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65Y1 - 액체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배출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165Y1 KR200485165Y1 KR2020160002909U KR20160002909U KR200485165Y1 KR 200485165 Y1 KR200485165 Y1 KR 200485165Y1 KR 2020160002909 U KR2020160002909 U KR 2020160002909U KR 20160002909 U KR20160002909 U KR 20160002909U KR 200485165 Y1 KR200485165 Y1 KR 2004851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coupling
- coupled
- container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용물을 지지하고 내용물을 밀어올려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의 하측에서 용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와,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결합되기 위해 폐쇄판 부재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와, 폐쇄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와, 중간 결합체의 하부 체결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바닥 지지체와,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중간 결합체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통기공이 폐쇄되고 압축됨으로써 내부공기를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형상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액체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물질을 사용자가 원할 때 적정량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체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샴프, 린스 등의 세정용품,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주기 위하여 배출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품 배출용기에 사용되는 배출장치의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등록실용신안 제20-472459호, 2014.4.29. 공고)는 액상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량의 화장품을 배출시켜 주는 것으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버튼(10)이 상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버튼(10)의 전면에는 노즐(11)이 결합되어 있다. 버튼(10)의 하측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20)는 스프링(2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버튼(10)은 하방으로 압착되어 화장품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데, 커버(30)의 내측에는 고정캡(40)이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20)의 하단부는 고정캡(40)의 상측으로 삽입되며, 고정캡(40)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피스톤(60)이 결합된 스템(5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스템(50)의 내측 상단부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이송되는 이송공간(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템(50)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이송공간(51)과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공(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캡(40)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고정링(31)이 결합되어 커버(30)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8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80)의 내측으로 샤프트(20), 스템(50), 피스톤(6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80)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개폐부재(70)가 구비되어 있는데, 개폐부재(70)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공간부(71)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70)의 하측에는 반구 형상의 헤드(7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부재(70)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부(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80)의 상측 외주면에는 에어홀(8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하단부에는 단턱(82)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82)의 하측에는 흡입홀(83)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70)의 날개부(73)는 단턱(82)에 밀착되어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스탑퍼의 역할을 하며, 흡입홀(83)에는 개폐부재(70)의 승강에 따라 헤드(72)가 이격 또는 밀착됨으로써 흡입홀(83)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흡입홀(83)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헤드(72)가 밀착되는 밀착부(84)가 형성되어 있는데, 밀착부(84)는 반구 형상의 헤드(72)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버튼(10)을 하방으로 압착하면 스템(50) 및 피스톤(60)이 함께 하강하며 에어홀(81)을 통해 하우징(80)의 내측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에 따라 스템(50)과 개폐부재(70)의 사이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이 압착되면서 개폐부재(70)를 하강시키고 헤드(72)가 흡입홀(83)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스템(50)이 하강함에 따라 하우징(80)의 내측에 압력이 발생하여 피스톤(60)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내용물은 개방된 관통공(52)을 통해 이송공간(51)으로 흡입되어 노즐(1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화장품 배출장치의 경우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장품의 내용물이 충진된 완제품의 비용 또한 상당히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기 하부에 충진되는 화장품 액체를 상부로 빨아올려 배출하는 구조인데, 내용물을 빨아올리는 주입관 하측 용기 바닥에 위치하는 내용물은 남게 되어 완전히 내용물을 소진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상 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배출구조를 가져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내용물을 완전히 소진할 수 있고, 적은 부품수를 가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체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와,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바닥 지지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상기 통기공이 폐쇄되고 압축됨으로써 내부공기를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형상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를 눌러 용기 몸체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에 결합된 형상체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바닥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형상체의 통기공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바닥면에 의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가 압축되어 형상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의 체크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이 상승하면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상부 체결구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부는 상기 중간 결합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시 각 나사부 틈새로 공기가 빠져나와 내용물(S)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각 나사부에는 세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결합체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체결구의 결합완료시 상기 오목홈에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오목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세로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체에는 상기 중간 결합체의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의 수직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 체결구에는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끼움돌기가 이동되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체결구에서 이동홈의 상측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 배출용기의 미사용시 상기 바닥 지지체의 끼움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이동홈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이동홈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턱에 의해 수직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홈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인접한 일단과 가이드홈의 반대쪽 타단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고 반대쪽 걸림턱의 바깥쪽에는 상기 끼움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S)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S)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와,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형상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지지체와, 상기 바닥 지지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형상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 지지벽체와, 상기 원형 지지벽체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형상체의 통기공을 폐쇄하기 위한 중앙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S)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를 눌러 용기 몸체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에 결합된 형상체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원통 지지체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중앙 돌기부에 의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가 압축되어 형상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의 체크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 돌기부는 상부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형상체 하강시 형상체의 통기공에 상기 중앙 돌기부의 원뿔형상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기공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S)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S)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와, 상기 용기 몸체의 결합구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와, 상기 폐쇄판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다수의 받침다리가 형성되며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압축 및 복원가능한 형상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하부 체결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지지체와, 상기 바닥 지지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형상체의 통기공을 폐쇄하기 위한 중앙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S)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를 눌러 용기 몸체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에 결합된 형상체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의 바닥면에 구비된 중앙 돌기부에 의해 형상체의 통기공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가 압축되어 형상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의 체크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액상 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배출구조를 가져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내용물을 완전히 소진할 수 있고, 적은 부품수를 가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체 배출용기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화장품 토출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사시도이며,
도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에서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다.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사시도이며,
도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에서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에서 A-A'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의 작동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는 내부에 화장품과 같은 액상 물질이 수용되어 액체 배출용기(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이 용기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간 결합체(120)와,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되고 압축 및 복원가능한 형상체(130)와,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지지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 몸체(1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내용물(S)을 지지하는 푸쉬판(112)이 결합되고 용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중간 결합체(12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113)가 형성된다. 결합구(113)는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사다리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가 형성되어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와 나사결합되고, 사다리꼴 나사산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의 세로홈(114)이 형성된다. 세로홈(114)은 용기 몸체(110)에 중간 결합체(120) 체결시 공기가 빠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구(113)의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삼각형 모양의 오목홈(15)이 형성되는데, 결합구(113)가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와 나사결합이 완료된 다음 결합구(113) 하단의 오목홈(115)에 후술할 중간 결합체(120)의 돌기(123)가 결합된다. 용기 몸체(110)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상부캡(101)이 결합된다.
상기 중간 결합체(120)는 상부에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결합되어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폐쇄판 부재(121)와, 폐쇄판 부재(121)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부 체결구(122, 124)로 이루어진다. 상부 체결구(122)는 중간 결합체(120)를 용기 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폐쇄판 부재(12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부 체결구(122)의 나사부의 나사산에는 둘레방향으로 용기 몸체(110) 결합구(113)의 나사부의 세로홈(114)과 마찬가지로 90도 간격으로 세로홈(122a)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용기 몸체(110)와 중간 결합체(120)의 각 나사부의 나사산에 세로홈(114, 122a)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몸체(110)와 중간 결합체(120)의 체결시 용기 몸체(110)의 푸쉬판(112)과 폐쇄판 부재(121) 사이의 공기가 빠지게 되어 내용물(S)이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중간 결합체(120)의 폐쇄판 부재(12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고 그 중앙에는 일방향 체크밸브(126)가 구비되는데, 이 체크밸브(126)에 의해 공기가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방향 즉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폐쇄판 부재(121)의 원판 가장자리에는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체결 완료시 결합구(113) 하단에 형성되는 오목홈(115)에 결합되도록 오목홈(115)에 대응되는 삼각형상의 돌기(123)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중간 결합체(120)와 용기 몸체(110)의 체결도중에는 용기 몸체(110) 결합구(113)와 이에 결합되는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의 각 나사부의 세로홈(114, 122a)에 의해 공기가 빠져나오게 되고 체결이 완전히 완료되면 폐쇄판 부재(121)의 돌기(123)가 결합구(113) 하단의 오목홈(115)에 결합되어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 체결구(124)는 바닥 지지체(14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폐쇄판 부재(121)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부 체결구(124)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결합턱(124a)이 형성되어 이 결합턱(124a)에 바닥 지지체(140)의 결합돌기(142)가 지지된다. 또한, 하부 체결구(124)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90도 이격되는 4개의 세로방향 가이드홈(125)이 형성되는데, 이 세로방향의 가이드홈(125)에 후술하는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가 결합되어 가이드홈(125)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용기몸체(110) 및 중간 결합체(120)가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 체결구(124)의 결합턱(124a)의 하측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25)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홈(126a)이 형성된다. 이동홈(126a)은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를 수직방향이 아닌 둘레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용기(100) 미사용시 용기가 잘못 눌러져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홈(125)에 인접한 이동홈(126a)의 일단과 가이드홈(125)의 반대쪽 타단에 각각 걸림턱(126)이 형성되고 반대쪽 걸림턱(126)의 바깥쪽에는 끼움돌기(14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27)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배출용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바닥 지지체(140)를 소정의 힘을 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홈(125)에 결합되어 있던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를 이동홈(126a)의 한쪽 걸림턱(126)을 지나 반대쪽 걸림턱(126)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고정홈(127)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끼움돌기(143)가 이동홈(126a)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턱(124a)에 의해 수직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미사용시 오작동으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 체결구(124)의 내측에는 형상체(130)가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에 결합된다. 형상체(130)는 하부가 대략 반구 형상으로서 압축되고 복원가능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하부 중앙에는 원형의 통기공(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 결합체(120)의 하강에 의해 연성재질의 형상체(130)가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에 닿아 통기공(131)이 폐쇄되면서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폐쇄판 부재(121)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바닥 지지체(140)는 본 고안의 액체 배출용기(100)를 바닥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바닥판과, 바닥판 주위에 형성되는 원형 측벽(141)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측벽(141)의 외주연 상단에 형성된 환형의 결합돌기(142)가 중간 결합체(120) 하부 체결구(124)의 결합턱(124a)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결합돌기(142)의 하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4개의 끼움돌기(143)가 형성되는데, 이 끼움돌기(143)가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의 가이드홈(125)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이동이 안내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의 작동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에서 상부캡(101)을 용기 몸체(110)에서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기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 액상 내용물(S)을 용기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해 용기 몸체(110)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용기 몸체(110)와 이에 결합된 중간 결합체(120)가 하강하게 되고, 중간 결합체(120)의 가이드홈(125)에 결합된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는 상대적으로 가이드홈(125)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110)를 눌러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하면 바닥 지지체(140) 내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되는데, 형상체(130)의 하부가 바닥 지지체(140) 내부의 바닥면에 접촉함으로써 형상체(130) 하단의 통기공(131)이 바닥 지지체(140) 바닥면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용기 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이 바닥면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형상체(130)가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중간 결합체(120)의 폐쇄판 부재(121) 중앙에 형성된 체크밸브(126)를 통해 폐쇄판 부재(12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푸쉬판(112)이 상승하면서 액상 내용물(S)이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도5참조).
그 후 용기 몸체(110)의 누름을 해제하면 형상체(130)가 다시 복원되고 바닥 지지체(140) 외부로부터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통기공(131)으로 형상체(130) 내부로 유입되면서 용기 몸체(110) 및 중간 결합체(120)가 상승되어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용이하게 내용물(S)을 배출하면서 내용물을 완전히 소진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부품수를 가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의 작동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바닥 지지체(140) 내부 바닥면에 형상체(13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 지지벽체(150)와, 원형 지지벽체(150)의 내부 중앙에 중앙 돌기부(152)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원형 지지벽체(150)는 형상체(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용기가 보다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지지체(140) 내부의 바닥면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형상체(13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원형 지지벽체(15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통되는 유통공(151)이 형성된다.
원형 지지벽체(15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돌기부(152)는 형상체(130)의 원형 통기공(131)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지지체(140)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원뿔 형상의 폐쇄돌기(152a)가 형성되어 형상체(130) 하강시 형상체(130)의 원형 통기공(131)을 보다 안정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원형 지지벽체(150)에 의해 형상체(130)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용기 몸체(110)의 누름에 의해 용기 몸체(110)와 함께 중간 결합체(120)가 하강되면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하면서 중앙 돌기부(152)의 원뿔 형상의 폐쇄돌기(152a)가 형상체(130)의 원형 통기공(131)에 삽입되어 통기공(131)이 폐쇄되면서 형상체(130)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중간 결합체(120)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측으로 공급되어 푸쉬판(12)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이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의 단면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의 작동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용기(100)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형상체(130)의 하부에 형상체(13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받침다리(132)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형상체(130)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받침다리(132)는 연성재질로 형상체(130)와 일체로 형성되고 형상체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받침다리(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3개의 받침다리(132)의 하단이 바닥 지지체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형상체(130)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용기 몸체(110)의 누름에 의해 용기 몸체(110)와 함께 중간 결합체(120)가 하강되면 도9에서와 같이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하여 받침다리(132)가 휘어지면서 중앙 돌기부(152)의 원뿔 형상의 폐쇄돌기(152a)가 형상체(130)의 원형 통기공(131)에 삽입되어 통기공(131)이 폐쇄되고 또한 원형 지지벽체(150)의 상단이 형상체(130)의 하부와 접하면서 형상체(130) 하부가 추가적으로 폐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폐쇄되는 형상체(130)가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중간 결합체(120)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측으로 공급되어 푸쉬판(112)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형상체(130)를 지지하는 받침다리(132)가 휘어지면서 1차적으로 통기공(131)이 중앙 돌기부(152)의 폐쇄돌기(152a)에 의해 폐쇄되고 2차적으로 원형 지지벽체(150)에 의해 형상체(130) 하부가 폐쇄되면서 용기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본 고안의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장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용기 몸체 111 : 토출구
112 : 푸쉬판 113 : 결합구
120 : 중간 결합체 121 : 폐쇄판 부재
122 : 상부 체결구 123 : 돌기
124 : 하부 체결구 125 : 가이드홈
126 : 체크밸브 130 : 형상체
140 : 바닥 지지체
112 : 푸쉬판 113 : 결합구
120 : 중간 결합체 121 : 폐쇄판 부재
122 : 상부 체결구 123 : 돌기
124 : 하부 체결구 125 : 가이드홈
126 : 체크밸브 130 : 형상체
140 : 바닥 지지체
Claims (20)
-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S)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S)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112)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113)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11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121)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6)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122)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124)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바닥 지지체(14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131)을 가지며 압축 및 복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상기 통기공(131)이 폐쇄되고 압축됨으로써 내부 공기를 상기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형상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S)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눌러 용기 몸체(110)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120)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면에 의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130)가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112)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부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시 내용물(S)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각 나사부의 나사산에는 세로홈(114, 1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의 결합완료시 상기 오목홈(115)에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는 상기 오목홈(115)에 대응되는 돌기(123)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는 세로방향의 가이드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체(140)에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가이드홈(12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3)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수직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가 이동되는 이동홈(126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체결구(124)에서 이동홈(126a)의 상측에는 결합턱(124a)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 배출용기의 미사용시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를 상기 가이드홈(125)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이동홈(126a)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끼움돌기(143)가 상기 이동홈(126a)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턱(124a)에 의해 수직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126a)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에 인접한 이동홈(126a)의 일단과 가이드홈(125)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홈(126a)의 타단에 각각 걸림턱(126)이 형성되고 반대쪽 걸림턱(126)의 바깥쪽에는 상기 끼움돌기(14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S)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S)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112)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113)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11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121)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6)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122)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124)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131)이 형성되어 압축 및 복원가능한 형상체(13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지지체(140)와,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형상체(13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 지지벽체(150)와, 상기 원형 지지벽체(150)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을 폐쇄하기 위한 중앙 돌기부(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S)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눌러 용기 몸체(110)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120)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면에 구비된 중앙 돌기부(152)에 의해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130)가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112)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기부(152)는 상부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형상체(130) 하강시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에 상기 중앙 돌기부(152)의 원뿔형상의 상부가 삽입되어 원형의 상기 통기공(131)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부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시 내용물(S)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각 나사부의 나사산에는 세로홈(114, 1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의 결합완료시 상기 오목홈(115)에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는 상기 오목홈(115)에 대응되는 돌기(123)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는 세로방향의 가이드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체(140)에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가이드홈(12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3)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수직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가 이동되는 이동홈(126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체결구(124)에서 이동홈(126a)의 상측에는 결합턱(124a)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 배출용기의 미사용시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끼움돌기(143)를 상기 가이드홈(125)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이동홈(126a)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끼움돌기(143)가 상기 이동홈(126a)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턱(124a)에 의해 수직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126a)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에 인접한 이동홈(126a)의 일단과 가이드홈(125)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홈(126a)의 타단에 각각 걸림턱(126)이 형성되고 반대쪽 걸림턱(126)의 바깥쪽에는 상기 끼움돌기(14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지지벽체(150)의 외주면에는 공기 유통공(1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폐쇄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S)을 지지하고 상기 내용물(S)을 밀어올려 상기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푸쉬판(112)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구(113)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 몸체(11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판 부재(121)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중앙에 형성되어 공기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6)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상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122)와, 상기 폐쇄판 부재(1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124)로 이루어지는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다수의 받침다리(132)가 형성되며 하단 중앙에는 통기공(131)이 형성되어 압축 및 복원가능한 형상체(130)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지지체(140)와,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을 폐쇄하기 위한 중앙 돌기부(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형상체(130)의 받침다리(132)가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내용물(S)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눌러 용기 몸체(110)와 함께 상기 중간 결합체(120)를 하강시키고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 결합된 형상체(130)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바닥면에 구비된 중앙 돌기부(152)에 의해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이 폐쇄되면서 상기 형상체(130)가 압축되어 형상체(13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체크밸브(126)를 통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하부로 공급되고 상기 푸쉬판(112)이 상승하면서 내용물(S)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기부(152)는 상부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형상체(130) 하강시 형상체(130)의 통기공(131)에 상기 중앙 돌기부(152)의 원뿔형상의 상부가 삽입되어 원형의 상기 통기공(131)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중앙 돌기부(152)의 외측에 원형 지지벽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형상체(130) 하강시 형상체(130) 하부가 상기 원형 지지벽체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형상체(130)의 하부가 추가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부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시 내용물(S)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각 나사부의 나사산에는 세로홈(114, 1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110)의 결합구(113)와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상부 체결구(122)의 결합완료시 상기 오목홈(115)에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중간 결합체(120)에는 상기 오목홈(115)에 대응되는 돌기(123)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하부 체결구(124)에는 세로방향의 가이드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체(140)에는 상기 중간 결합체(120)의 가이드홈(12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3)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지지체(140)의 수직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909U KR200485165Y1 (ko) | 2016-05-27 | 2016-05-27 | 액체 배출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909U KR200485165Y1 (ko) | 2016-05-27 | 2016-05-27 | 액체 배출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165Y1 true KR200485165Y1 (ko) | 2018-01-10 |
Family
ID=6127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909U KR200485165Y1 (ko) | 2016-05-27 | 2016-05-27 | 액체 배출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165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4136A (ja) * | 2005-09-26 | 2007-04-05 | Naris Cosmetics Co Ltd | チューブ容器 |
JP2010006450A (ja) * | 2008-06-30 | 2010-01-14 | Yoshino Kogyosho Co Ltd | 繰り出し容器 |
KR200458000Y1 (ko) * | 2010-01-07 | 2012-01-16 | (주)아모레퍼시픽 |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
JP2013216374A (ja) * | 2012-04-04 | 2013-10-24 | Box Group:Kk | 化粧材料の容器 |
-
2016
- 2016-05-27 KR KR2020160002909U patent/KR20048516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4136A (ja) * | 2005-09-26 | 2007-04-05 | Naris Cosmetics Co Ltd | チューブ容器 |
JP2010006450A (ja) * | 2008-06-30 | 2010-01-14 | Yoshino Kogyosho Co Ltd | 繰り出し容器 |
KR200458000Y1 (ko) * | 2010-01-07 | 2012-01-16 | (주)아모레퍼시픽 |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
JP2013216374A (ja) * | 2012-04-04 | 2013-10-24 | Box Group:Kk | 化粧材料の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13041B2 (en) |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 |
US9924775B2 (en) | Powder discharging container | |
KR101335570B1 (ko) | 튜브형 화장품용기 | |
KR101483652B1 (ko) | 드로퍼 | |
KR200480441Y1 (ko) | 자동 스포이드 용기 | |
KR101572007B1 (ko) |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 |
KR20150010306A (ko) |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 |
CN114786530B (zh) | 双重容器 | |
KR101907778B1 (ko) | 이종물질혼합용기 | |
KR20150110035A (ko) |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 |
KR101778578B1 (ko) |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 |
KR101663206B1 (ko) | 디스펜서 | |
KR200488073Y1 (ko) |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 |
KR200465590Y1 (ko) |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 |
US20170341102A1 (en) | Applicator having press button for discharging gel-type contents | |
JP6714027B2 (ja) | 流体容器 | |
KR200485165Y1 (ko) | 액체 배출용기 | |
US10737870B2 (en) |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 |
KR20150134160A (ko) |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 |
KR101763405B1 (ko) |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 |
US20200130000A1 (en) | Small-capacity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 |
EP3486192B1 (en) |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 |
CN109809047B (zh) | 用于排出液体的容器 | |
JP7084804B2 (ja) | 塗布型容器 | |
KR101975504B1 (ko) | 펌프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