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6795Y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795Y1
KR200406795Y1 KR2020050030169U KR20050030169U KR200406795Y1 KR 200406795 Y1 KR200406795 Y1 KR 200406795Y1 KR 2020050030169 U KR2020050030169 U KR 2020050030169U KR 20050030169 U KR20050030169 U KR 20050030169U KR 200406795 Y1 KR200406795 Y1 KR 200406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ovable contact
circuit breaker
crossbar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7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7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동접점대 스프링을 보호하는 수단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차단기가 단락 사고와 같은 사고 전류를 차단할 경우에도 스프링의 열화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회의 단락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정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having a means for protecting the movable contact point spring, and even if the breaker cuts off an accident current such as a short circuit accident, it does not cause deterioration or breakage of the spring to perform the next short circuit breaking operation. It also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so that it can function normally.

이를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는, 스프링과 접속하기 위한 하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Spring Seat)부와, 상기 가동 접점대와 접속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를 갖는 스프링 접속부재와;Th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spring seat (Spring Sea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or connecting with the spr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connect with the movable contact;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별체로 결합되며, 아크로부터 상기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판 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shielding pla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and shielding the spring at least partially to protect the spring from an arc.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회로차단기는, 가동접점대 스프링의 열화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회의 트립동작 후에도 전로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가동접점대와 스프링의 어셈블리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or breakage of the movable contact stand spring, so that the circuit can be safely disconnected even after several trip operations, and the assembly of the movable contact stand and the spring can be maintained without flow. It can be effective.

차단기, 가동접점대, 스프링, 아크, 크로스바 Breaker, Movable Contact, Spring, Arc, Crossbar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Circuit Breaker

도 1a는 종래 회로차단기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1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도 1b는 종래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대와 지지 스프링의 접속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support spring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도 1c는 가동접점대와 지지 스프링의 접속재로서 절연물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종래 회로 차단기의 가동접점대와 지지 스프링의 접속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1C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vable contact stand and a support spring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ncluding an insulator connecting member as a connecting member of the movable contact point and the support spring;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대 어셈블리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대 어셈블리를 장착한 회로차단기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movable contac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고정접점대 2: 소호기구1: fixed contact point 2: SOHO mechanism

3: 가동접점대 4: 개폐기구3: movable contact table 4: switchgear

5: 트립기구 6: 핸들5: trip mechanism 6: handle

7, 14: 스프링 접속재 8: 스프링7, 14: spring connection member 8: spring

9: 링크(Link) 10: 크로스바(Crossbar)9: Link 10: Crossbar

11: 돌출 접속부 14: 스프링 접속부재11: protrusion connection part 14: spring connection member

14a: 돌부 14b: 스프링 시트(Spring Seat)부14a: protrusion 14b: spring seat

15: 가동접점대 어셈블리(Assembly) 16: 가동접점15: Movable Contact Assembly Assembly 16: Movable Contact

본 고안은 가동접점대 스프링을 보호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가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를 차단한 이후에도 스프링의 열화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복적 단락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단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that can protect the movable contact point spring. More specifically, the circuit breaker does not cause deterioration or breakage of the spring even after the breaker blocks a large fault current such as a short circuit current. It also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that can exhibit the breaking performance even when performing.

본 고안에 있어서 회로차단기는 일반적으로 MCCB(Mould Cased Circuit Breaker)로 불리는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사용되었다. 회로 차단기는 정상적인 전류보다 수배 내지 수십 배 이상의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전원과 연결된 부하기기와 선로를 보호하기 위해 회로차단 동작을 하는 것이 주요기능이며, 한번 회로차단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도 다시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회로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성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breaker is generally used as a generic term for a circuit breaker and an earth leakage breaker called MCCB (Mould Cased Circuit Breaker). The circuit breaker operates the circuit breaker to protect the load and the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when the fault current occurs several times or several tens of times higher than the normal current, and the fault current occurs even after the circuit breaker operation is performed once. In this case, it should have the capability to perform the circuit break operation normally.

이러한 성능을 '단락 차단 성능'이라고 하며 회로차단기의 여러 기능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예컨대 KS 규격(KSC 8321)에서는 회로차단기가 2번의 사고 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단락전류발생에 따라 한번 회로차단을 수행한 회로차단기는 통전 복귀(온(ON )상태로 리 세트(RESET)된 상태)한 후에 다시 정상적인 전류보다 수 배 이상의 과전류를 정상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을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락 차단 성능을 구비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performance is called 'short circuit breaker performance'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among circuit breakers. For example, the KS standard (KSC 8321) stipulates that a circuit breaker must cut off two fault currents. That is, the circuit breaker that performs the circuit break once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current has the capability to cut off the overcurrent many times more than the normal current after returning to energization (reset to ON state). It should be equipp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having such a short-circuit breaking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s follows.

도 1a는 종래 회로차단기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사용자가 회로차단기를 통전위치인 온(ON) 또는 회로차단위치인 오프(OFF)위치로 수동조작가능하도록 조작수단을 제공하는 핸들(6)과, 전원측과 접속되어 전원측으로부터의 전류를 부하측에 제공하기 위한 고정접점대(1)와,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하기 위한 소호기구(2)와, 부하측과 접속되어 핸들(6)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고정접점대(1)에 접촉하는 통전위치와 고정접점대(1)로부터 분리되는 차단위치로 가동되는 가동접점대(3)와, 핸들(6)과 접속되어 가동접점대(3)를 통전위치와 차단위치로 구동시키는 개폐기구(4)와, 회로 상에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개폐기구(4)를 차단위치로 동작하게 구동하는 트립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circuit breakers include a handle (6) which provides an operation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manually operate the circuit breaker in the ON position of the energized position or the OFF position of the circuit interrupted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A fixed contact point 1 for providing current to the load side, a extinguishing mechanism 2 for quickly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an accident current is interrupted, and connected to the load side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handle 6 The movable contact table 3 which is operated at the energized position contacting the stationary contact table 1 and the breaking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 table 1, and the movable contact table 3 is connected to the handle 6, and is energiz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4 for driving to the blocking position, and a tripping mechanism 5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current on the circuit and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4 to operate in the blocking position.

도 1a 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8은 가동접점대(3)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동접점대(3)에 고정접점대(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고,In FIG. 1A,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spring installed below the movable contact table 3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table 3 in a direction separate from the fixed contact table 1,

미설명 부호 10은 가동 접점대를 지지하는 크로스 바(Crossbar)이며, 미설명 부호 9는 크로스바(10)에 접속되는 일 단부와 크로스 바(10)를 구속하는 위치와 크로스 바(10)를 해방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타 단부를 가지는 링크(Link)이다.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crossbar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bar, reference numeral 9 denotes one end connected to the crossbar 10 and a position for restraining the crossbar 10 and releasing the crossbar 10. It is a link having the other end which can be rotated to the position.

또한 종래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대 어셈블리의 구성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대(3)의 하부 소정위치에 일체로 마련되는 스프링 접속용 돌출부(11)에 직접 스프링(8)을 접속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대 (3)에서 발생하는 열이 직접적으로 스프링(8)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동대(3)와 스프링(8)사이에 전기적 절연물(7)을 개재하여 스프링(8)을 조립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spring 8 directly to the spring connection protrusion 11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stand 3, as shown in Figure 1b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movable base 3 and the spring 8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ovable contact 3 from being transferred directly to the spring 8 as shown in FIG.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pring 8 through () is applied.

도 1a 및 도 1b,1c를 참조하여 종래 회로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and 1C.

통전을 위해서 사용자가 회로차단기의 핸들(6)을 온(ON)위치로 조작하면 즉 도 1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핸들(6)을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핸들(6)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연결된 링크(9)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크로스바(10)를 누르게 되고 크로스바(10)는 하강하면서 크로스바(1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대(3)도 따라서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가동접점대(3)는 고정접점대(1)와 접촉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이 폐회로가 되어 통전되고, 이때 스프링(8)은 하강하는 가동접점대(3)에 의해 압축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6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ON position for power supply, that is, when the handle 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A, the handle 6 The link 9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lockwise rotation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presses the crossbar 10, and the crossbar 10 descends while the movable contact table 3 supported by the crossbar 10 also descends. Therefore, the movable contact table 3 is in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 table 1, and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energized in a closed circuit, and at this time, the spring 8 is compressed by the movable contact table 3 descending.

이 상태에서 회로를 차단(개방)시키는 두가지 방법 즉, 핸들(6)을 수동 조작하여 회로차단기를 오프(OFF) 위치로 동작시키는 것과, 사고전류 발생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자동 트립(Trip)기능을 이용해 차단시키는 것의 두가지 경우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state, there are two methods of breaking (opening) the circuit: operating the circuit breaker to the OFF position by manually operating the handle 6, and automatically tripping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curren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or two cases of blocking by using.

첫째 핸들(6)을 수동 조작하여 회로차단기를 오프(OFF) 위치로 동작시키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circuit breaker in the OFF position by manually operating the first handle 6 is as follows.

핸들(6)을 파지하고 오프(OFF) 위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핸들(6)의 하단부에 연결된 링크(9)는 핸들(6)의 회동방향과 반대인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크로스바(10)가 링크(9)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압축상태의 스프링(8)으로부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가동접점대(3)와 크로스바(10)가 윗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고정대(1)의 접점과 가동접점대(3)의 접점이 분리되어 회로는 개방(차단)상태로 된다. When the handle 6 is gripped and rotated in the OFF posi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link 9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 rotates counterclockwise as opposed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6. do. At this time, since the crossbar 10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of the link 9,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nd the crossbar 10 are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from the spring 8 in the compressed state, and thus the fixing table 1 The contact of the contact and th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table 3 is separated and the circuit is opened (blocked).

둘째, 사고전류 발생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자동 트립(Trip)기능을 이용해 차단이 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Second, the operation in the case of blocking using the automatic trip 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current is as follows.

트립기구(5)가 사고 전류의 발생에 따라 개폐기구(4)를 구동하면 개폐기구(4)는 미도시한 트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6)을 순간적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핸들(6)의 순간적인 도면상 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링크(9)는 순간적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크로스바(10)를 해방한다. 따라서 압축 상태의 스프링(8)으로부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가동접점대(3)와 크로스바(10)가 상방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고, 고정접점대(1)의 접점과 가동접점대(3)의 접점이 분리되어 회로는 개방(차단)상태로 된다. When the trip mechanism 5 drives the switch mechanism 4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current, the switch mechanism 4 instantly rotates the handle 6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rip spring, not shown. By clockwise rotation in the instantaneous view of the handle 6, the link 9 releases the crossbar 10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stantaneously.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nd the crossbar 10 are instantaneous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from the spring 8 in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contact of the fixed contact table 1 and th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re instantaneously moved. This separation separates the circuit into an open (blocked) state.

한편, 사고전류 발생에 따른 트립동작에 의해서 고정접점대(1)와 가동접점대(3)가 개리를 시작하면 고정접점대(1)의 접점과 가동접점대(2)의 접점 사이에는 고온의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아크가 고정접점대(1)에서부터 개리되는 가동접점대(3)를 따라 소호기구(2) 내에서 아크 기둥을 형성하고 소호기구(2)에 의해서 소멸된다. 하지만 아크는 소호기구(2)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갈 수 도 있다. 즉, 사고 전류를 차단시 접점이 개리하기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고 온의 아크가 소호기구(2)가 아닌 스프링(8)으로 전달되면 스프링(8)은 열화가 되거나 파손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ed contact stage 1 and the movable contact stage 3 start to open due to a tripping operation caused by an accident current, a high temperature is maintained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fixed contact stage 1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movable contact stage 2. An arc will occur. Under the ideal conditions, the arc forms an arc column in the extinguishing mechanism 2 along the movable contact stage 3 opened from the fixed contact stage 1 and is extinguished by the extinguishing mechanism 2. However, the arc may go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extinguishing mechanism (2). That is, when the arc of high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contact starts to open when the fault current is interrupted is transferred to the spring 8 instead of the extinguishing mechanism 2, the spring 8 may be deteriorated or damaged.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roblems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as follows.

일 회의 단락차단시 아크에 의한 스프링(8)의 열화로 인해 차회의 반복적 차단 성능이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이다.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pring 8 by the arc during one short circuit break, the next iterative breaking performance cannot be guaranteed.

즉, 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할 때, 고정접점대(1)의 접점과 가동접점대(3)의 접점 사이를 개리시키는 것은 오직 압축된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존한다. 아크에 직접 노출된 스프링(8)은 열화 또는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또 그렇게 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원래의 탄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가동접점대(3)의 개리 속도는 느려지게 되고 개리 거리 또한 짧아지게 되어 회로차단기가 정상적인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That is, when the breaker trips, the opening between the contact of the stationary contact 1 and th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3 depends only o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8. The spring 8 directly exposed to the arc is more likely to deteriorate or break, and if so, the spring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its original elasticity, resulting in a slower opening speed of the movable contact 3 and a shorter distance. As a result, the circuit breaker cannot perform the normal blocking fun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고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가 가동접점대 스프링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여 아크 발생에 의해 스프링이 열화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breaker that shields an arc generated by an accident current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a movable contact point spring, thereby preventing the spring from being deteriorated or damaged by an arc generation. The purpos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 접점대와, 상기 고정 접점대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 접점대와, 상기 가동 접점대를 지지하는 크로스 바(Crossbar)와, 상기 크로스바에 접속되는 일 단부와 상기 크로스 바를 구속하는 위 치와 상기 크로스 바를 해방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타 단부를 가지는 링크(Link)와, 상기 가동 접점대에 상기 고정 접점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스프링과를 구비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nected to a fixed contact point, a movable contact point movable to a position contacting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point, a crossba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point, and the crossbar. A link having an end portion, a position for restraining the cross bar, and another end rotatable to a position for releasing the cross bar, and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point to move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point. In a circuit breaker having a

상기 스프링과 접속하기 위한 하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Spring Seat)부와, 상기 가동 접점대와 접속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를 갖는 스프링 접속부재와;A spr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spring sea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for connecting with the spr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or connection with the movable contact stand;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별체로 결합되며, 아크로부터 상기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판 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A shield pla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the shield plate member shielding the spring at least partially to protect the spring from an arc; By providing a break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대 어셈블리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대 어셈블리는, 가동접점대(3)과, 가동접점대(3)의 선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접점(16)과, 스프링 접속부재(14) 및 차폐판 부재(14c)와, 스프링(8)으로 구성된다. The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contact point 3, a contact 16 fixed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contact point 3, a spring contact member 14, and It consists of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and the spring 8.

가동접점대(3)는 스프링 접속부재(14)가 접속될 관통구멍(3a)과, 차폐판 부 재(14c)가 접속될 요입홈(3b)을 구비한다.The movable contact table 3 includes a through hole 3a to which the spring connecting member 14 is to be connected and a recess 3b to which the shield plate member 14c is to be connected.

위의 가동접점대(3)의 관통구멍(3a)에 대응되는 상대적 구조로서, 스프링 접속부재(14)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14a)가 구비된다. 가동접점대(3)의 요입홈(3b)에 대응되는 상대적 구조로서, 차폐판 부재(14c)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유동방지용 돌부(14d)가 구비된다.As a relati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a of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bove,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14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4a protruding upward. As a relati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groove 3b of the movable contact table 3,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is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14d protruding upward.

스프링 접속부재(14)는 스프링(8)과 접속하기 위한 하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Spring Seat)부(14b)와, 가동접점대(3)와 접속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14a)를 구비한다. The spring connecting member 14 has a spring seat portion 14b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for connecting with the spring 8 and a protrusion 14a protruding upward for connecting with the movable contact table 3. ).

차폐판 부재(14c)는 아크로부터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스프링(8)을 전체길이에 걸쳐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며, 스프링 접속부재(14)에 우측 단면도로 제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스프링 접속부재(14)에 별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차폐판 부재(14c)가 스프링 접속부재(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의 경우, 상기 유동방지용 돌부(14d)는 차폐판 부재(14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인 동시에 스프링 접속부(1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다.The shield plate member 14c shields the spring 8 over its entire length or at least partly to protect the spring from the arc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14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on the right or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Modified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 the configuration coupled to 14 separately. Here, in the case where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ring connecting member 14,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14d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and at the same time the spring connecting portion 14 It can also be seen as a part which protrudes upward from).

스프링 접속부재(14) 및 차폐판 부재(14c)는 가동접점대(3)으로부터의 열과 대전류를 스프링에 전달하지 않도록 전기적 절연되고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connecting member 14 and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are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electrically insulated and low in thermal conductivity so as not to transfer heat and large current from the movable contact table 3 to the spring.

스프링(8)은 스프링 접속부재(14)의 스프링 시트부(14b)에 결합되어, 가동접점대(3)에 고정접점대(도2b의 부호1)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한다. The spring 8 is coupled to the spring seat portion 14b of the spring connecting member 14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table 3 to move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table (symbol 1 in FIG. 2B). .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대 어셈블리를 장착한 회로차단기의 요부구성을 단면도로서 보여주는 도 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2b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2b에 있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대 어셈블리를 제외한 회로차단기의 부분은 도 1a로 제시하고 설명한 종래기술의 회로차단기의 해당부분(부호도 동일하게 부여함)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FIG. 2B, the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except for the movable contact st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ircuit breaker of the related art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통전을 위해서 사용자가 회로차단기의 핸들(6)을 온(ON)위치로 조작하면 즉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핸들(6)을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핸들(6)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연결된 링크(9)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크로스바(10)를 누르게 되고 크로스바(10)는 하강하면서 크로스바(1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대(3)도 따라서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가동접점대(3)는 고정접점대(1)와 접촉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이 폐회로가 되어 통전되고, 이때 스프링(8)은 하강하는 가동접점대(3)에 의해 압축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6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ON position for power supply, that is, when the handle 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B, the handle 6 The link 9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lockwise rotation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presses the crossbar 10, and the crossbar 10 descends while the movable contact table 3 supported by the crossbar 10 also descends. Therefore, the movable contact table 3 is in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 table 1, and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energized in a closed circuit, and at this time, the spring 8 is compressed by the movable contact table 3 descending.

상기 상태에서 사고 전류에 의해서 트립이 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state, the operation in the event of a trip by the fault current is as follows.

사고 전류의 발생에 따라 트립기구(5)가 개폐기구(4)를 구동하면 개폐기구(4)는 미도시한 트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6)을 순간적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핸들(6)의 순간적인 도면상 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링크(9)는 순간적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크로스바(10)를 해방한다. 따라서 압축 상태의 스프링(8)으로부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가동접점대(3)와 크로스바(10)가 상방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고, 고정접점대(1)의 접점과 가동접점대(3)의 접점이 분리되어 회로는 개방(차단)상태로 된다. When the trip mechanism 5 drives the switch mechanism 4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current, the switch mechanism 4 instantly rotates the handle 6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rip spring, not shown. By clockwise rotation in the instantaneous view of the handle 6, the link 9 releases the crossbar 10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stantaneously.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nd the crossbar 10 are instantaneous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from the spring 8 in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contact of the fixed contact table 1 and th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table 3 are instantaneously moved. This separation separates the circuit into an open (blocked) state.

이때 접점에서는 고온의 아크가 발생하지만 차폐판 부재(14c)에 의해서 스프링(8)이 아크로부터 차폐되어 보호되고 있으므로 아크에 의한 스프링(8)의 열화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At this time, a high temperature arc is generated at the contact point, but since the spring 8 is shielded and protected from the arc by the shielding plate member 14c, deterioration or damage of the spring 8 due to the arc is prevented.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의 열화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회의 트립 동작 후에도 회로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스프링과 가동 접점대의 조립이 유동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차단기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r breakage of the spring, so that the circuit can be safely disconnected even after several trip operations, and the assembly of the spring and the movable contact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than before. Breakers are provided.

Claims (2)

고정 접점대와, 상기 고정 접점대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 접점대와, 상기 가동 접점대를 지지하는 크로스 바(Crossbar)와, 상기 크로스바에 접속되는 일 단부와 상기 크로스 바를 구속하는 위치와 상기 크로스 바를 해방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타 단부를 가지는 링크(Link)와, 상기 가동 접점대에 상기 고정 접점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스프링과를 구비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A fixed contact table, a movable contact table movable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table, a crossbar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table, one end connected to the crossbar, and restraining the crossbar 12.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link having another end rotatable to a position to release the cross bar; and a spring for imposing an elastic force on the movable contact to move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 상기 스프링과 접속하기 위한 하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Spring Seat)부와, 상기 가동 접점대와 접속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를 갖는 스프링 접속부재와;A spr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spring sea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for connecting with the spr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or connection with the movable contact stand;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에 별체로 결합되며, 아크로부터 상기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판 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A shield pla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the shield plate member shielding the spring at least partially to protect the spring from an arc; br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속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폐판 부재는 상방으로 돌출한 유동방지용 돌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대는 상대적으로 상기 유동방지용 돌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spring connection member, the shielding plat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The movable contact is relatively relatively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recessed portion.
KR2020050030169U 2005-10-24 2005-10-24 Circuit breaker KR2004067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69U KR200406795Y1 (en) 2005-10-24 2005-10-24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69U KR200406795Y1 (en) 2005-10-24 2005-10-24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795Y1 true KR200406795Y1 (en) 2006-01-24

Family

ID=4929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69U KR200406795Y1 (en) 2005-10-24 2005-10-24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79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42B1 (en) * 2008-12-04 2011-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rc Protect Device in Moving Contactor Spring
CN108039698A (en) * 2017-12-31 2018-05-15 天津辉煌路阳科技有限公司 Goat squeezes cut-out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42B1 (en) * 2008-12-04 2011-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rc Protect Device in Moving Contactor Spring
CN108039698A (en) * 2017-12-31 2018-05-15 天津辉煌路阳科技有限公司 Goat squeezes cut-out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912B1 (en) Activation for switching apparatus
KR970002265B1 (en) Circuit breaker with blow open latch
EP2315228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an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JP2006004950A (en) Voltage surge protection device
JPS6243027A (en) Circuit breaker
KR20120006100U (en) Circuit breaker
US6013889A (en) Method for retaining a movable contact in a circuit interrupter
CA1252137A (en) Circuit breaker with arm latch for high interrupting capacity
US8471655B2 (en) Piston trip reset lever
EP1294005B1 (en) Improvement in blad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KR200406795Y1 (en) Circuit breaker
CN109786182B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with self-cleaning contacts
KR20120080139A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0890755B1 (en) Shaft assembly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and single pole switching unit with the shaft assembly
KR200490680Y1 (en) Arc extinguishing apparatus of molded-case circuit breaker
KR100487408B1 (en) trip portion structure of MCCB
US5917390A (en)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limiting contact structure
KR100557495B1 (en) Pressure trip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12242273B (en) Switching device
KR102003328B1 (en) Circuit breaker having improved trip bar structure
KR100732508B1 (en) Pressure-trip apparatus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810000475Y1 (en) High speed circuit breaker
KR100574424B1 (en) Circuit breaker
KR0179280B1 (en) No-fuse breaker
KR100825321B1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