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4865Y1 -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 Google Patents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65Y1
KR200494865Y1 KR2020200000977U KR20200000977U KR200494865Y1 KR 200494865 Y1 KR200494865 Y1 KR 200494865Y1 KR 2020200000977 U KR2020200000977 U KR 2020200000977U KR 20200000977 U KR20200000977 U KR 20200000977U KR 200494865 Y1 KR200494865 Y1 KR 200494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lfie stick
rod
fixing unit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2165U (en
Inventor
이승범
Original Assignee
이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범 filed Critical 이승범
Priority to KR202020000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5Y1/en
Publication of KR20210002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은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Disclosed is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ixing unit that can be coupled/removed. The disclosed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is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ing a holder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connected to the holder for taking a picture, which can be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ground. It may include a fixing pin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selfie stick structure.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groove housing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ar part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is inserted, and a fixing screw part provided through a side wall of the groov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d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ixing screw part may be rotated to fix the rod part to the groove housing.

Description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ixing unit that can be combined/detachable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본 고안은 셀카봉 장치 및 그 주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ie stick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ixing unit capable of coupling/detachment.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타인의 도움 없이 거리나 각도 등을 조절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인, 이른바 셀카봉(자가 촬영용 거치/연장봉)이 많이 사용된다.With the rapid spread of smartphones with built-in cameras, so-called selfie sticks (self-photography mounts/extension sticks) are widely used, which are devices that help you take pictures or videos while adjusting the distance or angle without the help of others.

일반적인 셀카봉은 사용자가 셀카봉의 일단에 스마트폰 등을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의 손잡이를 잡고 촬영을 해야 하므로, 카메라를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방식과는 떨림(흔들림)이나 포커싱, 화질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셀카봉은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적절히 활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셀카봉을 들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나,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해야 하는데 지면이 경사지거나 굴곡진 경우 등 촬영이 쉽지 않은 환경이나 조건이 있을 수 있다.In general selfie sticks, the user has to hold the handle of the other end while fixing the smartphone on one end of the stick, so there may be differences in vibration (shake), focusing, and image quality from the method of shooting with the camera fixed to the ground. can In addition,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utilize a general selfie stick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For example, there may be circumstances or conditions in which shooting is not easy,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a user cannot hold a selfie stick, or a case in which the selfie stick needs to be fixed to the ground, but the ground is inclined or curved.

따라서,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들이 필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re may be a need for devices related to selfie sticks that can help users safely and accurately take pictur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393호(2016.04.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08393 (2016.04.01)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ie stick-related device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that can assist a user to safely, accurately and comfortably shoo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same is to provid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ing a holder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connected to the holder, A fixing pi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fixed; and a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art and fastened to the selfie stick structure, wherein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groove housing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od part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is inserted, and a sidewall of the home housing There is provide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screw provid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configured to fix the rod to the home housing by rotating the fixing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상기 막대부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삼각대 구조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막대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접혀진 삼각대 구조에 의해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 갈라진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od portion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may have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and the rod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a folded state of the tripod structure, and the end of the rod portion by the folded tripod structure Cracks may form. The faste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racks of the rod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ncreases.

상기 고정핀부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핀부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cover member configured to cover at leas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n portion, the safety cover member may have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in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 및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는 중앙기둥 및 상기 중앙기둥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tripod-type selfie stick structure, wherein the tripod-type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es a holder that can hold a portab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connected to the holder, wherein the The rod portion has a central pillar and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illar, and the fixing unit is coupled to a fixing pin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fixed to the ground and an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ortion, and is fastened with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astening part, wherein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groove housing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od part of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is inserted, and a fixing screw part provided through a side wall of the home housing, and the rod in the insertion groove. There is provide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coupling/detachable fix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fixing screw part to fix the rod part to the hom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part is inserted.

상기 막대부의 상기 중앙기둥은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유닛의 보관시, 상기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의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entral pillar of the bar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and when the fixing unit is stored, the fixing pin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al pillar to be stored.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삼각대 구조에 의해 정의된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racks defined by the tripod structure of the rod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ie stick-related device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capable of assisting a user to safely, accurately and comfortably shoo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implemented.

특히, 골프장이나 공원 또는 굴곡진 지면이 있는 장소에서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하여 원격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device related to a selfie stick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that can assist in remote shooting by fixing a selfie stick to the ground in a golf course, park, or a place with a curved ground, an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셀카봉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 유닛에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안전 커버 부재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중앙기둥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셀카봉 구조체의 중앙기둥의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ic image exemplarily showing a structure of a selfie stick that can be applied to a selfie sti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hotographic images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to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photographic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of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in FIG. 9 is unfold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entral pillar that can be included in a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applicable to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that can be combined/deta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hotographic image show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storing the fixing pin part of the fixing unit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al pillar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명학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more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embodiment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erms 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 to a referenced shape, step, number, action, member, element, and/or group that specifies the existence of these group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steps, numbers, act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n addition, as used herein, the term “connection” not only means that certain member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indirectly connected members with other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is present between the two member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In addition,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in the meaning of the range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or degree, in consideration of inherent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xact or absolute figures provided for this purpose are used to prevent the infringer from using the mentioned disclosure unfairl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regions or par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100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00)은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일 수 있다. 셀카봉 구조체(2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등)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즉, 단말기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셀카봉 구조체(200)에서 막대부(220)의 하단부 일부만 도시된다. 셀카봉 구조체(200)의 전체적인 구조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fix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echanism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includes a holder (ie, a terminal fixing unit) (not shown) that can hold a portable terminal (eg, a smartphone, etc.) for taking a photo and a rod 220 connected to the holder. may include In FIG. 1 , only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ar 220 in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is show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may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셀카봉 구조체(2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10) 및 거치부(210)에 연결된 막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부(220)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220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부(220)는 중앙기둥(220a) 및 중앙기둥(220a)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2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삼각대 구조(220b)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준다. 삼각대 구조(220b)가 접혀진 상태에서 막대부(220)는 로드(rod) 또는 폴(p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삼각대 구조(220b)를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셀카봉 구조체(200)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라 할 수 있다. 막대부(22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연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셀카봉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may include a holder 210 that can mount a portab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220 connected to the holder 210 . The rod 220 may have a tripod structure 220b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For example, the bar 220 may include a central pillar 220a and a tripod structure 220b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illar 220a.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ipod structure 220b is un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tripod structure 220b is folded, the rod 220 may have a rod or pole shape. If necessary, the tripod structure 220b may be folded or unfolded. Such a selfie stick structur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The length of the rod 220 may be configured to be extendable as neede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shown in FIG. 2 is exemplary, and it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2와 같은 셀카봉 구조체(200)에서 삼각대 구조(220b)가 접혀진 상태의 막대부(220)가 도 1의 고정 유닛(100)에 체결될 수 있다. In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as shown in FIG. 2 , the rod 220 in the folded state of the tripod structure 220b may be fastened to the fixing unit 100 of FIG. 1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은 지면(땅)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110) 및 고정핀부(110)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200)와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부(110)는 하단부가 뾰족한 못이나 핀 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핀부(110)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나 철, 아연 도금 등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fixing unit 1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110 and the fixing pin 110 that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ground), and is fastened with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 I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120 . The fixing pin 1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nail or a pin having a sharp lower end. The fixing pin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rust, such as stainless steel, iron, or zinc plating.

체결부(120)는 셀카봉 구조체(200)의 막대부(220)가 삽입되는 삽입홈(G10)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120a) 및 홈 하우징(120a)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G10) 내에 막대부(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부(121)를 회전시켜 막대부(220)를 홈 하우징(120a)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나사부(121)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부(220)의 외주면에는 고정 나사부(121)의 상기 볼트부가 쉽게 걸리고 조임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1)은 고정 나사부(121)에 대응하는 위치(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1)은 링(ring) 형상을 갖거나 부분적인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120 is a fixing screw part ( 121) may be included. By rotating the fixing screw part 121 in a state in which the rod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G10, the rod part 220 can be easily fixed to the groove housing 120a. The fixing screw part 121 may include a bolt part and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bolt part. A guide groove g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20 so that the bolt portion of the fixing screw 121 is easily caught and tightened. The guide groove g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xing screw 121 . The guide groove g1 may have a ring shape or a partial ring shape.

체결부(120)에서 홈 하우징(120a)의 아래에는 고정핀부(110)의 상단부를 직접적으로 감싸고 있는 연결부(120b)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20b)는 체결부(120)의 '하부 구조'라 할 수 있고, 홈 하우징(120a)는 체결부(120)의 '상부 구조'라 할 수 있다. 연결부(120b)는 홈 하우징(120a) 보다 작은 폭(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b)의 사이즈를 불필요하게 확대하지 않으므로, 무게 및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체결부(120)의 홈 하우징(120a)와 연결부(120b)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MC nylon(monomer casting nylon) 등 다양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fastening part 120 , a connection part 120b directly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art 110 may be provided under the groove housing 120a. The connection part 120b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unit 120 , and the groove housing 120a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unit 120 . The connection part 120b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diameter) than the groove housing 120a. Since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120b is not unnecessarily enlarged, weight and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groove housing 120a and the connection part 120b of the fastening part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plastic materials such a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MC nylon (monomer casting nylon), and the like.

막대부(220)가 삽입홈(G10)에 삽입될 때, 막대부(220)의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에 의해 막대부(220)의 단부에 갈라진 틈(t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삽입홈(G1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P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돌기부(P1)는 삽입홈(G10)에 삽입되는 막대부(220)의 상기 갈라진 틈(t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P1)에 의해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의 끝부분이 벌어지게 함으로써 조임에 의한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고정 나사부(121)에 의한 고정과 돌기부(P1)에 의한 조임 효과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셀카봉 구조체(200)를 보다 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rod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G10, a crack t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part 220 by the folded tripod structure of the rod part 220 (the structure in which 220b of FIG. 2 is folded). can be formed. The fastening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1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G10, and the protrusion P1 is the bar 2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G10. I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racks t1. By widening the end of the tripod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220b of FIG. 2 is folded) folded by the protrusion P1, the fixing effect by tightening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fastening effect by the fixing screw portion 121 and the tightening effect by the protrusion P1 together,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can be more strongly and firmly fixed.

참조번호 130은 고정핀부(110)의 뾰족한 끝부분(하단부)을 감싸는 보호대를 나타낸다. 고정 유닛(100)의 보관시, 고정핀부(110)의 뾰족한 끝부분을 보호대(130)로 커버링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고정 유닛(100)의 사용시에는, 보호대(130)를 제거하고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보호대(130)는 가죽이나 그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 protector surrounding the pointed end (lower end) of the fixing pin 110 . When the fixing unit 100 is stored, it can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pointed end of the fixing pin 110 is covered with the protector 130 . When the fixing unit 100 is used, the protector 130 may be removed and the fixing pin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for use. The protector 130 may be formed of leather or a similar material.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A)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unit (100A)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00A)은 도 1에서 설명한 돌기부(P1)에서 변형된 형태의 돌기부(P2)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P2)는 삽입홈(G1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 즉,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부(P2)가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경우, 막대부(220)가 삽입홈(G10)에 삽입될 때,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에 의해 막대부(220)의 단부에 정의된 갈라진 틈(t1) 사이로 돌기부(P2)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체결 과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돌기부(P2)의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기 때문에,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의 끝부분이 벌어지게 함으로써 조임에 의한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xing unit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protrusion P2 having a deformed shape from the protrusion P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protrusion P2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G10, and may have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goes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that is, a tapered shape. When the protrusion P2 has a tapered shape, when the rod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G10, the rod 220 by the folded tripod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220b in FIG. 2 is folded). The protrusion P2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gap t1 defined at the end of the . Accordingly, in this regard, the fastening process can be made easier. Since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P2 has a relatively wide width, the fixing effect by tightening can be increased by widening the end of the folded tripod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220b of FIG. 2 is folded).

도 3에서 돌기부(P2)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FIG. 3 ,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P2 ,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1 ,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 유닛(100)에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4 and 5 are photographic images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to the fix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카봉 구조체(200)의 막대부(220)를 고정 유닛(100)의 삽입홈(G10)에 삽입한 후, 고정 나사부(121)를 돌려줌으로써,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 유닛(100)에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유닛(100) 및 셀카봉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4 and 5, after inserting the bar 220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into the insertion groove G10 of the fixing unit 100, by turning the fixing screw 121,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may be fastened to the fixing unit 100 . Her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xing unit 100 and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고정 유닛의 입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 이미지이고, 도 7은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즉, side-veiw)이며, 도 8은 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즉, top-view)이다. 6 to 8 are photographic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of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ic image that can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ixing unit, FIG. 7 is a photographic image taken from the side (ie, side-veiw), and FIG. 8 is a photographic image taken from above (ie, top-view) .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B)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100B)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B)은 고정핀부(110)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 부재(150)는 고정핀부(110)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준다.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는 각각의 지지 방향에 대해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hinge) 구조에 의해 체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fixing unit 100B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cover member 150 configured to cover at least a lower end of the fixing pin 110 . The safety cover member 150 may include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in 110 . 9 shows a folded state of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unit 120 by a hinge structure that provides a fixing force in each supporting direction.

고정 유닛(100B)의 보관시 안전 커버 부재(150)로 고정핀부(110)를 덮은 상태로 보관하고, 고정 유닛(100B)의 사용시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쳐서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fixing unit 100B is stored, the fixing pin 110 is covered with the safety cover member 150, and when the fixing unit 100B is used, the three-legge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is unfolded to the fixing pin 110. can be used by plugging it into the ground.

도 10은 도 9에서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후, 노출된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도 보조적인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고정(지면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in FIG. 9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0 , after unfolding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 the exposed fixing pin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for use. At this time, since the tripod structure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can also serve as an auxiliary support, more stable fixing (fixing to the ground) can be achiev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안전 커버 부재(15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안전 커버 부재(1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cover member 150 shown in FIGS. 9 and 10 is exemplary,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9 and 10 , except for the safety cover member 150 , the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중앙기둥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entral pillar that can be included in a tripod-type selfie stick structure applicable to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that can be combined /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막대부에 중앙기둥(222a)을 포함할 수 있고, 중앙기둥(222a)은 삽입홀(H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기둥(222a)은 도 2의 셀카봉 구조체(200)의 중앙기둥(220a)으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elfie sti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entral pole 222a in the bar portion, and the central pole 222a has an insertion hole H1. can do. The central pole 222a may be applied as the central pole 220a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 of FIG. 2 .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의 보관시,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222a)의 삽입홀(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유닛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고, 고정핀부로 인한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중앙기둥(222a)의 삽입홀(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다. When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tored,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1 of the central pillar 222a and stored. In this case, the storage of the fixing unit may be easy, and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fixing pin portion may be prevented.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storing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unit into the insertion hole H1 of the central pillar 222a is shown in FIG. 12 .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서 셀카봉 구조체(200C)의 중앙기둥(도시안됨)(도 11의 222a 참조)의 삽입홀(도 11의 H1) 내에 고정 유닛(100C)의 고정핀부(110C)를 삽입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핀부(110C)의 일부 영역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도 11의 H1)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하므로써, 셀카봉 구조체(200C)에 고정 유닛(100C)을 보다 확실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다. 고정 유닛(100C)의 보관시, 고정 유닛(100C)의 고정핀부(110C)를 중앙기둥(도 11의 222a)의 삽입홀(도 11의 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서, 안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n the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a fixing unit capable of coupling/separa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al pillar (not shown) (see 222a of FIG. 11 )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C (see FIG. 11 ) of H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portion 110C of the fixing unit 100C. If necessary, a male screw part is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xing pin part 110C, a female screw part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H1 in FIG. 11), and the male screw part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part, so that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C.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fasten/fix the fixing unit 100C. When storing the fixing unit 100C, by inserting the fixing pin portion 110C of the fixing unit 100C into the insertion hole (H1 in FIG. 11) of the central pillar (222a in FIG. 11) and storing it, a safety problem can be prevented. .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D)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나사 체결 방식'을 이용한 고정 유닛(100D)을 보여준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100D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shows the fixing unit 100D using a 'screw fastening method'.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D)은 고정핀부(115) 및 이와 결합된 체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25)는 상부 구조(125a) 및 하부 구조(125b)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구조(125b)는 도 1의 연결부(120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5)의 상부 구조(125a)는 삽입홈을 갖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5)의 상부 구조(125a) 위쪽으로 돌출된 체결 나사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나사부(155)는 고정핀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고정핀부(115)와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fixing unit 100D may include a fixing pin part 115 and a fastening part 125 coupled thereto. The fastening part 125 may include an upper structure 125a and a lower structure 125b, and the lower structure 125b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connection part 120b of FIG. 1 . The upper structure 125a of the fastening part 125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upper surface without an insertion groove. A fastening screw part 155 protruding above the upper structure 125a of the fastening part 125 may be provided. The fastening screw part 155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pin part 115 , and for example,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fixing pin part 115 .

셀카봉 구조체(200D)는 막대부(225)를 포함할 수 있고, 막대부(225)의 하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홈(255)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홈(255)은 암나사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 나사부(즉, 수나사부)(155)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셀카봉 구조체(200D)는 삼각대 타입이 아닐 수 있다.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D may include a bar part 225 , and a fastening groove 255 for fastening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r part 225 . The fastening groove 255 may have a female screw part, and a fastening screw part (ie, a male screw part) 155 may be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part. In this case, the selfie stick structure 200D may not be a tripod typ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골프장이나 공원 또는 굴곡진 지면이 있는 장소에서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하여 원격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장에서 삼각대 타입의 셀카봉이나 비삼각대 타입의 셀카봉을 고정 유닛을 이용해서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스윙 모습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지면의 굴곡에 상관 없이 촬영이 가능하고, 바람에 의한 흔들림 등의 문제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환경이나 조건에서 용이한 촬영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lfie stick-related device (fixing unit) an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assist a user to safely, accurately and comfortably shoo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lfie stick-related device (fixing unit) and a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a golf course, a park, or a place with a curved ground by fixing the selfie stick to the ground to assist in remote shootin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photograph a swing state at a golf course in a state in which a tripod-type selfie stick or a non-tripod-type selfie stick is fixed to the ground using a fixing unit. Shoot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curvature of the ground, and problems such as shaking caused by wind can also be suppres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hoot easily in various environments or conditions.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meant to be limiting.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For examp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elfie stick device including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and the unit for coupling/detachable fix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i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100D : 고정 유닛 110, 115 : 고정핀부
120, 125 : 체결부 120a : 홈 하우징
120b : 연결부 121 : 고정 나사부
130 : 보호대 150 : 안전 커버 부재
200 : 셀카봉 구조체 210 : 거치부
220, 225 : 막대부 220a, 222a : 중앙기둥
220b : 삼각대 구조 G10 : 삽입홈
g1 : 가이드홈 t1 : 틈
P1, P2 : 돌기부 H1 : 삽입홀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100D: fixed unit 110, 115: fixed pin part
120, 125: fastening part 120a: groove housing
120b: connection part 121: fixing screw part
130: protector 150: safety cover member
200: selfie stick structure 210: mounting part
220, 225: rod 220a, 222a: central pillar
220b: tripod structure G10: insertion groove
g1 : guide groove t1 : gap
P1, P2: protrusion H1: insertion hole

Claims (5)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상기 막대부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삼각대 구조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막대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접혀진 삼각대 구조에 의해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 갈라진 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ing a cradle that can hold a mobi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connected to the cradle,
A fixing pi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fixed; 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art,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selfie stick structure;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housing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ar portion of the selfie rod structure is inserted, and a fixing screw portion provided through a side wall of the home housing,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xing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fix the rod to the groove housing,
The rod part of the selfie stick structure has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the rod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a folded state of the tripod structure, and a crack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part by the folded tripod structure. become,
The fasten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a fixing unit for fixing a selfie stick structure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racks of the ro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갖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having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becomes narrower in width as it goes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부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핀부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갖고, 상기 삼발이 구조는 각각의 지지 방향에 대해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hinge) 구조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afety cover member configured to cover at leas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n portion, the safety cover member has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in portion, the tripod structure provides a fixing force for each supporting directio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ing a hinge structure to do.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 및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는 중앙기둥 및 상기 중앙기둥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막대부의 상기 중앙기둥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의 보관시, 상기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의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삼각대 구조에 의해 정의된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includes a holder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a rod connected to the holder, and the rod has a central pillar and a tripod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illar.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pin par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fixed,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part and fastened to the tripod type selfie stick structure,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housing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od portion of the tripod type selfie rod structure is inserted, and a fixing screw portion provided through a side wall of the home housing, and the ro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onfigured to fix the rod portion to the groove housing by rotating the fixing screw portion;
The central pillar of the bar includes an insertion hole,
When the fixing unit is stored, the fixing pi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al pillar to be stored,
The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racks defined by the tripod structure of the rod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elfie stick device with fixing unit.
KR2020200000977U 2020-03-20 2020-03-20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KR2004948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en) 2020-03-20 2020-03-20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en) 2020-03-20 2020-03-20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65U KR20210002165U (en) 2021-09-29
KR200494865Y1 true KR200494865Y1 (en) 2022-01-11

Family

ID=7791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en) 2020-03-20 2020-03-20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70Y1 (en) 2011-07-15 2014-02-11 안재원 Smart phone mounting device
KR101513932B1 (en) 2013-08-28 2015-04-21 황선호 prop
KR101608393B1 (en) * 2015-02-02 2016-04-01 고한영 A multipurpose climbing sti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68B1 (en) * 2005-05-24 2007-03-23 한완식 A multipurpose stick
KR20160129507A (en)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Assistance device for self-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70Y1 (en) 2011-07-15 2014-02-11 안재원 Smart phone mounting device
KR101513932B1 (en) 2013-08-28 2015-04-21 황선호 prop
KR101608393B1 (en) * 2015-02-02 2016-04-01 고한영 A multipurpose climbing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65U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510B2 (en) Panoramic camera mount
US9435979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US20130233986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phones, electronic tablets and cameras
US20150309395A1 (en) Photographic device mounts
US20110019992A1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WO2015192207A1 (en) Telescoping extension
US20100150543A1 (en) Camera stand and cover
US10422467B2 (en) Quick detach connector
CN109844396B (en) Tripod head support
US11550208B2 (en) Adjustable plate for camera equipment
KR200494865Y1 (en) 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US20120076485A1 (en) High resolution picture pole
US20080310834A1 (en) Camera Holding Device
JP6650952B2 (en) Cell phone case
US10774978B2 (en) Adjus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70119135A1 (en) Frame for Portable Electronic Media Device
JP2012242403A (en) Self photographing camera tool
US9429824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WO2017039744A1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KR20040052918A (en) Coup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tripod
CN216843838U (en) Telescopic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JP3102865U (en) Tripod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KR200359895Y1 (en) Coup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tripod.
US10338340B2 (en) Visual camera bearing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barrel lens of a large area
CA2609885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