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84Y1 - Interdental brush - Google Patents
Interdental bru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2084Y1 KR200412084Y1 KR2020060000631U KR20060000631U KR200412084Y1 KR 200412084 Y1 KR200412084 Y1 KR 200412084Y1 KR 2020060000631 U KR2020060000631 U KR 2020060000631U KR 20060000631 U KR20060000631 U KR 20060000631U KR 200412084 Y1 KR200412084 Y1 KR 2004120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interdental
- cap
- coupl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쉬와 몸체를 포함하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는 상기 브러쉬가 결합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외향 개구된 브러쉬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브러쉬수용부 중 어느 일측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including a brush and a body, wherein the body includes a brush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brush is coupled, a handle portion gripped by a user, and a brush accommodation portion opened outwardly in the body; Any one of the brush coupling portion and the brush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치간치솔들의 결합으로 손잡이부가 길어져 손에 파지하기가 더욱 용이하며, 브러쉬가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할 우려가 없고, 손잡이부에 표식부가 형성되어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longe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es, so it is more easy to grip the hand, and there is no risk of losing it because the brush is coupled to the body. The effect is provided.
치간치솔 Interdental toothbrush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치간치솔 사용상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using the interdental toothbrush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치간치솔 사용상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using the interdental toothbrush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치간치솔: 100, 100a, 100b 몸체: 110Interdental Brush: 100, 100a, 100b Body: 110
브러쉬: 130 캡: 150Brush: 130 Cap: 150
브러쉬결합부: 111 손잡이부: 113Brush joint: 111 Handle: 113
브러쉬수용부: 115 통풍구: 151Brush housing: 115 Vent: 151
결합홈: 110a 걸림돌부: 110bCoupling Groove: 110a Hanging Part: 110b
몸체결합부: 150a 몸체걸림돌부: 150bBody coupling part: 150a Body locking protrusion: 150b
본 고안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석 및 음식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used to remove tartar and food debris between teeth.
일반적으로 치아 및 구강을 세척할 때에는 양치질이나 가글을 통해 입안의 청결을 유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치솔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치석 및 음식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길고 가는 브러쉬를 갖는 치간치솔을 사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Generally, when cleaning teeth and oral cavity, keep your mouth clean by brushing your teeth or gargle. However, since the general toothbrush has a limitation in removing calculus and food debris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an interdental toothbrush having a long thin brush is used to solve this problem.
이러한 치간치솔은 몸체와 브러쉬가 직렬로 배열되는 직렬식 치간치솔과, 몸체와 브러쉬가 ㄱ자(기역자) 형상으로 꺽여있는 교차식 치간치솔로 구분된다. 상기 치간치솔들은 브러쉬의 착탈이 가능하여 여러 사이즈의 브러쉬를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치간치솔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하게 제작된다.Such interdental toothbrushes are divided into a serial interdental toothbrush in which a body and a brush are arranged in series, and a cross-interdental toothbrush in which a body and a brush are bent in a L-shape. The interdental toothbrushes are detachably attached to brushes, and thus, various sizes of brushes can be replaced and used. In addition, the interdental toothbrush is made to be portable for easy use anytime, anywher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간치솔은 손잡이가 짧아서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불편하며, 브러쉬가 작아서 따로 분리하여 지니게 되면 분실할 우려가 크다. 또한, 소아층이나 노인층같이 식별력이 낮은 사람들은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terdental toothbrush is a short handle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grip, there is a high risk of losing if the brush is separated separately. In addition, people with low discrimination, such as pediatric and elderly,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thickness of the brush wir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손에 파지하기가 용이한 치간치솔을 제공하고, 브러쉬의 분실 우려를 낮출 수 있는 치간치솔과,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치간치솔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interdental toothbrush that is easy to grip on the hand, and can easily distinguish the thickness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brush wire, which can reduce the risk of losing the brush. In providing an interdental toothbrush.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브러쉬와 몸체를 포함하는 치간치솔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브러쉬가 결합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외향 개구된 브러쉬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브러쉬수용부 중 어느 일측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치솔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dental brush comprising a brush and the body, the body is a brush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brush is coupled, the handle portion gripped by the user, and accommodates the brush outwardly open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Including wealth; At least one of the brush coupling portion and the brush accommod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terdental tooth, and the other side is achieved by an interdental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또한, 상기 브러쉬를 보호하는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캡의 내주면과 외주면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대응되는 몸체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몸체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cap for protecting the brush, on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is formed with a body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the other side is formed body engag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desirable.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인식되는 표식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marker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rush wir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치솔(100)은 몸체(110)와,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러쉬(130)로 구성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is figure, the
몸체(110)는 브러쉬(130)가 결합되는 브러쉬결합부(111)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13)와, 몸체(110) 내부에 외향 개구된 브러쉬수용부(115)를 가진다.The
브러쉬결합부(111)의 상단에는 브러쉬(130)와 결합되고, 하단에는 결합홈(110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10a)은 후술될 걸림돌부(110b)와 대응되는데, 그 형태는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결합홈(110a)과 걸림돌부(110b)가 단면투영시 둥근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부드러운 결합을 유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브러쉬결합부(111)는 몸체(110)의 약 1/3지점 안팎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홈(110a) 하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13)이기 때문에 파지 가능한 범위가 확보되어야하며, 후술될 제1,2치간치솔(100a,100b)간의 결합시에는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손잡이부(113)가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로 연장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손잡이부(113)는 사용자가 실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홈(110a)으로부터 몸체(110)의 하단까지를 가리킨다. 손잡이부(130)의 표면은 미끄러짐 방지가 가능하고,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113)에는 표식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식부는 대, 중, 소와 같이 브러쉬(130) 와이어의 굵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패턴이 될 수도 있으며, 브러쉬(130)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부(113)의 색상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식부는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러쉬(130) 와이어의 굵기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브러쉬수용부(115)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치간치솔(100a)의 몸체(110) 내부에 동일한 형상의 제2치간치솔(100b)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브러쉬수용부(11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부(110b)는 브러쉬수용부(115)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브러쉬수용부(115)의 하단에 걸림돌부(110b)가 형성되면, 제1,2치간치솔(100a,100b)간의 결합시에 지지되는 부위가 좁아져서 작은 힘에도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brush accommodating
도 2는 도 1의 치간치솔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제1치간치솔(100a)과 제2치간치솔(100b)이 결합한 상태이다. 상기의 제1치간치솔(100a)과 제2치간치솔(100b)은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가 다른 치간치솔을 나타내나,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브러쉬(130)의 치솔 모양을 다르게 도시하였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using state of FIG. 1, in which a first
전술된 바와 같이, 브러쉬결합부(111)에는 결합홈(110a)이 형성되어 있고, 브러쉬수용부(115)에는 결합홈(110a)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돌부(11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은 제1치간치솔(100a)의 브러쉬수용부(115)에 있는 걸림돌부(110b)와 제2치간치솔(100b)의 결합홈(110a)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1치간치솔(100a)의 브러쉬수용부(115)는 제2치간치솔(100b)의 브러쉬(130) 및 브러쉬결합부(111)를 수용하고, 제2치간치솔(100b)의 손잡이부(113)는 제1치간치솔(100a)의 손잡이부(113)와 연장되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안정감을 준다. 또한, 제1,2치간치솔(100a, 100b)의 손잡이부(113)에는 각각의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나타내는 표식부(미도시)가 있어 브러쉬(130) 확인이 용이하며, 몸체의 순서를 바꾸면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바꿀 수 있어 브러쉬(130)를 교체하기도 편리하다. 물론 동일한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가지는 치간치솔을 결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roove (110a) is formed in the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100)의 단면도로서, 치간치솔(100)에 캡(150)을 씌워둔 상태 및 치간치솔(100)의 브러쉬수용부(115)에 결합한 상태이다. 치간치솔(100)의 구조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캡(150)의 주목적은 브러쉬(130)를 보호하고, 브러쉬수용부(115)에 결합해 손잡이부(113)의 증대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러한 캡(150)은 유연성 및 탄력성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는 캡(150)과 몸체(110)가 결합될 때 부드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캡(150)의 내부 형상은 브러쉬(130)가 수용되는 최소한의 공간 이상이 확보되어야 하며, 외부 형상은 브러쉬수용부(115)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여야 한다.The main purpose of the
캡(150)의 상부에는 브러쉬(130)의 부식을 방지하고 캡(150) 내부로 공기가 출입가능한 통풍구(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150)의 내주면에는 몸체(110)의 결합홈(110a)과 결합 가능한 몸체걸림돌부(150b)가 형성되어 있고, 캡(1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110)의 걸림돌부(110b)와 결합 가능한 몸체결합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150)의 몸체걸림돌부(150b)와 몸체(110)의 걸림돌부(110b)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캡(150)의 몸체결합부(150a)와 상기 몸체(110)의 결합홈(110a) 역시 그 형상이 동일하다.The upper part of the
캡(1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몸체결합부(150a)는 캡(150)을 3등분 했을 때, 중간지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몸체결합부(150a)가 캡(150)의 상단에 가까우면 몸체(110)와의 결합시 손잡이부(113)와의 연장되는 길이는 길 어지나 걸림돌부(110b)와의 결합력이 약해져 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캡(150)의 하단에 가까이 형성되면 몸체(110)와의 결합시 캡(150)이 수용되는 부분이 많아져 손잡이부(113)의 길이가 연장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캡(150)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1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몸체걸림돌부(150b)는 상기 걸림돌부(110b)가 브러쉬수용부(115)에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걸림돌부(150b)는 캡(150)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전술에서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캡(150)의 몸체결합부(150a)부터 하단까지는 브러쉬수용부(115)에 결합되었을 때, 손잡이부(113)와 함께 연장된 손잡이부(113)의 역할을 하므로 파지했을 때 동일 선상에 있는 느낌을 줄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coupling portion (150a) to the lower end of the
도 4는 도 3의 치간치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use state of FIG.
이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모두 적용된 사용상태이다. 브러쉬(130)를 보호할 수 있는 캡(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크기가 작아서 분실우려가 있는 치간치솔(100)들을 복수개 결합함으로서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2치간치솔(100a, 100b)간의 결합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브러쉬(130)로 바꿔가며 사용을 할 수가 있고, 손잡이부(113)가 길어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is is a use state to which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are applied as shown in the drawing.
이에 더하여, 복수 개의 치간치솔(100)이 각각 캡(150)이 씌워진 채로도 결합이 가능하므로 보관하는데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치솔은 동일한 형상의 치간치솔들간의 결합으로 인해 손잡이부가 늘어나서 파지하는데 더욱 용이하다. As such,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asily gripped by the handle portion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interdental toothbrushes of the same shape.
또한, 와이어의 굵기가 다른 브러쉬를 가지는 치간치솔간의 결합으로 사용자가 브러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브러쉬가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할 우려도 없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brush by the interdental brush having a brush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of the wire, there is no fear of losing because the brush is coupled to the body.
이에 더하여, 손잡이부에는 표식부가 형성되어 있어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marker has the effect that anyone can easily distinguish the thickness of the brush wire.
전술에서는 브러쉬결합부(111)에 결합홈(110a)이 형성되는 것과, 브러쉬수용부(115)에 걸림돌부(110b)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그러나, 이는 브러쉬결합부(111)에 걸림돌부(110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브러쉬수용부(115)에 결합홈(11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locking
다만, 캡(150) 역시 이와 같은 구성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치솔은 손에 파지하기가 더욱 용이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to grip the hand provides a user convenience.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분실할 우려가 없으며, 브러쉬 와이어의 굵기를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risk of losing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nyone can easily distinguish the thickness of the brush wir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631U KR200412084Y1 (en) | 2006-01-09 | 2006-01-09 | Interdental bru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631U KR200412084Y1 (en) | 2006-01-09 | 2006-01-09 | Interdental brus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2084Y1 true KR200412084Y1 (en) | 2006-03-22 |
Family
ID=4176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0631U KR200412084Y1 (en) | 2006-01-09 | 2006-01-09 | Interdental bru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2084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695Y1 (en) * | 2010-01-13 | 2010-10-22 | 박상리 | Interdental brush with brush storage |
-
2006
- 2006-01-09 KR KR2020060000631U patent/KR20041208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695Y1 (en) * | 2010-01-13 | 2010-10-22 | 박상리 | Interdental brush with brush stor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38841B1 (en) | Tooth brushing system | |
JP4762234B2 (en) | Disposable toothbrush and dental floss holder combination | |
EP2537436A3 (en) | Disposable toothbrush | |
US20140332028A1 (en) | Toothbrush with gripping handle | |
US6453499B1 (en) | Toothbrush | |
US20100186182A1 (en) |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 |
JP4075004B1 (en) | Illuminated system toothbrush | |
WO2016190515A1 (en) | Inverted l-shaped toothbrush | |
JP3151190U (en) | Interdental brush with dental floss | |
KR200412084Y1 (en) | Interdental brush | |
US9744011B2 (en) | Dental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101570934B1 (en) | Interdental tooth brush | |
US8800574B2 (en) | Fluffy floss kit | |
US20050071939A1 (en) | Dual head toothbrush | |
KR101456623B1 (en) | Tooth brush | |
KR200417701Y1 (en) | Interdental toothbrush | |
KR20210154391A (en) | Versatile Oral Hygiene Device | |
KR200416408Y1 (en) | The Toothbrush Combined With a Interdental Brush | |
KR200417716Y1 (en) | toothbrush for denture | |
KR200283021Y1 (en) | Toothpick | |
WO2017213388A1 (en) | Toothbrush having replaceable head | |
KR20130142584A (en) | Toothbrush with storage | |
KR200272626Y1 (en) | A hemispherical form mirror fixed Toothbrush | |
KR200171069Y1 (en) | Multifunctional toothbrush | |
KR200437910Y1 (en) | The toothbrush where the between toothbrush of the tooth is form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