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53Y1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Google Patents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153Y1 KR200461153Y1 KR2020120003628U KR20120003628U KR200461153Y1 KR 200461153 Y1 KR200461153 Y1 KR 200461153Y1 KR 2020120003628 U KR2020120003628 U KR 2020120003628U KR 20120003628 U KR20120003628 U KR 20120003628U KR 200461153 Y1 KR200461153 Y1 KR 2004611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container
- lid
- beverage container
- outer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통을 음료통 및 뚜껑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통과 음료통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더운 여름 날씨에 사용 시 외통의 내부공간에 얼음 및 냉각수를 구비하여 음료통에 수용된 음료를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22)을 갖는 외통(20)과;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을 갖는 다수개의 음료통(30)과;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갖는 뚜껑(40)을 포함하되; 외통(20) 및 뚜껑(30)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4, 422)를 갖고, 음료통(30)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34)를 가지며,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상기 외통(20) 및 뚜껑(40)의 결합부(24, 4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외통을 음료통 및 뚜껑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통과 음료통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더운 여름 날씨에 사용 시 외통의 내부공간에 얼음 및 냉각수를 구비하여 음료통에 수용된 음료를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형태의 음료수 용기 등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충진되는 부분인 용기(1), 음료가 흐르지 않도록 용기(1)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연질 밀봉부(3), 그리고 연질 밀봉부(3)를 제거한 후 보관을 용이하게 하거나, 연질 밀봉부(3)를 제거하지 않고 빨대를 사용하여 마시고자 할 경우 뚜껑 역할을 하는 개폐뚜껑(2)으로 이루어지는 바, 일부는 개폐뚜껑(2)을 열지 않고도 빨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뚜껑(2) 내에 홈을 형성하기도 한다. 부수적으로 빨대 등이 부착된 음료용기도 생산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이와 같은 음료수 용기 외에도 패스트 푸드점이나 편의점 등에서 제공되고 있는 컵은 연질 밀봉부(3)를 갖지 않고 내부에 음료를 충진하고 개폐뚜껑(2)을 씌워 필요에 따라 빨대를 끼워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한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기 때문에 수용된 한 종류의 음료만 섭취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보관 및 섭취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5510호 "내부 격벽을 갖는 음료용기", 특허문헌 2의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37322호 "다중 분할 용기" 및 특허문헌 3의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93902호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있지만, 음료를 섭취 시 별도의 기구(빨대 등)를 필요로 하고, 음료를 섭취 후 가방 등에 보관 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을 통해 음료가 흘러 가방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통을 음료통 및 뚜껑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통과 음료통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더운 여름 날씨에 사용 시 외통의 내부공간에 얼음 및 냉각수를 구비하여 음료통에 수용된 음료를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22)을 갖는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을 갖는 다수개의 음료통(30)과;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갖는 뚜껑(40)을 포함하되; 상기 외통(20) 및 뚜껑(30)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4, 422)를 갖고, 상기 음료통(30)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34)를 가지며,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상기 외통(20) 및 뚜껑(40)의 결합부(24, 4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는 하부결합부(342)와 상부결합부(344)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20)의 결합부(24)는 상기 하부결합부(342)에 결합되고, 상기 뚜껑(40)의 결합부(422)는 상기 상부결합부(344)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20)의 상부와 상기 뚜껑(40)의 하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상기 외통(20), 음료통(30) 및 뚜껑(40)에 형성되는 결합부(24, 34, 422)는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상기 음료통(30)과 뚜껑(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음료통(30)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배출홀(52)을 갖는 배출판(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음료통(30)은 상부 개구가 상기 배출판(50)의 배출홀(5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상기 뚜껑(40)은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422)를 갖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상기 뚜껑의 토출부(44)는 상기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판(50)의 배출홀(5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배출공(4422)을 갖는 회동판(442)과; 상기 회동판(442)의 배출공(4422)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 의하면,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을 음료통 및 뚜껑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통과 음료통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더운 여름 날씨에 사용 시 외통의 내부공간에 얼음 및 냉각수를 구비하여 음료통에 수용된 음료를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뚜껑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서 뚜껑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22)을 갖는 외통(20)과,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을 갖는 다수개의 음료통(30)과,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갖는 뚜껑(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음료통(30)과 뚜껑(40) 사이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음료통(30)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배출홀(52)을 갖는 배출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는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외통(20)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4)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외통(20)은 사용자가 들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음료통(30)은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결합되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32)을 갖는 것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음료통(30)은 원통 형상에서 절개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10)에서는 4개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음료통(30)은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을 갖고,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34)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는 수용공간(32)에 비해 좁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34)는 하부결합부(342)와 상부결합부(344)로 이루어지되, 하부결합부(342)는 외통(20)의 결합부(24)에 결합되고, 상부결합부(344)는 뚜껑(30)의 결합부(422)에 결합되어 외통(20)의 상부와 뚜껑(40)의 하부가 맞닿도록 형성되어 진다.
뚜껑(40)은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422)를 갖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토출부(44)는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출판(50)의 배출홀(5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배출공(4422)을 갖는 회동판(442)과, 회동판(442)의 배출공(4422)과 연통되어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뚜껑(40)은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42)는 결합부(422)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돌기(41)를 갖고, 토출부(44)의 회동판(442)은 고정부(42)의 돌기(4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는 절개부(43)를 가지며, 고정부(42)의 돌기(41)에 토출부(44)의 회동판(442)에 형성되는 절개부(43)가 대응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42)는 결합부(42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돌기(41')를 갖고, 토출부(44)의 회동판(442)은 고정부(42)의 돌기(4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되는 절개부(43')를 가지며, 고정부(42)의 돌기(41')에 토출부(44)의 회동판(442)에 형성되는 절개부(43')가 대응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뚜껑의 토출부를 회동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음료를 섭취 시 원하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동시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10)에서 외통(20), 음료통(30) 및 뚜껑(40)에 형성되는 결합부(24, 34, 422)는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에 의하면, 음료용기에 다양한 음료를 수용된 음료통을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시 뚜껑을 회동시켜 토출구와 음료통이 대응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통에 수용되는 음료가 외부로 흐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을 음료통 및 뚜껑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통과 음료통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더운 여름 날씨에 사용 시 외통의 내부공간에 얼음 및 냉각수를 구비하여 음료통에 수용된 음료를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의 음료통(30)에 원하는 음료를 각각 수용되고, 음료가 수용된 음료통(30)은 외통(20) 및 뚜껑(40)에 결합되어 진다. 이후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시 뚜껑(40)의 토출부(44)를 회동시켜 원하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통(30)과 대응되도록 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10)에서 외통(20)은 단독으로 사용되어 내부공간(22)에 물, 음료 등을 수용하여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통(20)을 단독으로 사용할 시 음료통(30)은 뚜껑(4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통(30)에 수용된 음료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 또는 시원한 음료의 섭취를 원할 시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얼음, 냉각수 등을 넣고,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수용되는 얼음, 냉각수의 양에 따라 외통(20)과 음료통(30)의 결합을 조절하여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수용된 얼음, 냉각수 등에 의해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음료는 시원하게 되어 사용자는 시원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20 : 외통 22 : 내부공간
30 : 음료통 32 : 수용공간
40 : 뚜껑 50 : 배출판
20 : 외통 22 : 내부공간
30 : 음료통 32 : 수용공간
40 : 뚜껑 50 : 배출판
Claims (6)
-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22)을 갖는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내부공간(22)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을 갖는 다수개의 음료통(30)과;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갖는 뚜껑(40)을 포함하되;
상기 외통(20) 및 뚜껑(30)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24, 422)를 갖고,
상기 음료통(30)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34)를 가지며,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상기 외통(20) 및 뚜껑(40)의 결합부(24, 422)가 결합되되;
상기 음료통(30)과 뚜껑(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음료통(30)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배출홀(52)을 갖는 배출판(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음료통(30)은 상부 개구가 상기 배출판(50)의 배출홀(5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는 하부결합부(342)와 상부결합부(344)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20)의 결합부(24)는 상기 하부결합부(342)에 결합되고, 상기 뚜껑(40)의 결합부(422)는 상기 상부결합부(344)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20)의 상부와 상기 뚜껑(40)의 하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20), 음료통(30) 및 뚜껑(40)에 형성되는 결합부(24, 34, 422)는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은 상기 음료통(30)의 결합부(34)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422)를 갖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토출부(44)는 상기 고정부(42)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판(50)의 배출홀(5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배출공(4422)을 갖는 회동판(442)과;
상기 회동판(442)의 배출공(4422)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통(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는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628U KR200461153Y1 (ko) | 2012-05-02 | 2012-05-02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628U KR200461153Y1 (ko) | 2012-05-02 | 2012-05-02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1153Y1 true KR200461153Y1 (ko) | 2012-06-28 |
Family
ID=4687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628U KR200461153Y1 (ko) | 2012-05-02 | 2012-05-02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153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6817A (ko) * | 2009-03-24 | 2010-10-04 | 고혜진 | 프리컵용 빨대 뚜껑 |
KR200456591Y1 (ko) * | 2009-06-30 | 2011-11-11 | 김민기 |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병 |
-
2012
- 2012-05-02 KR KR2020120003628U patent/KR2004611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6817A (ko) * | 2009-03-24 | 2010-10-04 | 고혜진 | 프리컵용 빨대 뚜껑 |
KR200456591Y1 (ko) * | 2009-06-30 | 2011-11-11 | 김민기 |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14126B2 (en) | Beverage container having built-in infuser and passive cooling element | |
US9102441B1 (en) | Compartmentalized dispens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 |
US20090266737A1 (en) |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 |
US20130153085A1 (en) |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 |
US20120269025A1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461153Y1 (ko) | 다종 음료보관용 용기 | |
TWM452728U (zh) | 冷熱冰杯之改良(第四案) | |
KR200477940Y1 (ko) |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 |
KR20120120662A (ko) |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 |
CN111202411A (zh) | 一种水杯 | |
KR101540622B1 (ko) |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 |
US20100288773A1 (en) | Pitcher | |
KR200344346Y1 (ko) | 이중 용기 | |
KR101426508B1 (ko) |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 |
KR101608768B1 (ko) | 아이스텀블러 뚜껑 | |
KR20170047895A (ko) | 상하 분리형 음료 용기 | |
KR200480691Y1 (ko) |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 |
KR102637986B1 (ko) | 냉각 특성이 향상된 컵 | |
KR200476250Y1 (ko) | 보관체가 구비된 병 | |
CN217524512U (zh) | 水杯 | |
KR20150000881U (ko) | 아이스 홍시 포장용기용 아이스 포장박스 | |
KR102101423B1 (ko) | 물병 보냉용기 | |
CN216797248U (zh) | 取物勺 | |
KR200448121Y1 (ko) |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 |
CN213263429U (zh) | 一种具有分区结构的一次性塑料打包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