은, 탄성 접점 (15) 과 동일하게, 고정부 (16a) 와, 스파이럴상의 탄성 변형부 (16b) 와, 권취 중심부 (16c) 를 갖고 있고,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으로부터 입체적으로 솟아 오르는 형상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접점군 (12) 과 제 2 접점군 (13) 을 동일한 프로세스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의 상대 위치도, 박막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고정밀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의, 스파이럴의 권취 방향을 역권취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 접점 (15) 과 탄성 접점 (16) 은, 도전성을 갖고 또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고, 예를 들어 니켈 (Ni), 니켈과 인의 합금 (Ni-P) 등의 탄성 부재와, 구리나 은, 혹은 금 등의 비저항이 작은 도전성 금속의 복합체로 형성된다. 탄성 접점 (15) 및 탄성 접점 (16) 은,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형성된 금속 박막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고, 혹은 금속판을 프레스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가요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있어서 도금 프로세스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접점 (15) 과 탄성 접점 (16) 을 일 대 일로 도통시키는 배선군을 구성하는 각 패턴 선 (14) 은, 구리박 등의 비저항이 작은 금속 재료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접속 시트 (10) 의 길이 치수 (L1) 는, 도 2A 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와 제 1 위치 결정부 (6a) 의 대향 간격 (L2) 과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 치수 (L1) 와 상기 대향 간격 (L2) 의 차는, 탄성 접점 (15, 16) 의 위치 결정에 필요한 공차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접속 시트 (10) 의 폭 치수 (W1) 는, 제 1 대향면 (3a) 의 폭 치수와 제 2 대향면 (3b) 의 폭 치수 및 부착측면 (3c) 의 폭 치수의 합계치와 동일하거가, 혹은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폭 치수 (W1) 와 상기 합계치의 차는, 탄성 접점 (15, 16) 의 위치 결정에 필요한 공차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시트 (10) 는 지지체 (2) 의 기판 유지부 (3) 에 감기도록 형성된다. 접속 시트 (10) 는, 제 1 접점군 (12) 이 기판 유지부 (3) 의 제 1 대향면 (3a) 의 표면에 위치하고, 제 2 접점군 (13) 이 기판 유지부 (3) 의 제 2 대향면 (3b) 의 표면에 위치하며, 제 1 접점군 (12) 과 제 2 접점군 (13)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절곡부 (10C) 가 기판 유지부 (3) 의 부착측면 (3c) 에 접촉하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접속 시트 (10) 의 가요성 기판 (11) 의 배면과 기판 유지부 (3) 가 접착제로 고정된다.
복수의 패턴 선 (14) 으로 이루어지는 배선군을 통하여 일 대 일로 대응하여 도통하는 탄성 접점 (15) 과 탄성 접점 (16) 의 배치 관계는, 접속 시트 (10) 가 지지체 (2) 에 부착된 상태에서, 탄성 접점 (15) 의 바로 아래에 이에 도통하는 탄성 접점 (16) 이 위치하게 된다.
접속 시트 (10) 는, 그 2 개의 단변 (10a, 10a) 중 폭 방향의 중앙 부분 (절곡부 (10C) 를 형성하는 부분) 이 지지체 (2) 의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에 맞닿도록 하여, 지지체 (2) 에 고정된다. 이로써, 지지체 (2) 에 대하여 접속 시트 (10) 가 세로 방향 (Y 방향) 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 접속 시트 (10) 의 일방의 장변 (10b) 이 기판 유지부 (3) 의 제 1 대향면 (3a) 과 배측면 (3d) 의 경계인 에지부 (3e) 에 일치하고, 타방의 장변 (10c) 이 제 2 대향면 (3b) 과 배측면 (3d) 의 경계인 에지부에 일치하도록 하여, 접속 시트 (10) 가 기판 유지부 (3) 에 고정된다. 이로써, 접속 시트 (10) 가 지지체 (2) 에 대하여 폭 방향 (X 방향) 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에서는, 또한 접속 시트 (10) 의 2 개의 단변 (10a, 10a) 의 폭 방향의 측방 부분이, 지지체 (2) 의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에 맞닿도록 하여, 지지체 (2) 에 고정된다. 이로써, 접속 시트 (10) 를 지지체 (2) 에 대하여 세로 방향 (Y 방향) 으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제 1 대향면 (3a) 상에 위치하는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의 상대 위치가, 세로 방향 (Y 방향) 과 폭 방향 (X 방향) 의 쌍방에 대하여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소자 (1) 에서는, 상기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및 상기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이, 지지체 (2) 의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에 대하여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를 갖는 돌출부 (8, 8), 또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와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의 쌍방을 갖는 돌출부 (8, 8) 를 기준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접속 소자 (1) 에 대하여 제품 검사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 (8, 8) 에 형성된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또는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로부터 상기 제 1 접점군 (12) 을 형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까지의 거리, 및 제 2 접점군 (13) 을 형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접속 소자 (1) 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또는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를 기준으로 하여 각종 회로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회로 부재에 형성된 도전부와, 탄성 접점 (15) 및 탄성 접점 (16) 을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하여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속 소자 (1) 에서는, 접속 시트 (10) 의 절곡부 (10C) 가 기판 유지부 (3) 의 부착측면 (3c) 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지만, 상기 절곡부 (10C) 를 형성하는 상기 가요성 기재 (11) 의 두께 치수는 상기 지지체 (2) 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 (8) 의 돌출 치수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돌출부 (8, 8) 가 형성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가 절곡부 (10C) 의 양 가장자리부인 단변 (10a, 10a) 을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접속 시트 (10) 의 특히 상기 절곡부 (10C) 가 상기 기판 유지부 (3) 의 부착측면 (3c)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접속 시트 (10) 의 두께 치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의 돌출량, 즉 돌출부 (8, 8) 의 제 1 대향면 (3a) 및 제 2 대향면 (3b) 으로부터의 돌출 치수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가 상기 접속 시트 (10) 의 양 가장자리부인 단변 (10a, 10a) 중, 특히 측방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속 시트 (10) 의 특히 폭 방향의 측방 부분이나 모서리부가, 상기 기판 유지부 (3) 의 제 1 대향면 (3a) 및 제 2 대향면 (3b)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접속 소자의 사시도, 도 7A 는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평면도, 마찬가지로 도 7B 는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는 주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에서는, 지지체 (2) 를 형성하는 기판 유지부 (3)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부착부 (4, 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 (4, 4) 의 두께 치수 (t2) 는 기판 유지부 (3) 의 두께 치수 (t1) 보다 작고, 기판 유지부 (3) 의 양단부와 각각의 부착부 (4) 의 경계부에는 단차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5)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부착부 (4) 의 상면 (4a) 은 기판 유지부 (3) 의 제 1 대향면 (3a) 보다 1 단 낮고, 부착부 (4) 의 하면 (4b) 은 기판 유지부 (3) 의 제 2 대향면 (3b) 보다 1 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도 6 과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 (4, 4) 의 전측부 (4c, 4c) 는, 기판 유지부 (3) 의 부착측면 (3c) 보다 전방으로 돌출해 있고, 이 돌출 부분에는, 상기 동일한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가 상기 부착측면 (3c)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도 평면이고, 상기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및 부착측면 (3c) 의 각각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위치 결정부 (6a) 와 제 1 위치 결정부 (6a) 는 서로 평행하다.
각각의 부착부 (4) 에는, 위치 결정 구멍 (7) 이 형성되어 있다. 이의 지지체 (2) 는 금형 내에 합성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각 부분의 상대 위치 치수는 금형의 가공 정밀도에 준하여 고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위치 결정 구멍 (7) 은, 그 내경 치수가 고정밀하게 관리된다. 또, 위치 결정 구멍 (7) 의 중심선 (O1) 과 제 1 위치 결정부 (6a) 의 상대 위치, 중심선 (O1) 과 제 1 대향면 (3a) 및 제 3 대향면 (3b) 의 상대 위치, 및 중심선 (O1) 과 부착측면 (3c) 의 상대 위치, 또한, 중심선 (O1) 과 배측면 (3d) 의 상대 위치도 고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에 있어서도, 접속 시트 (10) 가 상기 제 1 대향면 (3a) 과 제 2 대향면 (3b) 및 부착측면 (3c) 의 각각의 면에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제 1 대향면 (3a) 상에 위치하는 제 1 접점군 (12)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5) 과, 제 2 접점군 (13) 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성 접점 (16) 과, 상기 위치 결정 구멍 (7, 7) 의 중심선 (O1) 의 상대 위치가, 세로 방향 (Y 방향) 과 폭 방향 (X 방향) 의 쌍방에 대하여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속 소자 (1) 는, 위치 결정 구멍 (7, 7) 을 기준으로 도시하지 않은 각종 회로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로 부재에 형성된 도전부와, 탄성 접점 (15) 및 탄성 접점 (16) 을 고정밀하게 위치 결정하여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각의 탄성 접점 (16) 과 각각의 도전부가 접속되고, 또 각각의 탄성 접점 (15) 에는 예를 들어 IC 패키지의 각각의 구상 접속 단자가 접속됨으로써, IC 패키지의 구상 접속 단자와 회로 부재의 도전부가 접속 소자를 통하여 도통 접속된다.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접속 소자에 있어서도, 제 1 위치 결정부 (6a) 가 접속 시트의 위치 결정을 보조할 수 있다. 또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는 부착측면 (3c) 의 양단의 위치에서 대향하기 때문에, 접속 시트의 절곡부 (10C) 를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는 접속 시트 (10) 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되는 박리 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점군 (12) 과 제 2 접점군 (13) 은 모두 스파이럴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탄성 접점 (15, 16) 으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구성이 아니고, 적어도 일방이 탄성 접점이면 된다. 이 때, 타방의 접점군 (예를 들어, 제 2 접점군 (13)) 은 볼록형의 고정 접점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전부에 대하여 납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쌍의 제 1 위치 결정부 (6a, 6a) 또는 1 쌍의 제 2 위치 결정부 (6b, 6b) 로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위치 결정부가 일방뿐이어도 위치 결정 정밀도나 박리 방지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돌출부 (8) 는 적어도 지지부 (2) 의 일방의 단면 (3f) 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접속 소자에서는, 탄성 접점을 갖는 접속 시트를 지지체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한 고정 후의 박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 장척체(長尺體)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상기 장척체를 형성하는 각 면 중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1 쌍의 대향면 및 폭 방향의 일방의 부착면의 3 면에 고정되는 접속 시트를 구비한 접속 소자로서,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에는, 상기 접속 시트를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 또는 쌍방으로 돌출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시트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 및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을 도통시키는 배선군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점군이 일방의 대향면에 위치하고, 제 2 접점군이 타방의 대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요성 기판이 상기 제 1 접점군과 상기 제 2 접점군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절곡부를 중심으로 굽혀져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요성 기재의 두께 치수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치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탄성 접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점군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접점군과 제 2 접점군의 각각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점이, 모두 탄성 접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접점은 스파이럴 접촉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36493 | 2006-02-14 | ||
JP2006036493A JP2007220339A (ja) | 2006-02-14 | 2006-02-14 | 接続素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2042A true KR20070082042A (ko) | 2007-08-20 |
Family
ID=3849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5178A KR20070082042A (ko) | 2006-02-14 | 2007-02-14 | 접속 소자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7220339A (ko) |
KR (1) | KR20070082042A (ko) |
CN (1) | CN100479262C (ko) |
TW (1) | TW20074220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85540A (zh) * | 2017-01-19 | 2017-05-31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及其导电端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07842A (en) * | 1990-10-11 | 1991-04-16 | Amp Incorporated | Flexible area array connector |
-
2006
- 2006-02-14 JP JP2006036493A patent/JP2007220339A/ja not_active Withdrawn
-
2007
- 2007-01-10 TW TW096100929A patent/TW200742202A/zh unknown
- 2007-02-09 CN CNB2007100080966A patent/CN10047926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2-14 KR KR1020070015178A patent/KR20070082042A/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479262C (zh) | 2009-04-15 |
TW200742202A (en) | 2007-11-01 |
CN101038994A (zh) | 2007-09-19 |
JP2007220339A (ja) | 2007-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40499B2 (ja) | 接続部材 | |
JP4676502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
KR100341845B1 (ko) | 기판용컨넥터 | |
US7331798B2 (en) | Connecting element and circuit connecting device using the connecting element | |
US9831583B2 (en) | Connector | |
JP2005322589A (ja) | 異方性導電フィルム | |
US6893269B2 (en) |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 |
JP2003185700A (ja) | Icソケット | |
KR20070082042A (ko) | 접속 소자 | |
JP2000196205A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 |
JP2000156269A (ja) | 半導体用ソケット | |
KR101745884B1 (ko) | 초정밀 레이저를 활용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 |
JP5890252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8139039A (ja) | プローブピン及びコネクタ | |
JP5590109B2 (ja) | フレキシブルハーネ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的接続部品と電気的接続方法 | |
JP2018014306A (ja) | コネクタ | |
JP7478732B2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池配線モジュール | |
EP1988759A1 (en) | Connection portion of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circuit board | |
JP2024001999A (ja) | コネクタ、コネクタ対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050037676A1 (en) | Lever-like contact element | |
KR100927440B1 (ko) | 표면 실장 부품용 접속 장치 | |
JP4400671B2 (ja) | 異方性導電フィルム | |
JP4236393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0174403A (ja) | 立体配線基板 | |
JP2004063282A (ja) | コンタクト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