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55Y1 - 트롤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롤리 록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955Y1 KR200465955Y1 KR2020120010137U KR20120010137U KR200465955Y1 KR 200465955 Y1 KR200465955 Y1 KR 200465955Y1 KR 2020120010137 U KR2020120010137 U KR 2020120010137U KR 20120010137 U KR20120010137 U KR 20120010137U KR 200465955 Y1 KR200465955 Y1 KR 2004659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lley
- locking device
- bolt shaft
- running rail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롤리를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locking)시킬 수 있게 하여 트롤리의 작업편이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안전성을 확보하는 등 여러 이점을 도모할 수 있게 한 트롤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2,2')에 휠(3,3')이 결합되어 주행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에 고정시키는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록킹장치는; 체인휠(4)의 볼트샤프트(5)를 상기 트롤리(1)의 프레임(2,2')에 결합하여 체인휠(4)의 회전구동으로 볼트샤프트(5)를 이동시켜 볼트샤프트(5)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수직몸체(101)에 고정시킴으로써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2,2')에 휠(3,3')이 결합되어 주행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에 고정시키는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록킹장치는; 체인휠(4)의 볼트샤프트(5)를 상기 트롤리(1)의 프레임(2,2')에 결합하여 체인휠(4)의 회전구동으로 볼트샤프트(5)를 이동시켜 볼트샤프트(5)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수직몸체(101)에 고정시킴으로써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트롤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롤리를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locking)시킬 수 있게 하여 트롤리의 작업편이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안전성을 확보하는 등 여러 이점을 도모할 수 있게 한 트롤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는 주행레일(트롤리레일, 이하 주행레일이 한다.)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박이나 자동차 조립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부품이나 물품 등의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용도와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트롤리는 주행레일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정해진 위치에서 부품조립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는 미사용시 등에 주행레일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장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선박에서 트롤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도에 의해 선체가 기울어지는 환경에서 선박의 움직임에 따라 트롤리가 주행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유동됨으로써 트롤리 및 주행레일의 파손과 고장우려는 물론 작업자의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기존에는 주행레일의 양 끝단에 스톱퍼훅크를 설치하여 트롤리를 주행레일 양 끝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트롤리 록킹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주행레일(10)의 좌우 양 끝단에 스톱퍼훅크(11,11')를 설치하여 트롤리(1)의 프레임(2,2')에 형성된 고정고리(12,12')에 스톱퍼훅크(11,11')를 걸어서 주행레일(10) 양 끝단에 트롤리(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기존 트롤리 록킹장치는 트롤리(1)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주행레일(10) 양 끝단에 갖추어져 있어 트롤리(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양 끝단으로 이동시켜야만 하고 또 이에 따라 주행레일(10) 양 끝단에 서만 트롤리(1)를 고정시킬 수 있어 주행레일(10) 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트롤리(1)를 고정시켜놓고 작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 트롤리 고정장치는 트롤리(1)를 주행레일(10) 양 끝단으로 이동시킨후 주행레일(10) 양 끝에서만 고정시킬 수 있고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이 기존의 트롤리 고정장치는 반드시 주행레일(10)의 양 끝단에서만 트롤리(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중량물을 매달고 있는 트롤리(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놓고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등 작업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 미사용시에도 역시 작업환경 등의 여러 여건에 따라(주행레일의 양 끝단에 트롤리를 고정시켜 놓기 곤란한 경우에도) 주행레일(10) 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트롤리(1)를 고정시켜 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참고문헌1에는 트롤리가 이동되는 주행레일 상에 안전걸림턱을 형성하여 트롤리가 주행레일에서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안전장치가 부설된 트롤리가 게재되어 있고,
참고문헌2에는 타워크레인의 트롤리를 이송시키는 와이어 로프가 작업중 끊어지면 트롤리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타워크레인의 트롤리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트롤리에 설치된 체인휠의 회전구동으로 클램프를 주행레일에 밀착시켜 트롤리를 주행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주행레일 상의 어느 위치에나 간단하게 트롤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트롤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 등에 설치된 트롤리가 선체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파손, 고장 및 안전사고의 우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트롤리를 고정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에 휠이 결합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트롤리를 주행레일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록킹장치는; 체인휠의 볼트샤프트를 상기 트롤리의 프레임에 결합하여 체인휠의 회전구동으로 볼트샤프트를 이동시켜 볼트샤프트로 트롤리를 주행레일의 수직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트롤리를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체인휠의 볼트샤프트는 샤프트에 볼트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트샤프트는 트롤리 프레임의 너트브라켓에 나사결합하여 체인휠의 회전구동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볼트샤프트 끝에는 클램프를 형성하여 주행레일의 수직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휠은 체인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트롤리에 설치된 체인휠을 회전구동시켜 클램프를 주행레일에 밀착시켜 주행레일 상의 어느 위치나 간단하게 트롤리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트롤리를 주행레일에 고정으로 선박 등에 설치된 트롤리가 선체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파손, 고장은 물론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서 간단하게 트롤리를 고정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트롤리의 작업 효율성 제고와 작동안정성 향상 및 작업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이익과 효과가 있다.
도 1, 2는 기존의 트롤리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 7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 7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본 고안은 주행레일의 어느 위치에서나 트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하여 트롤리를 주행레일의 원하는 위치에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트롤리는 양측 프레임에 휠이 결합되어 형상의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트롤리는 양측 프레임에 휠이 형성되어 트롤리가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종 부품 등의 중량물을 운ㅂ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트롤리에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록킹장치는 트롤리의 프레임에 체인휠을 회전구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체인휠의 볼트샤프트에 클램프를 형성하여 상기 클램프가 주행레일의 몸체에 밀착되어 트롤리를 주행레일 상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 7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부호 중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도 1, 도 2의 기존 트롤리 록킹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트롤리(1)는 프레임(2,2')에 휠(3,3')이 결합되고 프레임(2,2')의 휠(3,3')은 주행레일(10)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트롤리(1)가 주행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종 부품 등의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트롤리(1)의 구성은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록킹장치는 트롤리(1)의 일측 프레임(2)에 체인휠(4)을 체인(9)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체인휠(4)은 어느 일측 프레임(2.2')에 너트브라켓(6)을 형성하여 여기에 체인휠(4)의 볼트샤프트(5)를 나사결합한다. 상기 볼트샤프트(5)는 샤프트에 볼트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의 너트브라켓(6)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한 볼트샤프트(5)는 너트브라켓(6)에 나사결합하여 체인휠(4)의 회전구동으로 너트브라켓(6)에 안내되어 직선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의 너트브라켓(6)에 안내되는 볼트샤프트(5)의 끝에는 주행레일(10)의 수직 몸체(101)에 밀착되는 클램프(7)를 고정결합한다.
상기 클램프(7)는 볼트샤프트(5) 끝에 볼트샤프트(5)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아이들(IDLE)결합하고 분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냅링(8) 등으로 고정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7)는 내마모성과 마찰계수가 우수한 재질로 실시하여 주행레일(10)의 수직 몸체(101)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밀착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립을 방지하고 보다 강력한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밀착면에 요철 등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램프(7)를 볼트샤프트(5)의 끝에 고정시키는 스냅링(8) 역시 등가의 여러 수단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어느 위치 위치에서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트롤리(1)를 작업 도중에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미사용시에 주행레일(10)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트롤리(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체인(9)으로 체인휠(4)을 일방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면 프레임(2)의 너트브라켓(6)에 나사결합된 볼트샤프트(5)의 끝단 클램프(7)가 주행레일(10)의 수직몸체(101)에 밀착고정되어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7)에 의해 주행레일(10)에 고정된 트롤리(1)는 이동이 불가한 상태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트롤리(1)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트롤리(1)는 주행레일(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박의 움직임 등에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제 위치를 고수하게 되므로 선체의 기울기 등으로 주행레일(10)상의 트롤리(1)가 유동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파손, 고장 및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트롤리(1)의 이동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체인(9)으로 체인휠(4)을 전술한 예와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주행레일(10)의 수직몸체(101)에 밀착된 클램프(7)를 분리시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트롤리(1)의 고정상태를 간단히 해제함으로써 트롤리(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트롤리
10:주행레일 11,11':스톰퍼후크
12,12':고정고리
2,2':프레임 3,3':휠
4:체인휠 5:볼트샤프트(Blot Shaft)
6:너트브라켓(Nut Bracket) 7:클램프(Clamp)
8:스냅링 9:체인
1: 트롤리
10:주행레일 11,11':스톰퍼후크
12,12':고정고리
2,2':프레임 3,3':휠
4:체인휠 5:볼트샤프트(Blot Shaft)
6:너트브라켓(Nut Bracket) 7:클램프(Clamp)
8:스냅링 9:체인
Claims (3)
- 프레임(2,2')에 휠(3,3')이 결합되어 주행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트롤리(1)를 주행레일(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트롤리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록킹장치는; 체인휠(4)의 볼트샤프트(5)를 상기 트롤리(1)의 프레임(2,2')에 결합하여 체인휠(4)의 회전구동으로 볼트샤프트(5)를 이동시켜 볼트샤프트(5)로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수직몸체(101)에 고정시킴으로써 트롤리(1)를 주행레일(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록킹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휠(4)의 볼트샤프트(5)는 샤프트에 볼트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트샤프트(5)는 트롤리(1) 프레임(2,2')의 너트브라켓(6)에 나사결합하여 체인휠(4)의 회전구동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볼트샤프트(5)의 끝에는 클램프(7)를 결합하여 주행레일(10)의 수직 몸체(101)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록킹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휠(4)은 체인(9)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록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137U KR200465955Y1 (ko) | 2012-11-07 | 2012-11-07 | 트롤리 록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137U KR200465955Y1 (ko) | 2012-11-07 | 2012-11-07 | 트롤리 록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5955Y1 true KR200465955Y1 (ko) | 2013-03-25 |
Family
ID=5138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0137U KR200465955Y1 (ko) | 2012-11-07 | 2012-11-07 | 트롤리 록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95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5361U (ko) * | 2013-04-08 | 2014-10-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
KR20150044536A (ko) * | 2013-10-17 | 2015-04-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록킹기능을 갖는 빔 트롤리 |
KR101641908B1 (ko) | 2015-08-10 | 2016-07-22 | 주식회사 토시스 | 트롤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033Y1 (ko) * | 1994-10-31 | 1997-03-17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천정기중기의 안전스토퍼장치 |
KR200387473Y1 (ko) * | 2005-03-17 | 2005-06-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행거조립체 |
KR20100070228A (ko) * | 2008-12-17 | 2010-06-25 | 국방과학연구소 | 대차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대차 |
-
2012
- 2012-11-07 KR KR2020120010137U patent/KR20046595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033Y1 (ko) * | 1994-10-31 | 1997-03-17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천정기중기의 안전스토퍼장치 |
KR200387473Y1 (ko) * | 2005-03-17 | 2005-06-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행거조립체 |
KR20100070228A (ko) * | 2008-12-17 | 2010-06-25 | 국방과학연구소 | 대차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대차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5361U (ko) * | 2013-04-08 | 2014-10-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
KR200485249Y1 (ko) * | 2013-04-08 | 2017-12-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
KR20150044536A (ko) * | 2013-10-17 | 2015-04-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록킹기능을 갖는 빔 트롤리 |
KR101599222B1 (ko) * | 2013-10-17 | 2016-03-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록킹기능을 갖는 빔 트롤리 |
KR101641908B1 (ko) | 2015-08-10 | 2016-07-22 | 주식회사 토시스 | 트롤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48539A1 (en) | Work platform rail system | |
KR200465955Y1 (ko) | 트롤리 록킹장치 | |
CN101708723B (zh) | 矿用索道大坡度静态上下车装置 | |
CN201545611U (zh) | 可伸缩吊具 | |
CN203855325U (zh) | 重轨用桥式磁盘起重机 | |
CN102421967A (zh) | 用于运输钢轨的轨行装载列车 | |
CN202609814U (zh) | 自转向起吊输送设备 | |
CN103171975A (zh) | 边坡工程物料运输的一种方法 | |
KR20160025833A (ko) | 천정 크레인 | |
CN201209078Y (zh) | 摩擦提升机防滑装置 | |
CN207535899U (zh) | 一种大坡度斜井用有轨平板车 | |
CN103407550A (zh) | 一种手轮掣锚器 | |
CN202897813U (zh) | 一种行车吊钩 | |
CN204737620U (zh) | 一种高平稳性电动小车 | |
KR20150014187A (ko) |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 |
CN212921485U (zh) | 一种防踏空装置和列车车站 | |
CN204873461U (zh) | 一种行车吊钩装置 | |
KR20130003470U (ko) | 케이블드럼 이동장치 | |
CN202701716U (zh) | 一种万向接轴铜滑块的安装组件 | |
CN204999125U (zh) | 一种载货车及其载货装置 | |
CN201553145U (zh) | 凸轨式矿用索道大坡度可静态上下车活动抱索器 | |
KR101487682B1 (ko) | 트롤리 | |
KR101460009B1 (ko) | 트롤리 | |
CN202756582U (zh) | 一种防掉绳装置 | |
CN204281060U (zh) | 一种改进的行车吊钩防脱钩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