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066Y1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Google Patents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4066Y1 KR200314066Y1 KR20-2003-0006263U KR20030006263U KR200314066Y1 KR 200314066 Y1 KR200314066 Y1 KR 200314066Y1 KR 20030006263 U KR20030006263 U KR 20030006263U KR 200314066 Y1 KR200314066 Y1 KR 2003140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 beverage
- groove
- spo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동안 탄산가스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음료 특유의 맛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컵으로 이용되는 뚜껑을 통해 음료를 음용 후 닫을 경우, 뚜껑에 잔류하는 음료가 용기 본체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음료수병에 있어서, 상, 하부의 이중 공간이 형성되도록 차단판이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주둥이가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된 용기와, 용기 주둥이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1이 형성된 내측 뚜껑과, 내측 뚜껑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어 용기 상부를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2가 형성된 외측 뚜껑으로 이루어진 컵 겸용 뚜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동안 탄산가스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음료 특유의 맛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컵으로 이용되는 뚜껑을 통해 음료를 음용 후 닫을 경우, 뚜껑에 잔류하는 음료가 용기 본체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저장하여 유통 판매하기 위한 용기로서 캔, 유리 병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제조원가가 높기 때문에 맥주 캔이나 고급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원가 면에서나 실용성 면에서 유리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음료수 용기가 전 세계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병(1)은 첨부 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용기(2) 상부의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된 병목 개구부(3)를 형성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뚜껑(4)을 이용하여 병목 개구부(3)와 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용기(2)를 지지하면서 세울 수 있도록 별도의 받침(5)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결합부 하단 둘레에는 돌출 환테를 형성하여 캡의 체결 완료 스토퍼 기능과 더불어 이동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병(1)은 컵이 준비되지 못한 곳에서 여러 사람이 음료를 마실 경우 입으로 병의 입구를 감싸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과 캡이 작아서돌려 열때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여 열어야 하기 때문에 잘 열리지 않아 힘이 들게 되며, 병 통체가 일체형으로 단일화 되어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분리 저장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동안 탄산가스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음료 특유의 맛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컵으로 이용되는 뚜껑을 통해 음료를 음용 후 닫을 경우, 뚜껑에 잔류하는 음료가 용기 본체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음료수병에 있어서, 상, 하부의 이중 공간이 형성되도록 차단판이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주둥이가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된 용기와, 용기 주둥이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1이 형성된 내측 뚜껑과, 내측 뚜껑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어 용기 상부를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2가 형성된 외측 뚜껑으로 이루어진 컵 겸용 뚜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음료수병의 외부 구성을 보인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음료수병 11 : 용기
11': 상부 공간 11": 하부 공간
12 : 차단판 13 : 주둥이
14 : 컵 겸용 뚜껑 15 : 내측 뚜껑
16 : 홈1 17 : 외측 뚜껑
18 : 홈2 19 : 홈3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구성을 보인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료수병에 있어서, 상, 하부의 이중 공간(11')(11")이 형성되도록 차단판(12)이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주둥이(13)가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된 용기(11)와, 용기(11)의 주둥이(13)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1(16)이 형성된 내측 뚜껑(15)과, 내측 뚜껑(15)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어 용기(11) 상부를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2(18)이 형성된 외측 뚜껑(17)과, 외측 뚜껑(17)의 외부 모서리 부분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갖으며 형성된 홈3(19)으로 이루어진 컵 겸용 뚜껑(14)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용기(11)의 주둥이(13)와 체결되어 밀봉되는 컵 겸용 뚜껑(14)은 내측 뚜껑(15)과 용기(11)의 주둥이(13)가 종래 음료수병의 체결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음료수의 음용을 위해서는 밀봉 구조를 해제한 후, 컵 겸용 뚜껑(14)에 따라 마시게 되는데, 용기(11)의 상, 하부 공간(11')(11")에 각각 저장된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11)가 상, 하부 공간(11')(11")으로 이중 분할되고 각각의 공간에 다른 즉, 맛과 색상이 대조를 이루는 음료수를 수용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수병(10)에 담겨진 음료수의 이중 색상이 소비자의 시각과 호기심을 자극하는등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 상품 소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음료수병(10) 하나에 2가지의 음료수(예컨대, 콜라와 사이다, 콜라와 오렌지 쥬스, 오렌지 쥬스와 포도 쥬스 등)가 수용되어 있어 야외 나들이 때 배낭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냉장고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빈 용기(11)는 다시 생수와 보리차 등을 충진시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음용하는 등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에 도움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특히, 음료수를 따라 마신 후에 다시 컵 겸용 뚜껑(14)을 덮게 되는데 이때, 컵 겸용 뚜껑(14)에 잔류하는 음료수가 흘러 내려 용기(11)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뚜껑(15)과 외측 뚜껑(17)의 내주연 단부에 각각 홈1(16)과 홈2(18)가 형성되어 있어 컵 겸용 뚜껑(14)의 내부면에서 흘러내리는 음료수를 저지하여 고이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 중 컵 겸용 뚜껑(14)의 직경이 커 용기(11)와의 체결 구조를 해제하는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열 수 있으며, 컵 겸용 뚜껑(14)의 외부에 형성된 홈3(19)이 손바닥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더욱 쉽게 개폐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컵 겸용 뚜껑(14)의 외부에 홈3(19)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컵 겸용 뚜껑(14)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느다란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동안 탄산가스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음료 특유의 맛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컵으로 이용되는 뚜껑을 통해 음료를 음용 후 닫을 경우, 뚜껑에 잔류하는 음료가 용기 본체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음료수병에 있어서, 상, 하부의 이중 공간(11')(11")이 형성되도록 차단판(12)이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주둥이(13)가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된 용기(11)와, 용기(11)의 주둥이(13)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1(16)이 형성된 내측 뚜껑(15)과, 내측 뚜껑(15)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어 용기(11) 상부를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2(18)이 형성된 외측 뚜껑(17)과, 외측 뚜껑(17)의 외부 모서리 부분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갖으며 형성된 홈3(19)으로 이루어진 컵 겸용 뚜껑(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263U KR200314066Y1 (ko) | 2003-03-04 | 2003-03-04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263U KR200314066Y1 (ko) | 2003-03-04 | 2003-03-04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4066Y1 true KR200314066Y1 (ko) | 2003-05-22 |
Family
ID=4940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6263U KR200314066Y1 (ko) | 2003-03-04 | 2003-03-04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406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805B1 (ko) * | 2014-07-31 | 2016-04-12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
KR101624323B1 (ko) * | 2014-05-02 | 2016-05-26 | (주)기성 |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
-
2003
- 2003-03-04 KR KR20-2003-0006263U patent/KR2003140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4323B1 (ko) * | 2014-05-02 | 2016-05-26 | (주)기성 |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
KR101606805B1 (ko) * | 2014-07-31 | 2016-04-12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6764B2 (en) | Liquid container | |
US10501237B2 (en) | Beverage container | |
US7997434B2 (en) | Bottle, in particular adapted to contain beverages | |
US6105812A (en) | Dual chamber container | |
US8746475B2 (en) |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642497B2 (en) |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 |
US20120199546A1 (en) | Dual Compartment Drinking System | |
US20010035417A1 (en) | Resealable cup-shaped beverage container | |
CA2934568C (en) | Containers and attachments therefor | |
US20080223817A1 (en) | Cup assembly with Integrated Bottle Cap | |
GB2370555A (en) | Multi-function container | |
US20180237186A1 (en) |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 |
KR200314066Y1 (ko)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
KR200325536Y1 (ko) |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 |
WO2013142925A2 (en) | Beverage container with a cup | |
KR200326267Y1 (ko) |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 |
KR970003105Y1 (ko) | 맥주 용기 | |
GB2403202A (en) | Bottle having a drinking cup | |
KR200398052Y1 (ko) |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 |
KR20060000096U (ko)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
KR200282170Y1 (ko) | 쌍둥이 음료수 용기 | |
KR200280926Y1 (ko) | 음료수 용기 마개 | |
KR200323811Y1 (ko) | 다용도 병따개 | |
KR200252780Y1 (ko) |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 |
KR200337491Y1 (ko) | 페트병 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