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5270Y1 -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70Y1
KR200395270Y1 KR20-2005-0010493U KR20050010493U KR200395270Y1 KR 200395270 Y1 KR200395270 Y1 KR 200395270Y1 KR 20050010493 U KR20050010493 U KR 20050010493U KR 200395270 Y1 KR200395270 Y1 KR 200395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ver
washing machine
cover
panel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연
김현석
이승열
권대희
박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0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70Y1/ko
Priority to CN2006800124243A priority patent/CN101160429B/zh
Priority to AU2006234732A priority patent/AU2006234732B2/en
Priority to US11/918,369 priority patent/US8984913B2/en
Priority to JP2008506379A priority patent/JP5091113B2/ja
Priority to PCT/KR2006/001374 priority patent/WO2006110006A1/en
Priority to EP06757443.4A priority patent/EP1871943B1/en
Priority to TW095113503A priority patent/TWI347389B/zh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프론트 캐비닛 커버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배면측에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캐비닛 커버의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Front part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가 프론트 캐비닛 커버와 리어 캐비닛 커버로 구성됨과 아울러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배면부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부가 점첩촉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터브 내로 급수된 물과 세제(이하,‘세탁수’라 칭함)의 작용을 이용하여 드럼 내에 수용된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포를 세정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상측에 캐비닛(3)이 배치되고, 캐비닛(3)의 전면에 포 출입홀부(4a)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4)가 배치되며, 캐비닛 커버(4)에 포 출입홀부(4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캐비닛(3)의 상면에 탑 플레이트(6)가 배치되고, 캐비닛 커버(4)의 상측에 세탁기의 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7)이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4)는 캐비닛(3)의 강도 유지를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부식을 고려하여 그 전면이 코팅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4)는 상기 포 출입홀부(4a)의 옆에 상기 도어(5)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부재(4b)가 스크류로 체결된다.
상기 도어(5)는 상기 캐비닛 커버(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 프레임(5a)과, 상기 도어 프레임(5a)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드럼(20)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도어 글래스(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캐비닛(4)의 좌측면부 선단 상부와 우측면부 선단 상부 사이에는 전면 상부 프레임(8)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4)의 좌측면부 선단 하부와 우측면부 선단 하부 사이에는 전면 하부 프레임(9)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3)의 상측에는 세탁수가 담겨지기 위한 터브(10)가 댐퍼(2a) 또는 스프링(3a)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터브(10)는 옆으로 눕혀진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 커버(4)의 포 출입홀부(4a) 후방에 개구홀(12)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12)의 둘레 전방에는 상기 도어(5)와 밀착되는 실링부를 갖는 개스킷(14)이 장착된다.
상기 터브(10)의 내부 공간에는 포가 수용되기 위한 드럼(20)이 터브(10)의 내면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드럼(20)은 옆으로 눕혀진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에 포(m)가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21)이 형성되며, 둘레부 또는 배면부에 세탁수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공(22)이 형성되며, 둘레부 내주면에 포(m)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터(23)가 장착된다.
상기 터브(10)에는 상기 드럼(20)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모터(30)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30)는 상기 터브(10)의 배면에 장착된 고정자(32)와, 상기 고정자(32)와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되는 회전자(34)와,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자(32)에 축설된 회전축(36)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6)은 상기 터브(10)의 배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브(10)에 장착된 베어링(37)(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후단이 상기 회전자(32)에 축설되고, 그 선단이 상기 드럼(20)의 배면측에 연결된다.
상기 터브(10)의 상측에는 상기 터브(10)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급수장치는 외부 호스(40)에 연결되어 외부 호스(40)를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41)와, 상기 급수 밸브(41)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급수 호스(42)와, 상기 급수 호스(4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미리 저장된 세제와 혼합한 후 배출하도록 세제 저장 공간과 급수 통로와 배출구가 형성된 세제통(43)과, 상기 세제통(43)에서 배출되는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이하, ‘세탁수’라 칭함)을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일단이 상기 세제통(43)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급수구에 연결된 급수 벨로우즈관(44,bellows tub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10)의 하측에는 상기 터브(10) 내측의 세탁수 또는 포에서 탈수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터브(10)에 연결된 배수 밸로우즈관(45,bellows tube)과, 상기 배수 벨로우즈관(45)을 통해 배수된 세탁수 또는 물이 통과하는 필터 케이스(46)와, 상기 필터 케이스(46)의 내부로 착탈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46)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 펌프(47)와, 상기 배수 펌프(47)에서 펌핑된 세탁수 또는 물을 세탁기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49는 상기 세탁기의 각종 행정 등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세탁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품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포(m)를 투입한 후 상기 도어(5)를 닫고, 상기 컨트롤 패널(7)에 세탁 시간이나 패턴 등을 입력한 후 상기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세탁기는 상기 급수 밸브(41)를 온시켜 급수를 실시한다.
상기 급수 밸브(41)의 온시, 상기 외부 호스(40)를 통해 공급된 물은 급수밸브(41)와 급수 호스(42)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세제통(43)으로 유입되고, 상기 세제통(43)을 통과하면서 세제와 혼합된 후 상기 급수 벨로우즈(44)를 통해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급수된다.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상기 터브(10)의 내측 하부에 차오르고, 상기 드럼(20)의 수공(22)을 통해 드럼(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포(m)에 적셔지게 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모터(30)를 세탁 설정 시간 동안 구동시켜 세탁수에 의해 포가 충분하게 세탁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30)를 오프시키며, 이후 상기 배수 펌프(47)를 온시켜 상기 포(m)를 세탁시킨 오염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킨다.
상기 배수 펌프(47)의 온시 상기 터브(10) 내의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 밸로우즈(45)와 필터 케이스(46)와 배수 펌프(47)와 배수 호스(48)를 통해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되고, 상기의 배수가 종료되면, 상기 배수 펌프(47)를 오프시킨다.
이후, 상기 세탁기는 헹굼 행정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헹굼 행정이 선택되었으면, 포(m)의 헹굼을 위해 상기 세탁 행정과 같이 세탁수를 급수하고, 드럼(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모터(30)를 헹굼 설정 시간 동안 구동시켜 세탁수에 의해 포가 충분하게 헹굼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30)를 오프시키며, 상기 포를 헹군 오염된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하도록 상기 세탁 행정과 같이 상기 배수 펌프(47)를 온/오프시킨다.
이후, 상기 세탁기는 탈수 행정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탈수 행정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드럼(20)이 고속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30)를 탈수 설정 시간 동안 고속 구동시키고, 상기 포(m)는 상기 드럼(20)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드럼(20)의 벽면에 붙으며, 상기 포(m)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어, 상기 수공(22)을 통해 터브(10)에 모이게 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배수 펌프(47)를 온시켜, 포에서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고, 이후 상기 배수 펌프(47)를 오프시킨 후, 세탁기의 전 행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그 운반 혹은 사용 도중에 캐비닛 커버(4)에 긁힘이나 찌그러짐 등의 손상이 발생되면 세탁기의 전면 미감이 저하될 수 있고, 세탁기의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가 세탁기의 전면부 외관에 식상함을 느낄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 커버(4)의 제조시 코팅 공정이 실시되므로, 캐비닛 커버(4)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 커버(4)가 코팅되지 않은 리어 캐비닛 커버와,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에 덮는 플라스틱 재질의 프론트 캐비닛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면, 상기 세탁기의 전면부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제조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나, 이 경우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배면부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부가 면접촉 혹은 선접촉되면, 조립성이 저하되고,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 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된 리어 캐비닛 커버와;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배면에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는 배면에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틈을 갖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에 점 접촉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 및 돌기는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엠보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측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좌측,하측,우측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우측,상측,좌측을 따라 설치된 데코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 패널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데코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데코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데코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우측,상측,좌측에 배치된 상측 데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가 적용된 세탁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세탁기는, 캐비닛(3)의 전면에 캐비닛 커버(50)가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0)에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부(5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52)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2)에는 상기 도어(5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재(53)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도어(52)에는 상기 힌지부재(53)의 연결부 맞은편에 후크(54)가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52)에는 상기 후크(54)가 록킹/해제되는 도어 스위치(55)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상측에는 컨트롤 패널(80)이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0)와 컨트롤 패널(80) 중 일측에는 조립용 리브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립용 리브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조립용 홀이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80)이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상면부에 걸림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좌측,하측,우측과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우측,상측,좌측을 따라 데코 패널(100)이 배치된다.
상기 데코 패널(100)은 상기 캐비닛 커버(50) 및 컨트롤 패널(80)을 보호함과 아울러 세탁기의 전면부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데코 패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 커버(50)와 컨트롤 패널(80)을 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데코 패널(110)(120)(130)(14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가 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데코 패널(110)(120)(130)(140)은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데코 패널(110)과,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데코 패널(120)과,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데코 패널(130)과,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우측,상측,좌측에 설치된 상측 데코 패널(14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가 적용된 세탁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3)의 좌측부 선단 상부와 우측부 선단 상부 사이에는 전면 상부 프레임(200)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3)의 좌측부 선단 하부와 우측부 선단 하부 사이에는 전면 하부 프레임(210)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0)는 리어 캐비닛 커버(60)와,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전면을 덮고 세탁기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캐비닛 커버(70)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이하 프레스 다이캐스팅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에 의해 덮혀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코팅 공정이나 광택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상부 양측에 좌,우 체결부(61)(6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3)(64)로 체결된다.
즉,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에는 상기 체결부재(63)(64)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201)(202)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좌,우 체결부(61)(62)에는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의 체결공(201)(202)과 대응되는 체결공(61a)(62a)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상기 체결부재(63)(64)가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 좌, 우 체결부(61)(62)의 체결공(61a)(62a)과,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의 체결공(201)(202)에 체결되면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절곡된 절곡부(65)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상기 절곡부(65)에 상기 포 출입홀부(51)가 형성된다.
상기 포 출입홀부(51)는 개스킷(14)의 일부가 씌워져서 끼움될 수 있도록 컬링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는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전면을 덮고,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에는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와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조립시 상기 리어 캐비닛(60)의 절곡부(65)에 삽입되는 단턱부(7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 캐비닛(60)의 절곡부(65)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단턱부는 상기 도어(52)의 전부 혹은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되게 체결된다.
상기 단턱부(71)에는 상기 포 출입홀부(51) 보다 큰 개구홀(7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측 데코 패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하측면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가 상기 캐비닛(3)의 좌측부 선단 하부 및 전면 하부 프레임(210)의 좌측부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111)로 체결되고, 우측부가 상기 캐비닛(50)의 우측부 선단 하부 및 전면 하부 프레임(210)의 우측부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112)로 체결된다.
상기 좌측 데코 패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좌측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 및 리어 캐비닛 커버(60) 중 적어도 하나와 후킹 장착된다.
상기 우측 데코 패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50)의 우측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 및 리어 캐비닛 커버(60) 중 적어도 하나와 후킹 장착된다.
상기 상측 데코 패널(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좌측에 배치하는 좌측부(141)와,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우측에 배치하는 우측부(142)와,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143)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 패널(80)의 삼면을 에워싼다.
상기 상측 데코 패널(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2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48)(149)(150)(151)로 체결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체결 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체결시 단면도이다.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상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걸이홀(66)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천공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에는 상기 리브 걸이홀(66)에 삽입된 후 걸리는 걸이용 리브(7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배면측에는 후크(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에는 상기 후크(74)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후크홀(67)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천공되어, 상기 걸이용 리브(73)를 상기 리브 걸이홀(66)에 삽입하여 건 다음 상기 걸이용 리브(73)를 중심으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를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7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홀(67)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에 전방으로 걸리게 되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와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가조립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에는 상기 후크(75)가 관통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에서 절개된 후 절곡된 플랜지(6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75)와 플랜지(67)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와 리어 캐비닛 커버(60)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곤란한 부분에 설치되는 바, 상기 후크(75)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단턱부(71)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67)는 상기 후크(75)에 대응되도록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절곡부(65)에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와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상기 후크(75)가 상기 플랜지(67)의 절개를 위해 형성된 홀(67a)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67)에 전방으로 걸림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71)와 절곡부(65)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76a)이 형성된 체결 보스(76)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에는 상기 체결 보스(76)와 대응되는 체결공(68a)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볼록하게 프레스된 체결부(68)가 형성되어,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후방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8b)를 상기 체결부(68)의 체결공(68a)에 상기 체결보스(76)의 체결공(76a)에 체결하면,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와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보다 견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측에 리브(7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77)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77)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전면과 소정의 틈(t)을 갖는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와 리어 캐비닛 커버(60)는 서로 넓은 접촉 면적으로 면접촉되면, 세탁기의 진동시 그 상호간의 마찰 및 충돌이 증대되고 그에 따른 소음이 크게 되는 바,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70)의 배면측과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전면이 점 접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77)에는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전면과 점 접촉되는 돌기(7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78)는 상기 리브(77)의 각각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60)의 전면에 점 접촉되게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 기능만을 갖는 건조기나, 건조 기능과 세탁 기능을 모두 갖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고안이 속하는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프론트 캐비닛 커버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배면측에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캐비닛 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배면측에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틈을 갖는 리브가 형성되어, 프론트 캐비닛 커버의 강도가 향상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에 점 접촉되게 돌출되어,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리브 및 돌기는 복수개 형성되어, 프론트 캐비닛 커버가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측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 및 컨트롤 패널의 둘레를 둘러싸는 데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데코 패널에 긁힘이나 찌그러짐 등의 손상이 발생되면, 데코 패널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세탁기의 전면 외관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세탁기의 장시간 사용 후 프론트 캐비닛 커버 혹은 데코 패널을 교체하면, 세탁기의 전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가 적용된 세탁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가 적용된 세탁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체결 전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와 리어 캐비닛 커버의 체결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 캐비닛 50: 캐비닛 커버
51: 포 출입홀부 52: 도어
53: 힌지 부재 60: 리어 캐비닛 커버
61: 좌측 체결부 62: 우측 체결부
63,64: 체결부재 65: 절곡부
66: 리브 걸이홀 67: 플랜지
68: 체결부 70: 프론트 캐비닛 커버
71: 단턱부 72: 개구홀
73: 걸이용 리브 74: 후크
75: 후크 76: 체결 보스
77: 리브 80: 컨트롤 패널
110: 하측 데코 패널 120: 좌측 데코 패널
130: 우측 데코 패널 140: 상측 데코 패널
200: 전면 상부 프레임 210: 전면 하부 프레임

Claims (8)

  1.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된 리어 캐비닛 커버와;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배면측에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된 프론트 캐비닛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캐비닛 커버는 배면측에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의 전면과 틈을 갖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 커버에 점 접촉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및 돌기는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엠보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측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좌측,하측,우측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우측,상측,좌측을 따라 설치된 데코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패널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데코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데코 패널과,
    상기 캐비닛 커버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데코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우측,상측,좌측에 배치된 상측 데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2005-0010493U 2005-04-15 2005-04-15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395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93U KR200395270Y1 (ko) 2005-04-15 2005-04-15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CN2006800124243A CN101160429B (zh) 2005-04-15 2006-04-13 清洁设备以及用于该清洁设备的制造和装配方法
AU2006234732A AU2006234732B2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US11/918,369 US8984913B2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JP2008506379A JP5091113B2 (ja) 2005-04-15 2006-04-13 洗浄装置と洗浄装置の作製方法及び組立方法
PCT/KR2006/001374 WO2006110006A1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EP06757443.4A EP1871943B1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TW095113503A TWI347389B (en) 2005-04-15 2006-04-14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93U KR200395270Y1 (ko) 2005-04-15 2005-04-15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70Y1 true KR200395270Y1 (ko) 2005-09-08

Family

ID=4369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493U KR200395270Y1 (ko) 2005-04-15 2005-04-15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86A1 (en) * 2013-12-31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94502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5122693A1 (ko) * 2014-02-11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86A1 (en) * 2013-12-31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94502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5122693A1 (ko) * 2014-02-11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6133231A (zh) * 2014-02-11 2016-11-16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102318188B1 (ko) * 2014-02-11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210131939A (ko) * 2014-02-11 202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186940B2 (en) 2014-02-11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EP3098342B2 (en) 2014-02-11 2022-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472207B1 (ko) * 2014-02-11 202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220166753A (ko) * 2014-02-11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591374B1 (ko) 2014-02-11 2023-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2024810B2 (en) 2014-02-11 202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39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60053842A1 (en) Washing machine
US20080229789A1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US7338141B2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U2010203288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80093493A (ko) 세탁기
US793440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56707B1 (ko) 드럼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방법
KR101234064B1 (ko) 세탁기
KR101270607B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조립 구조
KR100479092B1 (ko) 세탁기의 필터 커버 개폐장치
KR200395270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101203547B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395272Y1 (ko) 세탁기
KR200395273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395274Y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KR200395269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395271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101203546B1 (ko) 세탁기
KR101186308B1 (ko) 드럼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395947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90100155A (ko) 세탁기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1203543B1 (ko) 드럼 세탁기의 트림 킷
KR20220112503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