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70011A -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011A
KR20040070011A KR1020040005121A KR20040005121A KR20040070011A KR 20040070011 A KR20040070011 A KR 20040070011A KR 1020040005121 A KR1020040005121 A KR 1020040005121A KR 20040005121 A KR20040005121 A KR 20040005121A KR 20040070011 A KR20040070011 A KR 2004007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asing
return spring
spring
dr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920B1 (ko
Inventor
노무라아끼히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lide Switche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중립위치로 자가 복귀하는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코일스프링 등의 복귀스프링의 이동이나 탈락 등의 방지를 꾀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복귀스프링 (2) 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돌기부 (4d) 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 (8) 에는,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수납된 복귀스프링 (2) 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유지돌기 (8a) 를 형성했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전기부품{SLIDE TYPE ELECTRIC COMPONEN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줌 컨트롤 등에 사용되는 중립위치로 센터 복귀하는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로는, 케이스내에 슬라이더를 접동이 자유롭게 수납하고, 슬라이더를 그 중립점에서 복귀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키면 스위치부가 온되고, 손을 떼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원래의 중립점으로 자동 복귀하여 스위치부가 오프되는 구성의 부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하,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 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 은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 은 슬라이더를 이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상부케이스를 이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은, 하부케이스 (10) 와 상부케이스 (20) 사이에, 슬라이더 (40), 판스프링 (70), 플렉시블 기판 (80) 및 코일스프링 (90) 을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 (10) 는 합성수지판을 슬라이더 (40) 의 슬라이드방향을 향하여 위가 볼록하게 되도록 전체를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 (10) 의 상면 중앙에는, 선단에 탄성접촉부 (77) 를 갖는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70) 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 (10) 의 상면 일측부에는, 합성수지 시트의 상면에 3 개의 스위치패턴 (81, 83, 85) 을 인쇄한 플렉시블 기판 (80) 이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 (40) 는 합성수지제이고, 상기한 케이스 (10) 의 만곡면에 맞춰서 동일하게 만곡하는 판형상의 본체 (41) 와, 이 본체 (41) 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하는 레버 (43)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41) 의 중앙 양측부에는, 각각 스프링장착부 (45) 와 접동자장착부 (47) 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장착부 (45) 는, 본체 (41) 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 (49) 와, 지지부 (49) 선단에 슬라이더 (40) 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삽입부 (51) 로 형성되어 있어, 이 스프링삽입부 (51) 에 코일스프링 (90) 이 삽입되어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접동자장착부 (47) 에는 지지부 (53) 와 평판형상의 장착부 (55) 가 설치되고, 이 장착부 (55) 의 하면에, 플렉시블 기판 (80) 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패턴 (81, 83, 85) 과 접동접촉하는, 선단에 접동편 (63) 을 갖는 탄성금속판제의 접동자 (59) 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40) 의 본체 (41) 이면에는, 판스프링 (70) 의 탄성접촉부 (77) 와 걸어맞추는 돌기부 (65) 와 돌출부 (67) 가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 (70) 의 탄성접촉부 (77) 가 이 돌기부 (65) 를 넘어갈 때에 클릭감이 얻어지게 된다.
상부케이스 (20) 는 마찬가지로 합성수지판 전체를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슬라이더 (40) 의 레버 (43) 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 (2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 중앙에는 슬라이더 (40) 를 접동가능하게 수납하는 오목부 (23) 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슬라이더 (40) 의 스프링장착부 (45) 및 코일스프링 (90) 을 수납하는 오목부 (25) 와, 접동자장착부 (47) 를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수납하는 오목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으로는, 센터위치에 있는 레버 (43) 를 조작하여 코일스프링 (90) 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도면에 나타낸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 (40) 가 우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하여, 접동자 (59) 의 접동편 (63) 이 2 개의 스위치패턴 (81, 83) 사이를 온한다.
다음에 레버 (43) 로부터 손을 떼면, 슬라이더 (40) 는 코일스프링 (90) 의 탄발력에 의해 센터위치로 자동 복귀하여 스위치패턴 (81, 83) 사이가 오프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186003호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에 있어서는, 하부케이스(10) 및 상부케이스 (20) 는 슬라이더 (40) 의 슬라이드방향을 향하여 위가 볼록하게 되도록 전체를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맞춰 슬라이더 (40) 도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40) 가 조작되어 슬라이드이동하는 경우에는 상하의 케이스 사이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하게 되어, 슬라이더 (40) 의 이동에 수반하여 센터 복귀용 코일스프링 (90) 에는 수직방향 이외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조작에 수반하여 코일스프링 (90) 이 이동하기 쉽고, 이 때문에 코일스프링 (90) 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90) 을 안내하는 스프링삽입부 (51) 가 필요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40) 의 스프링장착부 (45) 의 구조나, 스프링장착부 (45) 및 코일스프링 (90) 을 수납하는 오목부 (25) 의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도 복잡해져, 생산성이 나빠지고 고비용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중립위치로 자가 복귀하는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코일스프링 등의 복귀스프링의 이동이나 탈락 등의 방지를 꾀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슬라이더를 이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상부케이스를 이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a : 수납부
1b : 개구부
1c : 스프링수납부
1d : 벽부
1e : 연결홈부
1f : 접동(摺動)홈부
1g : 가이드홈부
2 : 복귀스프링
3 : 스페이서
4 : 조작부재
4a : 구동체부
4b : 칼날부
4c : 조작노브
4d : 돌기부
4e : 가이드돌출부
5 : 접동자편(摺動子片)
5a : 접촉편
6 : 베이스다이(基臺)
6a, 6b : 도전패턴
7 : 외부단자
8 : 커버
8a : 유지돌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일측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조작노브와 구동체부를 갖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상기 구동체부가 접동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고, 타단측이 상기 조작부재를 초기위치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구동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과, 이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에 대향하여 설치된 도전패턴 또는 접동자편을 갖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를 덮도록 일체적으로 걸어맞춰진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에는,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유지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 양측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는, 상기 구동체부의 접동면보다 하측으로 접동방향을 따라 병설(竝設)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양단부가 위치결정되는 벽부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의 사이에 양쪽을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수납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상기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접동안내하는 접동홈부를 연속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수단으로, 상기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접동면과, 상기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이 형성된 일측면을 표리(表裏)로 대향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 상기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상기 접동홈부에 접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노브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조작이 가능하게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5 수단으로, 원호형상의 상기 접동홈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프링수납부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납부에 상기 복귀스프링이 직선이 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이 직선형상으로 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다. 도 1 은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 3 은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케이싱의 평면도, 도 5 는 동 케이싱의 단면도, 도 6 은 조작부재의 저면도, 도 7 은 동 조작부재의 단면도, 도 8 은 커버의 저면도, 도 9 는 동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 에 있어서는,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 및 동작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편의적으로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을 겹쳐서 투시한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커버의 유지돌기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상태에 대해서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싱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상면 및 정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옆으로 긴 형상의 수납부 (1a) 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 (1a) 의 상측에는 마찬가지로 옆으로 긴 형상의 개구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싱 (1) 의 상면은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1b) 의 상면도 이것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a) 의 내부 저면의 대략 중앙에는, 개략 상기 케이싱 (1) 의 상면의 원호와 동일 중심을 갖는 원호를 따라, 약간 기울어져서 대향한 상태의 긴 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 (1c, 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수납부 (1c) 의 대향하는 내측가장자리부(內緣部)가 후술하는 복귀스프링 (2) 의 양단부를 위치결정하는 벽부 (1d, 1d)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 (1c, 1c) 의 사이에는, 양쪽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보다 약간 폭이 좁고 바닥이 깊은 연결홈부 (1e)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연결홈부 (1e) 에 연속하여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 (1d, 1d) 의 사이에, 후술하는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를 접동안내하는 접동홈부 (1f, 1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홈부 (1e) 와 접동홈부 (1f, 1f) 는 동일한 크기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하여, 상기 개구부 (1b) 상면의 원호형상을 따르게 하여 동일 중심점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의 내부 저면의 하측에는, 마찬가지로 원호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부 (1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부 (1g) 도, 상기 개구부 (1b) 상면의 원호형상을 따르게 하여 동일 중심점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부 (1g) 및 상기 접동홈부 (1f) 로 후술하는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4e) 및 돌기부 (4d) 가 가이드되어 접동함으로써, 조작부재 (4) 가 원호를 따라 슬라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 (1) 의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 (1c, 1c) 에는,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의 대향하는 내측가장자리부인 상기 벽부 (1d, 1d) 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양단부가 위치결정됨으로써,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내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일단측의 상기 벽부 (1d) 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3)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3, 3) 사이에 후술하는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돌기부 (4d) 가 끼워지고, 상기 조작부재 (4) 가 중립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조작부재 (4)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평면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구동체부 (4a) 와, 이 구동체부 (4a) 의 상측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칼날부 (4b) 를 갖는 조작노브 (4c)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체부 (4a) 의 표리에 대향하는 한쪽 평면에는, 대략 중앙에 가늘고 긴 원호형상을 이루는 돌기부 (4d) 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부 (4d) 가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부 (1e) 에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돌기부 (4d) 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이 상기 스페이서 (3) 와 맞닿음으로써 스페이서 (3) 를 탄성변형시키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의 상기 연결홈부 (1e) 에 의해 연결된 측의 상기 벽부 (1d) 에는,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타단측과 맞닿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페이서 (3) 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홈부 (1e) 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4d) 의 양단부의 곡면이, 상기 스페이서 (3) 의 타단과 맞닿아 상기 스페이서 (3) 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4) 가 중앙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와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단부가 맞닿을 때의 충돌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 (4d) 와 상기 연결홈부 (1e) 의 길이에 차이가 있다고 해도, 상기 조작부재 (4) 가 중앙위치에서 덜컥거리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복귀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 (4d) 의 하측에는, 평면의 양단부에 걸쳐 가늘고 긴 원호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돌출부 (4e) 가 역시 상기 돌기부 (4d) 의 돌출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돌출부 (4e) 가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부 (1g) 에 접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지게 된다.
상기 돌기부 (4d) 가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부 (1e) 와 접동홈부 (1f) 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돌출부 (4e) 가 상기 가이드홈부 (1g) 에 걸어맞춰져 접동안내됨으로써, 상기 조작노브 (4c) 가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조작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체부 (4a) 의 상기 돌기부 (4d) 가 형성된 평면이 상기 수납부 (1a) 의 내부 저면과 접동하는 접동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출부 (4e) 및 상기 가이드홈부 (1g)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동홈부 (1f) 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를 상기 접동홈부 (1f) 에 접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노브 (4c) 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조작이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노브 (4c) 의 슬라이드조작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작노브 (4c) 의 조작성을 확보한 채로 소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체부 (4a) 의 대향하는 다른 쪽 평면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접동자편 (5) 이 고착되어 있다. 이 접동자편 (5) 에는, 복수의 캔틸레버형의 접촉편 (5a) 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촉편 (5a) 이 후술하는 베이스다이(基臺 : 6) 에 형성된 도전패턴 (6a, 6b) 과 접촉 및 이간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다이 (6) 는, 페놀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구리박이나 카본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도전패턴 (6a, 6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에는 상기 도전패턴 (6a, 6b) 과 스루 홀 등에 의해 접속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외부단자 (7) 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다이 (6) 는, 상기 도전패턴 (6a, 6b) 이 형성된 표면부의 일부 및 상기 외부단자 (7) 의 도출부의 일부를 제외하고,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의 커버 (8) 에 일체적으로 고착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8) 는, 상기 도전패턴 (6a, 6b) 이 상기 구동체부 (4a) 에 고착된 상기 접동자편 (5) 의 접촉편 (5a) 과 접촉 및 이간하도록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1) 의 개구된 상기 수납부 (1a) 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동자편 (5) 과 상기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체부 (4a) 에 상기 도전패턴 (6a, 6b) 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다이 (6) 에 상기 접동자편 (5)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커버 (8) 에는, 상기 케이싱 (1) 의 상기 수납부 (1a)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 (1c, 1c) 의 대향하는 내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양단부를 위치결정하는 벽부 (1d, 1d) 의 부근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유지돌기 (8a, 8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유지돌기 (8a, 8a) 는,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1c) 에 걸림정지되는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상기 조작부재 (4) 의 돌기부 (4d) 와 맞닿는 측과 반대측의 일단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 (1) 의 스프링수납부 (1c) 에 수납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싱 (1) 의 한 쌍의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1c) 의 대향하는 일단측의 벽부 (1d, 1d) 에 상기 스페이서 (3) 를 삽입하고, 이 스페이서 (3) 의 타단측에 일단측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부 (1e) 와 상기 가이드홈부 (1g) 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의 접동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4d) 와 상기 가이드돌출부 (4e) 를 삽입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중첩하고, 이것과는 반대의 일측면에 고착된 상기 접동자편 (5) 위에, 상기 도전패턴 (6a, 6b) 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다이 (6) 가 일체적으로 고착성형된 상기 커버 (8) 를 씌워, 상기 커버 (8) 에 의해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개구 위를 덮도록 하여 코킹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장착함으로써 조립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구동체부 (4a) 에는, 상기 돌기부 (4d) 가 형성되는 접동면과, 상기 접동자편 (5) 이 고착되는 일측면을 표리로 대향시켜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 (3) 및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상기 케이싱 (1) 의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에 장착한 후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돌기부 (4d) 가 형성된 접동면을 밑으로 하여 위에서부터 포개어 장착하고, 그 위에서부터 상기 도전패턴 (6a, 6b) 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다이 (6) 가 일체적으로 고착성형된 상기 커버 (8) 를 장착하면 조립이 종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해져 작업성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전패턴 (6a, 6b) 을 상기 구동체부 (4a) 의 일측면인 평탄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패턴 (6a, 6b) 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 (4) 및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부 (1a) 의 개구측을 상기 커버 (8) 로 덮도록 적층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금형을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이동이나 탈락 등의 방지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지돌기 (8a) 를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일단측에 항상 맞닿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이 일단측은 타단측과 달리 구동되지 않는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고정측이기 때문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견고한 지지를, 일방향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치수 설정을 적절하게 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1 및 도 3 에 의해 상기 구성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노브 (4c) 는 중립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가 상기 연결홈부 (1e) 에 걸어맞춰지며, 상기 돌기부 (4d) 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 (3, 3) 에 맞닿아 상기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탄성력에 의해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탄성력은 균형있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고, 또 상기 돌기부 (4d) 의 양단부의 곡면이 상기 스페이서 (3, 3) 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중립위치에서의 상기 조작노브 (4c) 의 덜컥거림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동자편 (5) 의 접촉편 (5a) 과 상기 도전패턴 (6a) 은 접촉되어 있지만, 접촉편 (5a) 와 도전패턴 (6b) 은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 (4c) 가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조작노브 (4c) 가 좌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되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체부 (4a) 도, 상기 돌기부 (4d) 가 상기 접동홈부 (1f) 로, 상기 가이드돌출부 (4e) 가 상기 가이드홈부 (1g) 로 접동안내되어 좌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되게 되며, 상기 돌기부 (4d) 는 좌측에 배치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접동자편 (5) 의 접촉편 (5a) 이 상기 베이스다이 (6) 의 표면 위를 접동하여 상기 도전패턴 (6b) 과 접촉함으로써 접점이 온 상태가 되어, 신호가 상기 외부단자 (7) 를 통하여 외부의 회로에 송신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체부 (4a) 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접동홈부 (1f) 를 따라 상기 돌기부 (4d) 가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이동되게 되지만, 원호형상의 상기 접동홈부 (1f) 에 대응하는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직선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귀스프링 (2) 은, 대략 상기 돌기부 (4d) 의 원호형상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 (4d) 가 상기 접동홈부 (1f) 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 상기 복귀스프링 (2) 은 직선형상으로 휘어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부 (4d) 가 상기 접동홈부 (1f) 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직선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직선형상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 개략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단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뒤틀어지는 경우가 없어지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 (4d) 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동작이 안정되어 확실한 복귀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휘어질 때에는, 고정측의 일단측에 상기 커버 (8) 에 연장된 상기 유지돌기 (8a) 가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일단측이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어, 설령, 상기 돌기부 (4d) 가 상기 접동홈부 (1f) 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에 상기 복귀스프링 (2) 에 무리한 힘이 가해진다고 해도, 상기 복귀스프링 (2) 이 이동하거나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노브 (4c) 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구동체부 (4a) 가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탄성력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돌기부 (4d) 는, 우측에 배치된 상기 복귀스프링 (2) 에 탄성지지되어 있는 우측의 상기 스페이서 (3) 에 맞닿게 되어, 이 때의 상기 스페이서 (3) 의 탄성변형에 의해 충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 (4c) 가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노브 (4c) 및 상기 구동체부 (4d) 가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은 물론이다.
또, 도전패턴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되는 스위치패턴으로 설명하여, 슬라이드형 스위치로서 구성했지만, 도전패턴을 저항체로 형성하여 슬라이드형 가변저항기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접동자편 (5) 과 도전패턴 (6a, 6b) 의 배치를 반대로 해도 되고, 이들을 상기 구동체부 (4a) 의 상기 조작노브 (4c) 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구동체부 (4a) 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상기 돌기부 (4d) 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 (8) 에는,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수납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유지돌기 (8a) 를 형성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금형을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복귀스프링 (2) 의 이동이나 탈락 등의 방지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양측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어 상기 조작부재 (4) 를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상기 복귀스프링 (2) 으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케이싱 (1) 의 수납부 (1a) 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구동체부 (4a) 와 겹치는 위치에 병설하여,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배치하는 상기 스프링수납부 (1c) 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으로 연달아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배치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부품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은, 일측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조작노브와 구동체부를 갖고, 케이싱의 수납부에 구동체부가 접동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와, 케이싱의 수납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고, 타단측이 조작부재를 초기위치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구동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과, 이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에 대향하여 설치된 도전패턴 또는 접동자편을 갖고, 케이싱의 수납부를 덮도록 일체적으로 걸어맞춰진 커버를 구비하고,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복귀스프링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에는, 케이싱의 수납부에 수납된 복귀스프링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유지돌기를 형성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금형을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복귀스프링의 이동이나 탈락 등의 방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복귀스프링은, 케이싱의 수납부 양측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어 조작부재를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싱의 수납부에는, 구동체부의 접동면보다 하측으로 접동방향을 따라 병설되고, 복귀스프링의 양단부가 위치결정되는 벽부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의 사이에 양쪽을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스프링수납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의 사이에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접동안내하는 접동홈부를 연속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와 겹치는 위치에 병설하여 복귀스프링의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동체부의 접동방향으로 연달아 복귀스프링을 배치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구동체부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어, 전기부품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접동면과,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이 형성된 일측면을 표리로 대향시켜 형성했기 때문에, 복귀스프링을 케이싱의 스프링수납부에 장착한 후에, 조작부재의 접동면을 위에서부터 포개어 장착하고, 그 위에서부터 베이스다이를 장착하면 조립이 종료되므로, 조립의 작업성이 간단해지고, 도전패턴을 평탄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접동홈부에 접동시킴으로써, 조작노브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조작이 가능하게 유지했기 때문에, 조작노브의 슬라이드조작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체부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확보한 채로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원호형상의 접동홈부에 대응하는 스프링수납부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스프링수납부에 복귀스프링이 직선이 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돌기부가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에는 복귀스프링이 직선형상으로 휘도록 했기 때문에, 복귀스프링을 직선형상인 채로 사용할 수 있어 뒤틀림이 없어지고, 돌기부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동작이 안정되어 확실한 복귀가 가능해진다.

Claims (5)

  1. 일측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조작노브와 구동체부를 갖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상기 구동체부가 접동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고, 타단측이 상기 조작부재를 초기위치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구동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과, 이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에 대향하여 설치된 도전패턴 또는 접동자편을 갖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를 덮도록 일체적으로 걸어맞춰진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에는,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측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유지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 양측부에 일단측이 걸림정지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수납부에는, 상기 구동체부의 접동면보다 하측으로 접동방향을 따라 병설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양단부가 위치결정되는 벽부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스프링수납부의 사이에 양쪽을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수납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상기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접동안내하는 접동홈부를 연속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구동체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접동면과, 상기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이 형성된 일측면을 표리에 대향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동체부의 돌기부를 상기 접동홈부에 접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노브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조작이 가능하게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원호형상의 상기 접동홈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프링수납부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납부에 상기 복귀스프링이 직선이 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동홈부를 원호형상으로 접동할 때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이 직선형상으로 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KR1020040005121A 2003-01-30 2004-01-27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KR100551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1449A JP4153799B2 (ja) 2003-01-30 2003-01-30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JP-P-2003-00021449 2003-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11A true KR20040070011A (ko) 2004-08-06
KR100551920B1 KR100551920B1 (ko) 2006-02-16

Family

ID=3295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121A KR100551920B1 (ko) 2003-01-30 2004-01-27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53799B2 (ko)
KR (1) KR100551920B1 (ko)
CN (1) CN1326162C (ko)
TW (1) TWI2341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572A (ja) * 2004-12-27 2006-07-13 Kyocera Corp 電子機器及びそのスイッチ機構の切換え方法
JP5173772B2 (ja) * 2008-12-08 2013-04-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固定接点付き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スライドスイッチ
CN104576137B (zh) * 2014-11-29 2018-06-01 上海航空电器有限公司 一种弹簧按键开关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512B2 (ja) * 1995-12-28 2003-02-10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電子部品
JP3576865B2 (ja) * 1999-04-30 2004-10-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6990A (en) 2005-02-16
CN1519865A (zh) 2004-08-11
KR100551920B1 (ko) 2006-02-16
JP2004234990A (ja) 2004-08-19
JP4153799B2 (ja) 2008-09-24
CN1326162C (zh) 2007-07-11
TWI234177B (en) 200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EP2093782A2 (en) Switch for electric power tool
CN101620944B (zh) 按钮开关
US4268728A (en) Switch encoder
US7564004B2 (en) Switch device
EP1113473B1 (en) Lever switch and detecting device using same
TW201314724A (zh) 開關
KR100551920B1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US6433291B1 (en) Switch device
JP4071545B2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4087603B2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2358850A (ja) スイッチ装置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4649393B2 (ja) 横押し型2段動作スイッチ
JP2005267929A (ja) スイッチ装置
EP1598843B1 (en) Switch
JP414671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H0356978Y2 (ko)
JP200131954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552922Y2 (ja) プッシュスライド兼用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