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4813A -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 Google Patents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813A
KR20040044813A KR1020020072997A KR20020072997A KR20040044813A KR 20040044813 A KR20040044813 A KR 20040044813A KR 1020020072997 A KR1020020072997 A KR 1020020072997A KR 20020072997 A KR20020072997 A KR 20020072997A KR 20040044813 A KR20040044813 A KR 2004004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member
composite material
concrete
structur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584B1 (ko
Inventor
황윤국
김형렬
박기태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5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용 부재를 사각 또는 I형 단면 등으로 제작하되 복합소재로 소정의 두께로 외피를 제작하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 등을 충진 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조용 부재 제작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제작이 간편하고, 중량이 작아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복합소재의 재료적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구조적 기능도 매우 우수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에 관한 것이며,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재 다수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상기 결합용 홈에 대응하는 형상인 연결재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structural members made by fiber reinforced plastic}
본 발명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각종 부재를 사각 또는 I형 단면 등으로 제작하되 복합소재로 소정의 두께로 외피를 제작하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 등을 충진 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조용 부재 제작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제작이 간편하고, 중량이 작아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복합소재의 재료적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구조적 기능도 매우 우수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조물용 부재는 특히 교량용 거더(girder)의 경우를 들어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순수하게 강재로 제작되거나 무근, 철근 또는 긴장재에 의하여 보강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외부하중에 대한 휨 강성 등이 최적을 이루는 단면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거더는 강재 및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과 일정 단면형상의 역학적 기능을 조화시켜 나름대로의 구조적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경제적인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서 교량용 거더의 설계 및 시공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강재 만을 사용하여 거더를 포함한 구조용 부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가공의 용이성, 구조적 기능의 장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가격이 다소 고가이며 부식에 약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 현장에서 강재로 제작된 부재에 어떤 형식이든 콘크리트와 합성시켜 구조물용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결국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제작비용 증가요인(특히 거푸집 설치 및 해체비용의 증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확보의 어려움이 있어 완성된 구조물의 수명 및 안전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제작된 강재 거더의 품질 유지 및 관리비용이 사후적으로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근콘크리트, 철근 또는 텐던(강봉, 강연선 등)으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제품으로 제작된 교량용 거더의 경우, 구조물용 부재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경우인데, 이러한 구조물용 거더의 경우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 현상(콘크리트의 중성화, 균열의 허용치 이상의 확대 등) 등에 의하여 품질 유지관리가 매우어렵고, 특히 콘크리트를 일정단면으로 타설, 양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푸집이 필요하게 되는데, 교량용 거더를 공장에서 제작하던, 현장에서 제작하든지 그 비용이 상당히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건설분야에서 콘크리트 및 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를 실제 건설공사에 실용화할 수 있는 시제품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복합소재 중의 하나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FRP는 자중이 일반 강재 또는 콘크리트보다 매우 작고, 구조적 특성(휨 강성, 인장강도, 압축강도 등)이 우수한 제품으로 최근 토목, 건축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건축 또는 토목분야에서 이용되는 구조물용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여러 수단을 제시하고 자 한다. 즉 건축분야에서는 구조용 부재로서 슬래브 및 벽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빔, 토목분야에서는 특히 교량용 거더로 이용되는 거더에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의 이용 예를 제시하고 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물용 부재를 제공하되 거푸집사용 없이도 구조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에 여러 추가적인 보강수단 등을 이용하여 보다 역학적으로 우수한 구조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용 부재를 프리캐스트 화하여 제작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적용 대상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구조용 부재의 구체예이다.
도1b 및 도1c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구조용 부재를 조립 연결 상태도의 구체예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구조용 부재 및 그 변형예이다.
도2c 및 도2d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구조용 부재에 슬래브판이 결합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2e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구조용 부재에 수직 간격판이 형성된 부분 설치도의 구체예이다.
도2f 및 도2g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구조용 부재에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부분 설치도의 구체예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변형예로서 하부 중공에 플레이트 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의 구체예이다.
도3b 및 도3c는 도3a의 구조용 부재의 플레이트 홈에 플레이트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도의 구체예이다.
도3d 및 도3e는 도3a의 구조용 부재와 일체화 된 플레이트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도의 구체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구조용 부재110,210,310:몸통부재
111,211,311:상부 중공212,312:하부 중공
120:연결 홈130:연결부재
250:긴장재320:플레이트 홈
330:플레이트400:충진재(콘크리트 등)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소재로서 구조용 부재를 일정단면 형상으로 제작된 몸통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몸통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용 부재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그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를 충진 시킴으로서 결국 부재 제작 상 필요한 거푸집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복합소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인 모듈 화된 부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구조용 부재의 특정 적용대상에 따라 조립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의 외부하중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지지효과를 위해 여러 보강수단(긴장재에 의한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구조 부재 내부에 보강판의 기능을 하는 플레이트 추가설치 등)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1 내지 도3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특히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중 교량용 거더 및 건물용 빔으로서 이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교량용 거더를 복합소재로 제작하는 실시예는 크게 2가지로 본 발명에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교량용 거더를 복합소재로 제작된 모듈화된 부재로 조립하여 제작하는 경우(실시예1)이고, 둘째는 사각단면으로서 상부 및 하부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빔 형상으로서 교량용 거더 또는 건물 골조를 이루는 빔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경우(실시예2)이다.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를 도1 내지 도2를 기준으로 상세히 살펴본다.
<실시예1:복합소재로 제작된 부재를 이용하여 교량용 거더를 조립 제작하는 경우>
상기 실시예1의 구조용 부재(100)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된 몸통부재(110); 및 상기 몸통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용 홈(120);을 포함하며 도1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몸통부재(110)는 FRP와 같은 복합소재로서 공장에서 운반 및 무게를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 및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도1a에서는 중공이 형성된 사각단면 형상으로 제작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삼각 단면 형상 등 도1b 또는 도1c와 같이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라면 사각단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각 단면 형상 등의 복합소재 외피가 일정한 단면을 구성하도록 하여 몸통부재(110)를 제작하고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내부에는 중공(1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중공에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즉 복합소재로 제작된 몸통부재에 의하여 충분한 구조용 부재로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면 내부중공에 별도로 콘크리트를 충진 시키지 않아도 상관없다. 복합소재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특히 FRP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FRP는 통상 유리강화섬유보강 플라스틱이라고 지칭되는 복합소재로서 강재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내식성, 내열 성 등이 우수한 강화플라스틱 류로서 이로서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는 경우 외기에 직접 접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콘크리트 열화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몸통부재(110)의 둘레에는 다른 몸통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홈(120)이 형성된다. 즉 도1a와 같이 좌, 우, 상, 하 면에 ' ㅗ ' 단면 형상을 가진 홈이 형성되어 만약 다른 몸통부재와 연결하여 최종적인 구조용 부재를 제작하는 경우에 별도의 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모듈 화된 몸통부재를 도1b 및 도1c와 같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다수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으로 연결홈에 삽입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몸통부재(11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도1b이다. 즉 다수의 몸통부재를 수평으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면 슬래브용 데크(deck)와 같은 구조용 부재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도1b에서는 연결부재가 연결 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I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홈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형상 자체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으로 연결 홈(120)에 삽입된 연결부재(130)에 의하여 몸통부재(11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도1c이다. 즉 다수의 몸통부재를 수직으로 연결 조립하면 일정한 높이를 가진 교량용 거더로 이용이 가능하다. 모듈화된 부재의 높이가 거더로서 이용되기에는 다소 작을 경우에 소요 높이를 맞추기 위해 도1c와 같이 2단 또는 그 이상의 단으로 수직 조립이 가능하다.
특히 몸통부재(110)의 상부 면에 형성된 연결 홈(120)에는 전단연결재(1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통부재가 교량용 거더로서 이용되는 경우 그 상부 면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는 교량용 슬래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슬래브와 거더와의 부착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면의 연결용 홈은 전단 연결재 연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사각단면 등으로 상부 및 하부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빔 형상으로 제작된 경우>
상기 실시예2의 구조용 부재(200)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일체형 몸통 부재(210)로서, 하부에는 폐쇄된 중공(212) 과 상부에는 개방 또는 폐쇄된 중공(211)이 형성되며, 도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몸통 부재(210)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그 자체로서 완성된 부재단면 형상으로 제작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도2a와 같이 사각단면형상의 몸통부재(210)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2b와 같이 I형 단면형상의 몸통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만약 I형 단면으로 제작되는 경우라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중공이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게 된다.
나아가 단면형상이 사각 및 I형 단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면 형상 자체는 역학적인 기능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단면 형상으로 제작된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도2c에는 상부 면이 개방된 사각단면 형상으로 제작된 몸통부재(210) 위에 슬래브판(22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2d에는 상부 면이 폐쇄된 사각단면으로 제작된 몸통부재(210) 위에 슬래브판(22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각단면 형상의 몸통부재(210)는 상, 하부가 나누어져 중공(211,212)이 형성되도록 단면을 구성한 것인데 교량용 거더와 상부 슬래브판이 함께 합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상부 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부 면이 폐쇄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부 면이 폐쇄된 형태로 제작된 경우에는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여 상부 슬래브판과 일체로 제작한다. 사각 단면 형상의 몸통부재(210)의 상부면이 폐쇄된 경우이거나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부 및 하부 중공에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충진재(400)가 충진됨으로서 몸통부재와 일체로 구조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2c에서는 상부 중공에만 콘크리트를 충진 시킨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도2d에서는 상부 및 하부 중공 모두에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단순 지지되는 교량용 거더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중공에만 콘크리트를 충진 시키고, 연속지지 2경간 이상 교량의 경우에는 모멘트의 분포에 따라 압축 휨응력을 받는 부위에 격벽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식으로 내부 중공의 충진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또한 장경간 교량의 경우에는 긴장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및 하부 중공에 모두 콘크리트를 충진 시키는 경우라도 도2e와 같이 충진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없는 인장 응력이 작용되는 부위(인장부)에는 몸통부재(210)의 하부 중공에 중공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수직 간격판(230)을 더 설치하여 불필요한 충진재의 사용을 배제한다. 수직 간격판은 몸통부재와 동일한 복합소재로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성방법은 몸통부재 제작 시 미리 예측하여 수직 간격판을 형성시켜도 상관없고, 하부 중공에 홈을 형성시켜 수직 간격판을 필요 부위에 삽입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시켜도 된다. 상기 홈을 형성시켜 수직 간격판을 설치하는 경우에 복합소재가 아닌 다른 소재(예컨데 강판 등)로 제작된 수직 간격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인장응력을 받는 부위에는 콘크리트를 충진 시키지 않아 내부 중공에 콘크리트가 불연속적으로 충진 될 수 있어 구조용 부재로서 보다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2f 및 도2g는 몸통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공에 콘크리트를 모두 충진시키되 추가적으로 하부 중공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특히 하부 중공에 충진된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킴으로서 보다 보강된 구조용 부재를 제작하는 경우를 사시도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몸통부재는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중공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하부 중공의 콘크리트 내부에는 긴장재(250,주로 강연선)가 새들(240)에 의하여 포물선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 도2f이며, 하부 중공의 콘크리트 내부에 직선 형상으로 긴장재(250,주로 강봉 또는 강연선)를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 도2g이다.
상기 긴장재는 비부착 또는 부착식 강연선을 이용할 수 있고, 포스트텐션 방식 또는 프리텐션 방식으로도 긴장할 수 있다. 또한 긴장재의 양 단부는 몸통부재의 양 단부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소켓 형상의 정착구, 정착판 및 쐐기와 같은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긴장 후 정착된다.
이러한 사각 단면형상의 구조용 부재는 운반 및 설치과정의 제한요건에 의하여 길이 제한을 받는 경우 현장에서 몸통부재를 마주보도록 접하여 맞대어 놓은 후 보강판을 연결부(상, 하 및 좌, 우 면)에 걸쳐 설치하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몸통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이을 수 있다.
도3은 상기 사각단면 형상의 빔 형상의 구조용 부재 실시예 2의 변형예라고 할 수 있는데, 단 경간에 있어 부재 단면이 커질 경우 휨강성 및 비틀림강성의 증진을 위한 구조용 부재(300)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재(310) 및 상기 하부 중공 내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홈(320); 및 상기 플레이트 홈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재(310)는 상부 및 하부중공(311,3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3에서는 상부면이 개방된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하부 중공 내면에는 휨강성 등을 보강하기 위한 플레이트 삽입용 홈(320)이 도3a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격 및 개수는 플레이트(330)의 설치 개수 및 강성 보강정도에 따라 적의 변경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판 형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홈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도3b 및 도3c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로 휨강성의 보강을 위한 것이며, 수평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비틀림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별도로 제작하여 플레이트 홈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3d 및 도3e와 같이 몸통부재 제작 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도2e의 수직 간격판과 달리 콘크리트가 연속하여 충진 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의 형성방향은 몸통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의 경우 재료적 특성에 의하여 자중이 작고, 단면형상에 있어 선택이 자유로우며, 필요한 경우 여러 보강수단을 추가시킴으로서 보다 용도에 맞는 구조용 부재의 제작이 가능하고, 품질관리가 용이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구조물 부재 제작이 가능하다.

Claims (14)

  1.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용 홈;
    을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재 다수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상기 결합용 홈에 대응하는 형상인 연결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2.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 형상의 일체형 몸통부재로서, 하부에는 폐쇄된 중공 과 상부에는 개방 또는 폐쇄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중공은 연속으로 단절 없이 형성되거나 또는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폐쇄된 중공이 상부에 형성된 몸통부재의 상부면에는 결합용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연결 홈에 전단연결재가 끼움식으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5. 제2항에서, 상기 일체형 몸통부재는 단면형상이 I형 단면 또는 사각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몸통부재 및 일체형 몸통부재에 형성된 중공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더 충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7. 제6항에서, 상기 몸통부재 및 일체형 몸통부재에 형성된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를 관통하여 긴장된 긴장재 및 상기 긴장재를 부재의 단부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더 포함되어, 부재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재의 하부 중공 내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홈; 및 상기 플레이트 홈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재의 하부 중공 내면에 일체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물용 빔.
  10. 제6항에서, 상기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는 몸통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직 간격판에 의하여 불연속적으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물용 빔.
  11. 제7항에서, 상기 긴장재는 몸통부재의 내부 중공 하부면에 형성된 새들에 의하여 설치방향이 굴곡되면서 몸통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포물선 형상으로 설치되거나 직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물용 빔.
  12. 제8항에서, 상기 플레이트 홈에 끼워진 플레이트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물용 빔.
  13. 제8항에서, 상기 몸통부재 및 일체형 몸통부재에 형성된 중공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더 충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14. 제9항에서, 상기 몸통부재 및 일체형 몸통부재에 형성된 중공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더 충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2002-0072997A 2002-11-22 2002-11-22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050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97A KR100502584B1 (ko) 2002-11-22 2002-11-22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97A KR100502584B1 (ko) 2002-11-22 2002-11-22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13A true KR20040044813A (ko) 2004-05-31
KR100502584B1 KR100502584B1 (ko) 2005-07-20

Family

ID=3734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97A KR100502584B1 (ko) 2002-11-22 2002-11-22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54B1 (ko) * 2016-08-26 2017-03-23 강찬성 거더 구조 및 거더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81B1 (ko) * 2008-03-06 2010-10-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단위 에프알피를 이용한 거더
KR101178875B1 (ko) * 2008-12-24 2012-09-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KR101223942B1 (ko) 2010-08-18 2013-01-18 조대연 중공형 빔을 이용한 프리플렉스 합성빔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2680B1 (ko) * 2012-04-17 2012-09-14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I형 콘크리트 충진 거더, 이를 이용한 거더교 및 이들의 제작 및 가설방법
KR101243370B1 (ko) 2012-10-25 2013-03-13 곽계환 단위거더를 적층 및 고정하여 형성한 교량거더
KR101946731B1 (ko) * 2017-12-05 2019-02-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텐션 거더 및 상기 프리텐션 거더의 시공 방법
RU191990U1 (ru) * 2019-06-14 2019-08-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Облегчённая мостовая балка пакет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с замкам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8576B1 (en) * 1982-11-05 1988-08-31 G. Maunsell &amp; Partners Load bearing floor or roof members
AT400601B (de) * 1989-02-06 1996-02-26 Leitl Werke Bauhuette Wärmedämm-tragelement für bauwerke
JPH0427306A (ja) * 1990-05-24 1992-01-30 Kubota Corp 二輪歩行型田植機
JP3226986B2 (ja) * 1992-11-09 2001-11-12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JPH07102530A (ja) * 1993-10-07 1995-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結合装置
JPH10245921A (ja) * 1997-03-07 1998-09-14 Shinichi Tsumura 鉄骨軸組みにより構築する建物における床構造および木造床盤
JPH11117441A (ja) * 1997-10-14 1999-04-27 Shimizu Corp ハニカム型デッキプレート
JP2000038799A (ja) * 1998-07-22 2000-02-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造
JP2001011973A (ja) * 1999-06-29 2001-01-16 Ibiden Co Ltd 床パネル
US6247282B1 (en) * 1999-10-28 2001-06-19 Icon, Incorporated Deck and beam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54B1 (ko) * 2016-08-26 2017-03-23 강찬성 거더 구조 및 거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584B1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53B1 (ko)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KR101026118B1 (ko)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US5457839A (en) Bridge deck system
KR100502584B1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20040006564A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100469540B1 (ko)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476411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KR101834423B1 (ko)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200168565Y1 (ko) 프리플렉스 합성빔 또는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지지체.
KR102095586B1 (ko) 듀얼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u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492885B1 (ko)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568903B1 (ko)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구비한 복합형 바닥판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KR100580223B1 (ko) 상하부 플랜지에 다양한 형태의 강판을 사용한프리스트레스트 스틸 철근 콘크리트빔 및 이를 이용한교량 설치방법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KR101760655B1 (ko) 중립축 이동을 이용한 고강성 psc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psc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189024B1 (ko) 보강부가 구비된 코어 및 이 코어를 이용한 섬유보강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
KR100520009B1 (ko) 강성이 증대된 건설용 빔
KR200279224Y1 (ko) 다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KR100489382B1 (ko) 폐합단면형 데크플레이트와 아이형 빔의 복합형 합성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