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278A -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7278A KR20040057278A KR1020020083946A KR20020083946A KR20040057278A KR 20040057278 A KR20040057278 A KR 20040057278A KR 1020020083946 A KR1020020083946 A KR 1020020083946A KR 20020083946 A KR20020083946 A KR 20020083946A KR 20040057278 A KR20040057278 A KR 20040057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mposition
- chinensis extract
- schizandra chinensis
-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YEFOAORQXAOVJQ-UHFFFAOYSA-N wuweizischun A Natural products C1C(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4509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03178 Arterial thromb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076 estrogen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5456 alcohol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29940011871 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33
- 210000002889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VOXZDWNPVJITMN-ZBRFXRBCSA-N 17β-estradiol Chemical compound OC1=CC=C2[C@H]3CC[C@](C)([C@H](CC4)O)[C@@H]4[C@@H]3CCC2=C1 VOXZDWNPVJITMN-ZBRFXRBCSA-N 0.000 description 20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0709 aorta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075 phyto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5
- 229960005309 estradiol Drug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RYCNUMLMNKHWPZ-SNVBAGLBSA-N 1-acet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O)OC[C@@H](O)COP([O-])(=O)OCC[N+](C)(C)C RYCNUMLMNKHWPZ-SNVBAGLBSA-N 0.000 description 12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102400000686 Endothel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1800004490 Endothel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83 vasorelax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IQFYYKKMVGJFEH-XLPZGREQSA-N Thymidine Chemical compound O=C1NC(=O)C(C)=CN1[C@@H]1O[C@H](CO)[C@@H](O)C1 IQFYYKKMVGJFEH-XLPZGREQ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CGIGDMFJXJATDK-UHFFFAOYSA-N indomethacin Chemical compound CC1=C(CC(O)=O)C2=CC(OC)=CC=C2N1C(=O)C1=CC=C(Cl)C=C1 CGIGDMFJXJAT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30182833 estradi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312 Calcium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3922 Calcium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MRAUNPAHJZDYCK-BYPYZUCNSA-N L-nitro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N+]([O-])=O MRAUNPAHJZDYCK-BYPYZUCNSA-N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6
- KAQKFAOMNZTLHT-VVUHWYTRSA-N epoprostenol Chemical compound O1C(=CCCCC(O)=O)C[C@@H]2[C@@H](/C=C/[C@@H](O)CCCCC)[C@H](O)C[C@@H]21 KAQKFAOMNZTLHT-VVUHWYTR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96 vasorelax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376 aorta thoracic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8299 Nitric Oxide Synth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21487 Nitric Oxide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12335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22233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7139 Vaso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0905 indomethacin Drugs 0.000 description 4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5033 vasoconstri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4883 vaso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07622 L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7330 L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NTNWOCRCBQPEKQ-UHFFFAOYSA-N NG-mono-methyl-L-arginine Natural products CN=C(N)NCCCC(N)C(O)=O NTNWOCRCBQPE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IXAANGOTKPUOY-UHFFFAOYSA-N carbachol Chemical compound [Cl-].C[N+](C)(C)CCOC(N)=O AIXAANGOTKPU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48 culture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94 hormon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30013686 lign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692 lign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408 lign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679 serum fre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NJBWRMUSHSURL-UHFFFAOYSA-N trichl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l)(Cl)Cl YNJBWRMUSHSU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946 Fibrino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49003 Fibrino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30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95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KCWZGJVSDFYRIX-YFKPBYRVSA-N N(gamma)-nitro-L-arginine m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OC(=O)[C@@H](N)CCCN=C(N)N[N+]([O-])=O KCWZGJVSDFYRIX-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IQFYYKKMVGJFEH-UHFFFAOYSA-N beta-L-thymidine Natural products O=C1NC(=O)C(C)=CN1C1OC(CO)C(O)C1 IQFYYKKMVGJF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808 connecti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ZQSIJRDFPHDXIC-UHFFFAOYSA-N daidze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OC2=CC(O)=CC=C2C1=O ZQSIJRDFPHDXI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123 epoproste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2952 fibrinog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57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OMNOOKGLZYEJT-UHFFFAOYSA-N 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O)C=1C1=CC=CC=C1 GOMNOOKGLZYE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5 iso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60 smooth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329 smooth muscle my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110 spontaneous platelet aggreg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556 vascular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FLSHLFXELFNJZ-QMMMGPOBSA-N (-)-norepinephrine Chemical compound NC[C@H](O)C1=CC=C(O)C(O)=C1 SFLSHLFXELFNJZ-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873 Angiotensin II recep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0824 Angiotensin II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WRXFEITVBNRMK-UHFFFAOYSA-N Beta-D-1-Arabinofuranosylthymine Natural products O=C1NC(=O)C(C)=CN1C1C(O)C(O)C(CO)O1 DWRXFEITVBNR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289 Cell Adhesion Molecul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225 Cell Adhesion Molecul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1 Cerebr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6146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20 DNA 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859 Drug effect increas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41308 Endothelial Growth 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0549 Endothelin A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40630 Endothelin-1 recep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7005 Estrogen Receptor alph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595 Estrogen recep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2550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Drugs 0.000 description 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910 Haemo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000777488 Heteractis magnifica DELTA-stichotoxin-Hmg2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39 Mem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052 Nitric Oxide Synthase Type II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5520 Nitric Oxide Synthase Type II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3134 Nitric oxid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247 Oestrogen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00472 Omiz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372 Pancreatic elas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387 Pancreatic elas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500 Prosta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7 Rattus norveg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8255 Ren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83 Re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0 Sexual dys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248 Vascular System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339 Vascular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5 angi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4 carbac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292 cell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RQNKMKHABXEJZ-UVQQGXFZSA-N chembl176323 Chemical compound C1C[C@]2(C)[C@@]3(C)CC(N=C4C[C@]5(C)CCC6[C@]7(C)CC[C@@H]([C@]7(CC[C@]6(C)[C@@]5(C)CC4=N4)C)CCCCCCCC)=C4C[C@]3(C)CCC2[C@]2(C)CC[C@H](CCCCCCCC)[C@]21C YRQNKMKHABXEJZ-UVQQGXF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19 collagen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51 coronary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834 coumest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ZOOGRGPOEVQQDX-KHLHZJAASA-N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H]1O2)O[P@](O)(=O)O[C@@H]1[C@H](O)[C@H]2N1C(N=C(NC2=O)N)=C2N=C1 ZOOGRGPOEVQQDX-KHLHZJAA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40 daidz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24 dis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5 drug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28 endothelial cell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694 estrogen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8795 estrogen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 ethyl oleat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49 flavano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08 flavan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81 flavan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44 flavo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3 flav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9 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14 function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88 hem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24 hepatic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88 hormone deriv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31 hyperten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8 in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2197 lipoprotein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45 menopau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7 micro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8 norepineph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FLSHLFXELFNJZ-UHFFFAOYSA-N norepinephrine Natural products NCC(O)C1=CC=C(O)C(O)=C1 SFLSHLFXELFNJ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75 plant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957 plas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40 portal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1970 prosta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8 response to inju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72 sexual dysfunc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22 sprague-dawley male ra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4230 thymid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49 vasodila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71 vasodilato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오미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성 활성은 동맥혈관 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의 효능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생약인 오미자 추출물로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종래의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다른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부작용이 없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합성 에스트로겐을 대체할 수 있는 생리적 활성의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기 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병,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당뇨병, 성기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와, 그 외의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시에 처방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하고 저렴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여성 사망 제 1 원인은 심혈관질환(31%)으로 특히 폐경 이후 그 위험이 급증하며, 주요 원인은 노화로 인한 여성호르몬결핍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호르몬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에 호르몬대치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장기복용으로 폐경 후 심혈관질환 위험이 반감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적으로 호르몬투여법은 현재 경구투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나 매일 복용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위장관을 통한 흡수 중 60-90%가 대사되므로 다량이투여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혈중 에스트로겐(estrogen) 농도가 상승된다. 또한 흡수된 간문맥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간대사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르몬요법의 주요 작용기전은 혈중 지방 수준(lipid profile)을 개선시키며, 고혈압 환자에 대해서는 혈압을 낮출 수 있고, 동맥혈전증의 독립된 위험인자인 혈중 피브리노겐, Lp(a) 및 플라스미노겐 활성억제 인자 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의 농도를 낮추며, 혈소판응집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에스트로겐은 혈청 지방 농도상을 개선시키는데, 폐경후 여성을 에스트로겐으로 치료하면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하고, 혈청 고밀도 지단백질 (high-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및 삼중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농도는 증가하며, 혈청 Lp(a) 지단백질 농도는 감소하였다(PEPI 실험을 위한 집필 그룹(The Writing Group for the PEPI Trial)의 문헌[JAMA 1995;273:199-208]; [Erratum, JAMA 1995;274;1676.]).
또한, 수개의 응고 작용 및 섬유소 용혈성 단백질을 위한 유전자의 간 발현도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에스트로겐은 동맥혈전증의 독립된 위험인자인 혈중 피브리노젠(fibrinogen), Lp(a) 및 플라스미노겐 활성억제인자(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의 농도를 낮추며 혈소판응집을 억제시킨다.
한편, 에스트로겐을 장기간 투여하면, 레닌(renin)의 혈장 농도가 감소되고, 안지오텐신-전환 효소(angiotensine-converting enzyme)와 엔도테린-1(endothelin-1)과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유형 1(angiotensine II receptor type 1)을 위한 유전자가 혈관에서 감소될 뿐만 아니라,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대 엔도테린-1의 비가 혈장내에서 증가된다. 이들 변화로 혈관확장을 증진시키게 되고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출 수 있게 된다[(쉰케르트(Schunkert, H.) 등의 문헌 [Circulation 1997;95:39-45]),(프로우들러(Proudler, A.) 등의 문헌[Lancet 1995;346:89-90]) 및 엔도테린-1(일리코칼라(Ylikorkala, O.) 등의 문헌[J Clin Endocrinol Metab 1995;80: 3384-7]),(니켄니그(Nickenig, G.) 등의 문헌 [Circulation 1998;97:2197- 201]),(베스트(Best, P.J.M.) 등의 문헌[Ann Intern Med 1998;128:285-8])].
난포호르몬은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며, 내피세포의 산화질소(NO)와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e)의 생성증가에 의한 혈관내피세포 의존성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의 칼슘 채널(Ca2+channel)과 평활근세포에 대한 엔도텔린-1(endothelin-1)의 작용억제로 내피세포 비의존성확장을 유도한다.
혈장막에 위치한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비게놈성 방식으로 산화질소 합성 효소를 신속하게 활성화시킨다. 이것은 내피 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 효소(nitric oxide synthetase) 활성의 에스트로겐-유도 자극이 특정한 에스트로겐-수용체 길항제에 의해서 차단된다는 관찰결과와 일치하고(첸(Chen, Z.) 등의 문헌[J Clin Invest 1999;103;401-6]; 란틴-헤모소(Lantin-Hermono, R.L.)의 문헌[Am J Physiol 1997;273:L119-L126]; 카울린-글라서 등의 문헌[Circ Res 1997;81:885-92]), 에스트로겐 수용체 α는 내피 산화질소 합성 효소를 직접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관찰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카라스 등의 문헌[Circulation 1994;89: 1943-50], 벤코브 등의 문헌[Circulation 1996;94;1402-7]; 카울린-글라서 등의 문헌[J Clin Invest 1996;98;36-42]; 코이케(Koike, H.) 등의 문헌[J Vasc Surg 1996;23:477-82]).
에스트로겐은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e) 합성 효소 및 산화질소 합성 효소와 같은 중요한 혈관확장 효소를 위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이로써 에스트로겐의 신속한 혈관확장 효과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은 산화질소 합성 효소의 유도를 위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혈관 내에서 산화질소의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빈코 등의 문헌[Am J Physiol 1998;274: H853-H859]).
생리학적 농도에서, 에스트로겐은 산화질소 및 환형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의존성 경로(NO and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dependent pathway)를 통해서 칼슘-활성화 칼륨 채널(Ca2+-activated K+-channels)의 개방을 자극하고, 이런 방식으로 평활근을 완화시키고 혈관확장을 증진시킨다(화이트 등(White, R.E.) 등의 문헌[Circ Res 1995;77:936-42]; 웰만(Wellman G.C.) 등의 문헌[Circ Res 1996;79: 1024-30]).
폐경전 여성에서의 임상적인 관상 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의 발병율은 매우 낮다. 그러나, 폐경 후 죽종형성성 위험 인자가 증가하고(예컨대, 증가된 LDL, 감소된 HDL), 임상적인 관상 질환 발생 비율이 남성에서 관찰되는수치까지 상승된다. 여성에서 보다 일반적인 당뇨병은 임상적인 CAD의 발병율을 증가시키고 긴장 항진증, 고지혈증, 및 흡연의 해로운 효과를 증폭시킨다. 호르몬 대체 치료법(에스트로겐과 함께 또는 프로게스틴이 없이)을 폐경후에 사용하면 해로운 관상 질환 발생을 감소시킨다.
또한, 난포호르몬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억제하며, 콜라겐 (collagen) 생성을 감소시키고, 내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형성과 손상 후 내피회복을 촉진시키며, 내피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와 세포응착(cell adhesion) 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에스트로겐은 생체외 및 생체내에서 내피 세포의 성장을 가속화한다[(모랄레스(Morales, D.E.) 등의 문헌 Circulation, 91:755-63(1995); 크라신스키 (Krasinski, K.) 등의 문헌 Circulation, 95:1768-72(1997)]. 혈관 상해 후에 에스트로겐에 의해 유도된 빠른 재내피세포증식(reendothelialization)은 혈관의 내피 성장 인자의 증가된 국소 발현에 일부 기인할 수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의존 방식으로 배양된 인간의 내피 세포의 고사를 저해한다[스피리도폴로스(Spyridopoulos, I.) 등의 문헌 Circulation, 95:1505-14(1997)].
에스트로겐에 의한 내피 일체성의 초기 복원은 산화질소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해에 대한 반응의 감쇄에 기여하며,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직접 저해할 수 있다[콘웰(Cornwell, T.L.) 등의 문헌 Am. J. Physiol., 267:C1405-C1413(1994)]. 에스트로겐은 생체외에서 평활근 세포의 이동 및 증식을 직접적으로 저해한다[콜로직 (Kolodgic, F.D.) 등의 문헌 Am. J. Pathol., 148:969-76(1996); 발라(Bhalla, R.C.) 등의 문헌 Am. J. Physiol., 272:HI996-H2003 (1997)].
상기와 같이 에스트로겐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요법은 약제의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폐경 후 여성이 호르몬치료를 받는 비율은 미국이 약 15%, 한국은 약 5%로 극히 낮으며, 1년 후 순응도 역시 30-50%에 머물고 있는 실정으로, 부작용 없는 '호르몬제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식물에 존재하는 에스트로겐성 활성물질(estrogenic activator)인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에 대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으며, 이의 호르몬 대체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또한, 전통 생약제는 오랜 기간의 임상실험을 거친 것이어서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약제로서 합성 호르몬제를 대체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estrogen)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식물유래의 다양한 디페놀 화합물(diphenolic compounds)로, 이것의 3개 주요 그룹은 이소플라본(isoflavones), 쿠메스탄(coumestans) 및 리그난(lignans)으로 분류된다. 현재 300종류 이상의 식물로부터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이소플라본과 리그난이 호르몬결핍성 심혈관질환 관련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 외에도 강한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나타내는 플라본(flavones), 플라바논(flavanones), 디하이드로칼콘(dihydrochalcones) 등 다양한 활성화합물이 보고되고 있으나 소재의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최근 식생활을 통한 관련질환의 예방을 위해 식품원료소재의 식물성 에스트로겐 함량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작성 노력이 영국에서는 국가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주나 미국에서도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분석법으로 GC/MS 및 HPLC가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데, GC/MS는 감도가 높은 반면 시료전처리 및 경비면에서 비효율적이며, HPLC는 편의성 및 경비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감도 및 specificity가 낮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최근 비동위원소 수용체기준 미세적정 분석법(nonisotopic receptor-based microtitration assay)이 개발되어 다양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화합물의 효율적 분석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양의 전통적 민간 약초 치료(herbal remedy)에 근거한 약용식물 및 콩 생산물(soy product)를 중심으로 한 식품소재에 대한 관련연구는 최근 상당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으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적극적인 개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중국, 한국 등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의 에스트로겐성 활성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여성의 호르몬결핍기간은 수명의 약 1/3을 차지하며, 전체여성의 약 20%로 추정되는 폐경 후 여성이 식물성 호르몬의 주요 수요자가 될 수 있으며, 특히 호르몬결핍성 심혈관 질환의 적극적인 예방 및 경증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호르몬제제의 시장규모는 국내 386억원/년(10/00-09/01), 세계시장 3.8bil.$('01 추정치)에 이른다(International Medical Statistics (IMS) data).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안전한 에스트로겐인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실용화가 부족하여,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에 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미자 추출물의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오미자는 한방의 부인과 처방에 쓰이는 약초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 그 성분 및 기전이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못하여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작용기전에 근거를 둔 활성평가법을 적용하며 최종 선발된 식물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해서는 모델동물계를 통해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새로운 식물성 에스트로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맥혈관 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의 효능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내피세포 의존성 여부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내피세포 비의존성 여부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산화질소 저해제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프로스타싸이클린 저해제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혈관이완효능에 대한 농도의존성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4a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의 엔도텔린-1(endothelin-1)에 대한 작용억제 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도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엔도텔린-1(endothelin-1)에 대한 작용억제 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도5a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17β-에스트라디올의 칼슘 채널(Ca2+-channel)에 대한 작용억제 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도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칼슘 채널(Ca2+-channel)에 대한 작용억제 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농도의존적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성 활성은 동맥혈관 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성장억제의 효능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제와,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오미자 추출물은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의하여 생산된다. 상기 추출물을 예방 또는 치료 등의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는 그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약품제조산업에 적용되어 대량 생산하는 경우 등 실용적인 견지에서는 표준화된 함량을 가지도록 적절히 통제된 과정에 의하여 생산되는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를 물, 저급 알콜 또는 유기용매 등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을, 유기용매로서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추출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회수율이 가장 높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며, 다만 식품으로 이용할 목적일 경우에는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건조분말에 약 5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균질화시킨다. 이를 75∼85℃로 가열하면서 환류냉각하거나 10,000×g로 약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한다. 이 여액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건조후 동결건조하면 고형의 오미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유의성 있는 유효 성분 농도는 0.1∼1.0㎎/㎖가 바람직하고, 0.1∼0.3㎎/㎖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에 기존에 알려진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isoflavo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리그난(lignan), 다이드제인 (daidzein) 등이 함유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HPLC 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지 아니함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의 동맥확장 작용 및 그 기전을 알아내기 위하여 조직수조 (organ bath)내에서 쥐 대동맥의 혈관수축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내피세포가 존재 또는 부존재 하는 쥐의 대동맥을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이하 'NE'이라 한다.)으로 수축시킨 후, 오미자의 추출물를 첨가하였다. 그 결과, 내피세포가 존재하는 경우는 농도 의존적인 일과성 이완효과를 나타내었다(도1a). 내피세포가 제거된 경우는 상기 추출물의 유효 농도에서 이완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1b), 매우 높은 추출물 농도(high dose, 3mg/ml 이상의 경우)에서는 이완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의 통상 유효농도에서는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작용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산화질소 (nitric oxide, 이하 NO라고 함) 합성 저해제 및 프로스타싸이클린 합성 저해제 (prostacycline synthase inhibitor)를 혈관에 미리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에 의한 이완효과 실험을 하였는데, 상기 저해제에 의해 상기 추출물의 이완작용이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혈관이완 작용중 내피세포 의존성 경로로는 내피세포로부터 NO의 방출 및 프로스타싸이클린의 생성 경로가 있음을알 수 있다.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세포 비의존성 혈관이완작용을 알아 보기 위해, 내피세포를 제거한 쥐의 대동맥을 엔도텔린-1(endothelin-1) 및 염화칼륨으로 수축시킨 후, 오미자 추출물을 가하였다. 또, 이와 비교하기 위해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을 가하는 실험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상기 에스트라디올과 마찬가지로 엔도텔린-1 및 염화칼륨으로 수축된 대동맥을 모두 이완시켰으며, 농도 의존적인 이완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내피세포 비의존성 혈관이완 경로로서, 엔도텔린-1의 작용억제 및 칼슘 채널 억제(Ca2+-channel blocker)의 경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미자 추출물의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쥐의 흉부대동맥에서 얻은 혈관평활근세포를 배양하여 [3H] 티미딘 융합 시험([3H] thymidine incorporation test)를 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를 넣은 경우는 매우 왕성한 세포증식율(60000count/min)을 보여 시험대상 세포가 정상적인 증식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DSF(Defined serum-free medium) 배양액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블랭크(blank)의 경우는 약간의 세포증식율(6000count/min)을 보였고, lysoPC(lysophosphatidylcholine)만 넣은 경우는 블랭크의 두배 정도 높은 세포증식율(12000count/min)을 보였다. lysoPC와 오미자 추출물을 함께 넣은 경우는 lysoPC만 넣은 경우보다 낮은 세포증식율을 보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세포증식율을 보였다.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기존의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에스트로겐의 동일한 기전으로 혈관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의 효능을 가지므로, 새로운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오미자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즉,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기반으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동맥혈전증 및 관상동맥질환 등을 포함하는 질환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 또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혈압 등의 질환에 사용되는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에 따라 다른 활성성분과 혼합하여 효과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됨으로써 약제학 분야의 통상의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오미자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오미자 추출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이 때,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으로는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차, 젤리, 즙, 쥬스, 엑기스, 음료 등의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 절단한 오미자를 시장에서 구입하여 푸드믹서로 갈아 분말형태로 만든 후, 오미자 건조분말에 10배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화 시키고 환류 냉각기에 넣어 78℃에서 환류 냉각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감압건조한 후 동결건조한 고형의 오미자 추출물을 에탄올에 1g/ml의 농도로 녹여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2]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세포 의존여부 실험
A. 실험준비
본 실험용 동물은 수컷 스프라그-다우리 랫트(Sprague-Dawley rats(200-250g))이며, 이 쥐를 기절시킨 즉시 방혈하고 하행흉부대동맥(thoracic aorta)을 분리하여 길이 약 2-3mm의 링(ring) 형태로 잘랐으며, 내피가 완전한 상태의 혈관과 생리적 염용액(physiologically salt solution, 이하 'PSS'라 한다.)에 담근 솜을 사용하여 혈관의 내부를 부드럽게 문질러서 내피를 제거한 상태의 혈관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분리한 혈관을 4ml의 PSS가 들어있는 조직 수조(organ bath)에 1g의 안정장력을 나타내도록 현수시켰다. 혈관을 수조에 현수시킨 후 1g의 장력으로 20분간 평형화시키고 반응이 안정될 때까지 70mM 염화칼륨 용액에 반복적으로노출시켰다.
실험에 사용한 PSS의 조성은 염화나트륨(NaCl) 136.9mM, 염화칼륨 (KCl) 5.4mM, 염화칼슘(CaCl2) 1.5mM, 염화마그네슘(MgCl2) 1.0mM,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23.8mM, 포도당 5.5mM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0.01mM이었다. 고농도의 칼륨 용액은 염화나트륨을 동일한 농도의 염화칼륨으로 대치시켰다. 조직수조내의 용액은 37℃, pH 7.5에서 95%의 산소(O2) - 5%의 이산화탄소(CO2) 혼합기체로 통기상태를 유지시켰다. 혈관의 장력은 장력-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FT03, Grass, Fhode Island, USA))가 연결된 다원기록 장치(polygraph system(RPS212, Grass, RI, USA))와 컴퓨터 분석기(computer analyser(Power Lab 400, MacLab system, Castle Hill,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B.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의존 여부에 관한 효과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적 활성은 300nM의 NE으로 수축시킨 대동맥에 1μM 카바콜(carbachol)을 첨가시 거의 완전하게 이완시키는지(>90%)를 측정하여 판정이 가능하였다(Sudarwo et al. 1992).
실험예1에서 제조한 오미자 추출물을 0.03∼10mg/ml의 농도로 상기 조직 수조내 혈관에 적용했는데, 내피세포 유무에 관계없이 안정상태에서는 분리한 쥐 대동맥의 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는 미도시함).
상기 분리된 쥐의 흉부대동맥을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험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내피가 완전한 쥐 대동맥에서 300nM NE로 수축시킨 혈관에 대해 오미자 추출물은 일시적 이완효과를 나타내었다(47.7±6.8%)(도1a). 이러한 이완효과는 적어도 3분간 지속되었으며, 대동맥을 PSS로 다시 씻어낸 후 카바콜 자극시에도 완전한 이완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내피세포를 손상하거나 용혈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피가 제거된 쥐 대동맥에서 300nM NE로 수축시킨 혈관에 대해 오미자 추출물은 이완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오미자 추출물을 3mg/ml이상으로 과량(high dose) 첨가했을 때는 이완효과를 나타냈으며, 3mg/ml인 경우는 약 40%의 이완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위 결과로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NE, 카바콜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3]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효과
실험예2에서 확인된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효과가 어떤기전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각종 혈관이완 저해물질로 처리한 후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험예2의 A에서와 같이 실험 준비를 하되, 내피가 완전한 혈관이 든 조직 수조를 4개 준비하였다. 각 조직 수조에 NO 합성효소 저해제인 NG-니트로-L-아르기닌(NG-nitro-L-arginine, 이하 'L-NNA'라 함)), Nω-니트로-L-아르기닌 메틸 에스테르(Nω-nitro-L-arginine methyl ester, 이하 'NAME'이라 함), NG-메틸-L-아르기닌(NG-methyl-L-arginine, 이하 'NMMA'이라 함) 각각 10μM과 프로스타싸이클린 합성 저해제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μM을 NE에 의한 수축 자극 30분 전에 상기 조직 수조에 각각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리된 쥐의 흉부대동맥을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험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NO 합성저해제인 L-NNA는 NE로 수축시킨 대동맥에 대한 오미자 추출물의 혈관이완작용을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2a). 또다른 NO 합성저해제인 NAME와 NMMA도 내피세포가 완전한 쥐 대동맥에 대해 L-NNA와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 미도시함). 또한, 프로스타싸이클린 합성 저해제인 인도메타신은 NE로 수축시킨 쥐 대동맥에 대한 오미자 추출물의 혈관이완작용을 완전히 저해했다(도2b).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의 내피세포 의존적 혈관이완작용은 NO 합성 및 프로스타싸이클린 합성을 유도하는 기전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L-NNA, NAME, NMMA, 및 인도메타신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4]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 의존성 효과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실험을 준비하되, 내피세포가 완전한 혈관을 준비하여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를 0.1에서 3.0mg/ml로 증가시켜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한 후, 혈관 이완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이완효과가 30.9±3.0%에서 87.1±1.3%로 증가하여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쥐 대동맥에 대해 농도 의존적 혈관 이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3).
[실험예5] 오미자 추출물의 엔도텔린-1 작용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실험을 준비하되, 내피세포를 제거한 혈관을 두 개 준비하여 10-7nM 엔도텔린-1으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하나에는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여 반응을 관찰하였다. 또한, 다른 하나에는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효과를 에스트로겐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오미자 추출물 대신 17β-에스트라디올을 첨가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엔도텔린-1의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는 0.3에서 1.0mg/ml로, 상기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는 10-5에서 10-3M/ml로 증가시켜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한 후, 혈관 이완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이완효과가 상기 에스트라디올은 10∼65%로(도4a),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42∼100%로(도4b)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쥐 대동맥에 대해 에스트라디올과 마찬가지로 엔토텔린-1의 작용억제 경로에 의한 농도 의존적 혈관 이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6] 오미자 추출물의 칼슘 채널 작용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실험을 준비하되, 내피세포를 제거한 혈관을 두 개 준비하여 72mM 염화칼륨으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하나는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여 반응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효과를 에스트로겐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오미자 추출물 대신 17β-에스트라디올을 첨가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염화칼륨의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 (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는 0.01에서 0.3mg/ml로, 상기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는 10-7에서 10-3M/ml로 증가시켜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한 후, 혈관 이완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이완효과가 상기 에스트라디올은 0%에서 100%로(도5a),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0%에서 100%로(도5b)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쥐 대동맥에 대해 에스트라디올과 마찬가지로 칼슘 채널의 작용억제 기전에 기인한 농도 의존적 혈관 이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7] 오미자 추출물의 혈관평환근세포 성장억제 효과
A. 혈관평활근 세포 분리 및 배양
3개월된 스프라그-다우리 랫트(SD rat)에서 흉부 대동맥을 제거하여 혈관평활근세포를 분리한다. 혈관주위의 무른 결합조직(loose connective tissue)을 없애고 효소 해리 혼합액(enzyme dissociation mixture; collagenase type Ⅱ 1mg/ml, elastase 0.25mg/ml, soybean tripsine inhibitor 1mg/ml, BSA(Bovine serum albumin) 2mg/ml, 배지 DMEM/F-12)에 담가 내피세포를 제거하고 혈관 외벽 (adventia)과 중막(media)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해부현미경하에서 외막 (adventitia)을 박리한 후 2-3 mm의 크기로 잘게 자른다. 중막 조직(Media tissue)을 다시 효소 해리 혼합액에 담가 회전 교반기(gyratory shaker)내에서 37℃, 60분 반응시킨다. 혈관평활근세포가 분리되면 10%FBS를 첨가하여 효소를 비활성화 시킨 후 소독된 거즈(gauze)로 걸러 분해되지 않은 찌꺼기를 제거한다. 다시 원심분리 후 세포배양액에 재부유 시켜 세포배양 플라스크(flask)에 2,000∼5,000/cm2세포농도로 평판 배양(plating)한다. 혈관평활근세포는 37℃의 습한(humidified) CO2/95% 공기(air) 환경에서 키우며, 배양된 세포가 혈관평활근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파 평활근 액틴(alpha-smooth muscle actin,SMA)의 발현을 조사한다.
B. [3H] 티미딘 융합 실험([3H] Thymidine incorporation test )
상기 A에서 배양된 세포의 70∼80%가 세포이동 시기(confluence)에 도달하면 DSF(defined serum-free medium)로 배양액을 교체한다. 44시간 후에 무활동의 세포(quiescent cell)를 배양액 DSF에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것(blank), 배양된 세포의 증식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10% FBS로만 처리한 것, 5uM의 lysoPC (lysophosphatidylcholine)로만 처리한 것, 및 5uM의 lysoPC처리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오미자 추출물을 0.1mg/ml 및 0.3mg/ml로 처리한 것을 각각 준비한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4시간 동안 [3H] 티미딘과 작용시킨 후, 하베스트(Harvest) 처리한다. 상기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10%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다시 세척한다. TCA에 녹지않는 물질을 에탄올(ethanol)로 세척하고 0.25M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녹인 다음, 섬광 계수관(liquid scintillation counter)으로 방사능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의 DNA 합성을 [3H] 티미딘 융합 (Thymidine incorporation)으로 평가한다.
이 때,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 효과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다.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넣은 경우는 60000count/min의 세포증식율을 보여 시험대상 세포가 정상적인 증식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DSF(Defined serum-free medium) 배양액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블랭크(blank)의 경우는 6000count/min의 세포증식율을 보였고, lysoPC(lysophosphatidylcholine)을 넣은 경우는 블랭크의 두배 정도 높은 세포증식율 12000count/min를 보였다. lysoPC와 오미자 추출물을 함께 넣은 경우는, 블랭크보다 높은 세포증식율을 보였고 lysoPC만 넣은 경우보다 낮은 세포증식율을 보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세포증식율을 보였다.
즉, 배양된 세포는 10% FBS에 의한 결과로 보아 세포증식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lysoPC에 의해 유도된 세포 성장은 오미자 추출물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쥐 대동맥에 대해 에스트로겐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6).
실험결과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차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α=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생약인 오미자 추출물로 에스트로겐성 활성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종래의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다른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부작용이 없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합성 에스트로겐을 대체할 수 있는 생리적 활성의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기 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병,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당뇨병, 성기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와, 그 외의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시에 처방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하고 저렴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에스트로겐성 동맥확장 및 혈관평활근세포 성장억제 활성에 기인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동맥혈전증 및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물, 저급알콜,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종이상을 추출용매로 선택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조제되어 단위별로 심혈관 질환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형태로 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의 유효 성분 농도가 0.1∼0.3㎎/㎖ 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946A KR20040057278A (ko) | 2002-12-26 | 2002-12-26 |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946A KR20040057278A (ko) | 2002-12-26 | 2002-12-26 |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7278A true KR20040057278A (ko) | 2004-07-02 |
Family
ID=3734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3946A KR20040057278A (ko) | 2002-12-26 | 2002-12-26 |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5727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3984B1 (ko) * | 2004-07-19 | 2007-06-29 | 이동웅 |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20160013410A (ko) * | 2014-07-25 | 2016-02-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WO2018066956A1 (ko) * | 2016-10-04 | 2018-04-12 | 한국한의학연구원 |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02
- 2002-12-26 KR KR1020020083946A patent/KR2004005727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3984B1 (ko) * | 2004-07-19 | 2007-06-29 | 이동웅 |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20160013410A (ko) * | 2014-07-25 | 2016-02-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WO2018066956A1 (ko) * | 2016-10-04 | 2018-04-12 | 한국한의학연구원 |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80037642A (ko) * | 2016-10-04 | 2018-04-13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28818B1 (en) | Tea catechin formula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 |
US11207368B2 (en) | Anti-resorptive and bone building dietary supplements and methods of use | |
Rezaee et al. | Safranal: from an aromatic natural product to a rewarding pharmacological agent | |
AU3146699A (en) | Utilization of extracts from iris plants, cimicifuga racemosa and tectorigenin as an estrogen-like organ-selective medicament without uterotropic effects | |
Lee et al. | Lespedeza cuneata protects the endothelial dysfunction via eNOS phosphorylation of PI3K/Akt signaling pathway in HUVECs | |
TW200427455A (en) | Water soluble extract from plant of solanum genu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water soluble extract | |
WO2005003145A1 (en) | Shanzhuyu extract and uses thereof | |
KR100379323B1 (ko) | 카테킨을 포함하는 관상동맥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 |
KR101523586B1 (ko) |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TWI679985B (zh) | 含有橄欖果實萃取物的Tie2活化劑 | |
Geerts et al. | Sho–Saiko–To: The right blend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liver cell biology | |
Kim et al. | The effect of eqoul, a metabolite of isoflavone, on endothelial cell-independent vasodilatation of human uterine artery in vitro | |
KR101306599B1 (ko) | 코리난테 종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및 이의 용도, 및 상기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식이요법 식품 및 약제학적 제제 | |
KR20040057278A (ko) |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
TW200536518A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for treating woman osteoporosis | |
US20030165580A1 (en) | Saf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ynecological disease | |
Button et al. | Phytoestrogens for osteoporosis | |
Levavi-Sivan et al. | Exposure of tilapia pituitary cells to saponins: insight into their mechanism of action | |
Baweja et al. | Neuroprotective effects of phytoestrogens: A potential alternative to estrogen therapy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 |
Rashida et al. | A Study on Ethanolic Extract of Dalbergia sissoo roxb. Leaves for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 |
Booth et al. |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 |
Eff et al. | Renin inhibition activity,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Centella asiatica (L.) Urb. | |
KR20050081597A (ko) | 은행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억제효과를갖는 골다공증 치료제 | |
Nash | Rooibos tea flavonoids increase mineral content in human osteoblast-like cells | |
Albertazzi | Phytoestrogens in Food P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