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41Y1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7441Y1 KR200467441Y1 KR2020110006157U KR20110006157U KR200467441Y1 KR 200467441 Y1 KR200467441 Y1 KR 200467441Y1 KR 2020110006157 U KR2020110006157 U KR 2020110006157U KR 20110006157 U KR20110006157 U KR 20110006157U KR 200467441 Y1 KR200467441 Y1 KR 2004674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ortable terminal
- delete delete
- support
- wireless char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이 본체에 회동장치를 매개로 연결되고 본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이 제1지지부에 연결되어 본체와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각종 동영상 매체의 시청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 접촉 단자를 통한 기존의 접촉 충전 방식이 아닌 무접촉의 무선 충전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통한 동영상(또는 사진) 매체를 시청하기에 편리하도록 세로 보기 및 가로 보기가 가능하게 하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더욱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점차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함께 동영상 매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시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전장치는 충전 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며, 유선으로만 충전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항상 세로 보기 방향으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충전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나타난 화면을 보다 광폭으로 보기를 원하는 가로 보기 본능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통한 동영상 매체를 시청하기에 편리하도록 세로 보기 및 가로 보기가 가능하게 하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장치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케이스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및 각종 동영상 매체의 시청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 접촉 단자를 통한 기존의 접촉 충전 방식이 아닌 무접촉의 무선 충전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서 X축 방향은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이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120); 이 본체(120)에 회동장치(141)를 매개로 연결되어 본체(12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40); 및 이 제1지지부(140)에 연결되어 본체(120)와 제1지지부(14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20)는 휴대 단말기(10)의 형상에 맞춰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다. 사실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본체(1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120) 상에 놓인다. 본체(120)의 받침면(1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122)이 받침면(1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123)이 받침면(1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122, 1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121)에 놓을 때, 항상 본체(120)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체(120)의 받침면(1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1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1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에는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놓여 충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20)는 제1정류부(29), 고주파 발생회로(28), 1차 코일(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27 ~ 29)은 모두 전술한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특히 본체(120) 내에 내장된 1차 코일(27)은 받침면(121)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배터리 팩(20)은 2차 코일(21), 제2정류부(22), 배터리(23) 등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팩(20)은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된 상태이거나 별도로 분리된 상태이다. 또한, 2차 코일(21)과 제2정류부(22) 등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는 배터리 팩(20) 내에 2차 코일(21), 제2정류부(22), 배터리(23) 등이 포함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팩(20)이 없이 휴대 단말기(10) 내에 2차 코일(21)과 제2정류부(22)가 구비되고, 배터리(23)는 제2정류부(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10)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는 구조여도 된다.
본체(120)는 외부의 상용 전원(30)을 이용하여 1차 코일(27)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배터리 팩(20)은 1차 코일(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2차 코일(21)에 생성된 유도전류를 제2정류부(22)를 경유하여 배터리(23)에 제공한다. 본체(10)에 공급되는 상용 전원(30)은 주로 상용 교류 전원이지만, 경우에 따라 직류 전원일 수도 있다.
본체(120)는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전류를 공급받는다. 제1정류부(29)는 이 교류전류를 입력받아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고주파 발생회로(28)는 제1정류부(29)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아 고주파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1차 코일(27)은 고주파 발생회로(28)가 출력한 교류전류를 입력받아 자계를 발생시킨다.
만일, 본체(120)에 공급되는 전원이 고주파 발생회로(28)를 구동시키기에 적절한 직류 전원일 경우, 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류는 바로 고주파 발생회로(28)로 제공된다. 이때는 제1정류부(29)가 불필요해진다.
본체(120)의 1차 코일(27)에서 자계가 발생하면, 배터리 팩(20)의 2차 코일(21)은 1차 코일(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한다. 제2정류부(22)는 2차 코일(21)에서 생성된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배터리(23)는 제2정류부(22)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본체(120)의 1차 코일(27)에 발생한 자계에 의해 배터리 팩(20)의 2차 코일(21)에서 유도전류가 생성되어 배터리(23)에 충전되는 방식이다.
한편,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의하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배터리 팩(20)이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될 때 배터리 팩(20)은 휴대 단말기(10)의 내부회로와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1지지부(1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회동장치(141)를 매개로 하여 본체(120)와 연결되고 이 본체(12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부(140)는 본체(120)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거치된 휴대 단말기(10)에 안정감과 보기 편한 각도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40)는 힌지(161)에 의해 제2지지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회동장치(161)는 플랜지를 갖춘 핀부재와 링부재로 구성되거나, 구형상의 피봇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장치(161)로 인해, 휴대 단말기(10)가 놓인 본체(120)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본체(120)가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어서 휴대하기에도 편리한 부가적 장점이 제공된다.
제2지지부(16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제1지지부(140)와 연결되고 이 제1지지부(14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지지부(160)는 힌지(161)에 의해 제1지지부(14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161)로 연결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6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제1지지부(140)를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지지부(160)에 대한 제1지지부(14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16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부(160)는 저면에 자석이나 양면 테이프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를 임의의 장소에 부착시켜 장착할 수도 있다. 제2지지부(160)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30)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는, 제2지지부(160)와 제1지지부(140)를 통과하여 본체(1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의 인가에 따른 LED(1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또는 사진)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하면 본체(120)를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10)를 가로 보기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220); 및 이 본체(220)에 연결되어 본체(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220)는 힌지(241)에 의해 지지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22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훨씬 크게 확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본체(2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220) 상에 놓인다. 본체의 받침면(2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222)이 받침면(2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223)이 받침면(2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222, 2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세로걸림턱(223)은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221)에 놓을 때, 가능한 본체(220)에 내장된 1차 코일(27; 도 3 참조) 상에 휴대 단말기(10)의 2차 코일(21; 도 3 참조)이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본체(220)의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체(220)의 받침면(2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2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2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서, 예컨대 본체(220)의 오른쪽 하측에 단일한 1차 코일(27)이 내장되면 2차 코일(21)은 배터리 팩(20) 내 하측의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223)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선정과 코일들의 중심맞춤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230)가 선택적으로 본체(2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센서(230)로는 홀센서 또는 광학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홀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상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미도시)이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나 배터리 팩(20)이 본체(2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자석의 자력이 홀센서에 영향을 미쳐 홀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2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위치센서(230)로 광학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본체(220)에는 수광센서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나 배터리 팩(20)이 본체(2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발광센서로부터 나온 빛이 수광센서에 영향을 미쳐 수광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2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2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지부(2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220)와 연결되고 이 본체(2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40)는 힌지(241)에 의해 본체(2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241)로 연결된 본체(220)와 지지부(2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2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240)에 대한 본체(2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2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240)는 저면에 자석이나 양면 테이프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를 임의의 장소에 부착시켜 장착할 수도 있다. 지지부(240)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30)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는, 지지부(240)를 통과하여 본체(2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2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320); 및 이 본체(320)에 연결되어 본체(320)를 지지하는 지지부(3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320)는 힌지(341)에 의해 지지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320)는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훨씬 크게 확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 본체(3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320) 상에 놓인다. 본체의 받침면(3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X축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322)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Y축 방향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323)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턱(322, 323)은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또는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각각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 본체(320)의 중심을 지나는 Y축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세로받침(325a)과, 본체(320)의 중심을 지나는 X축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상기 거리(D)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가로받침(325b)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받침턱(325)이 받침면(32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때 받침턱(325)은 휴대 단말기(10)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321)에 놓을 때, 가능한 본체(320)의 중심에 내장된 1차 코일(27; 도 3 참조) 상에 휴대 단말기(10)의 2차 코일(21; 도 3 참조)이 놓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가 본체(320)의 바깥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체(320)의 받침면(321)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본체(3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3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서, 예컨대 본체(320)의 중심에 단일한 1차 코일(27)이 내장되면 2차 코일(21)은 배터리 팩(20) 내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323)과 받침턱(325)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본체(3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위치선정과 코일들의 중심맞춤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330)가 선택적으로 본체(3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센서(330)로는 홀센서 또는 광학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3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320)와 연결되고 이 본체(3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340)는 힌지(341)에 의해 본체(3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341)로 연결된 본체(320)와 지지부(3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3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340)에 대한 본체(3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3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는, 지지부(340)를 통과하여 본체(3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3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3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 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는 상용 전원(30; 도 3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420); 및 이 본체(420)에 연결되어 본체(420)를 지지하는 지지부(4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420)는 힌지(441)에 의해 지지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420)는 휴대 단말기(10)의 형상에 맞춰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 본체(420)는 자계발생장치로 작용하며, 배터리 팩(20; 도 3 참조)이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420) 상에 놓인다. 본체(420)의 받침면(421)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면(423)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가로걸림턱(422)이 선단면(42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 팩(20)이나 휴대 단말기(10)를 받침면(421)에 놓을 때, 항상 본체(420)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가로 보기로 이용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10)가 선단면(423)을 가로질러 놓이되 가로걸림턱(422)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무선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본체(420)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42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21)의 축 방향은 1차 코일(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의하면 1차 코일(27)과 2차 코일(21)의 중심맞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부(44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체(420)와 연결되고 이 본체(420)를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440)는 힌지(441)에 의해 본체(4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441)로 연결된 본체(420)와 지지부(440)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본체(4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440)에 대한 본체(420)의 경사각은 조절이 가능하며 적어도 2단 이상의 경사단계를 갖도록 힌지(44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는, 지지부(440)를 통과하여 본체(420) 내 1차 코일(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4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400)에 거치된 채로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10)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가로 보기를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일측 선단을 가로걸림턱(422)에 맞추어 올려놓고 통화 및 시청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를 거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100 ~ 4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는, 휴대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는 케이스(510); 상용 전원(30; 도 12 참조)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와 케이스(510)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520); 및 이 본체(520)에 연결되어 본체(520)를 지지하는 지지부(5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520)는 힌지(541)에 의해 지지부(54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 300)에서, 위치센서(230, 330)로 홀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의 내부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장착시키면 사용자의 다른 전자기기나 신용카드 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고, 위치센서(230, 330)로 광학센서 등과 같은 소자를 적용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 또는 배터리 팩(20) 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설계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서는, 휴대 단말기(10)를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 올려놓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510)가 추가되는 것이다.
케이스(510)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에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홈(511) 내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 도 1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5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10)는 책의 표지 또는 수첩의 케이스 등과 같이 덮개를 갖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케이스(510)에는, 본체(520) 내에 설치된 위치센서(530)가 홀센서인 경우에 이 홀센서를 작동하게 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미도시)이 상응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 및 케이스(510)가 본체(520) 상의 정위치에 놓이면 자석의 자력이 홀센서에 영향을 미쳐 홀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5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5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위치센서(530)로 광학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510)의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본체(520)에는 수광센서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 및 케이스(510)가 본체(520) 상에서 정위치에 놓이면 발광센서로부터 나온 빛이 수광센서에 영향을 미쳐 수광센서로부터 후술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LED(524)에 점등신호를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본체(5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맞춤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서, 본체(520) 및 지지부(540)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200, 300)와 동일하다. 예시를 위해 도 1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서 미설명부호 522는 가로걸림턱을 표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520)에는 케이스(510)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10)가 놓여 충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520)는 제1정류부(525), 고주파 발생회로(526), 1차 코일(5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525 ~ 527)은 모두 본체(52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510)는 2차 코일(513), 제2정류부(514)로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10)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는 배터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2차 코일(513), 제2정류부(514) 등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520)는 외부의 상용 전원(30)을 이용하여 1차 코일(527)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케이스(510)는 1차 코일(527)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2차 코일(513)에 생성된 유도전류를 제2정류부(514)를 경유하여 휴대 단말기(10)에 있는 배터리(23)에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는 연결단자(512)를 매개로 하여 제2정류부(514)가 출력한 직류전류를 공급받는다. 본체(520)에 공급되는 상용 전원(30)은 주로 상용 교류 전원이지만, 경우에 따라 직류 전원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본체(520)의 1차 코일(527)에 발생한 자계에 의해 케이스(510)의 2차 코일(513)에서 유도전류가 생성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23)에 충전되는 방식이다.
한편,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은 수 회 내지 수십 회 감겨진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2차 코일(513)의 축 방향은 1차 코일(527)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은 충분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해 있어야 적절한 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의 중심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1차 코일(527)과 2차 코일(513)의 중심맞춤은 세로걸림턱(523) 또는 받침턱(미도시)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는, 지지부(540)를 통과하여 본체(520) 내 1차 코일(527)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 중에는 휴대 단말기(10)에 맞는 최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어부가 전원 인가에 따른 LED(524)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는 케이스(510)가 개재된 채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500)에 거치되어 충전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종 동영상 매체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쉽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위치센서(230, 330)가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의 본체(120, 420) 내에 위치센서가 내장됨으로써, 본체(120, 420)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사용되는 케이스(310)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는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의 본체 내에 위치센서가 내장되는 경우에 본체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10 : 휴대 단말기
20 : 배터리 팩
30 : 상용 전원
120, 220, 320, 420, 520 : 본체
140 : 제1지지부
160 : 제2지지부
230, 330, 530 : 위치센서
240, 340, 440, 540 : 지지부
510 : 케이스
10 : 휴대 단말기
20 : 배터리 팩
30 : 상용 전원
120, 220, 320, 420, 520 : 본체
140 : 제1지지부
160 : 제2지지부
230, 330, 530 : 위치센서
240, 340, 440, 540 : 지지부
510 : 케이스
Claims (29)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 가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제1정류부, 고주파 발생회로 및 1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2차 코일과 제2정류부를 구비하고,
배터리가 상기 제2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상기 가로걸림턱 및 상기 세로걸림턱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하여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의 중심맞춤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힌지가 개재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세로받침과,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상기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가로받침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턱이 돌출하여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삭제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선정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홀센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광학센서인 수광센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발광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삭제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용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입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 1차 코일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코일의 축 방향과 상기 2차 코일의 축 방향은 동일한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ko) | 2011-07-06 | 2011-07-06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ko) | 2011-07-06 | 2011-07-06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358U KR20130000358U (ko) | 2013-01-16 |
KR200467441Y1 true KR200467441Y1 (ko) | 2013-06-14 |
Family
ID=5242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6157U KR200467441Y1 (ko) | 2011-07-06 | 2011-07-06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441Y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149B1 (ko) * | 2013-06-18 | 2015-01-26 | 주식회사 대동 |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
KR20150069952A (ko) * | 2013-12-16 | 2015-06-24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1819855B1 (ko) * | 2017-02-20 | 2018-01-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거치대 |
KR20180108317A (ko) * | 2017-03-24 | 2018-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거치 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
US10135304B2 (en) | 2013-09-05 | 2018-11-20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KR20200135748A (ko) * | 2013-12-16 | 2020-12-0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20168052A (ko) * | 2021-06-15 | 2022-12-22 | 유광용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KR20230014213A (ko) | 2021-07-21 | 2023-01-30 | 김성윤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 |
KR20230024021A (ko) | 2021-08-11 | 2023-02-20 |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 무선충전기 |
WO2023080415A1 (ko) * | 2021-11-03 | 2023-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1763703B2 (en) | 2021-11-03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4944B1 (ko) * | 2013-02-06 | 2019-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충전장치 |
WO2014181909A1 (ko) * | 2013-05-07 | 2014-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
KR102019869B1 (ko) * | 2013-05-10 | 2019-09-10 |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 주름형 무선 충전기 |
KR101443007B1 (ko) * | 2014-01-15 | 2014-09-23 | (주)디아이디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
KR20150115256A (ko) * | 2014-04-03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충전장치 |
KR101579683B1 (ko) * | 2014-05-30 | 2015-12-22 | 추진우 | 스마트폰 충전독 |
KR102059810B1 (ko) | 2014-10-10 | 2019-12-30 | 주식회사 위츠 | 무선충전장치 |
CN106786920B (zh) * | 2015-02-16 | 2019-10-29 | 李明渊 | 无线充电式移动电源 |
KR101707119B1 (ko) | 2015-06-08 | 2017-02-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KR101699621B1 (ko) * | 2015-09-10 | 2017-01-24 | 정규홍 | 무선 충전용 연결 장치 |
WO2017069326A1 (ko) * | 2015-10-21 | 2017-04-27 | 권의준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KR101702244B1 (ko) * | 2015-12-09 | 2017-02-02 | 정규홍 | 무선 충전 장치 |
KR102093478B1 (ko) * | 2018-11-09 | 2020-04-20 | (주)파트론 | 무선충전기 |
CN109217440B (zh) * | 2018-11-21 | 2024-01-19 | 东莞市浩力升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兼做手机支架用的无线充电器 |
US11070098B2 (en) | 2019-01-16 | 2021-07-20 | Google Llc | Wireless charger with adaptive alignment assistance |
KR20210044421A (ko) * | 2019-10-15 | 2021-04-23 | 주식회사 팝폰 |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
KR102320154B1 (ko) * | 2019-11-28 | 2021-11-29 | 주식회사 드리온 | 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
JP2022116899A (ja) * | 2021-01-29 | 2022-08-10 | Tdk株式会社 | コイ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ホルダ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0651A (ko) * | 2002-11-07 | 2004-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
KR20070015264A (ko) * | 2005-07-30 | 2007-02-02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
-
2011
- 2011-07-06 KR KR2020110006157U patent/KR2004674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0651A (ko) * | 2002-11-07 | 2004-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
KR20070015264A (ko) * | 2005-07-30 | 2007-02-02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149B1 (ko) * | 2013-06-18 | 2015-01-26 | 주식회사 대동 |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
US10135304B2 (en) | 2013-09-05 | 2018-11-20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US10923965B2 (en) | 2013-09-05 | 2021-02-16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KR102261384B1 (ko) | 2013-12-16 | 2021-06-09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2182669B1 (ko) * | 2013-12-16 | 2020-11-26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00135748A (ko) * | 2013-12-16 | 2020-12-0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150069952A (ko) * | 2013-12-16 | 2015-06-24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1819855B1 (ko) * | 2017-02-20 | 2018-01-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거치대 |
KR20180108317A (ko) * | 2017-03-24 | 2018-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거치 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
KR102380348B1 (ko) * | 2017-03-24 | 2022-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거치 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
KR20220168052A (ko) * | 2021-06-15 | 2022-12-22 | 유광용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KR102570376B1 (ko) * | 2021-06-15 | 2023-08-25 | 유광용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KR20230014213A (ko) | 2021-07-21 | 2023-01-30 | 김성윤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 |
KR20230024021A (ko) | 2021-08-11 | 2023-02-20 |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 무선충전기 |
WO2023080415A1 (ko) * | 2021-11-03 | 2023-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1763703B2 (en) | 2021-11-03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358U (ko) | 201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7441Y1 (ko)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
US10389160B2 (en) | Car charger and cradle with wireless charging connectivit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 |
US9118195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 |
US8143850B2 (en) | Inductive charger battery replacement system and device | |
KR101285084B1 (ko) |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 |
WO2019142807A1 (ja) | 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ッテリーと給電システム | |
TWM493192U (zh) |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 |
CN105305525B (zh) | 无线充电装置 | |
KR101443007B1 (ko)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 |
JP2012019666A (ja) | ワイヤレス充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 |
KR101266446B1 (ko) | 유무선 겸용 충전기 | |
JP2004260917A (ja) | 非接触式電力送電装置 | |
JP6102946B2 (ja) | 携帯端末及びその非接触充電方法 | |
JP5490626B2 (ja) | 充電装置 | |
JP2015517293A (ja) | 自動位置調整無線充電器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方法 | |
JP2014087137A (ja) | 無接点充電器 | |
KR20170028137A (ko) |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 |
KR20160145963A (ko) |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 |
KR20140062837A (ko) |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 |
KR101571552B1 (ko) |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 |
KR20170020058A (ko) |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 |
KR101259784B1 (ko) |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 |
KR20170142738A (ko) | Usb 유무선 하이브리드 충전기 | |
CN104426193A (zh) | 无线充电装置 | |
US20220035170A1 (en) |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access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