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52671A -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671A
KR20070052671A KR1020060113241A KR20060113241A KR20070052671A KR 20070052671 A KR20070052671 A KR 20070052671A KR 1020060113241 A KR1020060113241 A KR 1020060113241A KR 20060113241 A KR20060113241 A KR 20060113241A KR 20070052671 A KR20070052671 A KR 2007005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ewing machine
needle
amount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857B1 (ko
Inventor
노리오 나카타
히로미치 쿠라타
타카요시 마사오카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5/00Applications of measur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reads used in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4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rotar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급사부로부터 바늘, 루퍼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 중에, 둘레부에 실을 여러 권 감아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으로 송출 가능한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재봉틀 주축에 동기시켜 한 방향으로 연속 구동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와,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설정하는 실 이송량 설정기와, 1운침당 바늘땀 형성마다 설정기에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의 실을 송출하도록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실 공급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의 종류와 관계없이, 또한 재봉틀의 급격한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의 증감 변화에도 불구하고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을 항상 안정적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음 상태의 안정화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 공급 장치, 재봉틀, 실 이송량 설정 수단, 제어 수단, 실 장력 검출 수단

Description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THREAD SUPPLY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 공급 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요부인 실 공급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위 실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위 실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위 실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위 실 공급 장치의 제어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 공급 장치를 구비한 새발뜨기(千鳥縫)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실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재봉틀(미싱)의 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박음질(새발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하 좌우로 합성 운동하는 재봉 바늘(縫針)에 바늘실(針絲)(윗실이라고 칭해짐)을 공급하는 경우나 오버로크 재봉틀에서 상하 운동하는 재봉 바늘 및 상하의 루퍼에 바늘실 및 상하의 루퍼실을 각각 공급할 경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 루퍼를 포함하는 가동 봉제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 중에 설치되어 봉제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을 송출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로서, 종래에는 실의 종류가 바뀐 경우나 봉제 속도가 변경된 경우에도 실의 투입량이 과잉해지거나 부족해지거나 하지않게하기 위하여 실 공급 경로 도중에 예컨대 텐션 디스크, 한 쌍의 롤러, 텐션 풀리 등 실의 끼움 압력, 나아가서는 실의 투입 저항을 조정 가능하게 한 조압 기구를 설치하고, 이 조압 기구에 의한 실의 끼움 압력(이하, 조압력이라고 함)을 실의 종류나 실 공급 속도 등에 따라 봉제 개시 전에 작업자가 미리 조정(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압 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종래 일반적인 실 공급 장치의 경우에는, 봉제가 시작됨에 따라, 사용하는 실의 종류에 따라 그 때마다 번거로운 조압 작업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특히 신축성을 갖는 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봉틀의 고저속의 변화에 대한 실의 투입량의 변화가 크고, 따라서 적절한 대응이 곤란하여 실의 투입량이 불안정하였다. 이에 더하여, 재봉틀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이에 따라 옷감(生地) 이송량이 크게 증감한 경우, 상기 조압 기구의 응답성으로 보아, 실의 송출량을 그것(옷감 이송량의 증감)에 충분히 추종시키기 어렵고, 실의 송출량이 과부족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어 박음 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조압 기구를 이용한 종래 일반적인 실 공급 장치 이외에,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의 특개 2000-2021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늘의 상하 이동, 상하 루퍼의 진출 퇴입 운동에 동기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터에 풀리를 설치하고, 이 모터를 정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풀리에 감긴 윗실 및 루퍼실을 풀어내거나 당겨 감도록(되감도록) 구성한 회전식 실 감기 기구를 구비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재봉틀은 아니지만,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의 특개평 11-3221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직기, 양말 편직기 혹은 보빈 권취기 등의 섬유 기계에 있어서 실의 장력 검지 수단과 실의 속도 측정 수단을 나란히 설치하고, 실의 장력 및 실의 속도의 쌍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동 풀리의 회전 수를 제어함으로써 섬유 기계에 공급되는 실의 공급 속도를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 2000-202179호 등에서 제안된 바 있는 종래의 회전식 실 공급 장치는 실 감기 기구의 정역회전에 의해 실의 풀어내기와 당겨 감기를 교대로 반복하는 소위 간헐 실 이송이므로, 재봉틀의 고속 회전에 대한 추종성이 결여된다. 특히, 고속 회전 영역에서의 급격한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이 크게 증감 변화된 경우에는 실의 송출량을 안정화시킬 수 없다. 더욱이, 실의 풀어내기와 당겨감기가 교대로 반복되므로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 루퍼를 포함하는 가동 봉제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의 실이 크게 흔들리기 쉽고, 또한 그 흔들림이 빈번하기 때문에 실끼리가 서로 엉키거나 걸리기 쉽고, 그 결과 박음 상태 자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개 평 11-322195호 공보 등에서 제안된 바 있는 편직기 등의 섬유 기계의 실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실의 장력과 속도의 검지에 기초한 구동 풀리의 회전 수 제어에 의해 기계(편직기)에 실을 공급하는 것인데, 이러한 실 공급 장치를 재봉틀에 적용한 경우, 특히 재봉틀의 회전에 따른 바늘의 상하 이동이나 루퍼의 진출 퇴입에 의한 실의 긴장 상태와 긴장 완화 상태일 때 검지하는 실 장력, 즉 긴장 시에는 실을 풀어내고 긴장 완화 시에는 실의 풀어내기를 멈추거나 늦추기 위하여 구동 풀리를 빠르게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혹은 느리게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간헐 구동을 수반하는 복잡한 회전 제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편직기 등과 같이 공급되는 실 장력의 변화가 적은 것과는 달리 실 공급 장치에 요구되는 기능의 차이로부터, 결과적으로 재봉틀의 고속 회전을 추종할 수 없어, 박음 상태의 불안정화는 회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의 종류와 관계 없이, 또한 재봉틀의 고속 회전 영역에서의 급격한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에 커다란 증감 변화가 있어도 1운침(運針)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을 항상 안정적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음 상태의 안정화도 달성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는, 급 사부로부터 바늘을 포함하는 가동 봉제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로서, 둘레부에 적어도 1권(卷) 이상 실을 감아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으로 송출 가능한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재봉틀 주축에 동기(同期)시켜 한 방향으로 연속 구동 회전시키는 모터와, 1운침당 바늘땀(縫目)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설정하는 실 이송량 설정 수단과, 1운침당 바늘땀 형성마다 상기 설정 수단으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의 실을 송출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 전에 실 이송량 설정 수단으로 재봉 바늘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초기 설정해 두는 것만으로 한 방향으로 연속 구동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실의 종류나 신축성의 유무와 관계없이, 또한 재봉틀의 급격한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른 옷감 이송량의 증감 변화에도 충분히 추종시켜 항상 설정 단위량의 실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게다가, 실의 송출이 간헐적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 루퍼를 포함하는 가동 봉제 부재에 이르는 까지의 사이에서의 실의 흔들림도 매우 작고, 실끼리의 엉킴이나 걸림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박음 상태 자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설정 수단으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과 운침 수를 연산함으로써 실의 총 소비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실의 보급 시기의 파악 등 실 관리를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봉제 전의 설정에 있어 옷감에 대한 통상 봉제 후의 공환(空還) 재봉 시의 실의 이송량이 통상 봉제 시의 실 이송량보다 적어지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공환 재봉 시의 실 사용의 낭비를 막아 전체적으로 실의 소비량을 가급적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실 공급 경로에 실의 송출 저항을 조정하는 조압 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어 구성의 간단화 및 번거로운 작업 수고의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단위 실 송출량을 초기 설정하고, 그 초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 구동용 모터를 회전량 제어함으로써 실의 장력 변화나 옷감 단부의 유무와 관계 없이 실의 송출량을 적정하게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실 공급 경로에 실 장력 검출 수단이나 옷감 단부 검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보다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에 실 장력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 장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모터의 회전량을 증감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재봉틀의 회전 수가 저속일 때나 재봉틀의 회전 수가 증가하였을 때의 실 장력의 변화에 따라 실의 송출량을 초기 설정값에 대하여 미세 조정(증가)할 수 있고, 따라서 재봉틀의 저ㆍ고속에 의한 박음 상태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어 안정된 박음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봉제부보다 옷감 이송 방향의 앞쪽에 옷감에 단부(段部)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옷감 단부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 수단에 의해 단부 있음으로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모터의 회 전량을 단부 없음으로 검출하였을 때보다 증가 제어하도록 구성하거나 함으로써 실의 공급 성능의 더 많은 향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에는 옷감에 단부가 있을 때, 1∼2 바늘땀 수만큼만 제어 지연이 발생하고, 그 지연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실이 긴장하지만 실 끊김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어 바늘땀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 밖의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 공급 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있어서 1은 재봉틀 프레임이고, 이 재봉틀 프레임(1)의 좌측 하부에는 바늘판(2)이 부착된 크로스 플레이트(3)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재봉틀 프레임(1)의 좌측 상부의 재봉틀 헤드부(4)에는 주축(7)에 동기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옷감 누름쇠(5) 및 2개의 바늘(가동 봉제 부재의 하나)(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늘(6)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 위치에는 상하 한 쌍의 루퍼(가동 봉제 부재의 다른 하나)가 바늘 낙하부에 대하여 전진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들 루퍼 및 그 작동 기구는 주지이기 때문에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재봉틀 프레임(1)의 상부에는 도시 생략한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상기 바늘(6) 및 상하의 루퍼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 중에 설치되어 2개의 바늘실(NT) 및 상 루퍼실(ULT), 하 루퍼실(DLT)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네 개의 실 공급 장치(8)가 도시하지 않은 부착판 등에 나란히 놓여 고정되어 있다. 이들 네 개의 실 공급 장치(8)는 모두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개방하는 박스 형의 장치 본체(9)와 그 전면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커버(10)를 가지며, 이 커버(10)와 장치 본체(9) 사이 및 장치 본체(9)의 내부에 실 이송용 주요부(후술함)가 수납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실 공급 장치(8)의 장치 본체(9)와 커버(10)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30은 재봉틀 풀리이다.
상기 각 실 공급 장치(8)는 도 2∼도 5에 명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장치 본체(9)의 전면 개방부에는 실 공급 경로의 위쪽으로부터 화살표 x 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실(T)(바늘실(NT), 상하 루퍼실(ULT, DLT)을 총칭함)을 장치 본체(9)의 상부에 고정된 실 안내(15), 실 안내축(16)을 통과하여 그 둘레부에 1권 이상, 구체적으로는 송출 시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3∼5권 이상 감은 후, 장치 본체(9)의 하부에 고정된 오른쪽ㆍ가운데ㆍ왼쪽의 각 실길(17∼19)을 거쳐 화살표 y로 도시한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으로 송출 가능한 풀리 형태의 회전체(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풀리 형태의 회전체(13)는 상기 주축(7)에 동기 연동하는 상태에서 장치 본체(9) 내에 수납 유지시킨 스테핑 모터(14)의 출력 회전축(14a)에 직결되고, 이 스테핑 모터(14)를 통하여 화살표 z로 도시한 한 방향으로 연속 구동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3)보다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에서 장치 본체(9)의 전면 개방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실 장력 검출 수단으로서 실 장력 센서(20)가 장치 본체(9)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나오게 한 부착대(21)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길(17∼19) 중 중간의 실길(18)은 상기 실 장력 센서(18)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실 공급 장치(8)의 제어 블록 구성도이며, 상기 회전체(13)를 직접 연결한 스테핑 모터(14)는 제어부(23)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드라이브 회로(22)를 통하여 구동 회전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23)에는 재봉틀 회전 위치(각도) 검출기(24)에 의한 검출 신호 및 바늘판(2) 상에 옷감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옷감 유무 센서(25)에 의한 검출 신호 및 상기 실 장력 센서(20)에 의해 검출되어 신호 증폭기(26), AD 변환기(27)를 거친 장력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수치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실 이송량 설정기(28)가 접속되고, 또한 이 설정기(28)에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과 운침 수와의 연산에 의해 적산되는 실의 총 소비량을 표시하는 표시부(29)도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도 6은 하나의 실(T)의 송출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4개의 모터, 4개의 드라이브 회로 및 4개의 실 장력 센서가 하나의 제어부(23)에 접속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오버로크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봉제 개시 전에 있어서, 실 이송량 설정기(28)에 바늘실(NT), 상하 루퍼실(ULT, DLT)이라는 각 실(T) 각각의 재봉 바늘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실의 종류 및 옷감의 종류 등에 따라 수치 입력에 의해 초기 설정한다. 이 때, 옷감이 봉제부에 있는 상태의 통상 봉제 시에 대하여 옷감이 봉제부에 없는 상태의 봉제 시작 및 봉제 끝의 공환 재봉 시의 실 송출량이 적어지도록 설정한다. 한편, 바늘(6)이나 상하의 루퍼에 각 실(NT, ULT, DLT)을 통과시킬 때에는 재봉틀 모터의 메인 스위치(도시 생략)를 오프로 하고, 이에 따라 스테핑 모터(14)의 회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오프로 하여 회전체(13)를 수동으로 돌려 필요량의 실을 송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 송출량의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스테핑 모터(14)의 회전 스위치를 온으로 되돌려 재봉틀을 기동 회전시킴으로써 재봉틀 주축(7)의 회전에 동기하여 바늘(6)이 상하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상하의 루퍼가 전진 후퇴 운동하고, 동시에 재봉틀 회전 위치 검출기(24)에 의한 검출 신호 및 옷감 유무 센서(25)에 의한 검출 신호가 제어부(23)로 입력되고, 이 제어부(23)로부터 출력되어 드라이브 회로(22)로 입력되는 회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테핑 모터(14)가 구동 회전 제어된다.
이 스테핑 모터(14)의 회전 제어에 따라 회전체(13)가 한 방향(z)으로 연속 회전되어 각 실(NT, ULT, DLT)이 상기 설정기(28)에 초기 설정된 바와 같이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송출량마다 바늘(6) 및 루퍼 쪽으로 송출되어 통상과 같은 봉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실(NT, ULT, DLT)의 종류나 신축성의 유무와 관계 없이, 또한 재봉틀의 급격한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이 증감 변화되어도 그들을 충분히 추종하게 하여 항상 설정 단위량의 실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실의 송출이 간헐적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6) 및 상하의 루퍼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의 실 흔들림도 매우 작고, 실끼리의 엉킴이나 걸림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박음 상태 자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통상 봉제 시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3)로부터 송출된 직후의 실 장력은 실 장력 센서(20)에 의해 항상 검출되고 있으며, 그 검출 신호가 신호 증폭기(26), AD 변환기(27)를 거쳐 제어부(23)로 피드백되어 스테핑 모터(14), 회전체(13)의 회전량이 증감 제어된다. 이에 따라, 재봉틀의 회전 수가 저속일 때나 회전 수가 증가하였다고 해도 실 장력의 변화에 따라 실의 송출량을 초기 설정값에 대하여 미세 조정(증감)할 수 있고, 재봉틀의 저ㆍ고속에 의한 1운침당 실 사용량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어 안정적인 박음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기(28)에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과 운침 수가 제어부(23)에서 연산되고, 그 연산값을 표시부(29)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의 총 소비량을 정확하게 알아 급사부로의 실의 보급 시기의 파악 등 실 관리를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설정기(28)에 대한 초기 설정 시에 있어서, 봉제부인 바늘판(2) 상에 옷감이 없는 상태의 봉제 처음 및 봉제 끝의 공환 재봉 시의 실의 송출량을 통상 봉제 시의 실의 송출량보다 적어지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공환 재봉 시의 실의 낭비를 줄여서 봉제 전체로서의 실의 소비량을 가급적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 공급 장치를 구비한 새발뜨기(박음질)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이 새발뜨기 재봉틀의 실 공급 경로의 구성을 명시하는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새발뜨기 재봉틀은 바늘판(2)이 재봉틀 베드(31) 상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재봉틀 암(32)의 대략 중간부에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6)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 중에 설치되어 바늘실(윗실)(NT)을 고정 실 안내(33) 및 천칭 기구(34)를 통하여 상기 바늘(6)로 송출하여 공급하는 하나의 실 공급 장치(8)가 도시하지 않은 부착판 등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밑실에 대해서는 바늘판(2) 아래에 모터 등을 설치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실 공급 장치는 설치되지 않았다.
상기 천칭 기구(34)는 재봉틀 암(32)의 선단부에 고정된 오목형 공간 형성용 천칭 가드(35)와, 이 천칭 가드(35)의 오목형 공간 내에 주축(7)에 동기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탱된 회전 원판(36)에 고정된 천칭(37)과, 상기 천칭 가드(35)의 전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천칭 가드 커버(3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 공급 장치(8)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오버로크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8)와 완전히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당하는 부재,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 동일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도 생략한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새발뜨기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8)에 대해서는 바늘실(윗실)(NT)만이 스테핑 모터(14)의 회전 제어에 따른 회전체(13)의 한 방향(z)으로의 연속 회전에 의해 설정기(28)에 초기 설정된 바와 같이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송출량마다 바늘(6) 쪽으로 송출되어 통상과 같은 봉제가 이루어지게 되고, 실(NT)의 종류나 신축성의 유무와 관계 없이, 또한 재봉틀의 급 격한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이 증감 변화하여도 그들을 충분히 추종하여 항상 설정 단위량의 실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고, 실의 송출을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써 실 콘 등의 급사부로부터 바늘(6)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의 실 흔들림이 매우 작고 실끼리의 엉킴이나 걸림도 없어 박음 상태 자체를 안정화할 수 있고, 재봉틀의 회전 수가 낮아졌을 때나 회전 수가 증가하여도 실 장력의 변화에 따라 실의 송출량이 초기 설정값에 대하여 미세 조정(증감)되어 재봉틀의 저ㆍ고속에 따른 1운침당 실 사용량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고, 안정적인 박음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등,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의 어느 경우도 봉제부보다 옷감 이송 방향의 앞쪽에 옷감의 단부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센서에 의해 단부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23)에 의한 스테핑 모터(14)의 회전량을 단부 없음일 때보다 증가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1∼2 바늘땀 수만큼만 제어 지연이 발생하고, 그 지연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실이 긴장되지만 실 끊김의 발생은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바늘땀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양호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 텐션 디스크, 한 쌍의 롤러, 텐션 풀리 등 실의 끼움 압력, 나아가서는 실의 투입 저항을 조정 가능하게 한 조압 기구를 필수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조압 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의 텐션을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조압 기구를 형성하여도 좋다. 단, 봉제 도중 등에 있어서 그 조압 기구에 의한 조압력을 조정하 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 공급 장치(8)에 있어서의 모터(14)로는 어떠한 모터를 사용하여도 좋으나, 특히 스테핑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정된 단위 송출량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우, 응답성이 뛰어난 제어가 가능하여 보다 양호한 봉제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 공급 장치는 이중환 봉(二重環縫) 재봉틀 등 다른 재봉틀에도 적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실의 종류와 실의 종류와 관계없이, 또한 재봉틀의 급격한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옷감 이송량의 증감 변화에도 불구하고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을 항상 안정적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음 상태의 안정화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급사부로부터 바늘을 포함하는 가동 봉제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실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로서,
    둘레부에 적어도 1권 이상의 실을 감아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으로 송출 가능한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재봉틀 주축에 동기시켜 한 방향으로 연속 구동 회전시키는 모터와,
    1운침당 바늘땀 형성에 필요한 단위 실 송출량을 설정하는 실 이송량 설정 수단과,
    1운침당 바늘땀 형성마다 상기 설정 수단으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의 실을 송출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보다 실 공급 경로의 아래쪽에는 실 장력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실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 장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모터의 회전량을 증감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장력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체보다 실 공급 경로 의 아래쪽에서 이 회전체 및 모터를 지지하는 박스형의 장치 본체의 바로 아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둘레부로의 실의 감김 수가 3∼5권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서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봉제부보다 옷감 이송 방향의 앞쪽에는 옷감에 단부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옷감 단부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검출 수단에 의해 단부 있음으로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모터의 회전량을 단부 없음으로 검출되었을 때보다 증가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이송량 설정 수단으로 설정된 단위 실 송출량과 운침 수와의 연산에 의해 실의 총 소비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공급 경로에는 실의 송출 저항을 조정하는 조압 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KR1020060113241A 2005-11-17 2006-11-16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KR101319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4001A JP5339110B2 (ja) 2005-11-17 2005-11-17 ミシンの糸供給装置
JPJP-P-2005-00364001 200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671A true KR20070052671A (ko) 2007-05-22
KR101319857B1 KR101319857B1 (ko) 2013-10-18

Family

ID=3777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241A KR101319857B1 (ko) 2005-11-17 2006-11-16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47153B2 (ko)
EP (1) EP1788136B1 (ko)
JP (1) JP5339110B2 (ko)
KR (1) KR101319857B1 (ko)
CN (1) CN1966800B (ko)
DE (1) DE602006014784D1 (ko)
TW (1) TWI3852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03A (ko) * 2018-05-14 2019-11-22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틀용 실 장력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89B1 (ko) * 2004-11-09 2007-02-27 (주) 인브로 자수기용 윗실공급장치
GB201001367D0 (en) * 2010-01-28 2010-03-17 Coats Plc Sewing
CN102061577B (zh) * 2011-01-21 2013-04-10 佛山市源田床具机械有限公司 绗缝绣花机转盘式供线系统
KR101410100B1 (ko) * 2013-01-18 2014-06-25 한태희 피엠 재봉틀
CN104995345B (zh) * 2014-01-21 2019-01-29 韩泰熙 便携式缝纫机
CN104120547B (zh) * 2014-08-06 2017-10-31 苏州市豪杰机械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自动送线系统的控制方法
CN104630995A (zh) * 2015-01-29 2015-05-20 苏州巨康缝制机器人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线迹防皱器
CN104630996A (zh) * 2015-01-29 2015-05-20 苏州巨康缝制机器人有限公司 一种防皱缝纫机
CN105332177A (zh) * 2015-12-02 2016-02-17 深圳思瑞普科技有限公司 一种刺绣机绣线张力自动调节方法
DE102017206499B3 (de) * 2017-04-18 2018-05-03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CN107099952B (zh) * 2017-05-27 2019-11-29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监控式电动缝纫机
JP2020000731A (ja) * 2018-06-29 2020-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09706641B (zh) * 2019-01-10 2021-07-27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挑线量调节方法、调节系统及缝纫机
CN109394281B (zh) * 2019-01-24 2019-04-26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用于植入物的缝合设备及其缝合方法
CN113661284B (zh) * 2019-03-14 2023-02-24 Nsd株式会社 缝纫机
CN110359189A (zh) * 2019-07-22 2019-10-2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底线余量计算方法、及缝纫机停车控制方法
US20220275552A1 (en) * 2019-10-16 2022-09-01 Honda Motor Co., Ltd. Sewing method and device
CN113089201B (zh) * 2019-12-23 2022-06-17 微创投资控股有限公司 引线装置和缝合设备
CN114000271B (zh) * 2020-07-27 2023-03-21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供线装置、缝纫机以及主动供线方法
CN112064216A (zh) * 2020-09-29 2020-12-1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的挑线机构及缝纫机
CN112981758B (zh) * 2021-02-01 2022-02-22 浙江博爱家纺有限公司 一种刺绣机用且不脱线的夹线装置
CN113046945B (zh) * 2021-02-02 2022-11-18 青岛高达花边有限公司 一种用于刺绣机的刺绣机进线装置
CN116536858B (zh) * 2022-12-19 2024-01-23 上海富山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线张力自平衡装置、自平衡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608A (en) * 1950-08-08 1954-12-07 Hangartner Erwin Thread guard device
US2746140A (en) * 1951-07-09 1956-05-22 Georgia Tech Res Inst Method of soldering to thin metallic films and to non-metallic substances
US2746410A (en) * 1953-11-12 1956-05-22 Broad Street Machine Company Uniform tension feeding mechanism
CH470514A (de) * 1968-07-10 1969-03-31 Saurer Ag Adolph Bremsvorrichtung für Nadelfäden, insbesondere an Schiffchenstickmaschine oder Steppmaschine
JPS54130269A (en) * 1978-03-31 1979-10-09 Ritsukaa Kk Device for delivering upper thread on sewing machine
JPS56106690A (en) * 1980-01-29 1981-08-25 Brother Ind Ltd Automatic cotton ton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S5793092A (en) * 1980-11-29 1982-06-09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Sewing condition automatic regulating sewing machine
JPS5959961A (ja) * 1982-09-24 1984-04-05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しゆうミシン
JPS60158581U (ja) * 1984-03-31 1985-10-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供給装置
DE3429207C2 (de) * 1984-08-08 1986-06-19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ür fadenverbrauchende Textilmaschinen
JPH0441376U (ko) * 1990-07-31 1992-04-08
JP3829204B2 (ja) * 1995-04-11 2006-10-04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頭刺繍ミシンの下糸の累積使用量又は残量検出表示装置
JPH1033865A (ja) * 1996-07-23 1998-02-10 Juki Corp ミシンの糸繰り出し装置
JP3593606B2 (ja) * 1998-01-19 2004-11-2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糸繰り装置付ミシン
IT1303022B1 (it) 1998-04-17 2000-10-20 Btsr Int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limentazione del filato ad una macchinatessile e metodo di controllo del funzionamento e produzione di
US6012405A (en) * 1998-05-08 2000-01-11 Mc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hread tension
JP2000202179A (ja) 1999-01-19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ミシン
JP2002095882A (ja) * 2000-09-26 2002-04-02 Brother Ind Ltd 上糸カセット及び上糸交換装置
ITMI20020770A1 (it) * 2002-04-10 2003-10-10 Tiziano Barea Dispositivo e metodo per alimentare un filo elastomerico ad una macchina tessile al fine di avere un manufatto di qualita' costante in ogni
JP3757335B2 (ja) * 2003-12-29 2006-03-22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千鳥縫いミシンの糸端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03A (ko) * 2018-05-14 2019-11-22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틀용 실 장력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8541A (en) 2007-08-01
CN1966800B (zh) 2012-02-15
EP1788136A1 (en) 2007-05-23
US7347153B2 (en) 2008-03-25
US20070119353A1 (en) 2007-05-31
DE602006014784D1 (de) 2010-07-22
KR101319857B1 (ko) 2013-10-18
CN1966800A (zh) 2007-05-23
EP1788136B1 (en) 2010-06-09
JP5339110B2 (ja) 2013-11-13
JP2007136136A (ja) 2007-06-07
TWI385287B (zh) 201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57B1 (ko) 재봉틀의 실 공급 장치
US4706476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especially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22188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stant-tension yarn feed or a take-up of a yarn fed to a textile machine, and a textile machine using same
JP2009173445A5 (ko)
JP2951068B2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において繊維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700557B2 (ja) 自動糸調子ミシン
KR200482460Y1 (ko)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JP2010228852A (ja) 糸継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サンプル整経機
JPH0835162A (ja) シャトル式刺しゅう機で刺しゅうする方法と装置
US621303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ad breakage in sewing machine
CN110468493B (zh) 织机的张力测定装置及其张力测定方法
WO20180597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abilising the thread tension in sewing machines, and sewing machine comprising this device
JP2000202179A (ja) ミシン
JPH05245285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H0245088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における縫糸供給装置
JPH06134163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4267310B2 (ja) ミシンの糸繰り出し装置
JP3022651B2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2910121B2 (ja) ミシンの糸繰出し装置
JP3465916B2 (ja) 千鳥縫いミシン
US4754616A (en) Yarn supply system
JPH0631076A (ja) ミシンにおける自動縫い調子制御装置
JPH07136368A (ja) ミシンの糸繰出し装置
JPH11222763A (ja) タフティング用ミシン
JP2003164686A (ja) ミシンの縫目形成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