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08Y1 -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008Y1 KR200398008Y1 KR20-2005-0019564U KR20050019564U KR200398008Y1 KR 200398008 Y1 KR200398008 Y1 KR 200398008Y1 KR 20050019564 U KR20050019564 U KR 20050019564U KR 200398008 Y1 KR200398008 Y1 KR 2003980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ring member
- connecting device
- reba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에 각각 유동이 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결합한 후, 철근의 끝단부위에는 원형이나 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수 또는 다단의 링부재를 가압이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체결력을 통해 2개의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한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되는 철근을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Concrete)의 내부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매립시킨 것으로, 시공의 용이성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등의 장점에 따라 각종 건설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철근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긴 봉상으로 제작되는 바, 그 제작 및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길이 단위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근을 교각이나 고층 건물 등의 대형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철근들을 수평 또는 수직 등의 방향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는 철근들을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연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는 방법과,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속 와이어 의한 접속 방법은 작업성이 나빠 공기 지연을 유발할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철근의 강도에 비해 크게 취약하여 쉽게 분리되는 등 부실 공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고, 용접에 의한 결속 방법은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하여 철근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두 철근을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장치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외측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내측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제작하여, 상기 캡을 통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에 형성된 나사산과 캡에 형성된 나사산과의 상호 공극차에 의하여 장기간 사용할 경우 철근과 캡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초기 결합시에 철근과 캡에 각도를 인가하기가 어려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공극 해결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이 경우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의 끝단부에 나사산을 가공할 때 나사산의 가공이 불량할 경우 캡과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정밀 가공이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정밀 가공시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2005년 6월 17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5-17574 호(고안의 명칭; 철근연결장치)를 출원하였는 바, 본 고안은 상기의 선출원된 고안을 개량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에 각각 유동이 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결합한 후, 철근의 끝단부위에는 원형이나 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수 또는 다단의 링부재를 가압이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체결력을 통해 2개의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철근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에 각각 링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링부재가 결합된 하나의 철근에는 제 1 걸림턱과 제 1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링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제 1 철근연결부를 결합하며,
상기 링부재가 결합된 다른 하나의 철근에는 제 2 걸림턱과 제 2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링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제 1 철근연결부와의 체결로 2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제 2 철근연결부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부재는 단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부재는 다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부재는 원형 또는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부재는 철근의 끝단에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측의 결합홀이 철근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링부재는 철근의 끝단에 가압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조각편으로 분할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조각편은 내측면에 철근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는 철근의 내측으로 가압이 가능하도록 상기 철근의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진 금속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원형의 구조를 가진 링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각형의 구조를 가진 링부재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에 링부재가 다단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철근연결장치는 철근(10)(10'), 링부재(20), 제 1,2 철근연결부(30)(40)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재(20)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10)(10') 끝단부에 각각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그 형상은 도 4와 같이 결합홀(20a)이 마련된 원형이거나, 또는 5와 같이 결합홀(20a)이 마련된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된다.
상기 링부재(20)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도 6과 같이 링부재(20)를 다단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제 1,2 철근연결부(30)(40)의 제 1,2 나사산(32)(42)에 대한 길이가 길게 연장되면서, 상기 제 1,2 나사산(32)(42)의 체결범위로부터 상기 2개의 철근(10)(10')에 대한 연결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2 철근연결부(30)(40)는 상기 2개의 철근(10)(10')상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는 상기 링부재(20)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
즉, 상기 제 1 철근연결부(30)는 내측부위의 일단에 링부재(20)로 걸림되는 제 1 걸림턱(31)이 마련되고, 외측부위의 타단에는 제 1 나사산(32)이 마련되는 구조로서, 상기 하나의 철근(10)에 결합되어 그 좌우(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고, 좌우 유동시 상기 링부재(20)에 의해 이탈은 방지된다.
상기 제 2 철근연결부(40)는 내측부위의 타단에 링부재(20)로 걸림되는 제 2 걸림턱(41)이 마련되고, 내측부위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나사산(32)과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산(42)이 마련되는 구조로서,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철근(10')에 결합되어 그 좌우(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고, 좌우 유동시 상기 링부재(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철근 연결장치의 결합순서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호간 연결을 위해 마련된 2개의 철근(10)(10')에 제 1,2 철근연결부(30)(4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제 1,2 철근연결부(30)(40)가 철근(10)(10')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10)(10')의 끝단에 각각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으로 결합홀(20a)이 마련된 링부재(2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홀(20a)의 직경은 철근(10)(10')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하여, 상기 링부재(20)의 억지 끼움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그 억지 끼움 결합에 의해 철근(10)(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링부재(20)가 마련된 2개의 철근(10)(10')을 맞닿도록 한 후, 상기 링부재(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제 1,2 철근연결부(30)(40)를 상기 2개의 철근(10)(10')이 서로 맞닿은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철근연결부(30)의 타단 외측에 마련된 제 1 나사산(32)이, 상기 제 2 철근연결부(40)의 일단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상기 제 2 철근연결부(40)의 일단 외측에 마련된 제 2 나사산(42)과 맞물림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제 1 철근연결부(30) 또는 제 2 철근연결부(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철근연결부(30)(40)의 회전으로부터 제 1,2 나사산(32)(42)의 맞물림 깊이가 깊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2개의 철근(10)(10')은 상기 제 1,2 철근연결부(30)(40)에 의해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철근(10)(10')의 끝단에 다수 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링부재(20')를 가압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즉,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10)(10') 끝단에 각각 제 1,2 철근연결부(30)(4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링부재(20')를 이루는 다수 개의 조각편(51)을 상기 철근(10)(10')의 끝단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조각편(51) 각각에는 철근(10)(10')의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진 가압돌기(52)가 마련되어 있는 바,
상기 조각편(51)을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부재(예; 가압지그)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52)가 철근(10)(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다수 개의 조각편(51)은 도 9에서와 같이 철근(10)(10')의 끝단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에 의해 철근(10)(10')의 끝단에 결합된 링부재(20') 즉, 조각편(51)에 의해 제 1,2 철근연결부(30)(40)는 상기 철근(10)(10')으로부터 그 이탈이 방지되고, 이와함께 상호간의 체결을 통해 상기 2개의 철근(10)(1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에 각각 유동이 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결합한 후, 철근의 끝단부위에는 원형이나 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수 또는 다단의 링부재를 가압이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체결력을 통해 2개의 철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하고, 아울러 종래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원형의 구조를 가진 링부재의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각형의 구조를 가진 링부재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철근에 링부재가 다단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링부재의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링부재와 철근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진 링부재와 철근의 결합후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철근 20,20'; 링부재
20a; 결합홀 30; 제 1 철근연결부
31; 제 1 걸림턱 32; 제 1 나사산
40; 제 2 철근연결부 41; 제 1 걸림턱
42; 제 2 나사산 51; 조각편
52; 가압돌기
Claims (8)
-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철근 끝단에 각각 링부재를 결합하고,상기 링부재가 결합된 하나의 철근에는 제 1 걸림턱과 제 1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링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제 1 철근연결부를 결합하며,상기 링부재가 결합된 다른 하나의 철근에는 제 2 걸림턱과 제 2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링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제 1 철근연결부와의 체결로 2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제 2 철근연결부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단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다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원형 또는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선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철근의 끝단에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측의 결합홀이 철근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철근의 끝단에 가압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조각편으로 분할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편은 내측면에 철근 내부로 삽입되는 가압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철근의 내측으로 가압이 가능하도록 상기 철근의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진 금속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564U KR200398008Y1 (ko) | 2005-07-05 | 2005-07-05 | 철근 연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564U KR200398008Y1 (ko) | 2005-07-05 | 2005-07-05 | 철근 연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008Y1 true KR200398008Y1 (ko) | 2005-10-12 |
Family
ID=4369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9564U KR200398008Y1 (ko) | 2005-07-05 | 2005-07-05 | 철근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00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784B1 (ko) | 2006-04-14 | 2007-04-23 | (주)윈윈개발 | 철근연결장치 |
KR100799370B1 (ko) | 2006-06-27 | 2008-01-31 | (주)윈윈개발 |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
-
2005
- 2005-07-05 KR KR20-2005-0019564U patent/KR20039800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784B1 (ko) | 2006-04-14 | 2007-04-23 | (주)윈윈개발 | 철근연결장치 |
KR100799370B1 (ko) | 2006-06-27 | 2008-01-31 | (주)윈윈개발 |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59249B2 (ja) | 鉄筋構造および鉄筋構造の施工方法 | |
JP6359250B2 (ja) | 鉄筋構造および鉄筋構造の施工方法 | |
KR200398008Y1 (ko) | 철근 연결 장치 | |
KR20170121955A (ko)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
KR101490812B1 (ko) |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후프 일체형 선조립 골조 | |
KR101498662B1 (ko) | 철근 이음새 커플링 | |
KR100309611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411242B1 (ko) |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 |
KR20220121142A (ko) | 철근 커플러 | |
KR20220110882A (ko)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
KR100724634B1 (ko) | 철근 체결구 | |
KR200383847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654465B1 (ko) | 상이한 각과 산으로 결합력을 향상시킨 정밀급 철근 연결용 현장 성형 커플러 | |
KR102062152B1 (ko) |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 |
KR20010069961A (ko) | 이형 철근의 연결이음쇠 | |
KR20020038291A (ko) |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 |
KR200344712Y1 (ko) | 철근 연결용 커플러 | |
KR101025489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철근 커플러 | |
KR102289809B1 (ko) | 철근 커넥터 | |
KR100372832B1 (ko) |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 |
KR102158265B1 (ko) |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 |
KR20190126501A (ko) | 원터치 철근 커플러 | |
KR100725584B1 (ko) | 철근 연결 장치 | |
CN106499050B (zh) | 一种frp型材混凝土梁与钢筋混凝土框架柱的连接节点 | |
KR200402504Y1 (ko) | 철근 연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