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311Y1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6311Y1 KR200406311Y1 KR2020050031246U KR20050031246U KR200406311Y1 KR 200406311 Y1 KR200406311 Y1 KR 200406311Y1 KR 2020050031246 U KR2020050031246 U KR 2020050031246U KR 20050031246 U KR20050031246 U KR 20050031246U KR 200406311 Y1 KR200406311 Y1 KR 2004063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fluid
- opening
- clos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유체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레부재; 및 상기 부레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부레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체의 유입량 조절이 필요한 곳에 유체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오수처리, 유체개폐, 오염액, 부유물, 비점오염원, 정화처리, 유체, 바이패스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오염물질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오수정화처리장치
100:오염물질정화장치
110:챔버
111:유입구b
112:배출구b
120:차폐막
130:분리대
131:토출공
140:맨홀
200:유체개폐장치
210:하우징
211:유입구a
212:배출구a
213:바이패스공
220:부레부재
230:배출구개폐부재
231:고무바킹
240:가이더
260:연결막대
270:바이패스관
본 고안은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정화장치가 처리해야 하는 오염액의 양이 많으면 챔버 내로 오염액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특정위치에서 하수관이나 도랑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고 심각성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넓은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삼림벌채지역,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을 지나 온 빗물이 지표면에 쌓여있는 오염물을 하천이나 바다 등에 유입시켜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비가 올 때나 눈이 녹아 흐를 때 발생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의 오염은 그 심각성이 눈으로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으며,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예측하기가 어렵고, 계절강수량에 따라 농도가 달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오염원이 유발될 수 있는 지역 곳곳에 소규모의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그때그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이러한 비점오염원에 혼재된 오염물질은 쉽게 분리할 수 없어, 처리되지 못한 채 강이나 바다 등으로 유입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액에 혼재된 오염물질을 정화처리 하는 방법으로는, 오염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원심력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하는 하이드로싸이클론형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방법과, 차폐막을 이용하여 오염액에 혼재된 부유물을 걸러내는 방법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차폐막을 이용하여 오염액에 혼재된 부유물을 걸러내는 오염물질정화장치가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비점오염원에 혼재된 부유물을 분리하기 위한 종래의 오염물질정화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염물질정화장치(100)는 부유물이 혼재된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각각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챔버(110)와, 부유물이 배출구(112)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차폐막(120)을 넘어온 처리액을 통과시키는 토출공(131)이 형성된 분리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오염물질정화장치(100)는, 폭우 등으로 처리하여야할 오염액의 양이 많을 경우, 챔버(110) 내에 보관되던 오염물질이 급속히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유실되어 분리대(130)의 토출공(131)을 통과하여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처리하여야 할 오염액의 양이 많을 때에는 오염액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존에 분리되었던 부유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는, 유체가 유입되 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유체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레부재; 및 상기 부레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부레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을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체를 방류시키는 바이패스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부레부재 및 배출구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개폐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무바킹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부레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는, 부유물이 포함된 오염액을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는 오염물질정화장치; 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가 처리하는 오염액의 양에 따라 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에 오염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개폐장치는, 상기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오염액을 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오염액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레부재; 및 상기 부레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부레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을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오염액을 방류시키는 바이패스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부레부재 및 배출구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개폐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무바킹을 가질 수 있다.
또,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채용되는 오염물질정화장치는, 오염물질정화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연 평균강수량과 오염물의 종류 및 오염물 중 부유물이 차지하는 비율 등에 따라 다르게 설치 될 수 있으며, 차폐막을 이용한 형태와, 원심력을 이용한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차폐막(120)을 이용한 오염물질정화장치(100)에 유체개폐장치(200)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1000)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유체개폐장치(200)에서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오염물질정화장치(100)에서의 유 입구 및 배출구 간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유체개폐장치(200)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는 구분부호 'a'를, 오염물질정화장치(100)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는 구분부호 'b'를 덧붙이도록 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0)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0)를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0)는 하우징(210), 부레부재(220) 및 배출구개폐부재(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에는 부유물이 포함된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a(211)와, 유입된 오염액을 배출하는 배출구a(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레부재(220)는 하우징(210) 내부에 채워지는 오염액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배출구개폐부재(230)는 부레부재(220)와 연결되며, 부레부재(220)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부레부재(220)와 함께 상호로 이동하면서 배출구a(212)를 개폐시킨다. 또한, 배출구개폐부재(230)는, 배출구a(212)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무바킹(231)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배출구개폐부재(230)는 배출구a(212)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배출구a(212)를 차단하고 있을 시, 하우징(210) 내부의 오염액을 방류시키는 바이패스 공(2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레부재(220)와 배출구개폐부재(230)를 연결하는 연결막대(260)를 더 포함하고, 부레부재(220)와 배출구개폐부재(230)를 연결 할 수 있다. 즉, 연결막대(260)에 부레부재(220) 및 배출구개폐부재(230)가 연결되어, 부레부재(220) 및 배출구개폐부재(230)가 함께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다.
또, 부레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더(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더(240)는 하우징(210) 내측에 결합되며, 연결막대(260)를 감싸고 있는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막대(260)는 부레부재(220)가 부력에 의해 뜨고 가라앉으면, 그에 따라 가이더(240)를 타고 수직 상승 및 하강을 한다. 따라서 연결막대(260)에 함께 연결된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배출구a(212)를 정확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바이패스관(270)은 바이패스공(213)과 연결되어 바이패스공(213)을 통해, 하우징(210) 내부의 오염액을 직접 방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0)는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의 유입량이 과다할 경우 이를 제한시켜야 하는 장치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입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부력으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따로 전원설비 등을 갖출 필요가 없는 무동력 개폐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0)의 동작과정과, 유체개폐장치(200)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4를 참조하면, 유체개폐장치(200)의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구a(211)를 통해 비점오염원에서 흘러들어오는 오염액이 유입된다. 통상적으로 초기에 들어오는 오염액은 비교적 부유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배출구a(212)까지 오염액이 차오르게 되면 배출구a(212)와 연결된 오염물질정화장치(100)의 유입구b(111)를 통해 오염물질정화장치(100)의 챔버(110) 내로 오염액이 유입된다. 챔버(110) 내로 유입된 오염액은 차폐막(120)의 하단을 통과한 후 분리대(130)의 토출공(131)을 통과하여 배출구b(112)로 빠져 나간다. 이때, 차폐막(120)의 면적이 토출공(131)의 면적보다 넓게 설계되고, 차폐막(120)의 하단이 토출공(131)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었기 때문에, 유입구b(111)로 유입되는 오염액에 혼재된 부유물은 챔버(110) 내부에 고여 있는 처리액보다 비중이 낮아 차폐막(120)에 의해 더 이상 흐름이 차단되며, 따라서 차폐막(120)의 하단보다 높이가 높은 토출공(131)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차폐막(120)을 통과하지 못하고 챔버(110) 내의 차폐막(120)의 외부에 쌓여 있는 부유물은 천정 측에 형성되어 있는 맨홀(140)을 통하여 외부로 수거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개폐장치(200)의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액이 더욱 많아지고, 이로 인해 오염물질정화장치(100)의 챔버(110) 내에까지 오염액이 많아져 하우징(210) 및 챔버(110)내부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수위에 따라 부레부재(220)가 상승하게 되고, 부레부재(220)와 연결막대(260)로 연결된 배출구개폐부재(230)도 상승하며, 일정 수위를 넘어서면 배출구개폐부재(230)는 배출 구a(212)를 차단한다. 이때 하우징(210) 내부의 오염액에 의한 수압에 의해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눌리게 되어 차단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또한, 하우징(210) 내부의 수위가 더 높아지게 되면, 이에 따라 부레부재(220)가 더욱 상승하여, 부레부재(220)와 연결된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배출구a(212)를 지나쳐서 더욱 높아짐으로써 배출구a(212)를 다시 개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배출구a(212)를 차단한 상태에서 더욱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레부재(22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부레부재(220)에 연결된 연결막대(260)를 가이더(240)가 잡아줄 수 있도록, 가이더(240)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구개폐부재(230)가 배출구a(212)를 차단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면, 이후 차오르는 오염액은 바이패스공(213)과 연결된 바이패스관(270)을 통해 직접 방류시킬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도로나 공사장 혹은 주차장 등의 지표면에 쌓여 있던 오염물이 빗물과 함께 배수로에 유입됨에 따라 유발되는 것으로, 일단 쌓여 있던 오염원이 제거되고 난 후에 계속적으로 내리는 폭우 속에는 오염원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거나 거의 포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특정지역의 오염물의 량을 고려하여 설계된 본 고안의 유체개폐장치(200)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1000)의 처리량 이상의 오염액은 바이패스관(270)을 통하여 방류시키더라도 수질오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히려 처리량 이상의 오염물이 오염물질정화장치(100)에 흘러들면, 분리되어 있던 기존의 부유물이 역류되거나, 빠른 유속으로 인해 부유물이 토출공(131)을 통과하여 배출구b(112)로 배출되어 하천 등에 흘러들어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위의 하천 등의 수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체개폐장치(200)로써 이러한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과다할 경우 부력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입을 무동력으로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된 유체는 바이패스공을 통해 무동력으로 방류시킴으로써,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액을 처리하는 오염물질정화장치에 유체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폭우나 기타 요인에 의해 비교적 덜 오염된 오염액의 유입량이 많아지면 오염물질정화장치에 오염액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비교적 덜 오염된 오염액은 바이패스 시켜 방류함으로써, 오염물질정화장치에 분리되어 있는 부유물이 휩쓸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유체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레부재; 및상기 부레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부레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은,상기 배출구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을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체를 방류시키는 바이패스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부레부재 및 배출구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개폐부재는,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무바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부레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
- 부유물이 포함된 오염액을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는 오염물질정화장치;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가 처리하는 오염액의 양에 따라 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에 오염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체개폐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유체개폐장치는,상기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오염액을 상기 오염물질정화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오염액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레부재; 및상기 부레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부레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개폐부 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은,상기 배출구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을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오염액을 방류시키는 바이패스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부레부재 및 배출구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개폐부재는,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무바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레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246U KR200406311Y1 (ko) | 2005-11-04 | 2005-11-04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246U KR200406311Y1 (ko) | 2005-11-04 | 2005-11-04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143A Division KR100705420B1 (ko) | 2005-11-04 | 2005-11-04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6311Y1 true KR200406311Y1 (ko) | 2006-01-20 |
Family
ID=4175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246U KR200406311Y1 (ko) | 2005-11-04 | 2005-11-04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631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77760A1 (ko) * | 2020-03-05 | 2021-09-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
-
2005
- 2005-11-04 KR KR2020050031246U patent/KR2004063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77760A1 (ko) * | 2020-03-05 | 2021-09-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
KR20210113481A (ko) * | 2020-03-05 | 2021-09-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
CN114175362A (zh) * | 2020-03-05 | 2022-03-11 | 株式会社Lg新能源 | 具有能够快速冷却的结构的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ess |
EP3993140A4 (en) * | 2020-03-05 | 2022-11-02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WITH STRUCTURE WITH RAPID COOLING CAPABILITIES AND EQUIPPED ESS |
KR102648382B1 (ko) * | 2020-03-05 | 2024-03-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
CN114175362B (zh) * | 2020-03-05 | 2024-06-11 | 株式会社Lg新能源 | 具有能够快速冷却的结构的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能量存储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4352B1 (ko) |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
KR100904177B1 (ko) |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KR100865253B1 (ko) |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0800559B1 (ko) |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332781B1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785556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 |
KR10091331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1729580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1479462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005589B1 (ko) |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 |
KR100956138B1 (ko) |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927631B1 (ko)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
KR101053995B1 (ko) | 유수분리기 | |
KR200366226Y1 (ko) |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 |
KR100742388B1 (ko) | 원심 분리식 오수처리장치 | |
KR200406311Y1 (ko)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
KR100705420B1 (ko) |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 |
KR101053674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777586B1 (ko) | 관체형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 |
KR101912323B1 (ko) |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0980412B1 (ko) | 초기 우수 처리 장치 | |
KR101283922B1 (ko) |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 |
KR102507157B1 (ko) |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 |
KR102127152B1 (ko) |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 |
KR100561092B1 (ko) |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