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2929Y1 -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29Y1
KR200412929Y1 KR2020060001658U KR20060001658U KR200412929Y1 KR 200412929 Y1 KR200412929 Y1 KR 200412929Y1 KR 2020060001658 U KR2020060001658 U KR 2020060001658U KR 20060001658 U KR20060001658 U KR 20060001658U KR 200412929 Y1 KR200412929 Y1 KR 200412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chamber
water supply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기
Original Assignee
김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기 filed Critical 김철기
Priority to KR2020060001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 스팀재킷 내의 고압 고온에 의한 증기열을 통해 의료용 기기나 용품을 멸균 및 소독하는 멸균실의 챔버와,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라인 상에 구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있어서; 물공급라인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보일러에 급수되게 하되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유입하여 상기 보일러의 급수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압 고온의 증기 배출시에는 저온상태로 냉각시켜 배출되게 하는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치에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를 부합시킴에 의해 리사이클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멸균실의 챔버(chamber)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순환시켜 멸균처리에 재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급수의 부족분에 대해서만 그때그때 충진할 수 있게 하므로 기존에 비해 물의 사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하며 장치의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효율성을 구비되게 한다.

Description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WATER SAVING TYP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물공급라인 2: 급수라인
3: 공기유입라인 4: 분기라인
10: 챔버 11: 스팀재킷
20: 보일러 21: 히터
22: 온도센서 23: 보일러수위감지센서
30: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 31: 탱크수위감지센서
40: 급수펌프 60: 공기필터
80: 이젝터
CHK1,2: 체크밸브 SOL1~6: 솔레노이드밸브
PASS1~4: 수동밸브 TRAP1,2: 트랩밸브
본 고안은 의료용 기기나 물품의 멸균 및 소독에 사용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멸균실의 챔버(chamber)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멸균을 위한 물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멸균기는 병원 등에서 행해지는 수술이나 환자의 치료를 위한 도구, 즉 가위나 메스 등의 수술도구나 치료도구 등의 각종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과 같은 의류제품 등의 의료용 물품을 멸균 및 소독하여 무균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고압(고온)의 증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를 살펴보면,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어판넬의 각종 제어스위치를 멸균대상물에 따라 선택하여 멸균온도 및 압력과 멸균시간 등의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급수과정, 가열과정, 멸균과정, 배기과정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급수와 가열, 멸균, 배기 및 건조의 과정을 단순하게 반복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물공급라인으로부터 직접 보일러로 물을 급수되게 하고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킨 다음 멸균실의 챔버로 보내 멸균처리를 수행되게 하며 멸균처리 후나 챔버측 진공상태 및 압력 조절시 고압 고온의 증기를 배기시켜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의하면, 물공급라인과 보일러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급수에 따른 물의 공급량이 많이 소비되는 시스템이며, 특히 챔버에서 배기되는 증기를 배수라인을 통해 바로 배출 처리하므로 그때마다 물공급라인으로부터 급수가 수행되어져야하고 이는 물의 다량 소비로 이어져 장치 사용의 경제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또한, 챔버측 고압 고온의 증기를 배기시 고온의 증기가 바로 배수라인으로 배출되므로 인하여 통상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는 배수라인이 녹아버리는 등 고온증기의 배출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멸균실의 챔버(chamber)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멸균처리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물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배기되는 증기의 회수에 대한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배수라인을 통한 배출시 냉각을 통해 저온상태로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팀재킷 내의 고압 고온에 의한 증기열을 통해 의료용 기기나 용품을 멸균 및 소독하는 멸균실의 챔버와,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라인 상에 구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있어서; 물공급라인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보일러에 급수되게 하되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유입하여 상기 보일러의 급수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압 고온의 증기 배출시에는 저온상태로 냉각시켜 배출되게 하는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에는 탱크 내 수위를 감지하는 저접점형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을 분기하되 이 분기라인 상에 이젝터를 구비하여 상기 스팀재킷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는 고압 고온의 증기열을 통해 의료용 기기나 물품을 멸균 및 소독하는 멸균실의 챔버(10)와, 상기 챔버(10)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20)와, 상기 보일러(2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물공급라인(1)으로부터 공급받음과 함께 상기 챔버(10)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유입되게 하여 멸균처리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저온상태로 냉각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와,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측 물을 상기 보일러(20)로 공급되게 하는 급수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멸균실의 챔버(10)에는 스팀재킷(11)이 구비되며, 상기 보일러(20)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가열되고 멸균 및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챔버(10)에는 챔버 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 및 챔버 내 진공압력을 나타내는 챔버압력게이지(52)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온도센서(51) 및 챔버압력게이지(52)를 통한 챔버(10) 내부의 진공 배기시 체크밸브(CHK1)를 통해 한 방향으로 배기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챔버(10)에는 챔버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라인(3)이 연결되며, 이는 챔버(1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되게 함에 의해 챔버(10) 내 진공압력을 조절 및 해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멸균실인 챔버(10)의 용이한 개방을 위해서도 필요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라인(3) 상에는 공기필터(60)를 구비되게 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여과된 깨끗한 공기만이 챔버(10)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멸균 및 소독된 의료용 기기나 물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챔버(10)의 스팀재킷(11)에는 스팀재킷 내의 증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1) 및 증기압력을 나타내는 재킷압력게이지(72)가 연결 구성되며, 솔레노이드밸브(SOL1)의 작동을 통해 스팀재킷(11)의 증기를 챔버(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팀재킷(11)에는 트랩밸브(TRAP2) 및 수동밸브(PASS2)를 연결 구성하여 스팀재킷(11) 내 증기를 배기 처리토록 하되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보일러(20)는 급수라인(2)을 통해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보일러(20) 내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21)와 보일러 내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2) 및 보일러 내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보일러수위감지센서(23)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에는 탱크 내 수위를 감지하는 저접점형의 수위감지센서(31)를 구비되게 하여 탱크(30) 내에 급수를 위한 물이 항상 일정량 이상 채워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탱크(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에 있어서는 배출구를 유입구보다 더 낮은 위치로 형성시켜 외부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급수펌프(40)를 통해 보일러(2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2)에는 솔레노이드밸브(SOL5)가 연결된 분기라인(4)이 형성되며 이 분기라인(4) 상에 이젝터(80)를 구비함에 의해 상기 이젝터(80)를 통한 물의 분출로 상기 챔버(10)로부터 배기되는 진공압 및 스팀재킷(11)으로부터 배기되는 증기를 흡인하여 이들이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멸균실인 챔버(10) 내에 의료용 기기나 물품의 멸균대상물을 넣은 후 멸균대상물에 따라 제어판넬(미 도시됨)의 각종 제어스위치를 선택하여 멸균온도 및 압력과 멸균시간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게 한다. 이때,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는 물공급라인(1)을 통해 물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게 되는데, 수위감지센서(31)의 수위감지 및 물공급라인(1) 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SOL6)의 ON/OFF에 의해 물이 공급 및 중단되며, 탱크(30) 내 수위감지에 따라 저장된 물의 부족분에 대해서만 대응하여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장치의 가동시 물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급수펌프(40)에 의해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의 물이 급수라인(2)을 타고 보일러(20)로 급수되고, 수위감지센서(23)의 감지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OL4)가 OFF됨으로써 급수가 중단된다.
보일러(20)에서는 히터(21)의 가동을 통해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챔버(10)의 스팀재킷(11)으로 공급하며 챔버(10)의 내부 온도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될 때까지 공급되게 한다. 이때, 챔버(10)의 내부는 스팀재킷(11)의 증기압에 의해 진공 형성되고 스팀재킷(11)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열을 통해 멸균대상물을 멸균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챔버(10) 및 스팀재킷(11)에 연계된 온도센서(51)와 진공압력게이지 (52), 압력센서(71)와 증기압력게이지(72)를 통해 챔버(10) 내 진공 및 스팀재킷(11)의 증기를 배기 처리하거나 공기유입라인(3)을 통해 외부 공기를 챔버(10)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챔버(10) 내부에 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유지되게 하며 일정 시간동안 멸균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멸균과정이 완료되면, 챔버(10) 내의 진공을 배기 처리함과 동시에 스팀재킷(11) 내 고압 고온의 증기를 배기 처리하게 되는데, 챔버(10) 및 스팀재킷(11)에서 배기되는 진공 및 증기는 바로 배기시키지 않고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에 분기라인(4)에 설치한 이젝터(80)를 통해서 물을 분출시킴에 의해 배기되는 진공 및 고압 고온의 증기를 흡인하여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 유입되게 한다. 이는 증기의 회수에 따른 용이성을 부여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배기된 후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30)로 유입되는 고온의 증기는 탱크(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과 섞이게 되고 급수라인(2)을 통해 재공급되어 멸균처리에 사용되는 순환사이클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에 탱크(30) 수위가 일정량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증기가 유입되면 탱크(30)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수라인(5)으로 배출되어지는데, 유입된 고온의 증기는 탱크(30) 내에 저장된 물에 일단 섞인 후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냉각되어 저온상태로 배출되어진다.
또한, 배기과정과 동시에 스팀재킷(11)측 남아있는 고압 고온의 증기열에 의한 대류 열로 챔버(10) 내 멸균대상물측 건조가 진행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해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해석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의해 본 고안에 귀속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에 의하면, 장치에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를 부합시킴에 의해 리사이클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멸균실의 챔버(chamber)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순환시켜 멸균처리에 재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급수의 부족분에 대해서만 그때그때 충진할 수 있게 하므로 기존에 비해 물의 사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하며 장치의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효율성을 구비되게 한다.
또한, 이젝터의 구성을 통해서는 배기되는 증기를 탱크로 더욱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함이 있으며, 배기되는 고온의 증기 배출시 탱크의 저장된 물에 섞은 후 배출되게 하므로 냉각효과를 발휘되게 하며 저온상태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배수라인이 녹아버리는 등의 기존의 고온 배출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스팀재킷 내의 고압 고온에 의한 증기열을 통해 의료용 기기나 용품을 멸균 및 소독하는 멸균실의 챔버와,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라인 상에 구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있어서;
    물공급라인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보일러에 급수되게 하되 상기 챔버의 스팀재킷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유입하여 상기 보일러의 급수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압 고온의 증기 배출시에는 저온상태로 냉각시켜 배출되게 하는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에는 탱크 내 수위를 감지하는 저접점형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을 분기하되 이 분기라인 상에 이젝터를 구비하여 상기 스팀재킷에서 배기되는 고압 고온의 증기를 상기 물공급 및 증기회수탱크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KR2020060001658U 2006-01-19 2006-01-19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KR200412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58U KR200412929Y1 (ko) 2006-01-19 2006-01-19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58U KR200412929Y1 (ko) 2006-01-19 2006-01-19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29Y1 true KR200412929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58U KR200412929Y1 (ko) 2006-01-19 2006-01-19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07B1 (ko) 2009-05-29 2012-03-30 최병현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857215B1 (ko) * 2017-07-31 2018-05-11 메디파트너 주식회사 멸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2653B1 (ko) * 2017-12-05 2018-06-28 서우원 고온공기 및 수분의 동시공급 기능을 갖는 가스 멸균장치
KR20200002373A (ko) * 2018-06-29 2020-01-08 최현영 스팀저장탱크를 구비한 고압살균기 및 고압살균방법
KR20220064487A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챔버 고압 스팀 멸균 장치
KR20240003088A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증기 멸균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07B1 (ko) 2009-05-29 2012-03-30 최병현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857215B1 (ko) * 2017-07-31 2018-05-11 메디파트너 주식회사 멸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2653B1 (ko) * 2017-12-05 2018-06-28 서우원 고온공기 및 수분의 동시공급 기능을 갖는 가스 멸균장치
KR20200002373A (ko) * 2018-06-29 2020-01-08 최현영 스팀저장탱크를 구비한 고압살균기 및 고압살균방법
KR102222736B1 (ko) * 2018-06-29 2021-03-04 최현영 스팀저장탱크를 구비한 고압살균기 및 고압살균방법
KR20220064487A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챔버 고압 스팀 멸균 장치
KR102427908B1 (ko) * 2020-11-11 2022-08-03 주식회사 챔버 고압 스팀 멸균 장치
KR20240003088A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증기 멸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929Y1 (ko)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US9801963B2 (en) Steam sterilizer
KR101857215B1 (ko) 멸균기 및 그 제어 방법
CA2940649C (en) Washer/disinfector
CN103394106A (zh) 蒸汽消毒器及消毒工艺
KR20200121662A (ko) 고압증기멸균기 배관의 세척 장치
CN203417350U (zh) 蒸汽消毒器
ITMI980329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sterilizzazione a vapore in particolare per usi odontoiatrici
JP2010252880A (ja) 蒸気滅菌器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CN110464859B (zh) 一种排水管件、管路系统及医用清洗机
JP2010227485A (ja) 蒸気滅菌器およびその空気排除方法
KR101038273B1 (ko) 일체형 멸균 건조장치
JP3045560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CN208598829U (zh) 一种卡式灭菌器
KR101858174B1 (ko) 증기 멸균기용 절수장치
JP4883463B2 (ja) 蒸気滅菌装置
CN212522494U (zh) 一种低浓度甲醛灭菌系统
ATE437658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mpfsterilisation
JP2000084572A (ja) 調理殺菌装置の洗浄および洗浄水中和装置
JP5558290B2 (ja) 蒸煮装置
CN105980071B (zh) 用于处理医药物质的隔离装置和用于对隔离装置消毒的方法
JP2022091040A (ja) 滅菌装置
CN220560026U (zh) 清洗装置
JP5930392B2 (ja) 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