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1295Y1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95Y1
KR200481295Y1 KR2020150006722U KR20150006722U KR200481295Y1 KR 200481295 Y1 KR200481295 Y1 KR 200481295Y1 KR 2020150006722 U KR2020150006722 U KR 2020150006722U KR 20150006722 U KR20150006722 U KR 20150006722U KR 200481295 Y1 KR200481295 Y1 KR 200481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in shaft
support
length adjuster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이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구 filed Critical 이성구
Priority to KR202015000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에 걸 수 있는 목줄(200)이 구비된 메인축(100)과, 상기 메인축(100)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300) 및 제2지지대(400)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며,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목에 걸 수 있도록 목줄(200)이 구비된 메인축(1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3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정면으로 비스듬하게 전개되는 제2지지대(4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에 건 상태로 사용 가능하며, 사용시 전개되어 휴대 단말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의 소형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전문적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핸드폰의 사용시 가장 많이 쓰는 손가락인 엄지에 극심한 통증과 염증의 관절질환이 발생하는 블랙베리증후군, 목뼈와 목 근육에 꾸준한 긴장과 스트레스로 생기는 일자목증후군과 거북목증후군, 손목이나 팔을 과도하게 사용해 생기는 손목터널증후군,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근막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 등과 같은 휴대폰증후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핸드폰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거치대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놓고 휴대폰을 조작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휴대폰을 휴대폰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로 테이블에 세워 놓거나, 휴대폰을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 등의 위치에 받쳐놓는 등 장소에 제한이 있다.
또한,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양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한 거치대에 대한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150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에 걸 수 있는 목줄(200)이 구비된 메인축(100)과, 상기 메인축(100)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300) 및 제2지지대(400)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며,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목에 걸 수 있도록 목줄(200)이 구비된 메인축(1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3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정면으로 비스듬하게 전개되는 제2지지대(400); 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대(400)에는 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휴대단말기(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대(400)에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제2지지대(400)에 배치된 휴대단말기(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가압부(510); 상기 가압부(510)에서 연장 형성되며,상기 제2지지대(400)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가압부(5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52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300)는, 상기 메인축(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제1길이조절대(310);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3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400)는,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축(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제2길이조절대(410); 상기 제2길이조절대(41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대(42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대(320)에는 허리띠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수단(600)이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를 착용자의 정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버스나 전철 등에서 동영상이나 문서 등을 안전하게 볼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300)와 상기 제2지지대(40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길이를 축소시켜 휴대를 편리하게 하고, 휴대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휴대단말기에 적용하는 등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2지지대(400)에 고리 형상의 상기 고정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휴대단말의 상단이 상기 고정수단(500)의 끝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대(400)가 휴대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휴대단말기(10)가 상기 지지대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고정수단(500)이 가압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단말기(10)와 상기 제2지지대(400)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휴대단말기(10)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된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개된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메인축(100), 목줄(200), 제1지지대(300), 제2지지대(400), 고정수단(500) 및 탈착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축(100)은 원통형이며,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는 후술할 상기 제1지지대(300)와 상기 제2지지대(400)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축(100)에는 상방향으로 상기 목줄(200)이 구비된다.
상기 목줄(200)은 합성섬유로 제작된 끈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금속재질의 체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목줄(200)은 사용자의 목에 상기 메인축(100)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축(100)이 사용자의 가슴 아래부위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제1지지대(30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300)는 제1길이조절대(310)와 제1연결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는 일반적인 안테나와 같이 직경이 순차적으로 점점 큰 다수개의 원통형관을 서로 동심되게 삽입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길이를 축소되게 하였다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게 신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각각 상기 메인축(10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대(320)는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의 타단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대(320)에는 후술할 상기 탈착수단(600)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400)는 상기 제1지지대(30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이며, 상기 제1지지대(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폭이 상기 제1지지대(3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대(400)는 제2길이조절대(410) 및 제2연결대(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길이조절대(410)는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와 마찬가지로 안테나와 같이 직경이 순차적으로 점점 큰 다수개의 원통형 관을 서로 동심되게 삽입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서로 겹쳐지게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축소하였다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게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길이조절대(4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각각 상기 메인축(10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길이조절대(410)는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 사이, 즉 내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연결대(420)는 2개의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대(420)에는 휴대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후술할 상기 고정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4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되었을 때,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500)은 끝단이 상기 제2지지대(400)의 상면에 안착된 휴대단말기(10)의 상단과 접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대(400)에 배치된 휴대단말기(10)는 상기 고정수단(500)에 걸리게 되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400)에 고리 형상의 상기 고정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휴대단말의 상단이 상기 고정수단(500)의 끝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대(400)가 휴대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휴대단말기(10)가 상기 지지대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방식의 상기 고정수단(500)은 가압부(510)와 나사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510)는 휴대단말기(10)의 상면과 접하여 휴대단말기(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510)의 하부에는 휴대단말기(10)의 접촉시 흠집이 발생 되지 않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보호부재(530)가 구비된다.
상기 나사부(520)는 상기 가압부(510)의 하부에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일반적인 나사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부(520)는 상기 제2지지대(400)에 나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압부(510)가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압부(510)가 상기 제2지지대(4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부(510)가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지지대(400)에 배치된 휴대단말기(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00)이 가압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단말기(10)와 상기 제2지지대(400)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휴대단말기(10)를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탈착수단(600)은 상기 제1지지대(300)의 상기 제1연결대(3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대(300)를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수단(600)은 일반적인 집게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허리띠나 바지의 상단 부근에 물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300)에 상기 탈착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3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대(400)에 안착된 휴대단말기(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300)를 하방향으로 길게 신장시켜 상기 제1연결대(310)가 착용자의 허리띠 부근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탈착수단(600)으로 상기 제1연결대(310)를 착용자의 허리띠(20)에 고정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대(4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착용자의 정면에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2지지대(400)를 길게 신장시키고, 상기 제2지지대($00)의 상부에 휴대단말기(10)를 안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500)은 휴대단말기(10)의 상단과 접하여 휴대단말기(10)가 상기 제2지지대(5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를 착용자의 정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버스나 전철 등에서 동영상이나 문서 등을 안전하게 볼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300)와 상기 제2지지대(40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길이를 축소시켜 휴대를 편리하게 하고, 휴대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휴대단말기에 적용하는 등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메인축 200 : 목줄
300 : 제1지지대 310 : 제1길이조절대
320 : 제1연결대 400 : 제2지지대
410 : 제2길이조절대 420 : 제2연결대
500 : 고정수단 600 : 탈착수단
510 : 가압부 520 : 나사부
530 : 보호부재

Claims (4)

  1. 목에 걸 수 있도록 목줄(200)이 구비된 메인축(1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3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축(100)의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어 사용자의 정면으로 비스듬하게 전개되는 제2지지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400)에는 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휴대단말기(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400)에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제2지지대(400)에 배치된 휴대단말기(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가압부(510);
    상기 가압부(510)에서 연장 형성되며,상기 제2지지대(400)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가압부(510)를 상기 제2지지대(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300)는,
    상기 메인축(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제1길이조절대(310);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3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400)는,
    상기 제1길이조절대(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축(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제2길이조절대(410);
    상기 제2길이조절대(41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대(42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대(320)에는 허리띠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수단(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20150006722U 2015-10-14 2015-10-14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0481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2U KR200481295Y1 (ko) 2015-10-14 2015-10-14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2U KR200481295Y1 (ko) 2015-10-14 2015-10-14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95Y1 true KR200481295Y1 (ko) 2016-09-08

Family

ID=5695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22U KR200481295Y1 (ko) 2015-10-14 2015-10-14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6031A2 (en) * 2005-03-11 2006-09-14 Ki-Suk Song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09025A (ko) * 2005-07-15 2007-01-18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KR20110054934A (ko) * 2009-11-19 2011-05-25 유비벨록스(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0479463Y1 (ko) * 2016-01-04 2016-01-29 오경섭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6031A2 (en) * 2005-03-11 2006-09-14 Ki-Suk Song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09025A (ko) * 2005-07-15 2007-01-18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KR20110054934A (ko) * 2009-11-19 2011-05-25 유비벨록스(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101148150B1 (ko) 2009-11-19 2012-05-23 팅크웨어(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0479463Y1 (ko) * 2016-01-04 2016-01-29 오경섭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795Y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0983310B1 (ko)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US20140231600A1 (en) Adjustable support stand for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US20170112240A1 (en)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CN103727363B (zh) 便携式移动终端夹持装置
US9796208B2 (en) Multifunctional pen
US20170059088A1 (en) Personal viewing of a mobi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481295Y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0904372B2 (en) Phone storage and access system
KR200492219Y1 (ko) 휴대 단말기용 머리 거치대
KR20150008969A (ko)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0479463Y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KR200477798Y1 (ko)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KR102120439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206833130U (zh) 一种用于摄像装置的背负机构
CN207518657U (zh) 一种手机支架
US2487787A (en) Combination telephone headset and handset
KR101642937B1 (ko) 손가락 지지대 스마트폰 밴드 액세서리
KR102120437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103340736A (zh) 拐杖用托膝装置及拐杖
CN207339840U (zh) 利于稳固握持的移动通信设备
CN206283558U (zh) 一种手机支架
KR200468307Y1 (ko) 휴대폰 거치대
CN205666031U (zh) 一种便携式企业广告宣传投影装置
KR200368367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