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293A -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05293A KR20040005293A KR1020020039793A KR20020039793A KR20040005293A KR 20040005293 A KR20040005293 A KR 20040005293A KR 1020020039793 A KR1020020039793 A KR 1020020039793A KR 20020039793 A KR20020039793 A KR 20020039793A KR 20040005293 A KR20040005293 A KR 200400052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et
- processor
- signal
- atm
- baseba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 H04L2012/5667—IP over AT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IP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유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케이블로 연결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무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억세스 가입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장치에서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SDSL9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 Line)과 같은 xDSL 장치(또는 디지털가입자라인 장치)는 기존의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이용하여 음성신호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와 가입자간에 양방향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전송 장비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가입자라인장치는 주로 일반 가정의 PC 한 대를 목표로 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자신의 집(혹은 사무실)에 설치된 다수개의 단말기들(예 : PC, 노트북 등)을 통해 인터넷 접속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LAN 네트웍(유선랜 및 무선랜)을 설치해야 하고, 이로인해 xDSL 네트웍 장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네트웍 장비인 허브(hub) 및 라우터 장비 등을 구비해야 한다.
한편, 무선랜(wireless LAN)은 집(혹은 사무소) 등에서 유선(케이블)으로 망 포설을 하는 대신 억세스포인트(AP : Access Point)장비에서 단말 장비까지 전자기파를 이용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망으로, 유선랜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된 데스크탑 환경에 머무르지 않고 노트북과 PC카드를 이용해 이동중에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의 사용자가 급증하여 가정이나 소규모의 사무실 등에서 이를 이용하여 위하여 xDSL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무선랜의 장점으로 인해, 가정이나 작은 사무실에서 무선을 사용하여 이동하며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통신망(xDSL과 무선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xDSL 네트웍 장비뿐만 아니라 별도의 네트웍 장비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 경제적인 부담감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네트웍 구축시 효율성 및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억세스 가입자 장치에서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여 출력하는 DMT수신부와, 상기 DMT수신부로부터의 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하는 ATM처리부와, 상기 ATM처리부로부터의 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IP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확인하며,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유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입출력인터페이스로 전달하고, 무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MAC처리부로 전달하는 TCP/IP처리부와, 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목적지 단말기로 전달하는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MAC처리부와, 상기 MAC처리부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저대역신호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변복조부와, 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RF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IP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유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케이블로 연결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무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에 구축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가입자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된 ADSL 신호(IP패킷)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입자장치 110∼113 : 단말기
200 : 아날로그송수신부 201 : DAC
202 : ADC 203 : DMT송신부
204 : DMT수신부 205 : ATM처리부
206 : TCP/IP처리부 207 : 입출력인터페이스부
208 : MAC처리부 209 : 기저대역신호 처리부
210 : 변복조부 211 : RF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디지털가입자라인(xDSL)과 근거리통신망(유선랜 및 무선랜)을 정합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유선 랜과 무선 랜을 동시에 지원한다. 예를들어, 데스크탑(PC) 및 가정용기기(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는 유선으로 접속하고, 노트북은 유선 혹은/및 무선으로 접속한다. 즉,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등에서 인터넷을 이용해 가정용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노트북과 같은 휴대기기는 무선으로 인터넷을사용할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에 구축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가입자라인은 여러 규격이 있지만, 이하 설명은 비대칭 디지털가입자라인(ADSL :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예를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댁내 네트워크는, 비대칭 디지털가입자라인과 근거리통신망을 정합하기 위한 가입자장치(100)와, 복수의 단말기들(110∼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장치는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ADSL 신호를 처리 및 유선랜에 정합하기 위한 ADSL신호처리부와, 무선랜에 정합하기 위한 무선랜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110∼113)은 예를들어, 데스크탑(PC), 노트북(Note-book) 및 가정용기기(예 : 냉장고)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스크탑과 가정용기기는 상기 가입자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유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노트북와 같은 휴대용 기기는 상기 유선통신은 물론 무선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의 경우, 해당 기기(예 노트북)는 무선랜 표준규격에 따라 신호를 통신할수 있도록 소정 무선 랜카드를 구비한다. 하지만, 배선문제를 고려할 때 데스크탑이나 상기 가정용기기도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물론, 무선으로 연결하려면 해당 기기에 상기 무선 랜카드를 장착해야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가입자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입자장치(100)의 ADSL처리부는 아날로그송수신부(20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01), ADC(Analog toDigital Converter)(202), DMT(Discrete Multi Tone)송신부(203), DMT수신부(204), ATM처리부(205), TCP/IP처리부(206) 및 입출력인터페이스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장치(100)의 무선랜 신호처리부는 MAC(Media Access Control : 매체접근제어)처리부(208), 기저대역신호처리부(209), 변복조부(210), RF(Radio Frequency)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과정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송수신부(200)는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채널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ADC(202)는 상기 아날로그 송수신부(200)로부터의 상기 채널 필터링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MT수신부(204)는 상기 ADC(202)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여 출력한다. ATM처리부(205)는 상기 DMT수신부(204)로부터의 상기 DMT복조된 데이터를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한다. TCP/IP 처리부(206)는 상기 ATM패킷 처리부(205)로부터의 상기 ATM패킷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혹은 PPP(point-to-poin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하고, TCP/IP 패킷의 헤더정보(IP주소)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판단한다. 만일, 목적지가 유선으로 연결된 단말기(혹은 기기)인 경우, 상기 TCP/IP패킷을 입출력인터페이스(207)로 전달하고,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MAC처리부(208)로 전달한다. 물론, 기기의 물리적 주소(예 : MAC 주소)와 IP주소의 대응관계 및 유선연결인지 혹은 무선연결인지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서 관리되고 있다.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207)는 상기 TCP/IP패킷 처리부(206)로부터의 상기 패킷을 소정 버스에 실어 해당 IP주소가 할당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것은 수신되는 패킷이 유선연결된 단말기로 전달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수신되는 패킷이 무선연결된 단말기로 전달될 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MAC처리부(208)는 상기 TCP/IP처리부(206)로부터의 상기 TCP/IP 패킷을 무선 랜 규격(예 : IEEE 802.11)에 따른 MAC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기저대역신호처리부(209)는 상기 MAC처리부(208)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하여 심볼 데이터를 출력한다. 변복조부(210)는 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209)로부터의 상기 심볼 데이터를 소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단말기들이 충돌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심볼 데이터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방식으로 변조한다. 예를들어, CDMA 방식의 경우, 상기 심볼데이터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방식으로 변조하고, 소정 직교코드(Walsh 혹은 PN코드)로 확산하여 아날로그 기저대역신호를 생성한다. RF부(211)는 상기 변복조부(210)로부터의 상기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다음으로 송신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207)는 케이블로 연결된 기기로부터 TCP/IP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TCP/IP 처리부(206)로 전달한다. 상기 TCP/IP패킷 처리부(206)는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207)로부터의 TCP/IP 패킷을 분석하여 소정의 제어를 행한후 상기 TCP/IP패킷을 ATM처리부(205)로 출력한다. 여기서, 필요시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한다. 상기 ATM처리부(205)는 상기 TCP/IP 처리부(206)로부터의 TCP/IP 패킷을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ATM 처리부(304)는 에이티엠 적응계층(ALL : ATM adaptation layer)으로 ALL5를 사용한다. DMT송신부(203)는 상기 ATM처리부(205)로부터의 ATM패킷을 DMT(Discrete Multi Tone) 변조하여 비트들의 열을 발생한다. DAC(201)는 상기 DMT송신부(203)로부터의 상기 비트들의 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송수신부(200)는 상기 DAC(201)로부터의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채널 필터링하여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이상은 유선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할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무선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할 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RF부(211)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복조부(210)는 상기 RF부(211)로부터의 상기 아날로그 기저대역신호를 복조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들어, CDMA 방식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 기저대역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복조(QPSK 복조)하여 심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기저대역신호처리부(209)는 상기 변복조부(21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디코딩(decoding)하여 원래의 정보열(MAC 프레임)을 발생한다. MAC처리부(208)는 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209)로부터의 정보열(MAC 프레임)을 분석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고, 상기 MAC프레임을 상기 TCP/IP 처리부(206)로 전달한다. 상기 TCP/IP처리부(206)는 상기 MAC처리부(208)로부터의 상기 MAC 프레임을 IP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ATM처리부(205)로 출력한다. 상기 TCP/IP 처리부(206) 이후의 동작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TCP/IP 처리부(206)는 하위 계층(물리 계층 : 입출력인터페이스, MAC처리부)에서 올라오는 패킷들을 공지된 방식대로 동일하게 처리한다. 하지만,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에 대해서는 목적지가 유선연결된 단말인지 혹은 무선 연결된 단말인지를 구별해서 서로 다른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된 ADSL 신호(IP패킷)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TCP/IP처리부(206)로 IP패킷이 수신되기까지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알고리즘은 IP패킷의 처리 이후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TCP/IP 처리부(206)는 301단계에서 상기 ATM처리부(205)로부터 TCP/IP패킷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TCP/IP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TCP/IP처리부(206)는 303단계에로 진행하여 수신된 TCP/IP패킷의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지 IP주소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IP주소가 할당되어 있는 기기를 확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기기의 물리적 주소(예 : MAC 주소)와 IP주소의 대응관계 및 유선연결인지 혹은 무선연결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TCP/IP처리부(206)는 305단계에서 목적지 IP주소를 가진 단말기가 무선 연결된 단말기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목적지가 무선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TCP/IP 처리부(206)는 307단계로 진행하고, 목적지가 유선연결된 단말기이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TCP/IP패킷을 입출력인터페이스부(207)를 통해 상기 IP주소가 할당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목적지가 무선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TCP/IP처리부(206)는 상기 수신된 TCP/IP 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TCP/IP패킷을 상기 MAC처리부(208)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MAC처리부(208)는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무선랜 규격에 따라 상기 TCP/IP패킷을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이후, 309단계에서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coding) 및 변조(modulation)하여 소정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라인을 이용하는 디지털가입자라인(xDSL)과 무선랜(wireless LAN)을 정합하는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기 포설되어 있는 디지털가입자라인을 이용해 소규모 사무소나 집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랜(유선랜및 무선랜)을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무선랜을 구축할 경우, 사무실 내에 전화회선 및 네트웍 회선이 없어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사무실 내에서 위치 이동시 회선 및 전화 설치 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사무실 이전 시에도 별도의 회선 공사가 필요 없어 경비절감과 편리함을 제공할수 있다.
Claims (5)
-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상기 ADC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여 출력하는 DMT수신부와,상기 DMT수신부로부터의 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하는 ATM처리부와,상기 ATM처리부로부터의 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IP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확인하며, 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유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입출력인터페이스로 전달하고, 무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MAC처리부로 전달하는 TCP/IP처리부와,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목적지 단말기로 전달하는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와,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MAC처리부와,상기 MAC처리부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저대역신호 처리부와,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변복조부와,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RF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무선 근거리통신망(W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상기 ADC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여 출력하는 DMT수신부와,상기 DMT수신부로부터의 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하는 ATM처리부와,상기 ATM처리부로부터의 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CP/IP처리부와,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MAC처리부와,상기 MAC처리부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저대역신호 처리부와,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변복조부와,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RF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무선랜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MAC 프레임을 분석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고, 상기 MAC프레임을 TCP/IP처리부로 출력하는 무선랜 신호처리부와,상기 무선랜 신호처리부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IP패킷으로 조립하여 ATM처리부로 출력하며, 유선랜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IP패킷을 분석하여 소정 제어를 행한후 상기 IP패킷을 상기 ATM처리부로 출력하는 TCP/IP처리부와,상기 TCP/IP처리부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ATM패킷으로 조립하여 출력하는 ATM처리부와,상기 ATM처리부로부터의 상기 ATM패킷을 DMT변조하여 출력하는 DMT송신부와,상기 DMT송신부로부터의 상기 DMT변조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송신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신호처리부는,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RF부와,상기 RF부로부터의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복조부와,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상기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MAC프레임을 발생하는 기저대역신호 처리부와,상기 기저대역신호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MAC프레임을 분석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고, 상기 MAC프레임을 상기 TCP/IP처리부로 출력하는 MAC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과 디지털가입자라인(xDSL)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DMT(Discrete Multi Tone)복조하는 과정과,상기 DMT복조된 신호를 ATM패킷으로 조립하는 과정과,상기 ATM패킷을 IP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과,상기 IP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유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케이블로 연결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목적지 단말기가 무선 랜으로 연결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IP패킷을 소정 무선랜 규격에 따라 MAC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과,상기 MAC프레임을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심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상기 심볼데이터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9793A KR20040005293A (ko) | 2002-07-09 | 2002-07-09 |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9793A KR20040005293A (ko) | 2002-07-09 | 2002-07-09 |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5293A true KR20040005293A (ko) | 2004-01-16 |
Family
ID=3731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9793A KR20040005293A (ko) | 2002-07-09 | 2002-07-09 |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0529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86885B2 (en) | 2004-02-18 | 2009-09-08 | Nec Corporation | VoIP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wireless LAN |
KR100958926B1 (ko) * | 2003-07-23 | 2010-05-19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31136A (en) * | 1997-12-12 | 2000-10-10 | Gateway 2000, Inc. | Dual mode mod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between wireless and wire-based communication modes |
KR200268383Y1 (ko) * | 2001-12-05 | 2002-03-16 | 주식회사 넷브레인 | 통합 서비스 모듈 |
KR20020083274A (ko) * | 2001-04-26 | 2002-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무선 복합 인터넷 접속 장치 |
KR20030035228A (ko) * | 2001-10-30 | 2003-05-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유무선 통합형 랜카드 |
-
2002
- 2002-07-09 KR KR1020020039793A patent/KR200400052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31136A (en) * | 1997-12-12 | 2000-10-10 | Gateway 2000, Inc. | Dual mode mod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between wireless and wire-based communication modes |
KR20020083274A (ko) * | 2001-04-26 | 2002-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무선 복합 인터넷 접속 장치 |
KR20030035228A (ko) * | 2001-10-30 | 2003-05-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유무선 통합형 랜카드 |
KR200268383Y1 (ko) * | 2001-12-05 | 2002-03-16 | 주식회사 넷브레인 | 통합 서비스 모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926B1 (ko) * | 2003-07-23 | 2010-05-19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
US7586885B2 (en) | 2004-02-18 | 2009-09-08 | Nec Corporation | VoIP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wireless LA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33790B2 (ja) | 配線による無線用信号の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 | |
KR100769095B1 (ko) | 고정형 무선 액세스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
EP0921658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multi-rate wireless/wired computer network | |
ES2243089T3 (es) | Aparato y metodo para comunicaciones de banda ancha. | |
US200802322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p address of terminal using multiple frequency allocation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6590893B1 (en) | Adaptive transmission system in a network | |
CN102801494B (zh) | 通信系统、方法以及节点 | |
CN102404089A (zh) | 用于多输入多输出的帧结构 | |
JP2006314081A (ja) |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
CN108430091A (zh) | 一种高效的智能家居wifi配网方法及设备 | |
US6442173B1 (en) | Timing recovery scheme for a discrete multitone transmission system | |
US6075795A (en) |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multiple stations in discrete multi-tone data communications network | |
US6434188B1 (en) | Differential encoding arrangement for a discrete multi-tone transmission system | |
KR100428908B1 (ko)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
US64566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frequency diversity by use of multiple images | |
KR20040005293A (ko) | 근거리통신망과 디지털가입자라인 서비스를 동시에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6577598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adaptation in a DMT based system | |
Adams | Home area network technologies | |
JP2004007401A (ja) | ホームネットワーキング通信システム用補助コーディング | |
KR100316247B1 (ko) | 무선 랜의 고속 억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
US64492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hifting with a clock signal | |
US6771611B1 (en) | Frame generation circuit and method | |
AU769859B2 (en) | Digital wireless phone/modem jack capable of communications over the power linesusing 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 (DBPSK) | |
Feng | Home networking | |
KR20040031572A (ko) | 컴퓨터 통신망에서 무선 통신을 분배하는 집중 집신기 및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