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9258A -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258A
KR20030069258A KR1020020008717A KR20020008717A KR20030069258A KR 20030069258 A KR20030069258 A KR 20030069258A KR 1020020008717 A KR1020020008717 A KR 1020020008717A KR 20020008717 A KR20020008717 A KR 20020008717A KR 20030069258 A KR20030069258 A KR 2003006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liminary
input
out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전순남
문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라 포토닉스
(주) 유니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라 포토닉스, (주) 유니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라 포토닉스
Priority to KR102002000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258A/ko
Priority to US10/320,617 priority patent/US20030157841A1/en
Publication of KR2003006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킨 디지털 신호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은 전방부와 후방부, 바닥벽 및 양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출력 단자와,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 출력 단자의 신호 출력을 감시하기 위한 출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출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입력 단자와,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예비 입력 단자의 신호입력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입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및 출력단자와 단차를 두고 병렬로 배열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예비 입력 단자 및 예비 출력 단자,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1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2 차폐 케이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3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4 차폐 케이블, 그리고 상기 차폐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에 접지시키는 누화방지용 차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DIGITAL SIGNAL CROSS-CONNECTION MODULE}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digital signal cross-connection module;DSX)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석 도금된 동판 및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여 향상된 전자파 차폐 성능 및 누화(cross-talk) 특성을 갖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신호 분배기는 디지털 다중화 장치와 광단국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중화 통신 기기 사이의 선로 중간에 설치되어 광통신 방식 등의 디지털 신호, 예를 들면 DS1, DS2, DS3, DS4, STS-1, STS-3, STM-1 등의 신호를 중개하는 기능, 선로에 이상 발생시 예비선로로의 절체 기능, 네트워크 시험 및 감시 기능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분배기들을 회선 분배 점퍼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여기에 디지털 장비를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장비간의 연결 및 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디지털 통신 장비가 디지털 신호 분배기에 연결되면, 한 지점에서 시험(test), 감시(monitor), 복구(restoration) 및 회로의 재배치(rearrangement)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분배기들은 장비들의 전송 속도에 따라 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령 채널 뱅크(channel bank), 다중화 장치(multiplexer) 및 디지털 스위치(digital switch) 등에 연결되는 DSX-1은 신호 전송 속도가 T1(1.544Mbps) 혹은 E1(2.048Mbps)인 경우 사용되며, 중앙 통제실 허브 노드 등에 연결되는 DSX-3는 전송 속도가 T3(44.736Mbps)인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신호 분배기(100)는 그 전방에 형성된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 그 후방에 형성된 제1 입출력 BNC 단자(110, 109), 제2 입출력 BNC 단자(111, 112), 그리고 전방의 시스템 및 후방의 입출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PCB;108)을 포함한다.
제1 시스템은 한 쌍의 출력단자(104, 103)와 출력단자(104, 103)의 신호출력을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 단자(102)로 구성되고, 제2 시스템은 한 쌍의 입력단자 (105, 106)와 이 입력단자(105, 106)의 신호입력을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단자(10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시스템의 출력단자(104, 103)와 제 1 출력단자(109) 및 제 2 출력 단자(111)의 전기적인 연결과, 제 2 시스템의 입력단자(105, 106)와 제 1 입력단자(110) 및 제 2 입력단자(112)의 전기적인 연결은 별도의 인쇄회로기판(108)을 통해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전자파의 차폐 성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누화현상(cross-talk)이 많이 발생할 수 있어서, 통신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선된 누화 특성을 갖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전방부와 후방부, 바닥벽 및 양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출력 단자와,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 출력 단자의 신호 출력을 감시하기 위한 출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출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입력 단자와,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예비 입력 단자의 신호입력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입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및 출력단자와 단차를 두고 병렬로 배열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예비 입력 단자 및 예비 출력 단자,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1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2 차폐 케이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3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4 차폐 케이블, 그리고 상기 차폐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에 접지시키는 누화방지용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하우징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에 사용되는 제1 동판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c는 제2 동판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BNC 입출력 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변형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12: 케이스
14: 포스트 쌍
20: 출력 차폐 케이블
22: 예비 출력 차폐 케이블
24: 입력 차폐 케이블
26: 예비 입력 차폐 케이블
30: 하우징
32: 출력 모니터 단자
34: 출력 단자
36: 예비 출력 단자
38: 입력 모니터 단자
40: 입력 단자
42: 예비 입력 단자
50: 제1 동판
51: 반원 수용부
52: 베이스
53: 제2 동판
54: 반원 수용부
55: 베이스
56: 제3 동판
60: BNC 커넥터
62: BNC 예비 출력 단자
64: BNC 예비 입력 단자
66: BNC 출력 단자
68: BNC 입력 단자
70: 액세스 홈
82, 86: 상측 가이드 레일
84, 88: 하측 가이드 레일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10)은 통상 플라스틱을 사출시켜 형성되는 케이스(12)와, 케이스(12)의 전방에 위치되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성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설치된 출력 단자 시스템(32, 34, 36) 및 입력 단자 시스템(38, 40, 42)과, 케이스(12)의 후방에 위치된 4개의 BNC 커넥터(60)와, 출력 단자 시스템(32, 34, 36) 및 입력 단자 시스템과 BNC 커넥터(60)를 연결하는 차폐 케이블(20, 22, 24, 26)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단자 시스템은 출력 단자(34)와, 예비 출력 단자(36)와, 출력 단자(34)와 예비 출력 단자(36)의 신호 출력을 감시하기 위한 출력 모니터 단자(32)로 구성되고, 입력 단자 시스템은 입력 단자(40)와, 예비 입력 단자(42)와, 이들의 신호 입력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 모니터 단자(38)로 구성된다. 출력 단자 시스템 및 입력 단자 시스템은 하우징(30)에 나란히 설치되며, 그 순서에 있어 꼭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단자의 기능을 표시하는 식별자(도시되지 않음)를 각 단자의 인접부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자는 WECO 커넥터로 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34), 예비 출력 단자(36), 입력 단자(40) 및 예비 입력 단자(42)는 차폐 케이블(20, 22, 24, 26)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30)의 전면에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10)을 새시(도시되지 않음)에 삽입하고 새시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세스 홈(70)이 형성되어 있다. 액세스 홈(70)에는 액세스 홈(70)의 형상과 일치하는 소정의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도구를 파지하여 작업함으로써,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모듈(10)들 사이에서 특정 모듈의 새시로부터의 분리작업 혹은 삽입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2)의 후방에는 BNC 예비 출력 단자(62)와, BNC 예비 입력 단자(64)와, BNC 출력 단자(66)와, BNC 입력 단자(68)가 위치된다. 이러한 BNC 커넥터(60)에는 차폐 케이블이 각각 연결된다. 차폐 케이블(20, 22, 24, 2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단자(34), 예비 출력 단자(36), 입력 단자(40) 및 예비 입력 단자(42)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BNC 커넥터(60)들 중 BNC 예비 출력 단자(62)와 BNC 예비 입력 단자(64)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고, BNC 출력 단자(66)와 BNC 입력 단자(68)가 서로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면서 예비 입·출력 단자(62, 64)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2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2)에 대해서 BNC 커넥터(60) 모두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폐 케이블(20)은 출력 단자(34)와 BNC 출력 단자(66)를 연결하고, 차폐 케이블(22)은 예비 출력 단자(36)와 BNC 예비 출력 단자(62)를 연결하고 있으며, 차폐 케이블(24)은 입력 단자(40)와 BNC 입력 단자(68)를 연결하고, 차폐 케이블(26)은 예비 입력 단자(42)와 BNC 예비 입력 단자(64)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차폐 케이블의 사용은 전자파의 차단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듈(10)의 누화 특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 케이블은, 후에 상세히 기술될 제1 내지 제3 동판(50, 53, 56)을 이용하여 차폐 케이블을 금속성 하우징(30)에 접지시킬 때 용이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10)의 전체적인 누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동판(50), 제2 동판(53) 및 제3 동판(56)을 포함한 다수의 동판을 사용한다. 동판(50, 53, 56)에는 동이 대기 중에서 산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석 도금이 실시된다. 이 경우, 도금 방법, 예를 들면, 용융석도금 혹은 전기석도금이냐에 따라 적절한 도금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판(50)은 베이스(52)와 다수의 반원 수용부(51)로 구성되어 있다. 반원 수용부(51)는 베이스(52)의 주면으로부터 반원 형태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에 차폐 케이블(20, 22, 24, 26)의 WECO커넥터 측 단부들을 수용하여 케이스(12)에 고정 및 접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수용부(51)는 제1 동판(50)의 베이스(52)로부터 상하로 돌출하며,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의 반원 수용부(51)가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동판(50)의 반원 수용부(51)에는 차폐 케이블(20, 22, 24, 26)이 삽입되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차폐 케이블(20, 22, 24, 26)을 수용한 제1 동판(50)은 금속성 하우징(30) 내의 소정의 위치에 접촉 고정되어 차폐 케이블을 하우징에 접지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접지 구조에 있어서, 차폐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부분과 반원 수용부(5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간편하게 차폐 케이블을 하우징(30)에 접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 도체는 통상 알루미늄등으로 구성되며, 만약 동축 케이블의 최외측에 예를 들면 PVC 종류의 피복이 입혀져 있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다면, 그 피복을 제거하여 외부 도체를 노출시킨 후 주석 도금 동판에 동축 케이블을 삽입하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판(53)은 차폐 케이블(22, 26)의 BNC 커넥터(60) 측 부분을 케이스(12)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동판(53)은 베이스(55)와 베이스(55)로부터 반원 형상으로 돌출하는 반원 수용부(54)로 구성된다. 제1 동판(50)의 구성과 유사하게 반원 수용부(54)도 베이스(55)의 상하측으로 돌출하며, 또한 상측과 하측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제3 동판(56)은 제2 동판(53)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차폐케이블(20, 24)의 BNC 커넥터(60) 측 부분을 케이스(12)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제3 동판(56)은 구조상 제2 동판(53)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동판(50, 53, 56)은 하우징(30)에 대해 접지되는 구조로 되어 차폐 케이블에 유도될 수 있는 다른 전기적 신호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그 양단이 제1 내지 제3 동판(50, 53, 56)에 의해 하우징(30) 및 케이스(12)에 고정된 차폐 케이블의 중앙부분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스트 쌍(14)에 의해 케이스(12)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포스트 쌍(14)들은 모듈(10)이 수평으로 혹은 수직으로 그 위치 혹은 자세가 변할 때에도 모듈(10) 내의 차폐 케이블의 이동이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없앰으로써, 이동 혹은 위치 변화에 따른 전자기파의 유도 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10)의 케이스(12)의 양 측면에는 서로 다른 길이의 가이드 레일(82, 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2, 84)은 새시(도시되지 않음)에 모듈이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새시에 형성된 대응 레일과 결합되어 모듈이 보다 정확하게 새시에 안착되고 이탈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측 가이드 레일(84)이 상측 가이드 레일(82)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모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모듈(10')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모듈(10)과 짝을 이루어 새시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모듈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변형예에 따른 모듈(10')에서는 BNC 커넥터(60)가 케이스(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되어, 모듈(10)과 나란히 정렬되었을 때, 두 모듈(10, 10')의 BNC 커넥터(60)들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모듈(10')에서도 하측 가이드 레일(88)과 상측 가이드 레일(86)의 모듈(10')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를 비교하면, 하측 가이드 레일(88)이 길도록 되어 있지만, 모듈(10)과 모듈(10')의 하측 가이드 레일(84, 88) 간의 길이를 비교해보면 변형예의 모듈(10')의 하측 가이드 레일(88)이 더 길고, 모듈(10)과 모듈(10')의 상측 가이드 레일(82, 86) 간의 길이를 비교해보면 변형예의 모듈(10')의 하측 가이드 레일(86)이 더 짧게 되어 있다. 이 것은 새시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모듈(10) 및 모듈(10')이 새시에 삽입될 때, 제 위치에 삽입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다. 즉, 모듈(10)이 삽입되는 위치의 새시의 상측 및 하측에는 모듈(10)의 상·하측 가이드 레일(82, 84)과 동일한 길이의 대응 레일이 형성되고, 모듈(10')이 삽입되는 위치의 새시에도 상·하측 가이드 레일(86, 88)과 동일한 길이의 대응 레일이 형성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듈(10')의 위치에 모듈(10, 10')이 삽입되면, 새시의 완전 삽입 위치까지 삽입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듈(10)과 모듈(10')을 나란히 삽입할 때, 제 위치가 아닌 위치에 뒤바뀌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회로도를 참조하면, 출력 단자(34)에는 BNC 출력 단자(66)가 연결되고, 예비 출력 단자(36)는 BNC 예비 출력 단자(62)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34)와 BNC 출력 단자(66)의 사이에서 분기된 감시저항(R1)을 통하여 출력 단자 시스템의 출력 모니터 단자(32)가 접속된다.
또한, 입력 단자(40)에는 BNC 입력 단자(68)가 연결되고, 예비 입력 단자(42)는 BNC 예비 입력 단자(64)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40)와 BNC 입력 단자(68)의 사이에서 분기된 감시저항(R4)을 통하여 입력 단자 시스템의 입력 모니터 단자(38)가 접속된다.
여기서, 출력 모니터 단자(32) 및 입력 모니터단자(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시저항(R1, R4)은 BNC 출력 단자 및 BNC 입력 단자(66, 68)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설정되어 회선의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다.
도 8에서, 출력 단자(34)와 예비 출력 단자(36) 사이의 스위치 구조는 출력 단자(34)에 컨넥터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저항(R2)을 예비 출력 단자(36)에 연결하여 예비 출력 단자(36) 선로를 접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며, 입력 단자(40)와 예비 입력 단자(42) 사이의 스위치 구조는 입력 단자(40)에 컨넥터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저항(R3)을 예비 입력 단자(42)에 연결하여 예비 입력 단자(42) 선로를 접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은 주석 도금된 동판 및 차폐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된 전자파 차폐 성능 및 약 75㏈ 정도의 개선된 누화 특성을 가지며, 케이블에 의해 보다 안정된 상태의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석 도금 동판의 반원 수용부에 의해 차폐 케이블을 케이스에 고정 및 접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응력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전방부와 후방부, 바닥벽 및 양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출력 단자와,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 출력 단자의 신호 출력을 감시하기 위한 출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출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 전방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입력 단자와,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예비 입력 단자의 신호입력을 감시하기 위한 입력 모니터 단자로 구성된 입력 단자 시스템,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BNC 유형의 한 쌍의 입력 및 출력단자와 단차를 두고 병렬로 배열되는 BNC 유형의 한 쌍의 예비 입력 단자 및 예비 출력 단자,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1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출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2 차폐 케이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유형의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3 차폐 케이블, 상기 예비 입력 단자와 상기 BNC 예비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제4 차폐 케이블, 그리고
    상기 차폐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에 접지시키는 누화방지용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화방지용 차폐수단은 주석 도금 동판으로 되어 있고,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돌출하며, 그 내에 상기 차폐 케이블을 수용하는 반원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 동판은 상기 반원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상측 반원 수용부는 상기 하측 반원 수용부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바닥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서 상기 차폐 케이블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 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양측면에 다수의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을 수용하는 새시에 삽입될 때,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의 가이드 레일과 우측면의 가이드 레일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액세스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KR1020020008717A 2002-02-19 2002-02-19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KR20030069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17A KR20030069258A (ko) 2002-02-19 2002-02-19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US10/320,617 US20030157841A1 (en) 2002-02-19 2002-12-17 Digital signal cross-connect module having tin-plated copper pl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17A KR20030069258A (ko) 2002-02-19 2002-02-19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258A true KR20030069258A (ko) 2003-08-27

Family

ID=2772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717A KR20030069258A (ko) 2002-02-19 2002-02-19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157841A1 (ko)
KR (1) KR200300692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3244B (en) * 2000-06-28 2005-11-11 Nhk Spring Co Ltd Conductive contact member
US7158613B2 (en) * 2004-01-16 2007-01-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ircuit testing services on a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US7393249B2 (en) * 2006-04-21 2008-07-01 Trompeter Electronics, Inc. Interconnection and monitoring module
CN103297864B (zh) * 2013-06-09 2016-03-16 国家电网公司 一种2m链路接头多功能转接器
CN110112603B (zh) * 2019-05-27 2024-07-09 利亚德智慧显示(深圳)有限公司 信号座及显示屏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3875A (ja) * 1990-02-07 1991-10-17 Junkosha Co Ltd シールドケーブル用分岐コネクタ
JPH04109512A (ja) * 1990-08-29 1992-04-10 Hitachi Ltd 同軸分岐ケーブル
JPH04217810A (ja) * 1989-12-12 1992-08-07 Entrelec Sa 電磁遮蔽された多重導線ケーブルの接続器
JPH10321269A (ja) * 1997-05-16 1998-12-04 Nichifu Co Ltd 片線開閉用分岐コネクタ
KR19990029080A (ko) * 1995-07-19 1999-04-15 세이취크 제이 엘. 차폐 전기 컨넥터를 위한 차폐 브레이드 접속
KR200261730Y1 (ko) * 2001-10-10 2002-01-24 한국전력공사 몰드형 지중 저압케이블의 분기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7810A (ja) * 1989-12-12 1992-08-07 Entrelec Sa 電磁遮蔽された多重導線ケーブルの接続器
JPH03233875A (ja) * 1990-02-07 1991-10-17 Junkosha Co Ltd シールドケーブル用分岐コネクタ
JPH04109512A (ja) * 1990-08-29 1992-04-10 Hitachi Ltd 同軸分岐ケーブル
KR19990029080A (ko) * 1995-07-19 1999-04-15 세이취크 제이 엘. 차폐 전기 컨넥터를 위한 차폐 브레이드 접속
JPH10321269A (ja) * 1997-05-16 1998-12-04 Nichifu Co Ltd 片線開閉用分岐コネクタ
KR200261730Y1 (ko) * 2001-10-10 2002-01-24 한국전력공사 몰드형 지중 저압케이블의 분기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7841A1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3200A (en) Electric connecting block
US7936572B2 (en) Distributor connection module for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ology
US6347963B1 (en) Interchangeable backplane interface connection panel
US6358083B1 (en) 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with serially connectable unique cable assemblies
RU2391752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и устройство с врезными контактами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техники
JPH025377A (ja) ディジタル通信回路網交差接続モジュール
US7874854B2 (en) Communications patching devices that include integrated electronic static discharge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WO19940062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talk cancellation in data connectors
WO2004039091A2 (en) High density patching system
WO1993011587A1 (en) High frequency patch cord data connector
SK121796A3 (en) The high-rate of information throughput terminal board
US9088106B2 (en) Communications jacks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with common mode crosstalk compensation
KR20030069258A (ko) 디지털 신호 분배기 모듈
US11031738B1 (en) Multiple socket panel device with anti-crosstalk shielding structure
US4784609A (en) Jack module with lamp assembly
EP2795741B1 (en) High density multichannel twisted pair communication system
US633112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for high frequency signals
EP0209822B1 (en) Connecting block for digital system cross-connect frame
US20050026506A1 (en) Modular cross-connect with hot-swappable modules
RU2569326C2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распределителя
WO2002025956A2 (en) Testing box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80318479A1 (en) Plug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s, an Assembly Including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 Plu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g
EP1578144B1 (en) Modular arrangement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s
GB2212006A (en) Capacitive plug for line verification testing
US7150656B1 (en)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