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8733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338A
KR20060087338A KR1020050008386A KR20050008386A KR20060087338A KR 20060087338 A KR20060087338 A KR 20060087338A KR 1020050008386 A KR1020050008386 A KR 1020050008386A KR 20050008386 A KR20050008386 A KR 20050008386A KR 20060087338 A KR20060087338 A KR 2006008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ower
base station
preamble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338A/ko
Publication of KR2006008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 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 채널의 접속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국은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후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아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과 접속 메시지의 전력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국은 초기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못 하면 전력 램핑 팩터만큼 전력을 키워서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것을 미리 정해진 회수 이내에서 반복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응답을 받기 직전에 전송한 프리앰블의 전력에 전력 오프셋 팩터만큼 조절하여 접속 메시지의 전송 전력에 반영하여 접속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아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력 오프셋을 오프셋 램핑 팩터만큼 조절한 후 재접속 시도를 수행한다. 오프셋 램핑 팩터는 같은 전송 전력의 프리앰블에 대해 응답을 받았더라도 재접속시에는 더 큰 전력으로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접속 채널, 프리앰블, 메시지, 전송 전력, 오프셋 램핑 팩터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METHOD FOR POWER CONTROL OF ACCESS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기지국 셀 내부의 이동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 채널의 프리앰블과 메시지의 전력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국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속 채널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접속 메시지의 전력 제어를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 지역 내의 호 교환을 담당하는 이동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이 있고 상기 이동 교환국에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가 연결되어 각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BTS: Base Station Controller)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동 교환국은 통화를 위한 모든 신호의 전송과 연결을 담당하는 장비이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이동 교환국과 상기 기지국 등에 연결되어 핸드오프와 전력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일정 크기의 서비스 영역 즉, 셀(cell)을 가지고 있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을 하기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기지국 셀 내부의 이동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103)에 일정 서비스 영역 즉, 셀(100)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0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101)은 무선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국(103)이 상기 기지국(101)과 통신을 하는 경우 두 가지의 채널이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상기 기지국(101)에서 이동국(103)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순방향 통화 채널(forward link)(하향 채널)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국(103)에서 기지국(101)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역 방향 통화 채널(reverse link)(상향 채널)이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순방향 통화 채널은 일반적으로 파일롯 채 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hronous channel),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일롯 채널은 상기 이동국(103)이 기지국(101)과 통화를 하기위해 위상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채널이며 상기 동기 채널은 상기 기지국(101)이 관장하는 모든 이동국(103)이 기지국(101)과 시간 동기를 맞추게 하기 위한 채널이다. 그리고 페이징 채널은 상기 기지국(101)이 이동국(103)으로 호출, 명령, 채널 할당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채널이고 트래픽 채널은 통화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채널이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통화 채널은 접속 채널(access channel),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채널은 이동 전화가 기지국과의 등록, 통화 개시 및 호출 채널에 응답하는데 사용되는 채널이다. 또한 상기 트래픽 채널은 통화 메시지를 주고받는 채널이다.
상기 접속 채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국(103)이 기지국(101)과 통화를 시도하거나 페이징 채널에서 받은 메시지에 대해서 응답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이동국(103)이 상기 기지국(101)의 상기 셀(100)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초기에 정해진 전력으로 상기 기지국(101)과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되지 않으면 전력을 조금 증가시켜 다시 접속하고, 이를 몇 번 반복하다가 접속이 안 되면, 처음부터 다시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접속한다. 상기 랜덤 엑세스 방식을 사용하므로 초기부터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다가 접속에 실패하면 역방향 통화 채널에 악영향을 끼치고 상기 이동국의 전 력 낭비를 초래하므로 접속 채널을 프리앰블(preamble)과 메시지(message)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한 접속 채널에서 상기 프리앰블과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국(103)이 상기 기지국(101)과 접속을 시도, 즉 상기 기지국(101)으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한 시도를 할 때 프리앰블과 메시지의 전력 제어를 하는 방법을 하기에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 채널의 프리앰블과 메시지의 전력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접속 시도를 하며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이동국이 접속을 시도한다는 것을 상기 기지국에게 가능한 한 적은 전력으로 알려주기 위한 신호이다. 그래서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사이에 해석이 가능한 일련의 특정 전송 펄스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한다. 그래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프리앰블을 송신하여 자신이 접속을 시도한다는 것을 상기 기지국에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이 사용하고 있는 펄스는 실제 통신 시스템과 환경 등에 의해서 얼마든지 다른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은 일련의 두 가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프리앰블을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받는 과정이고, 두번째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 중의 프리앰블과 메시지의 전력 제어를 위해 일반적으로 초기 프리앰블 전력, 전력 램핑 팩터, 최대 재전송 회수, 전력 오프셋 등의 제어 인자를 둔다.
상기 프리앰블을 초기 프리앰블 전력(initial Preamble Power)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응답(acknowledge)을 수신하지 못하면 정해진 시간 뒤에 전력을 전력 램핑 팩터(power ramping factor)만큼 전력을 증가시켜 다시 접속을 시도하고, 이때에도 반응이 없다면 정해진 시간 뒤에 상기 프리앰블의 전력을 다시 한번 증가시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래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프리앰블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 미리 정해진 최대 재 전송 회수만큼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재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최대 재 전송 회수만큼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는 상기 최초 프리앰블 전력을 사용하여 프리앰블을 처음 단계부터 재 전송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도 2에는 3개의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그래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이후에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이 상기 응답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응답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즉, 마지막 전송 프리앰블 전력에서 전력 오프셋(power offset)만큼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력 오프셋은 메시지에 사용할 전송 전력에서 마지막 전송 프리앰블의 전력을 뺀 값이다. 그리하면 상기 이동국의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여 무선 자원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이 이동국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무선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므로 처음부터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
결국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 채널에서 전력제어를 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메시지의 상대적인 전력이 고정되어 모든 이동국에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서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여기서 상기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만약 상기 전력 오프셋이 너무 작게 설정된 경우, 즉 프리앰블에 대한 메시지의 전력이 너무 작은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접속 채널에서 이동국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 상기 메시지에 낮은 전력, 즉 저 전력을 사용하므로 역방향 통화 채널 접속(access)에 있어서 좋은 상태를 갖게 된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 이동국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면 프리앰블과 상기 메시지 사이에 결합도(coherence)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고도 메시지의 수신에 실패하게 된다. 그러므로 첫 번째로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다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메시지의 전송 전력과 상기 이동국의 환경에 변화가 없다면 두 번째 시도에서도 동일한 전송 전력을 가지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기지국이 수신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국은 환경이 좋은 방향으로 변화할 때까지 프리앰블과 메시지를 계속 송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역방향 통화 채널 상태를 전반적으로 악화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경우와 반대의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전력 오프셋이 너무 크게 설정된 경우, 즉 프리앰블에 대한 메시지의 전력이 너무 큰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접속 채널에서 이동국에서 전송한 상기 메시 지를 수신하는데 성공할 확률이 증가한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 메시지의 전송 전력이 크기 때문에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접속 채널 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속도가 빠른 이동국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력 오프셋 값을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설정해야 한다. 하지만 속도가 빠른 이동국을 위해서 상기 전력 오프셋 값을 크게 설정하면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이는 대부분의 이동국은 움직이는 속도가 느리고 빠른 이동 속도를 가지는 이동국은 일부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접속 채널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전력 설정을 위한 상기 전력 오프셋은 상기 메시지의 전송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큰 값을 가져야 하였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의 역방향 접속 채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력 오프셋 값을 작게 하여 메시지의 전력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과 기지국의 환경을 고려하여 접속 채널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의 전송 성공 확률과 역방향 접속 채널의 효율적 운영을 고려하여 메시지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전력 오프셋을 메시지의 전송 전력에 반영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전송한 메시지 전송 전력보다 증가한 전력을 갖도록 오프셋 램핑 팩터를 설정하고 전력 오프셋에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여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 채널에서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이동국이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메시지를 보내는 일련의 접속 시도 과정을 반복함에 있어서, 오프셋 램핑 팩터라는 제어 인자를 두어 접속 실패에 따른 매 재접속 시도마다 프리앰블 전력 대비 메시지 전력 간의 전력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하여 매 재접속 시도마다 증가한 메시지 전송 전력으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에서도 기존과 같이 전력 오프셋은 메시지에 사용할 전송 전력에서 마지막 전송 프리앰블 전력을 뺀 값으로서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 또는 로그 스케일(log scale) 등으로 표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국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채널에서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국은 초기 상태이다(301단계). 상기 초기 상태에서 초기화 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리앰블 전력이 초기 프리앰블 전력으로 설정되고 전력 오프셋이 초기 전력 오프셋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에는 초기 프리앰블 전력, 초기 전력 오프셋, 프리앰블의 최대 재전송 회수, 전력 램핑 팩터, 오프셋 램핑 팩터 등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앰블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한다(303단계).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국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지국으로부터 응답(acknowledge)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305단계). 여기서 상기 응답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이 전송한 프리앰블을 정상적으로 수신 즉, 감지하였음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메시지 전송 단계로 넘어가고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전력 램핑 팩터를 적용하여 프리앰블 전력을 증가시킨다(307단계). 상기 동작에 의해 재전송하는 프리앰블 전력은 이전의 프리앰블 전력보다 전력 램핑 팩터만큼씩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회수를 증가한다(309단계). 이는 상기 프리앰블의전송 회수에 대해서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 전송 회수를 초과 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된다(311단계). 이때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회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307단계에서 증가된 프리앰블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재전송한다. 하지만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회수를 초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초기 프리앰블 전력으로 전송하도록 초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앰블 전송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역 방향 통화 채널은 간섭에 의해서 수용용량이 크게 변하므로 접속 신호에 의해서 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적정한 전력이 될 때까지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회수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최대 재 전송 회수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 설정된 최대 재 전송 회수 대신에 소정의 최대 전력 값을 설정하여 두고 이를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전송 전력이 상기 최대 전력 값에 도달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응답을 수신하여 메시지 전송 단계로 넘어 오면, 전력 오프셋을 적용하여 최종 전송한 프리앰블 전력 대비 전력 오프셋만큼 조정하여 메시지 전력을 설정한다(313단계). 설정된 전력으로 상기 이동국은 상기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315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았는지 판단하게 된다(317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가 기지국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오프셋 램핑 팩터를 적용하여 전력 오프셋을 오프셋 램핑 팩터만큼 조절한다(323단계). 여기서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는 이전에 전송한 메시지의 전송 전력보다 증가한 전력을 갖도록 오프셋 램핑 팩터를 설정한다. 따라서 최종 메시지의 전송 전력은 조절된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를 적용하여 상기 송신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미리 결정된 값을 가지고 상기 메시지의 전송 회수에 따라서 배수 배로하거나 이전에 전송하였던 메시지에 일정 값을 가산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접속 시도 과정을 재수행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 오프셋을 초기화 한다(319단계). 이때 상기 메시지의 전송 회수 또한 초기화 한다. 이는 이후에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메시지 전송 회수를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결국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송신하여 자원할당을 받으면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과의 등록, 통화 개시 및 호출 채널에 응답 등의 기지국과 통 신을 수행하게 된다(321단계). 도 3에서는 상기 메시지의 최대 전송 회수나 최대 전송 전력 등을 고려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를 적용하고 상기 325단계에서 메시지 전송 회수를 증가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메시지 전송 회수의 제한을 두고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추가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메시지의 전송 회수에 따라서 메시지의 오프셋 램핑 팩터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전력 오프셋 램핑 팩터를 사용하여 전력 오프셋을 메시지의 송신 전력에 반영하여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즉, 미리 정해진 회수만큼 오프셋 램핑 팩터를 재설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여도 자원 할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 초기단계로 돌아가 처음부터 접속을 다시 시도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여기서는 최대 재 전송 회수를 고려하여 설명하였으나 최대 전송 전력까지 고려하여 상기 메시지의 송신에 제한을 두는 방법을 추가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상기 메시지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면 얼마든지 확장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메시지에 상기 파워 오프셋 램핑 팩터를 적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하기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 4의 a는 초기 전력으로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이후에 파워 램핑 팩터를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며 전송하고 있으며 3 개의 프리앰블을 전송하였고 상기 3 번째 프리앰블 신호를 기지국이 정상 수신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그래서 상기 이동국에서는 상기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이때 상기 메시지의 전송 전력은 최종 프리앰블 전송 전력에 파워 오프셋을 적용하여 설정하여 전송한다.
b는 상기 a에서 송신한 메시지를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다시 새로운 접속 시도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국에서 세 번째 송신하는 프리앰블을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에서는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가 적용되어 증가된 전력 오프셋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a의 첫 번째 메시지의 전송 전력보다 증가한 전송 전력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c는 상기 b에서 송신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다시 새로운 접속 시도를 하고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세 번째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서 상기 b에서 전송한 메시지의 전송 전력보다 증가한 크기의 전송 전력으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전송한 메시지를 기지국이 수신에 실패하면 이동국은 점차 메시지에 적용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전송함으로서 기지국에 접속 성공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서 전송 전력이 이동국별로 다르게 적용되게 되므로 모든 이동국의 환경을 고려하게 되어 역방향 통신 채널의 전반적인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결국 상기한 방법을 적용하면 상기 이동국에서는 상기 기지국에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전송 성공 확률을 증가하고 역방향 접속 채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의 접속 채널에 있어서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오프셋 램핑 팩터를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 실패 시 상기 전송 전력을 증가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환경에 적응적으로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방법을 적용하면 메시지의 전송 성공 확률과 역방향 접속 채널의 효율적 운영을 고려하여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극한의 환경에 처한 이동국은 상기한 오프셋 램핑 팩터를 사용하므로 접속 성공 확률이 증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채널의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전력 오프셋을 메시지의 전송 전력에 반영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전송한 메시지 전송 전력보다 증가한 전력을 갖도록 오프셋 램핑 팩터를 설정하고 전력 오프셋에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여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를 사용하여 메시지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회수만큼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회수만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램핑 팩터는 전력 오프셋과 소정의 비율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오프셋 램핑 팩터를 메시지의 전송 전력에 반영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메시지를 초기 메시지 전송인 경우에는 전력 오프셋을 적용하고 재 전송인 경우에는 오프셋 램핑 팩터만큼 전력 오프셋을 증가시켜 메시지의 전송 전력에 반영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은 이후에는 상기 전력 오프셋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08386A 2005-01-29 200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20060087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86A KR20060087338A (ko) 2005-01-29 200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86A KR20060087338A (ko) 2005-01-29 200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338A true KR20060087338A (ko) 2006-08-02

Family

ID=3717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386A KR20060087338A (ko) 2005-01-29 200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3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00B1 (ko) * 2008-07-21 2009-01-13 (주)세계로수산 녹차 추출액함유 미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KR100878001B1 (ko) * 2008-07-21 2009-01-13 (주)세계로수산 녹차 추출액함유 구이 오징어의 제조방법
KR100912710B1 (ko) * 2007-07-03 2009-08-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설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10B1 (ko) * 2007-07-03 2009-08-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설정방법
KR100878000B1 (ko) * 2008-07-21 2009-01-13 (주)세계로수산 녹차 추출액함유 미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KR100878001B1 (ko) * 2008-07-21 2009-01-13 (주)세계로수산 녹차 추출액함유 구이 오징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52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71624B1 (ko) 타이밍 조정 방법, 이동국, 기지국 및 이동 통신 시스템
EP19733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207834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channel message and response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625766B1 (en) Fast setup of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s
US8145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TRU state transitions
US8098628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for performing a random access request and response
KR1007608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모드들의 관리
EP2218288B1 (en) Improved power ramping for rach
CN114128356A (zh) 用于无线网络的功率暴露报告
EP1708421A2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relieving competition between downlink RRC message and inter-cell movement of user equipment
US200802339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21315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HARQ uplink transmission
US202203452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sg3
US99670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terminal in a time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873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CN116803194B (zh) 信道接入过程
WO2015016174A1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JP2005514820A (ja) Cdmaディスパッチ・コールを迅速に確立するための基地サイトおよび方法
KR2001003751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접속율 향상 방법
KR101368565B1 (ko) 역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230046775A (ko) 랜덤액세스 제어 장치 및 랜덤액세스 제어 방법
WO2024068750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