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1605Y1 -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05Y1
KR200471605Y1 KR2020120000424U KR20120000424U KR200471605Y1 KR 200471605 Y1 KR200471605 Y1 KR 200471605Y1 KR 2020120000424 U KR2020120000424 U KR 2020120000424U KR 20120000424 U KR20120000424 U KR 20120000424U KR 200471605 Y1 KR200471605 Y1 KR 200471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ed
base frame
portable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34U (ko
Inventor
최광성
Original Assignee
최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성 filed Critical 최광성
Priority to KR202012000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0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판 형상의 일정한 면적을 갖고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립부와 거치부가 케이스부에 배치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외부 고정물에 고정할 수 있고, 책상이나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세울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Cliping and Cradling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옷이나 책에 끼워 고정하거나 바닥에 세워놓을 수 있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은 스마트폰의 개발과 보급에 힘입어 기존의 통화 위주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고사양 게임, 인터넷등 점점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과 얇고 심플한 디자인을 갖춘 휴대단말기는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에 케이스를 결합해 사용한다.
또한, 휴대단말기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많아짐에 따라 사용시간도 늘어나고 있으며, 사용자가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책상 등에 일정각도로 세울 수 있는 거치대 또는 옷이나 책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매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와 고정수단 거치대 등은 각각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휴대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8-0000102 A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거나 세워놓을 수 있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판 형상의 일정한 면적을 갖고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BAR-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상단에는 외부 고정물에 고정할 때 고정력을 높여주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력 향상과 외부 고정물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굴곡과 제2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클립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지면을 받쳐주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는, J-자, T-자, L-자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는 케이스부의 외부로만 회전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이와 같은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케이스부를 옷이나 공책 또는 기타 외부 고정물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거치부가 케이스부에 형성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케이스부를 책상이나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세울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와 거치부를 하나의 케이스에 배치해 따로 고정기구나 거치기구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고정기구나 거치기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어디서나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클립부에 외부 고정물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바라본 측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바라본 측면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받침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클립부에 외부 고정물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바라본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바라본 측면도 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1000)는,
휴대단말기(H)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H)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하는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에 형성되는 클립부(200),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100)는 상기 휴대단말기(H)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해 상기 휴대단말기(H)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소시킨다. 상기 케이스부(100)는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또는 합성수지로 이뤄 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100) 판 형상의 일정한 면적을 갖고 휴대단말기(H)의 배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기(H)의 측면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기 휴대단말기(H)의 배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H)의 배면은 기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도 기기 별로 형상이나 크기다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H)에 형성된 카메라나 조작 버튼을 원활히 조작할 수 있도록 일부가 파여 있거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면은 상기 휴대단말기(H)의 카메라가 위치한 곳은 상기 카메라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기 클립부(2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상기 클립부(200) 주변으로 고정물 수용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물 수용공간(130)은 외부 고정물(10)이 일부가 상기 클립부(200)에 의해 눌릴 때 상기 클립부의 누르는 힘으로 상기 고정물 수용공간(130) 내부로 상기 외부 고정물이 들어가며 고정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상기 휴대단말기(H)의 측면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휴대단말기(H)에 형성된 케이블 단자, 이어폰단자, 조작 버튼 등을 원활히 조작할 수 있도록 일부가 파여 있거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 형상에 따라 3면 또는 2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상기 휴대단말기(H)와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체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클립부(200)는 하나의 금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립부(200)는 탄성을 갖고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립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딱딱하고 탄성이 강한 재질로 이뤄질 수 있고 상기 측면커버부재(12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케이스부(200)를 외부 고정물(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10)가 외부 고정물(10)에 좀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고정물(10)은 벨트, 책, 의복에 형성된 주머니 등과 같이 얇고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물체를 말한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외부 고정물(10)에 고정될 때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부는 외부 고정물(10)이 원활히 끼워질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이뤄지고 제1 굴곡(230a)과 제2 굴곡(23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230a)은 상기 외부 고정물(10)이 끼워질 때 원활히 끼워지도록 외측 단부는 끼워지는 폭이 넓고 내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뤄진다.
상기 제2 굴곡(230b)은 상기 제1 굴곡(230a)에 이어져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굴곡(130a)이 내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다 제2 굴곡(230b)으로 연결되며 다시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벨트와 같은 외부 고정물(10)이 원활히 끼워지도록 외측 입구는 넓게 형성하고 끼워진 외부 고정물(10)이 다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1 굴곡(230a)과 제2 굴곡(230b)이 연결되는 부분은 좁게 형성해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 굴곡(230b)은 좁아졌다 내측으로 향할수록 넓어지는데 이는 외부 고정물(10)의 부피나 두께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가 벌어지는 현상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상기 외부 고정물이 끼워져 고정될 때 상기 고정부재(2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더욱 강하게 고정하거나 외부 고정물(10)이 상기 고정돌기(220)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하나의 돌기 또는 다수개의 돌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돌기(220)는 돌출된 돌기가 아닌 표면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이 코팅된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뤄진 스티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10)와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보강부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40)는 상기 고정부재(210)가 상기 외부 고정물(10)에 고정을 위해 인장과 압축이 반복될 때 발생하는 피로하중에 의해 균열이나 부러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부재(24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외면과 상기 고정물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클립부(200)의 내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립부(200)가 상기 외부 고정물(10)에 끼워져 고정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2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세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클립부(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재(310)와 상기 힌지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지면을 받쳐주는 받침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310)는 상기 클립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립부(200)에는 상기 힌지부재(310)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310)는 상기 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재(320)는 상기 힌지부재(310)의 일측에서 인출되며, 막대 형상으로 이뤄진다. 상기 받침부재(320)는 상기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거치부 수용공간(250)에 끼워져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320)가 상기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거치부 수용공간(250)에 수용되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상기 받침부재(32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320)는 상기 힌지부재(310)에 의해 외부로 회전되어 위치할 때, 일정 회전량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재(310)에는 스톱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미도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부와 맞닿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부재(310)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320)의 끝단은 미끄러운 바닥면에도 상기 케이스부(200)를 용이하게 세워 거치하기 위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받침부재(320)의 끝단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200)를 상기 받침부재(320)를 통해 세웠을 때 상기 케이스부(200)와 바닥(20)이 맞닿는 부분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코팅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320)의 일단에는 상기 거치부 수용공간(250)의 일측에 걸려 일 방향으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걸림턱(33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30)은 상기 받침부재(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30)은 상기 받침부재(320)가 상기 거치부 수용공간(250)으로 수용되는 부분이 아닌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턱(330)은 상기 받침부재(32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32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 수용공간(250)에 수용되어 위치할 때,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일측에 끼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미도시)는 상기 거치부 수용공간(250)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받침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다른 형태의 받침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회하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재(320)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J-자(320a), T-자(320b), L-자(320c)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J-자(320a) 형태의 받침부재(320)는 힌지부재(310)에서 인출되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하부에 다다르면 일정량의 곡률을 형성하며 휘어진다. 그리고 J-자(320a) 형태의 받침부재(320)의 끝단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케이스부(200)를 바닥(20)에 세웠을 때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T-자(320b) 형태의 받침부재(320)는 힌지부재(310)에서 인출되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하부에 다다르면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양측의 끝단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케이스부(200)를 바닥에 세웠을 때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며, 상기 T-자(320b) 형태의 받침부재는 양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부(200)를 세워놓을 수 있다.
상기 L-자(320c) 형태의 받침부재(320)는 힌지부재(210)에서 인출되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하부에 다다르면 일부가 수직으로 꺾이어 형성된다. 그리고 L-자(320c) 형태의 받침부재(320)의 끝단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케이스부(200)를 바닥(20)에 세웠을 때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00 : 케이스부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측면커버부재 130 : 고정물 수용공간
200 : 클립부 210 : 고정부재
220 : 고정돌기 230a : 제1 굴곡
230b : 제2 굴곡 240 : 보강부재
250 : 거치부 수용공간 300 : 거치부
310 : 힌지부재 320 : 받침부재
330 : 걸림턱

Claims (7)

  1. 판 형상의 일정한 면적을 갖고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성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BAR-형상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상단에는 외부 고정물에 고정 시 고정력을 높여주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외부 고정물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력 향상과 외부 고정물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굴곡과 제2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클립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지면을 받쳐주는 받침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J-자, T-자, L-자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는 케이스부의 외부로만 회전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20120000424U 2012-01-17 2012-01-17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1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24U KR200471605Y1 (ko) 2012-01-17 2012-01-17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24U KR200471605Y1 (ko) 2012-01-17 2012-01-17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34U KR20120001434U (ko) 2012-02-29
KR200471605Y1 true KR200471605Y1 (ko) 2014-03-05

Family

ID=4593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424U KR200471605Y1 (ko) 2012-01-17 2012-01-17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87B1 (ko) * 2012-03-07 2013-09-02 주식회사 노벨뷰 전자기기의 보조물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KR200471121Y1 (ko) * 2012-08-30 2014-02-07 김대성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03220B1 (ko) * 2012-11-22 2014-06-03 이은형 휴대폰 케이스
KR101890632B1 (ko) * 2017-02-24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40Y1 (ko) 2003-08-05 2003-10-30 김철수 평면용 거치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휴대기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40Y1 (ko) 2003-08-05 2003-10-30 김철수 평면용 거치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휴대기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34U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05Y1 (ko)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9195263B2 (en)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100802558B1 (ko) 스텝 힌지
US7513472B2 (en) Adjustable stand
US8472168B2 (en) Package structure
US8068332B2 (en) Accessory strap fix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261216A1 (en) Support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081544B2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20120059015A (ko) 단말기 거치대
US20120325987A1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WO2018191956A1 (zh) 电子产品保护套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101816494B1 (ko)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KR10133821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KR20130066853A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090079269A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