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643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2643A KR20070082643A KR1020060015480A KR20060015480A KR20070082643A KR 20070082643 A KR20070082643 A KR 20070082643A KR 1020060015480 A KR1020060015480 A KR 1020060015480A KR 20060015480 A KR20060015480 A KR 20060015480A KR 20070082643 A KR20070082643 A KR 20070082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voltage
- signal
- sensing data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표시판, 제2 표시판, 액정층,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데이터선, 압력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1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변 축전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2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축전기, 그리고 상기 감지 데이터선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을 타고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는 제1 레벨과 상기 제1 레벨과 다른 제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읽기 구간에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시간은 적어도 1H이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이로 인해, 감지 신호의 출력 시간이 증가하므로, 감지부의 감도가 향상되고 감지 신호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LCD, 감지부, 터치스크린, 화소, 가변축전기, 기준축전기, 출력 트랜지스터, 감도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화소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감지부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감지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한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b는 도 6a를 간략히 도시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감지 동작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읽기 위한 다양한 공통 전압과 그에 따른 감지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읽기 위한 다양한 공통 전압과 그에 따른 감지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신호 출력부와 이들 감지 신호 출력부에 각각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의 다양한 배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중 대표적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구비된 두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은 행렬의 형태로 배열 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한 행씩 차례로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공통 전극은 표시판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 전압을 인가 받는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및 그 사이의 액정층은 회로적으로 볼 때 액정 축전기를 이루며, 액정 축전기는 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함께 화소를 이루는 기본 단위가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 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때, 액정층에 한 방향의 전계가 오랫동안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별로, 행별로, 또는 화소별로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stylus) 등을 접촉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거나, 아이콘을 실행시켜 컴퓨터 등의 기계에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이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접촉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인하여 원가 상승, 터치 스크린 패널을 액정 표시판 위에 접착시키는 공정 추가로 인한 수율 감소, 액정 표시판의 휘도 저하, 제품 두께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대신에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가변 축전기로 이루어진 감지 소자를 액정 표시 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내장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감지 소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화면에 가한 빛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접촉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게 한다.
가변 축전기로 이루어진 감지 소자는 일정 주기마다 고레벨과 저레벨로 스윙(swing)하는 공통 전압과 소정 크기의 직류(DC) 전압을 인가받고, 외부로부터의 압 력 변화에 따른 가변 축전기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한 전압 변화를 기초로 하여 감지 소자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공통 전압의 상태를 고려하여 감지 소자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판독해야 하므로, 감지 신호의 판독 시간에 제한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감지 소자의 신뢰성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지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의 공간 사용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표시판, 상기 제1 표시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표시판과 떨어져 있는 제2 표시판, 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놓인 액정층,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데이터선, 압력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1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변 축전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2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축전기, 그리고 상기 감지 데이터선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을 타고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는 제1 레벨과 상기 제1 레벨과 다른 제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읽기 구간에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시간은 적어도 1H이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을 수 있거나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공통 전압인 것이 좋다.
상기 읽기 구간은 포치 구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감지 데이터선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셋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복수의 리셋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셋 신호 입력부 각각은 해당하는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리셋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제1 리셋 전압을 연결된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인가하는 제1 리셋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셋 신호 입력부 각각은 해당하는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리셋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제2 리셋 전압을 상기 제1 리셋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과는 다른 시간에 연결된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인가하는 제2 리셋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을 타고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출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 각각에 전달하는 복수의 출력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표시판, 상기 제1 표시 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표시판과 떨어져 있는 제2 표시판, 상기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 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부, 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감지 데이터선, 상기 제2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감지 데이터선,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선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제1 감지 신호 출력부, 그리고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감지 데이터선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제2 감지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2 표시판의 좌측 및 우측 부분 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동일 선상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은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만큼 인접한 화소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뻗은 후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인접한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은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부 각각은 압력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1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변 축전기, 그리고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2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축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화소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로서, 감지부 관점에서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감지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liquid crystal panel assembly)(300) 및 이에 연결된 영상 주사부(4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및 감지 신호 처리부(8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에 연결된 계조 전압 생성부(550), 감지 신호 처리부(800)에 연결된 접촉 판단부(70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 그리고 복수의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 RL)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부(SU), 각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의 한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초기 신호 입력부(INI), 각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감지신호 출력부(SOUT), 그리고 각 감지 신호 출력부(SOUT)에 연결된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을 포함한다.
반면,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서로 마주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 및 공통 전극 표시판(200)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간극(間隙)을 만들며 어느 정도 압축 변형되는 간격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표시 신호선(G1-Gn, D1-Dm)은 영상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영상 주사선 (G1-Gn)과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선(D1-Dm)을 포함하며, 감지 신호선(SY1-SYN, SX1-SXM, RL)은 감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 및 복수의 세로 감지 데이터선(SX1-SXM), 그리고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준 전압선(RL)을 포함한다. 기준 전압선(RL)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영상 주사선(G1-Gn) 및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영상 데이터선(D1-Dm) 및 세로 감지 데이터선(SX1-SX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기준 전압선(RL)은 행 또는 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화소(PX)는 표시 신호선(G1-Gn, D1-Dm)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한다.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영상 주사선(G1-Gn)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영상 데이터선(D1-Dm)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는 비정질 규소(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규소(poly crystalline silicon)를 포함한 다.
액정 축전기(Clc)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며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화소 전극(191)은 스위칭 소자(Q)에 연결되며 공통 전극(270)은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 받는다. 도 2에서와는 달리 공통 전극(270)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두 전극(191, 27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정 축전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축전기(Cst)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유지 축전기(Cst)는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매개로 바로 위의 전단 영상 주사선과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거나(공간 분할) 각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하게(시간 분할) 하여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들 수 있다. 도 2는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PX)가 화소 전극(191)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영역에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230)를 구비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와는 달리 색 필터(230)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 위 또는 아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자(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감지부(SU)는 도면 부호 SL로 나타낸 가로 또는 세로 감지 데이터선(이하 감지 데이터선이라 함)에 연결되어 있는 가변 축전기(Cv)와 감지 데이터선(SL)과 기준 전압선(RL)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기준 축전기(Cp)를 포함한다.
기준 축전기(Cp)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기준 전압선(RL)과 감지 데이터선(SL)이 절연체(도시하지 않음)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가변 축전기(Cv)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감지 데이터선(SL)과 공통 전극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며 두 단자 사이의 액정층(3)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가변 축전기(Cv)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접촉(touch) 등 외부 자극에 의하여 값이 변화한다. 이러한 외부 자극으로는 압력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공통 전극 표시판(200)에 압력이 가해지면 간격재가 압축 변형되어 두 단자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가변 축전기(Cv)의 정전 용량이 바뀐다. 정전 용량이 바뀌면 정전 용량의 크기에 의존하는, 기준 축전기(Cp)와 가변 축전기(Cv) 사이의 접점 전압(Vn)의 크기가 변한다. 접점 전압(Vn)은 감지 데이터 신호로서 감지 데이터선(SL)을 통하여 흐르며, 이를 기초로 하여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축전기(Cp)는 고정된 정전 용량을 가지며, 기준 축전기(Cp)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은 일정한 전압 값 을 가지므로 접점 전압(Vn)은 일정한 범위에서 변동된다. 따라서 감지 데이터 신호가 항상 일정한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SU)는 인접한 두 화소(PX) 사이에 배치된다. 가로 및 세로 감지 데이터선(SY1-SYN, SX1-SXM)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감지부(SU)의 밀도는 예를 들면, 도트(dot) 밀도의 약 1/4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도트는, 예를 들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표시하는 3 개의 화소(PX)를 포함하고, 하나의 색상을 표시하며, 액정 표시 장치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가 된다. 그러나 하나의 도트는 4개 이상의 화소(PX)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화소(PX)는 삼원색과 백색(white)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쌍의 감지부(SU) 밀도가 도트 밀도의 1/4인 예로는 한 쌍의 감지부(SU)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가 각각 액정 표시 장치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의 1/2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SU)가 없는 화소행 및 화소열도 있을 수 있다.
감지부(SU) 밀도와 도트 밀도를 이 정도로 맞추면 문자 인식과 같이 정밀도가 높은 응용 분야에도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감지부(SU)의 해상도는 필요에 따라 더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SU)에 의하면 감지부(SU)와 감지 데이터선(SL)이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화소(PX)의 개구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리셋 신호 입력부(INI)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복수의 감지 신호 출력부(SOUT) 역시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INI, SOUT)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은 해당 감지 신호 출력부(SOUT)를 통하여 가로 및 세로 감지 데이터선(SY1-SYN, SX1-SXM)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로 및 세로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을 포함한다.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은 감지 신호 처리부(80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 신호 출력부(SOUT)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감지 신호 처리부(800)에 전달한다. 가로 및 세로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계조 전압 생성부(550)는 화소의 투과율과 관련된 두 벌의 계조 전압 집합(또는 기준 계조 전압 집합)을 생성한다. 두 벌 중 한 벌은 공통 전압(Vcom)에 대하여 양의 값을 가지고 다른 한 벌은 음의 값을 가진다.
영상 주사부(4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영상 주사선(G1-Gn)에 연결되어 스위칭 소자(Q)를 턴 온시키는 게이트 온 전압(Von)과 턴 오프시키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영상 주사 신호를 영상 주사선(G1-Gn)에 인가한다.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영상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조 전압 생성부(55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 신호로서 영상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그러나 계조 전압 생성부(550)가 모든 계조에 대한 전압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전압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는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이 중에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선택한다.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증폭부(810) 등을 포함하며, 각 증폭부(8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아날로그 감지 신호(Vo)를 생성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생성한다.
접촉 판단부(700)는 감지 신호 처리부(800)로부터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받아 소정 연산 처리를 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판단한 후 접촉 정보(INF)를 외부 장치로 내보낸다. 접촉 판단부(700)는 디지털 감지 신호(DSN)에 기초하여 감지부(SU)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이들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영상 주사부(4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계조 전압 생성부(550), 그리고 감지 신호 처리부(8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400, 500, 550, 600, 700, 8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 구동 장치(400, 500, 550, 600, 700, 800)가 신호선(G1-Gn, D1-Dm, SY1-SYN, SX1-SXM, OY1-OYN, OX1-OXM, RL) 및 박막 트랜지스터(Q) 따위와 함께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표시 영역(P1), 가장자리 영역(P2) 및 노출 영역(P3)으로 나뉘어 있다. 표시 영역(P1)에는 화소(PX), 감지부(SU) 및 신호선(G1-Gn, D1-Dm, SY1-SYN, SX1-SXM, OY1-OYN, OX1-OXM, RL)의 대부분이 위치한다. 공통 전극 표시판(200)은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차광부재는 가장자리 영역(P2)의 대부분을 덮고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한다. 공통 전극 표시판(200)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보다 크기가 작아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0)의 일부가 노출되어 노출 영역(P3)을 이루며, 노출 영역(P3)에는 단일 칩(610)이 실장되고 FPC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620)이 부착된다.
단일 칩(610)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들, 즉, 영상 구동부(400),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계조 전압 생성부(550), 신호 제어부(600), 접촉 판단부(700), 그리고 감지 신호 처리부(8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400, 500, 550, 600, 700, 800)를 단일 칩(610) 안에 집적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 전력도 낮출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단일 칩(610) 바깥에 있을 수 있다.
영상 신호선(G1-Gn, D1-Dm) 및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은 노출 영역(P3)에까지 연장되어 해당 구동 장치(400, 500, 800)와 연결된다.
FPC 기판(620)은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여 단일 칩(610) 또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전달하며,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끝단은 통상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 및 감지 동작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신호(R, G, B)는 각 화소(PX)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이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 력 영상 신호(R, G, B)를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및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및 감지 데이터 제어 신호(CONT3) 등을 생성한 후,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를 영상 주사부(400)로 내보내고,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내며, 감지 데이터 제어 신호(CONT3)를 감지 신호 처리부(800)로 내보낸다.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는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는 또한 게이트 온 전압(Von)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화소행의 영상 데이터(DAT)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영상 데이터선(D1-Dm)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LOAD)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또한 공통 전압(Vcom)에 대한 영상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이하 공통 전압에 대한 영상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을 줄여 영상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라 함)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는 한 화소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각 디지털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영상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영상 주사부(4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영상 주사선(G1-Gn)에 인가하여 이 영상 주사선(G1-G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를 턴 온시킨다. 그러면, 영상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영상 데이터 신호가 턴 온된 스위칭 소자(Q)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된다.
화소(PX)에 인가된 영상 데이터 신호의 전압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는 액정 축전기(Clc)의 충전 전압, 즉 화소 전압으로서 나타난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배열을 달리하며, 이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이 변화한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된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든 영상 주사선(G1-G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여 모든 화소(PX)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한다.
한 프레임이 끝나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고 각 화소(PX)에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이전 프레임에서의 극성과 반대가 되도록 영상 데이터 구동 부(500)에 인가되는 반전 신호(RVS)의 상태가 제어된다("프레임 반전"). 이때, 한 프레임 내에서도 반전 신호(RVS)의 특성에 따라 한 영상 데이터선을 통하여 흐르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바뀌거나(보기: 행반전, 점반전), 한 화소행에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극성도 서로 다를 수 있다(보기: 열반전, 점반전).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감지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매 프레임마다 한번씩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포치(porch) 구간에서 출력 데이터선(OY1-OYN, OX1-OXM)을 통해 인가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읽어 들인다. 포치 구간에서는 감지 데이터 신호가 영상 주사부(400) 및 영상 데이터 구동부(500) 등으로부터의 구동 신호의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감지 데이터 신호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읽기 동작은 매 프레임마다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마다 한번씩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치 구간 내에서 두 번 이상 읽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 내에서도 읽기 동작이 적어도 한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읽어 들인 아날로그 감지 데이터 신호를 각 증폭부(810) 등을 이용하여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한 후 디지털 감지 신호(DSN)로 변환하여 접촉 판단부(700)로 내보낸다. 감지 신호 처리부(800)의 증폭부(8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촉 판단부(700)는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받아 적절한 연산 처리를 행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알아내고 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외부 장치는 이에 기초한 영상 신호(R, G, B)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등을 표시한다.
다음, 도 6a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리셋 신호 입력부(INI), 감지 신호 출력부(SOUT) 및 증폭부(810)의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한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부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간략히 도시한 등가 회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감지 동작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읽기 위한 다양한 공통 전압과 그에 따른 감지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읽기 위한 다양한 공통 전압과 그에 따른 감지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감지 데이터선(SL)(도 3에서는 SY1-SYN, SX1-SXM)과 각 감지 데이터선(SL)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부(SU), 각 감지 데이터선(SL)의 한 쪽에 연결된 리셋 신호 입력부(INI), 각 감지 데이터선(SL)의 다른 쪽과 각 출력 데이터선(OL)(도 3에서는 OY1-OYN, OX1-OXM)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감지 신호 출력부(SOUT)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각 출력 데이터선(OL)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증폭부(810)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감지 데이터선(SL)에는 가변 축전기(Cv)와 기준 축전기(Cp)로 이루어진 복수의 감지부(SU)가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 데이터선(SL)의 서로 다른 끝에는 각각 리셋 신호 입력부(INI)와 감지 신호 출력부(SOUT)가 연결되어 있다. 가변 축전기(Cv)는 공통 전압(Vcom)에 연결되어 있고 기준 축전기(Cp)는 기준 전압(Vp)에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가변 축전기(Cv)는 감지 데이터선(SL)과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여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가변 축전기(Cv)는 도 6b에 도시한 하나의 가변 축전기(Cv')로 대표될 수 있으며, 실제로 가변 축전기(Cv')의 정전 용량은 한 감지 데이터선(SL)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축전기(Cv')에 대응하여 복수의 기준 축전기(Cp)도 하나의 기준 축전기(Cp')로 대표될 수 있다.
각 리셋 신호 입력부(INI)는 제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Qr1, Qr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Qr1, Qr2)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제1 및 제2 리셋 제어 신호(RST1, RST2)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입력 단자는 제1 및 제2 리셋 전압(Vr1, Vr2)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감지 데이터선(SL)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Qr1, Qr2)는 화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가장자리 영역(P2)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리셋 제어 신호(RST1, RST2)에 따라 제1 및 제2 리셋 전압(Vr1, Vr2)을 감지 데이터선(SL)에 공급 한다.
각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출력 트랜지스터(Qs)를 포함한다. 출력 트랜지스터(Qs)도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감지 데이터선(SL)과 연결되어 있고, 그 입력 단자는 입력 전압(Vs)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출력 데이터선(OL)과 연결되어 있다. 출력 트랜지스터(Qs)도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가장자리 영역(P2)에 위치하며 감지 데이터선(SL)을 통하여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로서 출력 전류를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출력 트랜지스터(Qs)가 출력 신호로서 전압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각 증폭부(810)는 증폭기(AP), 축전기(Cf) 및 스위치(SW)를 포함한다.
증폭기(AP)는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며, 반전 단자(-)는 출력 데이터선(OL)에 연결되어 있고, 반전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축전기(Cf) 및 스위치(SW)가 연결되어 있으며, 비반전 단자(+)는 기준 전압(Va)에 연결되어 있다. 증폭기(AP) 및 축전기(Cf)는 전류 적분기로서 출력 트랜지스터(Qs)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소정 시간 적분을 하여 감지 신호(Vo)를 생성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포치 구간에서 감지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수직 동기 신호(Vsync)보다 앞선 프론트 포치(front porch) 구간에서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전압(Vcom)은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가지며 1H마다 하이 레벨과 로 우 레벨을 스윙한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리셋 제어 신호(RST1, RST2)는 제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Qr1, Qr2)를 각각 턴 온시키는 턴온 전압(Ton)과 턴 오프시키는 턴오프 전압(Toff)을 가진다. 턴온 전압(Ton)은 게이트 온 전압(Von)을 사용하고 턴오프 전압(Toff)은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사용하지만, 이외의 다른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전압(Vcom)이 저레벨 상태를 유지할 때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리셋 제어 신호(RST1)의 턴온 전압(Ton)은 공통 전압(Vcom)이 하이 레벨일 때 인가된다.
제1 리셋 트랜지스터(Qr1)에 턴온 전압(Ton)이 인가되면, 제1 리셋 트랜지스터(Qr1)가 턴온되어 입력 단자로 인가되는 제1 리셋 전압(Vr1)을 감지 데이터선(SL)에 인가하여 제1 리셋 전압(Vr1)으로 감지 데이터선(SL)을 초기화한다. 한편, 동작이 시작되어 증폭부(810)로 기준 전압(Va)이 인가되면, 증폭부(810)의 축전기(Cf)는 이 기준 전압(Va)으로 충전되므로, 증폭기(AP)의 출력 전압(Vo)의 크기는 기준 전압(Va)과 같다.
그러고 제1 리셋 제어 신호(RST1)가 턴오프 전압(Toff)이 되면 감지 데이터선(SL)은 플로팅 상태가 되고 감지부(SU)의 접촉 여부에 따른 가변 축전기(Cv')의 정전 용량의 변화 및 공통 전압(Vcom)의 변동에 기초하여 출력 트랜지스터(Qs)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한다. 이러한 전압 변화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 (Qs)를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의 전류가 변동된다.
이때, 출력 트랜지스터(Qs)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g)은 다음의 [수학식 1]처럼 구해진다.
(여기서, VH는 고레벨의 공통 전압값이고, VL은 저레벨의 공통 전압값이며, Cp'는 기준 축전기의 정전 용량이고, Cv'는 가변 축전기의 정전용량이다.)
[수학식 1]에 도시한 것처럼, 출력 트랜지스터(Qs)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g)은 축전기(Cp', Cv')의 용량 변화와 공통 전압(Vcom)의 변화량에 기초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감지부(SU)가 접촉되면, 두 표시판(100, 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가변 축전기(Cv')의 정전 용량이 바뀌고, 공통 전압(Vcom)의 레벨이 변하므로, 해당하는 양의 전류가 출력 트랜지스터(Qs)를 통해 출력 데이터선(OL)으로 흐른다.
한편 제1 리셋 신호(RST1)가 게이트 오프 전압(Voff)으로 바뀐 후 스위칭 신호(Vsw)가 스위치(SW)에 인가되어 축전기(Cf)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시킨다.
그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감지 신호 처리부(800)는 감지 신호(Vo)를 읽는다. 이때 감지 신호(Vo)를 읽는 시간은 제1 리셋 제어 신호(RST1)가 턴오프 전압(Voff)이 된 후 1H 시간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통 전압(Vcom)이 다시 하이 레벨로 바뀌기 전에 감지 신호(Vo)를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변화에 따라 감지 신호(Vo) 역시 변하기 때문이다.
감지 데이터 신호가 제1 리셋 전압(Vr1)을 기준으로 변동되므로 감지 데이터 신호가 항상 일정한 범위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감지 신호 처리부(800)가 감지 신호(Vo)를 읽은 후 제2 리셋 제어 신호(RST2)는 턴온 전압(Ton)이 되어 제2 리셋 트랜지스터(Qr2)를 턴 온시킨다. 그러면 제2 리셋 전압(Vr2)이 감지 데이터선(SL)에 인가되고, 이때, 제2 리셋 전압(Vr2)은 접지 전압이므로 감지 데이터선(SL)은 접지 전압으로 리셋된다. 제2 리셋 전압(Vr2)은 다음 제1 리셋 전압(Vr2)이 감지 데이터선(SL)에 인가될 때까지 유지된다. 이로 인해, 다음 제1 리셋 전압(Vr2)이 인가될 때까지 출력 트랜지스터(Qs)는 턴오프 상태가 유지되어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인다.
또한, 제2 리셋 전압(Vr2)과 공통 전압(Vcom)은 감지 데이터선(SL)과 공통 전극(270) 사이의 액정층에 전계를 형성하며, 그 사이의 액정 분자들은 생성된 전계에 따라 경사 방향이 결정된다. 액정 분자의 경사 방향에 따라 감지 데이터 신호의 변화량이 달라지는데, 제2 리셋 전압(Vr2)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감지 데이터 신호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하여 감지부(SU)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리셋 제어 신호(RST1)의 턴온 전압(Ton)은 공통 전압(Vcom)이 로우 레벨일 때 인가될 수도 있으며 이때 공통 전압(Vcom)이 하이 레벨로 바뀐 후 다시 로우 레벨이 되기 전에 감지 신호(Vo)를 읽는다. 또한 제1 리셋 제어 신호(RST1)를 마 지막 영상 주사선(Gn)에 인가되는 영상 주사 신호에 동기시킬 수도 있다.
제2 리셋 제어 신호(RST2)는 감지 신호(Vo)를 읽은 바로 다음의 1H 구간에서 턴온 전압(Ton)이 될 수도 있고, 그 이후의 1H 구간에서 턴온 전압(Ton)이 될 수도 있다.
이때,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은, 포치 구간 내에서, 1H뿐만 아니라 소정 개수의 수평 주기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지 신호(Vo)의 읽기 시간은, 포치 구간 내에서, 공통 전압(Vcom)의 출력 파형을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통 전압(Vcom)의 저레벨 상태에서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한 것처럼, 포치 구간 내에서 공통 전압(Vcom)이 저레벨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을 1H 뿐만 아니라 2H나 3H 등과 같이 원하는 수의 수평 주기 동안 저레벨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공통 전압(Vcom)이 저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증폭부(810)의 적분 동작이 이루어져 적분 결과에 대한 전압을 감지 신호(Vo)로서 출력한다. 이처럼, 감지 신호(Vo)의 읽기 시간이 늘어날수록 적분 시간이 증가하여, 접촉 감지부(SU)가 동작될 때의 목표 크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노이즈로 감지 신호(Vo)의 악영향이 줄어들고, 감지부의 감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공통 전압(Vcom)의 고레벨 상태에서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포치 구간에서, 1H뿐만 아니라 2H나 3H 등과 같이 소정 개수의 수평 주기 동안 공통 전압(Vcom)의 고레벨 상태를 유지시켜 감지 신호(Vo)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공통 전압(Vcom)이 고레벨을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폭부(810)의 적분 시간이 증가하여 노이즈로 인한 감지 신호(Vo)의 악영향이 줄어들고, 감지부의 감도가 향상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임의의 한 프레임의 모든 화소에 대한 정상적인 주사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 프레임에서의 정상적인 주사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포치 구간에서 감지 신호(Vo)를 읽기 위한 공통 전압(Vcom)의 파형 변화가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공통 전압(Vcom)의 파형 변화로 인한 화소의 표시 동작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은 공통 전압(Vcom)이 원하는 상태, 즉 저레벨이나 고레벨 상태로 바뀐 후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통 전압(Vcom)의 기울기가 블랙 계조를 표시할 때와 화이트 계조를 표시할 때와 같이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달라지므로, 소정 주기마다 스윙되는 공통 전압(Vcom)이 안정화 상태를 유지한 후 감지 신호(Vo)의 읽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감지 신호 출력부(SOUT)와 출력 데이터선(OY1-OYN)의 다양한 배치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감지 신호 출력부(SOUT)와 이들에 각각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한쪽 부분, 예를 들어 우측 부분에서 동일 선상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감지 신호 출력부(SOUT)에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을 거의 수직으로 배치하여 감지 신호 처리부(800)와 연결시키는 배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배치 구조와는 달리,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좌측의 동일 선상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감지 신호 출력부(SOUT)를 배치한 후, 각 감지 신호 출력부(SOUT)에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을 배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에는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한쪽 부분, 예를 들어 우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감지 신호 출력부(SOUT)에 각각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은 각각 소정 길이만큼 표시 영역 사이를 가로지른 후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로 인해, 세로 출력 데이터선(OX1-OXM)에 연결된 증폭부(810)와 가로 출력 데이터선(OX1-OXM)에 연결된 증폭부(810)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첫 번째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의 길이가 제일 짧지만, 마지막 가로 출력 데이터선(OYN)의 길이가 제일 짧을 수 있다. 또한 세로 출력 데이터선(OX1-OXM)에 연결된 증폭부(810)가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에 연결된 증폭부(810)보다 먼저 배치되어 있지만,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에 연결된 증폭부(810)가 세로 출력 데이터선(OX1-OXM)에 연결된 증폭부(810)보다 먼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의 배 치는 각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에 연결된 감지 신호 출력부(SOUT)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물론 모두 적용된다.
도 11에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좌우측에 감지 신호 출력부(SOUT)와 이에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을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 예로, 홀수 번째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 OY3, ...)과 이에 연결된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우측에 배치하고, 짝수 번째 가로 출력 데이터선(OY2, OY4, ...)과 이에 연결된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와는 달리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도 3,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감지 신호 출력부(SOUT)를 동일 선상에 세로로 나란히 배열하여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의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 각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을 통해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간의 오차가 줄어들어 감지 신호 출력부(SOUT)를 통해 감지 신호(Vo)간의 오차 역시 줄어든다. 즉,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과 이 감지 데이터선(SY1-SYN) 하부에 형성된 다른 금속층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 용량 등을 포함한 총 정전 용량의 합이 동일해져 각 가로 감지 데이터선(SY1-SYN)을 통해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간의 오차가 줄어든다.
도 12에는, 도 3과 유사하게, 감지 신호 출력부(SOUT)와 이들 감지 신호 출 력부(SOUT)에 각각 연결된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와 한쪽 부분, 예를 들어 우측 부분에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도 3과는 달리,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신호 출력부(SOUT)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감지 신호 출력부(SOUT)에 연결된 가로 감지 신호선(SY1-SYN)의 길이가 상이하다. 도 12에서는 첫 번째 가로 감지 신호선(SY1)의 길이가 가장 짧으나, 이와는 반대로 마지막 가로 감지 신호선(SYN)의 갈이가 가장 짧도록 감지 신호 출력부와 감지 출력 데이터선(OY1-OYN)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상에서 감지 신호 출력부(SOUT)와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을 다양하게 배치하므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로서 가변 축전기 및 기준 축전기를 이용한 감지부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태의 감지 소자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공통 전극 표시판의 공통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감지 데이터선을 두 단자로 하며, 두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해 있어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두 단자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통 전압이 감지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되는 압력 감지부나 빛의 세기에 따라 출력 신호가 변하는 광 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두 종류 이상의 감지부를 포 함하여 접촉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 전압을 조정하여 감지 신호의 적분 시간을 증가시키므로, 노이즈 등에 의한 감지 신호의 신뢰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감지부의 감도가 향상된다.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 신호 출력부와 가로 출력 데이터선(OY1-OYN)의 배치가 가능하므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의 공간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 제1 표시판,상기 제1 표시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표시판과 떨어져 있는 제2 표시판,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놓인 액정층,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데이터선,압력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1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변 축전기,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2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축전기, 그리고상기 감지 데이터선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을 타고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전압의 크기는 제1 레벨과 상기 제1 레벨과 다른 제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고,상기 감지 신호의 읽기 구간에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시간은 적어도 1H이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액정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액정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액정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제1 전압은 공통 전압인 액정 표시 장치.
- 제4항에서,상기 읽기 구간은 포치 구간인 액정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감지 데이터선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셋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복수의 리셋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6항에서,상기 리셋 신호 입력부 각각은 해당하는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리셋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제1 리셋 전압을 연결된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인가하는 제1 리셋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7항에서,상기 리셋 신호 입력부 각각은 해당하는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리셋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제2 리셋 전압을 상기 제1 리셋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과는 다른 시간에 연결된 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인가하는 제2 리셋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감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을 타고 흐르는 감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출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 각각에 전달하는 복수의 출력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 표시판,상기 제1 표시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표시판과 떨어져 있는 제2 표시판,상기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부,상기 제1 표시판과 상기 제2 표시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부,상기 제1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감지 데이터선,상기 제2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 어 있는 복수의 제2 감지 데이터선,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선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제1 감지 신호 출력부, 그리고상기 제2 표시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감지 데이터선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제2 감지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2 표시판의 좌측 및 우측 부분 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액정 표시 장치
- 제10항에서,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복수의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동일 선상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2항에서,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은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2항에서,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만큼 인접한 화소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뻗은 후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2항에서,상기 인접한 제1 감지 신호 출력부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5항에서,상기 복수의 출력 데이터선은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감지부 각각은 압력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1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변 축전기, 그리고 상기 감지 데이터선과 제2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축전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480A KR20070082643A (ko) | 2006-02-17 | 2006-02-17 | 액정 표시 장치 |
US11/706,804 US20070195032A1 (en) | 2006-02-17 | 2007-02-14 |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
JP2007036212A JP2007219523A (ja) | 2006-02-17 | 2007-02-16 | 液晶表示装置 |
CN2007100849719A CN101025496B (zh) | 2006-02-17 | 2007-02-17 | 触敏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480A KR20070082643A (ko) | 2006-02-17 | 2006-02-17 | 액정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2643A true KR20070082643A (ko) | 2007-08-22 |
Family
ID=3842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480A KR20070082643A (ko) | 2006-02-17 | 2006-02-17 | 액정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195032A1 (ko) |
JP (1) | JP2007219523A (ko) |
KR (1) | KR20070082643A (ko) |
CN (1) | CN101025496B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478B1 (ko) * | 2007-10-16 | 2009-01-23 | 주식회사 티엘아이 | 물체의 접촉위치 감지력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09096712A3 (ko) * | 2008-01-29 | 2009-11-05 | (주)멜파스 | 기생 캐패시턴스 방지 구조를 구비한 접촉 감지 장치 |
US8659576B2 (en) | 2008-10-27 | 2014-02-25 | Hydis Technologies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ouch screen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external illuminance using the same |
KR101483626B1 (ko) * | 2008-06-09 | 2015-01-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KR20150066976A (ko) * | 2013-12-09 | 2015-06-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56467B (zh) * | 2011-05-20 | 2014-10-11 | Au Optronics Corp | 電容式觸控面板的操作方法及觸控式裸眼立體顯示器 |
US20130038565A1 (en) * | 2011-08-10 | 2013-02-14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Touch sensing integrated with display data updates |
JP6368139B2 (ja) * | 2014-05-07 | 2018-08-01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タッチセンサ |
CN104460082B (zh) * | 2014-12-10 | 2018-01-09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具有触控功能的液晶显示器及其触控检测方法 |
KR102609508B1 (ko) * | 2016-11-11 | 2023-12-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외부 보상용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
CN107562269B (zh) | 2017-08-28 | 2020-04-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压力触控结构和显示装置 |
US10714196B2 (en) * | 2018-10-05 | 2020-07-14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s for determining data states of memory cell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6925B2 (ja) * | 1996-12-27 | 2008-05-14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 |
US6730863B1 (en) * | 1999-06-22 | 2004-05-04 | Cirque Corporation | Touchpad having increased noise rejection, decreased moisture sensitivity, and improved tracking |
JP4027614B2 (ja) * | 2001-03-28 | 2007-12-2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表示装置 |
WO2003073159A1 (en) * | 2002-02-20 | 2003-09-04 | Planar Systems, Inc. | Light sensitive display |
TWI245252B (en) * | 2002-07-18 | 2005-12-11 | Gigno Technology Co Ltd | LCD and the touch-control method thereof |
CN1251169C (zh) * | 2002-07-23 | 2006-04-12 | 李友端 | 液晶显示器及其触控方法 |
TWI363206B (en) * | 2003-02-28 | 2012-05-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W589474B (en) * | 2003-04-29 | 2004-06-01 | Au Optronics Corp | Display panel with the integrated driver circuit |
GB2405247B (en) * | 2003-08-21 | 2007-07-25 |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 Position sensing method and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its construction |
KR20060062164A (ko) * | 2004-12-03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
KR101152132B1 (ko) * | 2005-08-04 | 201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감지부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
-
2006
- 2006-02-17 KR KR1020060015480A patent/KR200700826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2-14 US US11/706,804 patent/US200701950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2-16 JP JP2007036212A patent/JP2007219523A/ja not_active Withdrawn
- 2007-02-17 CN CN2007100849719A patent/CN10102549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478B1 (ko) * | 2007-10-16 | 2009-01-23 | 주식회사 티엘아이 | 물체의 접촉위치 감지력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09096712A3 (ko) * | 2008-01-29 | 2009-11-05 | (주)멜파스 | 기생 캐패시턴스 방지 구조를 구비한 접촉 감지 장치 |
KR101483626B1 (ko) * | 2008-06-09 | 2015-01-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US8659576B2 (en) | 2008-10-27 | 2014-02-25 | Hydis Technologies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ouch screen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external illuminance using the same |
TWI499826B (zh) * | 2008-10-27 | 2015-09-11 | Hydis Tech Co Ltd | 具有觸控螢幕功能的液晶顯示器和使用其來偵測外部照明的方法 |
KR20150066976A (ko) * | 2013-12-09 | 2015-06-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195032A1 (en) | 2007-08-23 |
JP2007219523A (ja) | 2007-08-30 |
CN101025496A (zh) | 2007-08-29 |
CN101025496B (zh)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2136B1 (ko) |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 |
KR101383709B1 (ko)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20070048393A (ko) |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78522A (ko) |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
KR101160837B1 (ko) |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 |
KR20070082643A (ko) | 액정 표시 장치 | |
JP5586124B2 (ja) | 表示装置 | |
JP5047597B2 (ja) | 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 |
US7973777B2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photo sensing circuit and a pressure sens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 |
KR101337262B1 (ko)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20070033532A (ko) |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감지신호 처리 방법 | |
JP4990648B2 (ja) | 表示装置の電圧調整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
KR101337259B1 (ko)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20070064769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44952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62691A (ko) | 표시 장치 | |
KR20080054546A (ko) | 표시 장치 | |
KR20080021380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44122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44160A (ko) |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