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1329A -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 Google Patents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329A
KR20040051329A KR1020020079240A KR20020079240A KR20040051329A KR 20040051329 A KR20040051329 A KR 20040051329A KR 1020020079240 A KR1020020079240 A KR 1020020079240A KR 20020079240 A KR20020079240 A KR 20020079240A KR 20040051329 A KR20040051329 A KR 2004005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rvice
network
ggsn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329A/ko
Publication of KR2004005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에 관한 것으로, 무선랜망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포함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디스커버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를 통해 무선 정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유트란 영역으로 핸드 오버한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담긴 세션 설정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IP 레벨에서 연동 처리하는 GGSN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WLAN 및 3GPP UMTS 패킷망에 대한 수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므로 무선 상에서 패킷 관문 교환기의 아이피 주소 노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Hand-Over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패킷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피 레벨(IP Level)에서 보다 간편하게 핸드 오버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WLAN-UMTS(Wireless Local Area Network-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망간 연동을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도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이하, WLAN이라 한다)망을 통한 패킷 서비스와 3GPP UMTS를 통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LAN-3GPP 듀얼 모드(Dual Mode)/듀얼 밴드(Dual Band) 이동단말(10)은 자신의 위치에 따라서 WLAN(20)을 통한 서비스 또는 유트란(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한다)(30)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WLA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10)은 접근점(Access Point : 이하, AP라 한다)(21)을 통하여 WLAN(20)에 무선 정합되는데, 상기 WLAN(20)는 해당 이동단말(10)이 요청하는 메시지를 억세스 라우터(Access Router)(22)를 통해 UMTS 패킷 망(4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WLAN(20)과 UMTS 패킷 망(40) 사이에는 인터워크 유닛(Inter-Work Unit : 이하, IWU라 한다)(23)이 존재하여 WLAN(20)이 UMTS 패킷 망(40)에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단말(10)이 WLA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노드-B(Node-B)(31)를 통해 UTRAN(30)에 정합되는데, 상기 UTRAN(30)은 상기 이동단말(10)이 요청하는 서비스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 이하, RNC라 한다)(32)를 통해 UMTS 패킷 망(4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UMTS 패킷 망(40)에서는 이동통신 패킷 교환국(Serving GPRS Support Node : 이하, SGSN이라 한다)(41)을 이용하여 UTRAN(30)을 통해 패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단말(10)에 대한 인증 및 패킷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다.
위치 등록시 이동단말(10)은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하고 IMSI를 숨기기 위해 SGSN(41)은 TMSI를 이동단말(10)에게 할당하여 가입자 확인을 위해 TMSI를 사용하게 한다.
SGSN(41)은 이동단말(10)로부터 접근점 이름(Access Point Name : 이하, APN이라 한다)과 TMSI가 담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수신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TMSI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확인하고 APN을 이용하여 이동단말(10)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GGSN(42)을 선택한다.
상기 SGSN(41)은 상기 APN을 이용하여 DNS 서버(도시하지 않음)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GGSN(43)의 IP를 요청하는데, 이때 APN에 여러 개의 GGSN IP 주소가 맵핑될 수 있다. SGSN(41)은 상기 여러 GGSN IP들 중 임의의 GGSN IP를 선택하고, TMSI와 맵핑되는 IMSI와 APN을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에 담아 상기 선택된 GGSN IP가 나타내는 GGSN(42)으로 전송하여 GGSN(42)이 이동단말(10)이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하도록 하고, IP 주소 할당 결과를 SGSN(41)을 통해 이동단말(10)에게 알려준다.
상기 GGSN(42)에서는 상기 SGSN(41)에서 전송하는 임시(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이하, IMSI라 한다)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단말(10)을 식별하는데, 상기 GGSN(42)은 IP 주소를 할당한 후 해당 IMSI 번호에 할당된 IP 주소를 저장한다. IP 주소가 이동단말(10)에 할당되면 서비스 가입자는 패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UTRAN 영역에서는 3GPP에서 권고하는 패킷 세션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패킷 호 설정을 한다.
이와 같이 현재 제안되는 WLAN-UMTS 연동 방안에서는 SGSN(41)을 WLAN-UMTS 패킷 서비스를 위한 정합 노드로 사용하며, 무선 정합 규격을 사용하고 3GPP UMTS 패킷 서비스 절차를 따라 호 처리 절차 및 노드 정합을 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WLAN-UMTS 타이트 커플링(Tight Coupling) 구조라 한다.
현재 WLAN가 UMTS간 핸드 오버 절차는 3GPP에서 표준화 규격 작업 중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WLAN과 3GPP UMTS간 프로토콜 변환 및 SGSN과 정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IWU 기능 개발 및 IWU와 SGSN간 정합 프로토콜을 새로이 정의해야 하므로 다소 복잡한 망 구성 형태를 가지면, 신규 노드 및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기능 개발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핸드 오버 절차가 3GPP에서 표준화 작업 중에 있기 때문에 핸드 오버 방안이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서비스 제공이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WLAN-UMTS간 연동에 따른 제어 및 WLAN-UTRAN간 핸드 오버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은 무선랜망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포함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디스커버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를 통해 무선 정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유트란 영역으로 핸드 오버한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담긴 세션 설정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DHCP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하여 무선 정합이 해제되었음을 상기 패킷 관문 교환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유트란 영역에 위치한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포함된 세션 설정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무선랜망으로 핸드 오버한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접근점 이름이 담긴 DHCP 디스커버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무선 정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유트란 영역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무선 정합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세션 비활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세션을 삭제하고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WLAN-UMTS 망간 연동을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망 구조도이고,
도 2는 WLAN-UMTS 망간 연동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 구조도이고,
도 3a 및 3b는 이동 단말이 WLAN 망에서 UTRAN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고,
도 4a 및 3b는 이동 단말이 UTRAN 영역에서 WLAN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이동단말200 : 무선랜망
300 : 유트란400 : 범용 이동통신 패킷 망
500 : 인터넷망201 : 접근점
202 : 억세스 라우터301 : 노드-B
302 :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401 : 이동통신 패킷 교환국
402 : 패킷 관문 교환국403 : AAA 서버
404 : DHCP 서버405: HLR
406 : RA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WLAN-UMTS 망간 연동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 구조도로, 구성 노드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 이하, WLAN이라 한다)을 통한 패킷 서비스와 3GPP UMTS를 통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LAN-3GPP UMTS 듀얼 모드(Dual Mode)/듀얼 밴드(Dual Band) 이동단말(100)은 자신의 위치에 따라서 WLAN(200) 망을 통한 서비스 또는 유트란(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한다)(300)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동단말(100)이 WLA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접근점(Access Point : 이하, AP라 한다)(201)을 통하여 WLAN(200)에 무선 정합되는데, 상기 WLAN(200)는 해당 이동단말(100)이 요청하는 메시지를 억세스 라우터(Access Router)(202)를 통해 UMTS 패킷 망(400)의 패킷 관문 교환국(GGSN)(402)으로 전달한다.
한편, 이동단말(100)이 WLA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노드-B(Node-B)(301)를 통해 유트란(이하, UTRAN이라 한다)(300)에 정합되는데, 상기 UTRAN(300)은 상기 이동단말(100)이 요청하는 서비스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이하, RNC라 한다)(302)를 통해 UMTS 패킷 망(4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UMTS 패킷 망(400)에서는 이동통신 패킷 교환국(Serving GPRS Support Node : 이하, SGSN이라 한다)(401)을 이용하여 상기 UTRAN(300)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단말(100)에 위치 등록 기능과 인증 및 패킷 호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SGSN(401)은 이동단말(100)로부터 TMSI, APN이 포함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TMSI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확인하고 APN을 이용하여 이동단말(100)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GGSN(402)를 선택한다.
상기 SGSN(401)은 상기 APN을 DNS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문의하여 이동단말(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GGSN(402)의 IP를 요청하는데, 이때 APN에 해당하는 GGSN IP 주소가 기존에는 여러 개 맵핑될 수 있지만, WLAN망과 연동하는 APN인 경우, DNS 서버는 해당 APN에 대해 1개의 GGSN IP주소만을 맵핑하게 하여APN을 이용하여 하나의 GGSN IP를 구할 수 있도록 한다.
DNS 서버로부터 GGSN IP를 전달받은 SGSN(401)은 TMSI에 맵핑되는 IMSI와 APN을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에 담아 상기 GGSN IP가 가리키는 GGSN(402)으로 전송하여 이동단말(100)이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하게 하고 IP 할당 결과를 SGSN(401)을 통해 이동단말(100)에게 통보한다.
이때, 상기 GGSN(402)은 필요에 따라서 AAA 서버(403) 및 DHCP 서버(404)등과 같은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100)에 대하여 인증/과금/권한 및 IP 주소를 할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WLAN과 UMTS 패킷망간 연동을 위한 노드인 IWU 노드의 구성이 없고, WLAN-UMTS 패킷 서비스를 위한 정합 노드로 SGSN 대신에 GGSN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IP를 관리/할당하는 노드인 GGSN을 통한 정합을 이루는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IP 계층에서의 WLAN-UMTS간 연동 방안 내지는 IP 커플링 구조라 명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오버 방안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이동 단말이 WLAN 영역에서 UTRAN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이동 단말이 UTRAN 영역에서 WLAN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이다.
상기 도 3a와 도 3b, 도 4a와 도 4b는 연속되는 도면이므로 별도의 구분없이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LAN 망을 통해 패킷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가입자는 듀얼 모드/듀얼 밴드 이동단말(10)을 이용하여 무선 정합을 한 후에(802.11 association request)(S301),(802.11 association response)(S302), AAA 서버(403)와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인증(Security)(S303)하고 동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에서 연동하는 여러 GGSN들로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를 보내어 IP 주소 요청을 한다(S304).
이때, 상기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에 이동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유저 아이디(USER ID)와,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3GPP UMTS 패킷망에서 사용하는 접근점 이름(Access Point Name : 이하, APN이라 한다)을 담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에 의한 방법으로 전송한다.
상기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를 수신한 GGSN(402)들은 상기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에 포함된 APN이 자신을 가리키는 식별자이면 DHCP 제공 메시지(DHCP OFFER)로 상기 이동단말(100)에 응답하고(S305), 상기 APN이 자신을 가리키는 식별자가 아니면 수신된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를 무시한다.
이에, 상기 이동단말(100)은 해당 GGSN(402)에게 DHCP 요청 메시지(DHCP REQUEST)를 보내어 특정 GGSN이 선택되었음을 알린다(S306).
이어, 상기 선택된 GGSN(402)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를 이용하여 이동단말(100)에게 할당할 IP 주소를 구하고, 이 IP 주소를 DHCP ACK 메시지에 실어해당 이동단말(100)에게 할당한다(S307).
IP 주소를 할당받은 이동단말(100)은 WLAN 망을 통해서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308).
이처럼 WLAN망을 통해서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던 이동단말(100)이 3GPP UTRAN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단말(100)은 3GPP UMTS 패킷 호 설정 절차를 통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100)은 SGSN(401)으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송하는데(S309), 상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상기 무선랜망에서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접근점 이름(APN)과 동일 APN을 담아 전송하므로써 3GPP UTRAN 영역에서도 WLAN 망에서와 동일한 GGSN이 선택되도록 한다.
이어, SGSN(401)과 RAN(Radio Access Network)(406)간에 무선 접근 베어러(Radio Access Bearer)가 설정되고(S310) RAN(406)과 이동단말(100)간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설정되면(S311), GGSN(13)은 요청한 PDP context를 수락할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수락한다면 상기 WLAN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했을 때와 동일한 IP 주소를 PDP Context 생성 메시지(Create PDP Context)(S312)와 PDP Context 활성화 수락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Accept)(S313)를 통해 이동단말(100)에게 할당한다.
상기 GGSN(402)에서는 해당 이동단말(100)이 WLAN을 통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동단말(100)은 자신이 UTRAN(300)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WLAN 정합을 해제함을 해당 이동단말(100)의 유저 아이디(USER ID)를 담아 DHCP RELEASE 메시지(DHCP RELEASE)를 통해 GGSN(402)에 통보하면(S314), 패킷 송/수신은 3GPP UMTS 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S315).
반대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은 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억세스점 이름(Access Point Name : 이하 APN이라 약칭한다) 및 사용자가 요구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의 베어러 정보(Bandwidth)를 지정하고, 이들을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S401)에 포함시켜 기지국을 통해 SGSN(12)으로 전송한다.
상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GSN(401)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APN을 이용하여 하나의 GGSN(402)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SGSN(401)과 RAN(Radio Access Network)(406)간에 무선 접근 베어러(Radio Access Bearer)를 설정되고(S402) RAN(406)과 이동단말(100)간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설정되면(S403), 상기 SGSN(401)은 상기 선택된 GGSN(402)과 PDP 컨텍스트를 생성한다(Create PDP Context)(S404)한다.
이어, 상기 SGSN(401)은 상기 GGSN(402)로부터 적절한 IP 주소를 할당받고 이 IP 주소를 PDP Context 활성화 수락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Accept)에 담아 이동단말(100)에게 전송한다(S405).
이처럼 IP 주소가 이동단말(100)에게 할당되면 이동단말(100)은 UMTS 망을 통해서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406).
이와 같이 3GPP UTRAN 영역에서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던 이동단말(100)이WLAN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단말(100)은 3GPP UTRAN과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WLAN(200) 망의 AP(201)와 무선 정합을 설정한다(802.11 association request)(S407),(802.11 association response)(S408).
이어, AAA 서버(403)와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인증(Security)(S409)한 후, DHCP 디스커버 메시지(DHCP DISCOVER)(S410)에 UTRAN 영역에서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접근점 이름(APN)과 동일 APN을 담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에 의한 방법으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APN이 가리키는 해당 GGSN(402)은 3GPP UTRAN 영역에서의 서비스시에 할당한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를 DHCP 제공 메시지(DHCP OFFER)에 담아 이동단말(100)에게 전송한다(S411). 상기 APN은 상기 UTRAN 영역에서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APN과 동일 APN로, 상기 APN을 이용하여 선택된 GGSN도 UTRAN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던 GGSN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동단말(100)에서 GGSN(402)으로 DHCP 요청 메시지(DHCP REQUEST)(S412)를 보내고, 이에 GGSN(402)가 DHCP 애크 메시지(DHCP ACK)(S413)로 이동단말(100)에 응답하여 WLAN 정합 연결이 완료한다.
이어, 3GPP UMTS 패킷망을 통해 연결된 자원을 해제시키는 절차를 수행하는데, 상기 이동단말(100)에서 GGSN(402)으로 PDP Context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S414)를 보내면 SGSN(401)은 GGSN(402)과의 사이에 설정된 PDP Context를 삭제하고(Delete PDP Context)(S415), 그 결과를 PDP Context 비활성화 응답 메시지(Deactivate PDP Context Response)(S416)에 실어 이동단말(100)에게 전송하여 유트란 영역에서의 서비스를 위해 설정했던 세션을 비활성화시킨다.
이어, 상기 라디오 접근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 RAN)(406)와 이동 단말(MS)(100)로 라디오 자원 억세스 해제 메시지(Radio Access Bearer Release)(S417) 및 무선 자원 해제 메시지(Radio Bearer Release)(S418)를 전송하여 무선 자원을 해제시킨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WLAN 망과 UTRAN 영역간에 핸드 오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은 IP 레벨에서 연동 처리하는 GGSN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WLAN 및 3GPP UMTS 패킷망에 대한 수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므로 무선 상에서 패킷 관문 교환기의 아이피 주소 노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무선랜망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포함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디스커버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를 통해 무선 정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유트란 영역으로 핸드 오버한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담긴 세션 설정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오버 방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DHCP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하여 무선 정합이 해제되었음을 상기 패킷 관문 교환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오버 방안.
  3. 유트란 영역에 위치한 이동단말로부터 접근점 이름이 포함된 세션 설정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세션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무선랜망으로 핸드 오버한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접근점 이름이 담긴 DHCP 디스커버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점 이름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무선 정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망에서 유트란 영역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패킷 관문 교환기로 무선 정합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세션 비활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세션을 삭제하고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KR1020020079240A 2002-12-12 2002-12-12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KR20040051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240A KR20040051329A (ko) 2002-12-12 2002-12-12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240A KR20040051329A (ko) 2002-12-12 2002-12-12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329A true KR20040051329A (ko) 2004-06-18

Family

ID=3734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240A KR20040051329A (ko) 2002-12-12 2002-12-12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329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045B1 (ko) * 2003-10-2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DHCPv4 환경하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핸드오버 장치및 상기 핸드오버 방법이 저장된 정보저장매체
WO2007031604A1 (en) * 2005-09-16 2007-03-22 Teliasonera Ab Maintaining of connection between terminal device and service
KR100729734B1 (ko) * 2004-07-28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KR100739807B1 (ko) * 2006-02-06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Dhcp를 이용한 핸드오버 정보 검색 및 획득 방법 및장치
CN100407812C (zh) * 2005-12-20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小区多媒体广播业务的方法
WO2009032519A2 (en) * 2007-08-31 2009-03-12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
US8014367B2 (en) 2003-11-12 2011-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application server autonomous access across different types of access technology networks
US8140112B2 (en) 2002-07-02 2012-03-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WO2012094989A1 (zh) * 2011-01-10 201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上下文相关资源的释放方法和设备
US8548478B2 (en) 2003-11-13 2013-10-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handover from a third generation (3G)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9380501B2 (en) 2004-03-12 2016-06-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a multi-mod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503B2 (en) 2002-07-02 2016-01-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US8140112B2 (en) 2002-07-02 2012-03-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KR100694045B1 (ko) * 2003-10-2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DHCPv4 환경하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핸드오버 장치및 상기 핸드오버 방법이 저장된 정보저장매체
US8014367B2 (en) 2003-11-12 2011-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application server autonomous access across different types of access technology networks
US10045271B2 (en) 2003-11-13 2018-08-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system hando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548478B2 (en) 2003-11-13 2013-10-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handover from a third generation (3G)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9380501B2 (en) 2004-03-12 2016-06-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a multi-mod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10165478B2 (en) 2004-03-12 2018-12-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a multi-mod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KR100729734B1 (ko) * 2004-07-28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WO2007031604A1 (en) * 2005-09-16 2007-03-22 Teliasonera Ab Maintaining of connection between terminal device and service
EP1925127A1 (en) * 2005-09-16 2008-05-28 TeliaSonera AB Maintaining of connection between terminal device and service
EP1925127A4 (en) * 2005-09-16 2012-04-25 Teliasonera Ab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SERVICE
CN100407812C (zh) * 2005-12-20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小区多媒体广播业务的方法
WO2007091780A1 (en) * 2006-02-06 2007-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for and acquiring handover information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KR100739807B1 (ko) * 2006-02-06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Dhcp를 이용한 핸드오버 정보 검색 및 획득 방법 및장치
WO2009032519A3 (en) * 2007-08-31 2009-05-07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
WO2009032519A2 (en) * 2007-08-31 2009-03-12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
WO2012094989A1 (zh) * 2011-01-10 201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上下文相关资源的释放方法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795B1 (ko) 셀룰러 망과 무선 랜 망의 타이틀리 커플드 연동 방법 및 장치
EP29340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US73563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 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according to an access terminal's movement to subnet in a high-speed data dedicated system
CN101873582B (zh) 一种ip地址分配方法及系统
CN102273267B (zh) 控制站、移动台、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方法
JP5038413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にエリア識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20170019844A1 (en)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US2010030988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unnel management method thereof
TW200910995A (en) A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temporary user identity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13123267A (ja) 制御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979560B2 (en) Method of providing push service to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099949A1 (en) Handover system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CN107409437B (zh) 一种plmn的dcn处理方法、ue及dcn服务节点
KR1007352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51329A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CN104349507B (zh) 一种切换方法和装置
KR20040051328A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WO2011018040A1 (zh) 小区更新方法及系统
CN101374160B (zh) 分组网络中分配用户地址的方法、装置及系统
KR20040049189A (ko)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100473005B1 (ko) 이동통신 패킷망에서의 에스아이피 기반의 화상통화서비스 방법
KR20040049188A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연동방법
US20060056395A1 (en) Handover for packet switched data
KR10174824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00038224A (ko) 멀티 무선망 ip 주소 할당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