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95Y1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Google Patents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595Y1 KR200481595Y1 KR2020150001122U KR20150001122U KR200481595Y1 KR 200481595 Y1 KR200481595 Y1 KR 200481595Y1 KR 2020150001122 U KR2020150001122 U KR 2020150001122U KR 20150001122 U KR20150001122 U KR 20150001122U KR 200481595 Y1 KR200481595 Y1 KR 2004815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tice
- thickness
- support arm
- gas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3/00—Grates not covered by any of groups F23H1/00-F23H11/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700/00—Grate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당용 가스조리대의 상판부를 구성하는 래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는,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좌측 단부에 위치해 있고,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우측 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래티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의 1/2지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래티스의 좌우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대칭점으로 하여, 이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는,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좌측 단부에 위치해 있고,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우측 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래티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의 1/2지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래티스의 좌우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대칭점으로 하여, 이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당용 가스조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냄비나 뚝배기 등의 조리용기를 가스버너 바로 위에 놓아두고서 가열할 수 있게 하는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식당용 가스조리대가 공지되어 있다.
이 식당용 가스조리대는, 다수의 가스버너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위쪽을 덮는 형태로 설치된 상판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상판부는 다시, 크기와 모양이 동일하게 주물제작된 다수의 격자체(래티스, 불판)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가스조리대의 경우는, 다수의 격자체로 이루어지는 상판부 어디에도, 그 아래에 배치된 가스버너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표식이 없어,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상판부에 놓아둘 때, 가스버너의 바로 위가 아닌, 다소 엇나간 곳에 놓아두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이는 필요 이상의 가스를 사용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가열비(즉, 가스요금)를 더 많이 내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업소용 조리용기 받침대가 공지되어 있다.
이 조리용기 받침대는, 다수의 격자체로 이루어지는 상판부와 다수의 조리용기받침으로 구성되는데, 그 중, 격자체의 경우는,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했을 때,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에는 완전한 모양의 열원공급구멍이 하나만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에는 이 열원공급구멍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원형 오목부가 좌우방향의 양쪽 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형태이다.
따라서, 이 받침대의 경우, 다수의 격자체를 좌우방향으로 맞대어 놓은 형태의 상판부에는 열원공급구멍이 홀수 개만 형성될 수 있을 뿐이며, 또한, 이 상판부의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전혀 쓸모없는 반원형 오목부가 하나씩 남게 되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격자체의 상하방향의 양쪽 단부는 형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접하는 두 격자체의 설치방향이 일치할 경우는 3개의 열원공급구멍이 형성되나, 어느 하나가 뒤집혀 있어 두 격자체의 설치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열원공급구멍의 수가 1개 줄어, 2개로 되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다수의 격자체를 좌우방향으로 맞대어 배치할 때, 격자체의 상하방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부담을 주기 때문에, 설치 편리성의 측면에서 저해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ⅰ)작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 운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ⅱ)전후ㆍ좌우ㆍ상하 어느 방향으로 뒤집어도 즉시 설치할 수 있게 대칭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설치 편리성을 확보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느 한쪽(면)이 더러워졌을 때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고, (ⅲ)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ⅳ)열원공급구멍(이하에서 간단히 「화구(火口)」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수를 마음대로, 즉, 홀수 개 또는 짝수 개로 맞출 수 있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로서, 래티스의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좌측 단부에 위치해 있고,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우측 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래티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의 1/2지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래티스의 좌우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대칭점으로 하여, 이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2] 또한, 이 래티스가 반원형 오목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을 더 구비하며, 지지아암의 두께는 래티스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3] 또는, 이 래티스가 반원형 오목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을 더 구비하며, 지지아암의 두께는 래티스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는,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 래티스를 전후ㆍ좌우ㆍ상하 어느 방향으로 뒤집어도 즉시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어느 한쪽(면)이 더러워졌을 때 뒤집어서 쓸 수 있다.
또한, 이 래티스는 반원형 오목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을 더 구비하므로, 2개의 래티스를 서로 조립했을 때 나타나는 화구보다 크기가 작은 조리용기라도 이 지지아암으로 떠받치면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아암의 두께가 래티스의 두께와 같을 경우는, 다수의 래티스로 이루어지는 상판부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상판부에 놓여진 조리용기를 매끄럽게 밀고 다닐 수 있다. 따라서, 상판부 아래쪽에 배치된 다수의 가스버너의 화력이 서로 다르고 또한 불 조절을 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필요가 있을 때, 조리용기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할 필요없이, 화력이 적당한 가스버너 쪽으로 조리용기를 밀기만 하면 되어, 음식물 조리를 매우 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아암의 두께가 래티스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화구보다 크기가 작은 조리용기를 화구 안쪽에 정확히 놓아둘 수 있으므로, 그 화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는 가스버너의 화력이 조리용기에 거의 전부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래티스를 짝수 개 사용하여 상판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래티스의 개수보다 1개가 적은 홀수 개의 화구가 만들어지고, 래티스를 홀수 개 사용하여 상판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래티스의 개수보다 1개가 적은 짝수 개의 화구가 만들어지므로, 가스조리대의 크기에 맞춰 또는 가스조리대가 설치될 주방의 크기에 맞춰 최대한 많은 수의 화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드 스페이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래티스의 크기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격자체 크기의 절반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주물 제작에 사용되는 주형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주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크기가 작은 래티스는 운반 및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가 다수 모여서 이루어진 가스조리대용 상판부의 사시도로, 화구의 수가 짝수 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용 상판부의 평면도로, 화구의 수가 홀수 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가 다수 모여서 이루어진 가스조리대용 상판부의 사시도로, 화구의 수가 짝수 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용 상판부의 평면도로, 화구의 수가 홀수 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평면도와 사시도로, 이 래티스(100)는 주물 제작된 주철 제품이다.
상기 래티스는, 직사각형에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2개의 오목부는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래티스(100)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예를 들면, 하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110)가 래티스(100)의 좌우방향의 좌측 단부에 위치해 있고,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예를 들면, 상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110)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우측 단부에 위치해 있어서 상기 2개의 오목부(110)가 대각선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반원형 오목부(110)의 둘레 면에는, 3개의 지지아암(12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 둘레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지지아암(120)의 두께(t2)는 래티스(100)의 두께(t1)와 동일하다.
또한, 이 래티스에는 비용 절감과 무게 경감 등을 이유로, 다수의 구멍(13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래티스는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과 좌우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만나는 대칭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ㆍ하측(또는 좌ㆍ우측) 부분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형태로 주물 제작된 래티스(100)는, 도 3 내지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좌ㆍ우측이 서로 맞대어진 형태로 배치되어 상판부(A, A')를 형성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작용효과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격자체로 상판부를 구성할 경우는 화구의 수가 홀수 개만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래티스로 상판부(A, A')를 구성할 경우는 화구(H)의 수가 홀수 개뿐 아니라 짝수 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래티스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여 180°회전 대칭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래티스를 전후ㆍ좌우ㆍ상하 어느 방향으로 뒤집어도 즉시 설치할 수 있고, 음식물 조리시에 국물 등이 넘쳐 래티스의 한쪽 면이 더러워졌을 때에는 그 래티스를 뒤집어서 쓸 수 있으므로, 청결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래티스(100)는 반원형 오목부(110)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120)을 구비하고 있는바, 화구(H)보다 조리용기가 작아도 이 지지아암(120)으로 조리용기를 떠받치면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아암의 두께(t2)와 래티스의 두께(t1)가 같아, 상판부(A, A')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상판부 상에서 조리용기를 매끄럽게 밀고 다닐 수 있다. 그래서 상판부 아래쪽에 배치된 다수의 가스버너의 화력이 서로 다르고 또 불 조절을 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필요가 있을 때, 화력이 적당한 가스버너 쪽으로 조리용기를 밀기만 하면 되어, 음식물 조리를 매우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래티스의 제조와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래티스는, 그 크기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격자체의 절반밖에 되지 않아, 주물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주형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어 제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래티스는 크기가 작아, 운반, 보관, 취급 등이 용이하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티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실시예 1의 래티스(100)와 비교하여, 지지아암(120')의 두께(t3)가 래티스(100')의 두께(t1)보다 작다는 점에만 차이가 있고, 그외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처럼, 지지아암의 두께(t3)를 래티스의 두께(t1)보다 작게 함으로써, 화구보다 크기가 작은 조리용기를 화구(H)의 내측에 정확히 놓아둘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화구(H) 아래에 위치해 있는 가스버너의 화력이 조리용기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가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의 실시형태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A'...상판부
H...화구(열원공급구멍)
P...대칭점
t1...래티스의 두께
t2, t3...지지아암의 두께
100, 100'...래티스
110...반원형 오목부
120, 120'...지지아암
130...구멍
H...화구(열원공급구멍)
P...대칭점
t1...래티스의 두께
t2, t3...지지아암의 두께
100, 100'...래티스
110...반원형 오목부
120, 120'...지지아암
130...구멍
Claims (3)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로서,
상기 래티스는 직사각형에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2개의 오목부는 상기 래티스의 길이가 긴 쪽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길이가 짧은 쪽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좌측 단부에 위치해 있고,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다른쪽 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오목부가 래티스의 좌우방향의 우측 단부에 위치해 있어서,
상기 2개의 오목부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며,
래티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의 1/2지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래티스의 좌우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의 1/2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대칭점으로 하여, 이 래티스의 상하방향의 어느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이 180°회전 대칭을 이루는 것에 의해 상하 및 좌우로 뒤집어도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한 쪽면이 더러워 졌을 때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티스는,
반원형 오목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을 더 구비하며,
이 지지아암의 두께는 래티스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티스는,
반원형 오목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아암을 더 구비하며,
이 지지아암의 두께는 래티스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122U KR200481595Y1 (ko) | 2015-02-17 | 2015-02-17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122U KR200481595Y1 (ko) | 2015-02-17 | 2015-02-17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971U KR20160002971U (ko) | 2016-08-25 |
KR200481595Y1 true KR200481595Y1 (ko) | 2016-10-19 |
Family
ID=5685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1122U KR200481595Y1 (ko) | 2015-02-17 | 2015-02-17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595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3299Y1 (ko) | 2001-06-21 | 2001-12-01 | 장기풍 | 버너용 그릴 |
KR100768761B1 (ko) * | 2007-07-26 | 2007-10-19 | 주식회사3차버너 | 업소용 조리용기 받침대 |
KR101265061B1 (ko) * | 2012-10-17 | 2013-05-16 | 박정희 | 간텍기 그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2811U (ko) * | 1987-04-29 | 1988-11-10 | ||
KR200344331Y1 (ko) | 2003-12-24 | 2004-03-10 | 고봉석 | 식당용 가스 조리대 |
-
2015
- 2015-02-17 KR KR2020150001122U patent/KR20048159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3299Y1 (ko) | 2001-06-21 | 2001-12-01 | 장기풍 | 버너용 그릴 |
KR100768761B1 (ko) * | 2007-07-26 | 2007-10-19 | 주식회사3차버너 | 업소용 조리용기 받침대 |
KR101265061B1 (ko) * | 2012-10-17 | 2013-05-16 | 박정희 | 간텍기 그릴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63172811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971U (ko) | 2016-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87416B2 (en) | Gas cooktop and grate for the gas cooktop | |
US20120318256A1 (en) | Large capacity griddle over high btu burner | |
EP1586822A1 (en) | Food cooking hob | |
KR200481595Y1 (ko) | 가스조리대의 상판부 구성용 래티스 | |
WO2008068585A2 (en) | Cooking top comprising special made support elements | |
KR200476624Y1 (ko) | 조리용기 | |
JPH10174629A (ja) | キッチンカウンタ | |
KR101534511B1 (ko) | 인덕션 렌지용 복합 케이스 | |
JP2007268079A (ja) | キッチン台 | |
JP2005204819A (ja) | 加熱調理容器 | |
KR200476370Y1 (ko) | 업소용 양면불판기구 | |
JP2007020789A (ja) | 食品加熱用皿 | |
CN217329908U (zh) | 一种锅支架以及燃气灶 | |
JP5325040B2 (ja) |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付き調理台装置 | |
CN221881548U (zh) | 一种组合式电灶 | |
JP5603137B2 (ja) | 加熱調理器 | |
KR200455898Y1 (ko) |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 |
EP1344982A1 (en) | Cooking plate | |
CN118452685A (zh) | 一种烹饪锅 | |
JPH07293903A (ja) | 組み合わせコンロマット | |
CN203785029U (zh) | 炉架及使用该炉架的燃气灶具 | |
JP2016047226A (ja) | 鍋敷き | |
ITAN20130070U1 (it) | Dispositivo di cottura multifunzione. | |
JP6081405B2 (ja) | 加熱調理器 | |
JP3178705U (ja) | 電磁焼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