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47109A -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109A
KR20030047109A KR1020010077502A KR20010077502A KR20030047109A KR 20030047109 A KR20030047109 A KR 20030047109A KR 1020010077502 A KR1020010077502 A KR 1020010077502A KR 20010077502 A KR20010077502 A KR 20010077502A KR 20030047109 A KR20030047109 A KR 2003004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let
valve
chamb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01007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109A/ko
Publication of KR2003004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igidly on cycle frame or fork, e.g. adjustably
    • B62K2025/025Hinged axle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삼륜차의 선회주행 및 경사로 주행에 의해 상기 삼륜차 차체에 원심력 혹은 기울어진 하중이 작용되면 밸브의 양측에 설치된 관성추가 상기 원심력방향 혹은 하중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엔진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가압되어 유통되는 오일을 실린더로 유통시키고, 이 실린더로 충진된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완충기가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지고, 상기 완충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완충기와 연결된 하부암 및 타측의 완충기와 하부암이 기울어져 상기 차체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선회주행을 이룸은 물론, 경사로에서 중력방향으로 직립하도록 기울어져 주행되어 상기 삼륜차의 주행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A DEVICE OF TILT CONTROL FOR A THREE 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삼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회전이나, 경사로 운행 시에 차체의 기울어짐이 원심력 및 차체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제어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륜차는 전방바퀴 또는 후방바퀴 중의 어느 한 바퀴부가 2개로 이루어져 총 3개의 바퀴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이륜차의 전륜 및 후륜으로 이루어지는 2점 지지구조에서 3바퀴의 지지를 통한 3점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그 안정성이 증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삼륜차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구동력의 전달방식이 후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어 상기 삼륜차의 전방 양측에 2개의 전방바퀴가 형성되고, 상기 삼륜차의 후방에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단일개의 후방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 상기 삼륜차의 전방바퀴는 운전자의 핸들조작에 의해 동일한 방향 및 각도를 이루고 회동되도록 지지대와 조향판으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삼륜차의 전방바퀴는 조향축과, 지지대와, 완충기와, 하부암과, 상부암과 조향너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향축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핸들의 중앙부 하단에서 상기 2개의 전방바퀴 사이의 중앙지점에 이르도록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조향축이 그 중앙부로 관통되도록 조향축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향축과 수직을 이루고 배열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완충기는 상기 지지대의 양끝단 하단에서 상기 2개의 전방바퀴방향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코일스프링이 체결되어 상기 완충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암 및 하부암은 상기 조향축이 관통되는 조향차체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전방바퀴에 결합된 조향너클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 판 또는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암 및 하부암은 상기 조향차체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뻗어 형성되어 상기 조향너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조향판이 형성되고, 이 조향판의 상단에서 봉형상의 고리가 돌출되며, 이 조향판의 고리와 상기 조향너클의 너클암에 형성된 고리가 상호 링크를 매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상기 핸들이 소정 각도 회동되고, 이 핸들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핸들의 중앙 하단에 일체로 결합된 조향축이 상기 핸들의 회동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조향축의 회동에 따라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결합된 조향판이 상기 핸들의 회동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고, 상기 조향판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회동판의 상단에 돌출된 고리에 연결된 링크가 상기 조향판 고리의 회동거리만큼 이동되며, 상기 링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링크에 연결된 조향너클의 너클암이 상기 핸들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전방바퀴가 최초 운전자가 조작하여 회동된 핸들의 회동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삼륜차가 운행된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전방바퀴가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상기 삼륜차가 전방으로 운행됨에 있어서, 상기 전방바퀴의 전면방향으로 상기 전방바퀴가 구동되고, 이 전방바퀴의 구동방향으로 상기 삼륜차가 회전된다.
또, 상기 2개의 전방바퀴가 상이한 높이의 지면으로 운행되면서 상기 각 전방바퀴에 전달되는 가압력은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이 각각 조향차체에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전방바퀴의 저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전방바퀴와 조향너클을 통해 상기 상부암 및 하부암으로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가해지고, 이 상부암 및 하부암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암 및 하부암이 상기 조향차체의 힌지부를 축으로 상/하 회동되면서 상기 전방바퀴가 저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하부암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기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방바퀴의 저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완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삼륜차는 2개의 전방바퀴가 회동된 방향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상기 전방바퀴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삼륜차의 후방바퀴가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전방바퀴는 전방바퀴의 구동방향과 상이하게 회전하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구동력을 받게 되며, 상기 삼륜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전방바퀴의 회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원심력이 가중되어 상기 삼륜차의 회전 주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삼륜차는 상기 후방바퀴의 상이한 구동력과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삼륜차의 차체하중 및 상기 삼륜차에 탑승한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하려는 방향 측의 전방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반대편 측의 전방바퀴에 가해지는 힘이 상이하여 상기 삼륜차가 일측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로 이루어진 2개의 바퀴만으로 운행되거나, 상기 차체의 하중 및 운전자의 하중으로 인해 일측으로 쏠리어 전달된 힘의 관성에 의해 상기 차체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운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삼륜차가 차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경사진 노면에서 주행됨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방바퀴가 이루는 수평각이 상기 노면의 각도에 따라 경사를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상기 노면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삼륜차 및 삼륜차에 탑승한 운전자의 자세를 불안하게 함은 물론, 상기 경사노면의 경사가 소정각도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삼륜차가 낮은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상기 삼륜차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과 일측으로 치우친 하중을 상쇠하거나 완충하도록 상기 삼륜차의 다수 지점에 센서를 장착하여 다수의 링크를 모터의 구동력 등을 통해 이동시키도록 되는 장비의 구성이 있었으나, 이 장비는 고가의 센서와 다수의 링크장치 등으로 인해 그 산업성이 결여되며, 삼륜차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삼륜차 전방바퀴의 회동에 따라 생성되는 원심력 및 하중 등이 충분히 상쇠되도록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회전방향에 의해 기울어지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륜차의 회전으로 생성되는 원심력의 감지가 관성을 이용한 단순한 추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륜차의 회전으로 생성되는 원심력이 지지되도록 삼륜차의 차체를 기울이는 가압력이 상기 원심력의 세기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되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륜차의 회전으로 생성되는 원심력의 상쇠가 상기 차체의 지속적인 기울기변환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이루어져 보다 세밀한 삼륜차의 기울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륜차의 기울기 변환을 위해 주입되는 오일의 가압력이 상기 삼륜차의 엔진구동력을 이용하여 생성되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심력 및 하중편차에 대한 상쇠력의 반대되는 힘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된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 차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 기울기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링크수단의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링크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 부분의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울기제어장치10 - 조향링크수단
11 - 핸들12 - 조향축
13 - 완충기14 - 상부암
15 - 하부암16 - 조향너클
17 - 세로대18 - 조향판
20 - 가압수단21 - 실린더
22 - 피스톤23 - 로드
24 - 로드축25 - 볼트홀
26 - 제1유압실27 - 제2유압실
28 - 연결관30 - 제어수단
31 - 밸브32 - 유입실
33 - 유출실34 - 유입로
35 - 유출로36 - 연결구
37 - 유입구38 - 유출구
40 - 개폐부재41 - 유로제어봉
42 - 유입봉43 - 유출봉
44 - 돌출봉45 - 개폐볼
46 - 스프링50 - 관성추
51 - 힌지대52 - 장공
64 - 도선65 - 코일
66 - 자장캡67 - 지지스프링
70 - 유압수단71 - 펌프실
72 - 유입팬73 - 유입포트
74 - 유입관75 - 유출관
80 - 오일90 - 엔진
91 - 조향차체92 - 후방차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충기와 시소암과 하부암이 상호 힌지결합된 조향링크수단과, 피스톤과 실린더와 로드로 구성된 가압수단과, 밸브와 관성추와 개폐부재로 구성된 제어수단과, 유입팬과 유입포트로 구성된 유압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조향축의 상부에 상기 조향축과 수직방향을 이루고 그 중앙부가 힌지를 매개로 체결된 시소암과, 상기 시소암의 양측단에 그 선단이 힌지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조향축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2개의 완충기와, 상기 2개의 완충기의 양끝단에 힌지를 매개로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조향축의 하부 끝단에 힌지를 매개로 체결된 하부암이 포함되어 상기 조향링크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오일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경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측면에서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 완충기에 체결된 로드 및 상기 피스톤이 설치되어 양분된 실린더 내의 양측 공간으로 연결된 2개의 연결관이 포함되어 상기 가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압수단에서 공급되는 오일이 연결관을 통해 실린더로 유통되는 것이 단속되도록 밸브와, 개폐부재 및 관성추가 포함되어 상기 제어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밸브내의 유/출입로가 단속되도록 설치된 개폐부재의 돌출봉 선단이 중력 및 원심력 등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돌출봉의 선단에 힌지결합된 관성추의 회동작동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다수개의 유입팬이 설치되고, 이 유입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오일이 상기 유입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다수개의 유입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재로 연결된 유입관으로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관성추의 작동으로 개폐부재가 이동되어 소정량의 오일이 밸브 내부에 형성된 유입실과 유출실의 내벽면과 유입봉과 유출봉의 사이공간으로 형성된 유입로 및 유출로를 통해 유통되면서 차체의 기울기 작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차체의 기울기에 따라 정위치를 이루는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오일의 유통이 차단되는 상기 오일의 단속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차체의 기울기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돌출봉의 외주를 감싸도록 그 내부가 함몰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도선과 연결된 코일이 설치된 자장캡과, 상기 차체에 고정된 기울기감지수단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축으로 체결된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가 체결된 동일한 회전축에서 상기 기울기감지수단의 내주방향 양측으로 뻗어 형성된 회전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회전되어 맞접하도록 상기 기울기감지수단의 내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도선에 연결된 고정단자와, 상기 도선에 연결된 전원과, 상기 자장캡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봉의 선단면 사이에 탄발적으로 지지된 코일스프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은 차체에 체결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된 스위치박스와, 이 스위치박스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차체의 전원에 연결된 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박스의 중공된 내부에 그 상단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의 내부에 그 상단이 상기 전원단자에 접하고 그 하단 양측단이 관성추의 양측단으로 향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의 양측 끝단에 접하면서 상기 관성추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추단자와, 상기 스위치박스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설치되면서 그 내측면이 상기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관성추의 추단자가 접하도록 되고 그 외측부에 연결된 도선이 상기 자장캡의 코일에 연결된 박스단자로 구성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차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삼륜차는 운전자의 탑승구조물과 엔진(90)이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대략 판상을 이루도록 결합된 후방차체(92)와, 상기 후방차체(92)의 전방에 결합됨과 더불어 운전자가 조작하는 핸들(11)이 설치된 조향차체(91) 및 상기 엔진(90)이 포함된다.
상기 조향차체(91)는 상기 삼륜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제어하도록 상기 후방차체(92)의 전면 중앙부에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접합되며, 그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도록 핸들(11)이 접합된 조향축(12)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또, 상기 조향차체(91)는 상기 조향축(12)과 동일하도록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세로대(17)와 상기 후방차체(92)에 이르도록 상기 세로대(17)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뻗어 형성된 한 쌍의 가로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차체(91)의 전면에 조향링크수단(10)이 체결되고, 이 조향링크수단(10)의 양측단에 각각 우측바퀴 및 좌측바퀴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차체(92)에 결합된 엔진(90)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체인 등으로 연결된 뒷바퀴가 상기 후방차체(92)의 후단부에 체결된다.
상기 조향차체(91)의 상단 및 상기 후방차체(92)의 뒷바퀴 축에 상기 삼륜차의 차체 기울기를 제어하도록 기울기제어장치(1)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제어장치(1)의 조향링크수단(10)과, 가압수단(20)과, 연결관(28)과, 제어수단(30)과, 유출/입관(74, 75)과, 유압수단(7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조향링크수단(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차체(91)의 전면에 형성된 세로대(17)에 시소암(19)과, 완충기(13)와, 하부암(15)이 체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소암(19)은 상기 핸들(11)의 중앙부 하단에서 지면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봉형상의 조향축(12) 상부에 그 중앙부가 힌지 또는 피봇 등의 체결수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축(12)과 수직되도록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시소암(19)은 상기 조향축(1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 하단에서 지면방향으로 후술하는 가압수단(20)을 덮어 막을 정도 또는 차량의 전조등 등의 등기구가 설치될 정도의 면적만큼 확장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시소암(19)은 상기 조향축(12)과 힌지결합되도록 그 중앙부에 볼트 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양단에 완충기(13)의 선단이 힌지 등을 매개로 결합되도록 한쌍의 볼트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소암(19)은 상기 조향축(12)의 상부 전면 중앙부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향축(12)의 후면에 동일한 형상을 이룬 시소암(19)이 더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된다.
상기 완충기(13)는 상기 시소암(19)에서 하부암(15)에 이르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에 완충기(13)의 상부와 하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코일형상의 스프링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암(15) 및 상부암(14)은 삼륜차의 전방에 체결되는 우측바퀴 및 좌측바퀴가 고정되는 조향너클(16)을 지지하도록 상기 세로대(17)의 전면 및 후면에서 상기 조향축(12)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암(15)은 상기 세로대(17)의 하단 양측부에서 상기 세로대(17)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되며, 상기 세로대(17)의 하단 전면에 힌지 등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암(15)은 그 일단이 상기 세로대(17)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조향너클(16)의 하단에 힌지결합된다.
또, 상기 하부암(15)의 중앙부에 볼트 홀이 형성되고, 이 볼트 홀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된 상기 완충기(13)의 하단부가 상기 볼트 홀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상부암(14)은 그 일단이 상기 세로대(17)의 상부 중앙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조향너클(16)의 상단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조향너클(16)은 상기 상부암(14)의 타단과 하부암(15)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도록 대략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타이어에 체결되는 봉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2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20)은 실린더(21)와 피스톤(22) 및 로드(2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 상기 로드(23)의 로드축(24)이 삽출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하단 양측에 2개의 연결관(28)이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22)은 상기 실린더(21)의 내경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원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외주부에 피스톤(22) 링 등의 밀봉부재가 결합된다.
또, 상기 피스톤(22)은 상기 실린더(2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실린더(21)의 내주와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로드(23)는 상기 피스톤(22)의 일측면 중앙에서 상기 실린더(21)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관통되는 로드축(24)과, 상기 로드축(24)의 끝단에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확장된 부분에 형성된 볼트홀(2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로드축(24)의 끝단에서 확장된 직사각형판은 상기 로드축(24)을 중심으로 양측단에서 확장되면서 상기 완충기(13)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대략 "ㄷ"자단면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2)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부공간이 상기 로드(23)가 설치된 방향의 제1유압실(26)과 상기 로드(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2유압실(27)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3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30)은 밸브(31)와, 개폐부재(40)와, 관성추(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밸브(31)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다수개의 격실과 유출/입로가 형성되며, 각 격실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부품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밸브(31)는 그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 상단에서 내부 중앙에 이르도록 상기 연결관(28)이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36)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31)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관통된 연결구(36)의 선단이 상기 밸브(31)의 일측단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며, 이 연장된 유통로의 선단에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확장된 유입실(32)이 형성되고, 이 유입실(32)에서 상기 밸브(31)의 일측단 방향으로 재차 연장되어 상기 유입실(32)의 크기보다 큰 용적을 갖는 유출실(33)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이 유출실(33)의 선단에서 상기 밸브(31)의 일측면으로 후술하는 돌출봉(44)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입실(32)의 상단 밸브(31) 표면에서 상기 유입실(32)에 이르도록 상기 연결구(36)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 유입구(37)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실(33)의상단 밸브(31)의 표면에서 상기 유출실(33)에 이르도록 유출구(3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로(34)와 유입실(32)과 유출실(33)은 상기 밸브(31)의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상호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유입실(32)과 유출실(33)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원통형상을 이룬 유입봉(42)과, 이 유입봉(42)의 일측단에서 연장된 봉과, 이 연장된 봉에서 상기 유입봉(4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유출봉(43) 및 돌출봉(44)이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부재(40)로 구성된다.
또, 상기 유입봉(42)의 상기 연결구(36)방향 선단에서 내측으로 봉형상을 이룬 함몰부가 형성되고, 이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봉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36)방향 선단에서 봉의 형성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원판형으로 확장된 유로제어봉(4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제어봉(41)은 상기 연결구(36)의 절곡부 선단과 연결되도록 그 내부에 유통로가 관통되고, 상기 연결구(36)방향과 반대방향의 끝단에 상기 유통로의 개구를 덮어 막을 수 있도록 구형상을 이룬 개폐볼(45)이 접합되며, 이 개폐볼(45)은 상기 유입봉(42)에서 유출봉(43)에 이르도록 내부에 관통된 유출로(35)에 걸쳐 체결되어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46)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된다.
또, 상기 유출봉(43)은 그 상단에서 그 하단에 이르도록 유출로(35)가 관통되며, 이 유출로(35)는 상기 유로제어봉(41)과 개폐볼(45) 및 스프링(46)이 삽입된 유통로와 상호 연결되어 관통된다.
상기 돌출봉(44)은 상기 유출봉(43)의 끝단에서 상기 밸브(31)의 일측단으로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봉(42)과 유출봉(43)은 상기 유입실(32)과 유출실(33)의 내주면과, 돌출봉(44) 형성방향의 내벽면과 소정간격(본 발명에서는 약 1㎜)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유입봉(42)과 유출봉(43)은 상기 내주면 및 내벽면과 이루는 간극에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봉(44)의 끝단에 힌지를 매개로 직사각형 박스형상의 관성추(50)가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지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관성추(50)는 상기 돌출봉(44)과 힌지결합되도록 그 상단부에 힌지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힌지홀의 하부에 상기 밸브(31)의 측면에서 돌출된 힌지대(51)의 힌지에 걸치도록 지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대(51)는 상기 밸브(31)의 측면에서 원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되고, 이 돌출된 원통의 외주 일면에서 상기 관성추(50)의 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장공(52)의 최상단에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수단(7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압수단(70)은 펌프실(71)과, 유입팬(72)과 유입포트(7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펌프실(71)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엔진(90)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엔진축(91)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펌프실(71)의 일측면을 통해 중앙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입팬(72)은 상기 펌프실(71)의 중앙 내부로 관통된 엔진축(91)의 4방향 지점에 일방향으로 향한 4개 또는 다수개의 날개가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입팬(72)은 동일한 엔진축(91) 상에 3개 이상 다수개가 체결된다.
상기 유입포트(73)는 상기 유입팬(72)의 상사점에서 일측으로 소정폭 이격된 위치에 상기 유입팬(72)이 이동시킨 오일(80)이 삽입되도록 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유입팬(7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펌프실(71)의 상부에 장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펌프실(71)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단일개의 유입관(74)으로 합쳐져 형성된다.
또, 상기 펌프실(71)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수단(30)의 유출구(38)와 연결된 유출관(75)이 연결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회하는 삼륜차에서 기울기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삼륜차의 시동과 동시에 엔진(90)이 작동되고, 이 엔진(9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엔진(90)에 연결된 엔진축(91)이 회전된다.
상기 엔진축(9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엔진축(91)에 결합된 유입팬(72)이 상기 엔진축(9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유입팬(72)이 회전되면서 상기 펌프실(71)의 하부에 수용된 오일(80)이 상기 유입팬(7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유입팬(7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입팬(72)의 상사점 부분에 개구된 유입포트(73)로 삽입되고, 이 유입포트(73)로 삽입된 오일(80)이 상기 유입포트(73)의 끝단에서 합쳐지는 유입관(74)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엔진축(91)에 결합된 3개 이상 다수개의 유입팬(72)이 동시에 작동되면서 상기 유입포트(73)에 오일(80)을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유입팬(72) 중에서 1∼2개의 팬만이 작동되면서 상기 유입포트(73)로 오일(80)을 삽입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입관(74)으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입관(74)의 형상을 따라 상기 삼륜차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삼륜차 차체의 전방 조향차체(91)에 설치된 밸브(31)의 유입구(37)로 유동된다.
상기 벨브의 유입구(37)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입구(37)의 형상을 따라 상기 밸브(31)의 유입실(32)로 유동되고, 이 유입실(32)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입실(32)과 유입실(32)에 결합된 유입봉(42)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실(32)과 유입봉(42)이 이루는 공간은 유입봉(42)의 외주면과 유입실(32)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과, 상기 유입실(32)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구(36)의 반대방향 유입봉(42) 타단면과 상기 유입실(32)의 타단면이 이루는 밀폐된 공간으로 상기 유입구(37)를 통해 충진된 오일(80)은 더 이상 유통되지 않는다.
상기 삼륜차가 운전자의 핸들(11)조작에 의해 선회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조향차체(91)의 가로대에 체결된 제어수단(30)에 상기 삼륜차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생성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밸브(31)의 양측 돌출봉(44)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관성추(5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관성추(50)는 상단이 상기 돌출봉(44)과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결합된 지점의 하부 장공(52)의 상단이 상기 힌지대(5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관성추(50)는 밸브(31)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밸브(31) 방향으로의 회동만이 허용되므로, 상기 밸브(31)의 양측에 결합된 2개의 관성추(50)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단일 관성추(50)만이 상기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되고, 타 관성추(50)는 상기 돌출봉(44)과의 힌지결합과, 장공(52)과 힌지대(51)의 결합력으로 고정된다.
상기 일측의 관성추(50)가 밸브(31)의 하부 중앙방향으로 돌출봉(44)과의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관성추(50)의 하부가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장공(52)의 밸브(31) 반대방향 내주가 상기 힌지대(51)의 돌기를 가압하게 되며, 이 돌기는 상기 힌지대(51)의 고정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장공(52)이 상기 관성추(5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힌지대(51)의 돌기를 지속적으로 억압하면서 상기 돌출봉(44)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돌출봉(44)의 방향으로 이동된 장공(52)은 상기 장공(52)의 형상에 따라 그 하단내주가 상기 힌지대(51)의 돌기에 접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대(52)의 돌기에 그 하단내주가 걸친 장공(52)과 상기 관성추의 상단이 돌출봉(44)과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52)의 형상을 따라, 상기 관성추(50)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관성추(50)는 밸브(31)의 측면에 대해 하부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성추(50)는 밸브(31) 방향으로 가압된 장공(52)이 상기 원심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장공(52)의 하단부가 상기 힌지대(51)의 돌기에 접하도록 되고, 상기 장공(52)의 형태에 따라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원심력에 의해 관성추(50)의 하부가 밸브(31)의 중앙부로 회동되면서 상기 관성추(50)의 상부가 밸브(31)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 관성추(50) 상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관성추(5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돌출봉(44)이 상기 밸브(31)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관성추(50)의 회동에 의해 돌출되는 돌출봉(44)은 상기 유입봉(42) 및 유출봉(43)과 유입실(32) 및 유출실(33)의 사이간격(본 발명에서는 약 1㎜)만큼 상기 밸브(3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봉(44)이 밸브(31)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돌출봉(44)과 일체로 형성된 유출봉(43) 및 유입봉(42)이 상기 돌출봉(44)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유출봉(43)과 유입봉(42)은 각각 유출실(33)과 유입실(32)의 끝단면과의 이격거리만큼 이동되면서 상기 유출실(33)과 유입실(32)의 끝단부에 접합된다.
상기 유입봉(42)과 유출봉(43)이 상기 유입실(32)과 유출실(33)의 끝단에 접합되면서 상기 유입봉(42)과 유출봉(43)의 상기 연결구(36) 방향 선단과 상기 유입실(32)과 유출실(33)의 선단면 사이가 상대적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실(71)에서 유통되어 유입구(37)로 유동된 오일(80)이 상기 유입구(37)를 통해 상기 유입실(32)로 충진되고, 이 유입실(32)에 충진된 오일(80)이 상기 유입봉(42)과유입실(32)의 선단면 사이공간에 형성된 유입로(34)로 유통되고, 이 유입로(34)로 유통된 오일(80)이 상기 연결구(36)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부분으로 유동되어 그 일부는 상기 연결구(36)방향으로 유통되고, 그 일부는 상기 절곡부에서 유로제어봉(41)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입로(34)를 통해 유로제어봉(41)의 끝단에 스프링(46)에 의해 탄발적으로 밀착된 개폐볼(45)의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개폐볼(45)의 방향으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입구(37)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오일(80)의 유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46)의 탄발력을 억압하면서 상기 개폐볼(45)을 유출봉(43)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개폐볼(45)이 유출봉(43)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로제어봉(41)의 끝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구를 통해 상기 오일(80)이 유동되며, 이 개방구를 통해 유동된 오일(80)이 상기 스프링(46)을 통해 상기 유출봉(43)의 내부에 형성된 유출로(35)로 유동되고, 이 유출로(35)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출실(33)의 내부로 충진된다.
또한, 상기 일측의 연결구(36)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연결구(36)에 연결된 연결관(28)으로 유동되고, 이 연결관(28)으로 유동된 오일(80)이 상기 실린더(21)의 내부로 충진된다.
이때, 상기 유출실(33)에 충진된 오일(80)이 상기 유로제어봉(4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로제어봉(41)의 끝단이 상기 스프링(46)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된 개폐볼(45)에 의해 차폐되어 상기 오일(80)의 유동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삼륜차가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선회 주행하여 상기 삼륜차 정면에서 좌측에 설치된 관성추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17)의 상단에 설치된 제어수단(30)을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한 관성추(50)가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관성추(50)의 회동에 따라 돌출봉(44)과 유출봉(43) 및 유입봉(42)이 밸브(31)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일(80)이 실린더(21)로 유통되고, 이 실린더(21)로 유통된 오일(80)은 상기 좌측에 위치된 밸브(31)의 유입실(32)과 연결된 연결관(28)을 통해 상기 실린더(21)의 제1유압실(26)로 충진된다.
상기 실린더(21)의 내부로 충진된 오일(80)은 상기 연결관(28)이 각각 연결된 제1유압실(26)로 유동되고, 상기 제1유압실(26)로 유동된 오일(80)이 상기 제1유압실(26)의 내부로 충진되면서 유압실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실린더(21)의 중앙부에 삽입된 피스톤(22)을 상기 제2유압실(27)의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이때, 상기 제2유압실(27)의 방향으로 이동된 피스톤(22)은 상기 제2유압실(27)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상기 제2유압실(27)의 압력증가에 따라 상기 제2유압실(27) 내의 오일(80)이 상기 제2유압실(27)에 연결된 연결관(28)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위치된 밸브(31)의 연결구(36)로 유동된다.
상기 밸브(31)의 우측 연결구(36)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연결구(36)에 연결된 유로제어봉(41)의 중앙에 형성된 유통로를 통해 상기 유로제어봉(41)의 끝단에 위치된 개폐볼(45)을 가압하면서 유동되어 상기 유출봉의 가로방향으로 개구된 유출로(35)로 유동되고, 상기 유출로(35)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출로(35)의 상/하 개구를 통해 상기 유출실(33)로 충진된다.
상기 유출실(33)로 충진된 오일(80)은 상기 제2유압실(27)에서 지속적으로 오일(80)이 유동됨에 따라 상기 유출실(33)과 유출봉(4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밸브(31)의 최우측단에 개구된 유출구(38)로 유동된다.
상기 유출구(38)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유출구(38)와 연결된 유출관(75)을 통해 상기 펌프로 재순환을 이룬다.
상기 제1유압실(26)의 오일(80) 충진으로 가압되면서 제2유압실(27)의 방향으로 피스톤(22)이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22)의 중앙부에 접합된 로드(23)가 상기 실린더(21)의 좌측면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드(23)가 실린더(21)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로드(23)에 볼트 체결된 차량정면에서 좌측의 완충기(13)를 상기 로드(23)의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좌측 완충기(13)는 그 상단이 시소암(19)의 좌측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의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좌측 완충기(13)가 상기 조향축(12)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좌측 완충기(13)가 조향축(12)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좌측 완충기(13)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하부암(15)이 조향축(12)의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때, 상기 하부암(15)은 지면에 밀착된 좌측바퀴와 우측바퀴의 지지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지지되면서 상기 조향축(12)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조향축(12)의 방향으로 가압된 하부암(15)은 상기 조향축(12)이 결합된 조향차체(91)의 세로대(17)를 최초 위치에서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세로대(17)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향차체(91) 및 조향축(12)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된다.
또, 상기 세로대(17)의 차량정면에서 보아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좌측완충기(13)가 힌지결합된 하부암(15)의 반대편에 결합된 하부암(15)이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 하부암(15)의 우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암(15)에 힌지결합된 우측 완충기(13)의 하단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소암(19)과, 한 쌍의 완충기(13)와, 한 쌍의 하부암(15)이 이루는 지면에 수직한 직사각형 외형이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기울어진 외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기(13)의 관성추(50)가 회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짐과 더불어, 상기 완충기(13)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하부암(15)이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향차체(91) 및 조향차체(91)와 연결된 후방차체(92)가 지면에 대해 상기 삼륜차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주행된다.
이때, 상기 하부암(15)이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로대(17)의 하부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세로대(17)가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지면에 대해 좌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세로대(17)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상부암(14)이 상기 하부암(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암(14)이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암(15)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암(14)의 끝단과 하부암(15)의 끝단에 힌지결합된 조향너클(16)이 상기세로대(17)가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조향너클(16)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조향너클(16)에 체결되는 좌측바퀴 및 우측바퀴가 상기 삼륜차의 회전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주행된다.
따라서, 상기 삼륜차의 선회주행에 따라 상기 조향차체(91) 및 후방차체(92)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물론, 상기 좌측바퀴 및 우측바퀴가 상기 선회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후방차체(92)에 체결된 후방바퀴가 상기 선회방향으로 기울어져 선회주행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로대(17)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세로대(17)의 상단에 설치된 밸브(31)가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밸브(31)가 상기 삼륜차의 선회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밸브(31)에 대해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된 관성추(50)가 상기 밸브(31)의 측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관성추(50)와 밸브(31)의 측면이 최초위치와 동일한 수직을 이루게 됨에 따라,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상기 밸브(31)의 좌측에서 상기 관성추(50)의 회동으로 돌출된 돌출봉(44)이 상기 관성추(50)와 밸브(31)가 수직으로 되면서 상기 밸브(31)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돌출봉(44)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돌출봉(44)과 일체로 형성된 유입봉(42) 및 유출봉(43)이 상기 돌출봉(44)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유입봉(42)이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봉(42)과 유입실(32)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유입로(34)가 차단되고, 상기 유출봉(43)이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출봉(43)의 좌측단이 상기 유출실(33)의 측면과 맞닿아 차단된 유출구(38)가 개방된다.
상기 유입로(34)가 차단되면서 상기 유입구(37)를 통해 유동되는 오일(80)이 상기 실린더(21)로 유통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실린더(21) 내의 제1유압실(26)에 대한 가압이 중단되며, 상기 유출구(38)가 개방되어 상기 유출실(33)에 충진된 오일(80)이 상기 유출구(38) 및 유출관(75)을 통해 상기 유압수단(70)으로 순환된다.
상기 유입로(34)의 차단에 따라 유압실에 대한 가압이 중단되면서 상기 피스톤(22)에 대한 가압이 중단되고, 이 피스톤(22)에 대한 가압의 중단으로 상기 피스톤(22) 및 로드(23)가 정지되어 상기 완충기(13)에 대한 가압이 중단된다.
상기 완충기(13)에 대한 가압이 중단되면서 상기 완충기(13)와 하부암(15)의 이동 및 기울어짐이 중단되어 상기 삼륜차의 조향차체(91) 및 후방차체(92)의 기울어짐이 차단된다.
또, 상기 삼륜차의 지속적인 선회주행에 의해 상기 1차로 기울어져 선회주행되는 삼륜차 및 상기 관성추(50)에 재차 원심력이 작용되면, 상기 관성추(50)가 재차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유입로(34)가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21)로 오일(80)이 유통되어 상기 피스톤(22) 및 로드(23)가 이동되고, 상기 로드(23)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로드(23)에 결합된 완충기(13)가 1차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더욱 기울어지면서 상기 조향차체(91) 및 후방차체(92)가 2차로 기울어져 선회주행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봉(42)과 유입실(32) 및 유출봉(43)과 유출실(33)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1㎜ 정도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성추(50)의 미세한 회동 및밸브(31) 측면에서의 정지에 의해 유입로(34)가 개/폐되면서 소량의 오일(80)이 유통 및 차단을 반복하면서 상기 삼륜차의 차체를 지속적으로 기울이도록 된다.
또, 상기 선회주행을 완료한 차체는 상기 사용자의 조향축(12) 조작 및 원심력의 감쇠로 인해 상기 차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선회주행 시에 원심력을 받으면서 회동·작동된 관성추(50)의 반대편 관성추(50)가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중력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반대편 관성추(50)의 회동작동에 따라 상기 선회주행시 작동된 일측 밸브(31)의 반대편 밸브(31)를 통해 상기 오일(80)이 유통되면서 상기 차체의 기울기가 점차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변경되면서 상기 차체가 직립된 상태에서 직선 주행을 이루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경사로 주행 작용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가 차체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경사노면을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삼륜차가 경사로에 접해 차체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한 우측바퀴가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우측에 위치한 좌측바퀴가 낮은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삼륜차의 조향차체(91) 및 후방차체(92)가 상기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차체(91)의 세로대(17) 상단에 설치된 밸브(31)가 기울어지고, 이 밸브(31)의 기울어짐에 따라 차체의 정면에서 보아 밸브(31)의 좌측에 설치된 관성추(50)가 상기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때 상기 회동되는 관성추(50)의 반대편에 설치된 관성추(50)는 상기 돌출봉(44)과의 힌지결합 및 힌지대(51)와의 힌지결합으로 인해 상기 밸브(31)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지지된다.
상기 좌측의 관성추(50)가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관성추(50)의 선단이 고정된 돌출봉(44)이 상기 밸브(31)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봉(44)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돌출봉(44)과 일체로 연결된 유출봉(43) 및 유입봉(42)이 상기 밸브(31)의 좌측단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봉(42)과 유입실(32) 일측면 사이에 간격으로 유입로(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봉(43)과 유출실(33)의 끝단면이 접해 상기 유출구(38)가 차단된다.
상기 유입로(34)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펌프에서 유입구(37)로 유동되는 오일(80)이 상기 유입로(34)를 따라 연결구(36)로 유동되고, 상기 연결구(36)로 이동된 오일(80)이 상기 연결관(28)을 통해 상기 실린더(21)로 유동된다.
상기 실린더(21)로 유동된 오일(80)은 상기 실린더(21)의 좌측에 관통된 연결관(28)을 통해 상기 실린더(21)의 제1유압실(26)로 충진되고, 상기 제1유압실(26)의 압력증가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2)이 상기 제2유압실(27)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유압실(27)의 방향으로 이동된 피스톤(22)의 중앙부에 설치된 로드(23)가 상기 피스톤(2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로드(23)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23)가 체결된 완충기(13)의 상부가 상기 밸브(31)의 중앙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완충기(13)의 상부가 상기 밸브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소암(19)에힌지결합된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상기 완충기(13)가 상기 밸브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완충기(13)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완충기(13)의 하단에 체결된 차체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된 하부암(15)이 상기 조향차체(91)의 중앙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좌측 하부암(15)이 조향차체(91)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향차체(91)의 세로대(17)에 결합된 우측의 하부암(15)이 상기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우측 하부암(15)이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우측 하부암(15)에 결합된 우측 완충기(13)의 하단이 상기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완충기(13)의 하단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완충기(13)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로에 접한 삼륜차의 차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밸브(31)의 측부에 결합된 관성추(50)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31)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밸브(31)의 유출봉(43) 및 유입봉(42)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펌프실(71)에서 유통되는 오일(80)을 상기 실린더(21)로 유통시키고, 상기 실린더(21)로 유동된 오일(80)에 의해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2)이 완충기(13)에 결합된 로드(23)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완충기(13) 및 하부암(15)의 회동 및 이동으로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정도까지 기울어짐과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낮은 노면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암(15)과 상대적으로 세로대(17)의 회동에 의해 높은 노면의 방향으로 상부암(14)이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암(14)과 하부암(15)의 끝단에 설치된 조향너클(16)이 상기 차체가 기울어지는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차체와 조향너클(16)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차체 및 조향너클(16)에 설치된 바퀴가 상기 차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삼륜차는 경사로에서 중력을 받는 방향과 동일한 지면에 수직되도록 그 기울기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삼륜차의 선회주행시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선회되는 방향으로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기울어지면서 주행이 이루어져 상기 차체 및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원심력을 상기 차체와 운전자의 하중으로 충분히 상쇠하면서 주행을 하도록 되고, 상기 삼륜차의 경사로 주행시에 상기 삼륜차가 경사면에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차체 및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기울어진 하중을 상기 차체가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쇠시켜 주행을 이루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추(50)와 힌지대(51) 및 장공(52)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밸브(31)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봉(44)을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보다 증가시키도록 상기 돌출봉(44)의 이동을 자기장의 힘으로 이루는 기울기감지수단(60)과, 관성추(50)와, 자장캡(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은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그 양측단에 상기 관성추(50)가 회동축(61)을 축으로 하여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61)은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됨과 더불어,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박스형 몸체의 양측단 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회동축(61)은 상기 관성추(50)가 상기 차체의 외측으로만 회동되도록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변이 수직인 삼각날형상의 회전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관성추(50)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몸체 일면에 상기 관성추(50)의 일측면에 접하는 지지돌기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관성추(50)는 상기 회동축(61)을 축으로 그 일단이 체결되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의 봉으로 구성되며, 자체 하중으로 인해 상시 지면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운동력을 갖는다.
또,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내부로 삽입된 회동축(61)의 중앙부에 상기 관성추(50)의 배열방향과 동일한 배열방향을 갖도록 상기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형상의 회전단자(6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단자(62)의 양측부에 상기 고정단자(63)가 회동되었을 때 상호 접하여 전원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단자(63)가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또, 상기 고정단자(63)의 끝단에서 상기 자장캡(66)에 이르도록 전원의 통전이 가능한 도선(64)이 연결된다.
또, 상기 도선(64)에는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 및 자장캡(66)에 인가되는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을 증폭시키는 앰프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을 통전시키는 도선(64)에 연결된 자장캡(66)은 그 내부에 상기 돌출봉(44)을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돌출봉(44)의 선단과 소정간격(본 실시예에서는 약 1∼2㎜) 이격되도록 중앙부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외주를감싸면서 상기 2개의 도선(64)이 연결된 코일(6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밸브(31)의 일측면과 접하는 상기 자장캡(66)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돌출봉(4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돌출봉(44)의 선단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더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코일(65)은 상기 도선(64)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65)에 인가되는 전원으로 인해 생성되는 자장의 힘이 상기 밸브(31)에서 돌출봉(44)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일방향으로 감겨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장캡(66)은 상기 돌출봉(44)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돌출봉(44)에 덮어짐과 더불어, 상기 돌출봉(44)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일면이 상기 밸브(31)의 일측면에 맞닿아 접합된다.
또, 상기 자장캡(66)의 함몰부 내측과 상기 돌출봉(44)의 선단 사이에 코일(65)형상의 코일스프링(67)이 설치되어 상기 자장캡(66)의 내측면과 돌출봉(44)의 선단면 사이에 탄발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시동으로 인해 상기 전원을 통해 상기 고정단자(63)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자(63)는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내측면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이 차단된 상태를 이룬다.
또, 상기 차체가 선회주행을 하거나, 경사로를 주행하여 상기 관성추(50)가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관성추(50)의 선단이 결합된 회동축(61)이 상기 관성추(50)의 회동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동축(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단자(62)가 상기 관성추(50)가 기울어진 각과 동일하게 기울어진다.
상기 회전단자(62)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회전단자(62)가 회전되어 맞닿도록 설치된 고정단자(63)에 양선단이 맞닿게되고, 상기 회전단자(62)와 고정단자(63)가 상호 접하면서 상기 양측 고정단자(63)에 통전되는 전원이 상기 양측 고정단자(63) 및 회전단자(62)를 통해 통전되어 상기 전원과 도선(64) 및 코일(65)이 폐회로를 이루면서 상기 전원의 통전을 이룬다.
상기 폐회로를 통해 통전되는 전원이 상기 도선(64)을 통해 코일(65)로 통전되고, 상기 코일(65)에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코일(65)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코일(65)의 감긴상태에 따라 일방향으로 작용하는 자장이 형성되고, 이 코일(65)에 형성된 자장으로 인해 상기 자장캡(66)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돌출봉(44)이 상기 자장의 힘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자장의 형성에 따라 상기 돌출봉(44)은 상기 밸브(31)의 내측에서 상기 자장캡(66)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때 상기 돌출봉(44)은 상기 자장캡(66)의 내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을 억압하면서 상기 함몰부와의 이격거리만큼 소정폭 이동된다.
상기 돌출봉(44)의 밸브(31)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31) 내부에서 상기 오일(80)이 유통되어 상기 가압수단(20)을 작동시켜 상기 차체가 소정각도 기울어져 운행되고,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차체에 체결된 기울기감지수단(60)이 기울어져 상기 관성추(50)가 또 다시 지면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관성추(5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차체가 기울어지도록 됨에 따라 상기 관성추(50)는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관성추(50)가 기울어진 각도로 기울기감지수단(60)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관성추(50)가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도록 되어 상기 관성추(50)에 체결된 회전축이 역회전되고, 이 회전축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회전단자(62)가 최초 위치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단자(63)와의 접촉이 끊어져 상기 전원의 통전이 차단된다.
상기 전원의 통전이 차단된 코일(65)은 더 이상 자장을 형성하지 않도록 됨에 따라 상기 돌출봉(44)은 상기 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밸브(31) 내부의 오일(80)유통을 차단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차체의 지속적인 선회주행이나, 경사로의 경사변형에 의해 상기 관성추(50)에 가해지는 원심력 및 중력이 가중되면 상기 관성추(50)는 상기 기울어진 차체에서 더 기울어지면서 상기 회전단자(62)와 고정단자(63)를 접속시켜 상기 돌출봉(44)을 재차 돌출시키면서 상기 밸브(31) 내의 오일(80)유통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관성추를 스위치박스(101)의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도록 하고, 관성추의 회동에 따라 자장캡(66)의 작동을 더욱 정확하게 이루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압수단(20)과 제어수단(3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소암(19)의 내측에 상호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단(2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현상의 실린더(21)와, 피스톤(22)과, 로드(23)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22)은 상기 원통형의 실린더(21)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원형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1)의 내부 중앙부에 상기 피스톤(22)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21)의 내부공간이 정면에서 보아 피스톤(22)의 좌측에 형성된 제1유압실(26)과 정면에서 보아 피스톤(22)의 우측에 형성된 제2유압실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23)는 상기 피스톤(22)의 양측면에서 뻗어 상기 완충기에 힌지결합되도록 직사각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2)의 양측면에서 각각 1개씩의 로드(23)가 쌍을 이루고 설치된다.
또, 상기 실린더(21)의 하단에 상기 제어수단(30)이 밀착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의 중앙부 상단에서 연장된 연결관(28)이 상기 제1유압실(26)과 제2유압실(27)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제어수단(30)의 중앙부 상단에서 각각 양측방향으로 예각을 이루고 기울어져 상기 실린더(21)의 양측벽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0)의 양측부에 연결됨과 더불어 각각 쌍을 이루는 유입관(74)과 유출관(75)은 각각 상기 제어수단(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및 절곡되어 상기 유압수단(70)으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제어수단(30)의 자장캡(66)에 도선(64)을 매개로 스위치수단(100)이 연결되어 삼륜차의 차체에 체결된다.
상기 스위치수단(100)은 스위치박스(101)와, 관성추(110)와, 각종 단자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박스(101)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가 후술하는 관성추(110)가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성추(110)는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판형상의 내부단자(111)를 수용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관성추(110)는 상기 스위치박스(100)의 상부에 힌지(103)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정면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상기 힌지(103)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자는 전원단자(102)와 박스단자(104)와 추단자(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단자(102)는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힌지(103) 또는 상기 관성추(110)의 내부단자(111)와 접하도록 연결된다.
또, 상기 전원단자(102)는 상기 삼륜차의 배터리에 도선(64)을 매개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된다.
상기 박스단자(104)는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양측단 내측에서 외측면에 이르도록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설치된다.
또, 상기 박스단자(104)는 상기 제어수단(30)의 자장캡(66) 및 코일(65)과 도선(64)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추단자(112)는 상기 관성추(110)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반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관성추(11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단자(111)의 양끝단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삼륜차의 회전 또는 경사로의 주행시에 상기 관성추(110)가 원심력 또는 중력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101)의 내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힌지(103)를 축으로 회동되고, 상기 힌지(103)를 축으로 회동된 관성추(110)의 양측단에 돌출된 한 쌍의 추단자(112) 중에서 상기 관성추(110)의 회동방향으로 돌출된 추단자(112)가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설치된 박스단자(104)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에 도선(64)을 매개로 연결된 전원단자(102)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원단자(102)에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전원단자(102)에 접속된 내부단자(111)를 통해 상기 추단자(112)로 인가되며, 이 추단자(112)로 인가된 전원이 상기 추단자(112)와 박스단자(104)의 접속에 의해 상기 박스단자(104)로 인가되면서 상기 박스단자(104)에 연결된 도선(64)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0)의 자장캡(66)내에 설치된 코일(65)에 상기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코일(66)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된 코일(65)에 자장이 형성되고, 이 자장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돌출봉(44)이 상기 밸브(3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봉(44)이 돌출되면서 이 돌출봉(44)과 일체로 형성된 유출봉(43) 및 유입봉(42)이 상기 돌출봉(44)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방된 유입구(37)와, 유입로(34) 및 연결구(36)를 통해 상기 일측 연결관(28)으로 상기 유압수단(70)에서 공급하는 오일이 유통된다.
상기 연결관(28)으로 유통된 오일은 상기 연결관(28)의 형상을 따라 상기 실린더(21)의 양측단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실린더(21)의 측단에 연통된 일측의 유압실(26, 27)로 충진된다.
상기 일측 유압실(26, 27)에 상기 오일이 충진됨에 따라, 상기 오일이 충진된 유압실내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22)이 상기 관성추(110)가 회동되어 전원이 인가된 자장캡(66)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22)의 이동에 따라 이 피스톤(22)의 양측면에 체결된 한 쌍의 로드(23)가 상기 피스톤(2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피스톤(2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로드(23)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완충기(13)가 상기 피스톤(22)의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완충기(13)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완충기(13)에 연결된 차체가 기울어져 상기 차체에 결속된 스위치수단(100)의 스위치박스(101)가 상기 관성추(11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스위치박스(101)와 상기 관성추(110)가 최초 정위치와 동일하게 상호 수평을 이루게 되고, 상기 관성추(110)와 스위치박스(101)가 상호 수평을 이룸에 따라 상기 관성추(110)의 양측단에서 돌출된 추단자(112)와 상기 스위치박스(101)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설치된 박스단자(104)가 단락된다.
상기 추단자(112)와 박스단자(104)의 단락에 따라 상기 자장캡(66)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자장캡(66)으로 인가된 전원의 차단에 의해 상기 자장캡(66) 내부의 코일(65)에 형성된 자장이 제거되면서 상기 돌출봉(44)에 대한 인력이 폐지되고, 상기 돌출봉(44)에 대한 인력의 폐지와 함께 상기 돌출봉(44)을 탄발적으로 지지한 코일스프링(67)의 탄력에 의해 상기 돌출봉(44)이 상기 밸브(31)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 돌출봉(44)의 삽입에 의해 상기 유입로(34)가 차단되면서 상기 오일의 연결관(28)으로의 유통이 차단된다.
상기 연결관(28)으로의 오일유통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연결관(28)을 통해 유압실로 충진되는 오일의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유압실의 압력변화가 정지되면서 상기 삼륜차의 차체가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스위치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수단(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성추(121)와, 힌지(122)와, 판스프링스위치(123)와, 스프링(124)과, 하우징(125)과, 도선(126) 및 전원선(127)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성추(121)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삼륜차의 회전 및 경사로의 주행시에 중력에 따라 회동이 가능하도록 소정하중을 갖는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122)는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성추의 상단을 회동가능하도록 후술하는 하우징(125)에 고정하도록 원형의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스위치(123)는 내부에 2개 혹은 3개의 도선이 연결된 단자를수용하면서 그 외측에 상기 각 단자간의 연결을 통해 전원을 인가시키는 스위치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버튼의 외측에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버튼이 눌려 스위치작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24)은 상기 하우징(125)의 내측벽면과 상기 관성추(121)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125)에 대해 상기 관성추(121)를 소정의 위치에서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125)은 차체에 체결됨과 더불어, 그 상단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하우징(125)의 양측 외벽에 수평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관성추(121)가 각각 수용되도록 2개의 격실이 구비된다.
또, 상기 하우징(125)의 중앙부 격벽 양측으로 상기 판스프링스위치(123)가 소정폭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5)의 양측 외벽 내면에 상기 스프링(124)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도선(126)은 상기 각 판스프링스위치(123)의 상단에서 상기 하우징(125)의 상부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제어수단(30)의 돌출봉(44)을 전자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돌출봉(44)의 외부에 설치된 자장캡(66)의 코일(65)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선(127)은 상기 삼륜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판스프링스위치(123)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삼륜차의 회전주행 및 경사로의 주행에 따라 상기 관성추(121)가 상기 삼륜차의 회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때 상기 일측의 관성추(121)는 상기 삼륜차의 회전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판스프링스위치(123)의 판스프링을 가압하지만, 상기 타측의 관성추(121)는 상기 하우징(125)의 외벽 내면에 설치된 스프링(124)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동이 정지된다.
상기 관성추(121)가 상기 판스프링스위치(123)의 판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버튼을 누르고,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선(127)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판스프링스위치(123)를 통해 상기 도선(126)으로 통전되고, 상기 도선(126)으로 통전된 전원이 상기 도선(126)이 연결된 자장캡(66)으로 통전되어 상기 자장캡(66)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돌출봉(44)이 이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삼륜차의 선회주행시 차체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상기 차체의 기울어짐에 의한 하중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선회주행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차체의 원심력에 의한 전복 등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삼륜차의 주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실린더와 밸브 및 관성추 등의 단순한 구조만으로 상기 삼륜차의 기울기 제어를 이루도록 됨에 따라, 삼륜차의 구조를 단순화함은 물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관성추가 회동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오일의 유통을 지속적으로 단속하여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삼륜차의 차속 및 선회정도에 따라 상기 오일의 유통을 제어하도록 되어 상기 삼륜차의 주행정도에 적합한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방 조향차체의 조향축에 의해 진행방향이 제어되는 좌측바퀴와 우측바퀴가 구비되고, 후방의 후방차체에 엔진과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에 설치된 후방바퀴를 구비한 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에 전/후면에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된 시소암과, 상기 시소암의 양끝단에 그 선단이 힌지결합된 한 쌍의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조향축이 삽입되는 조향차체의 세로대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하부암으로 이루어진 조향링크수단;
    상기 시소암의 내측에 체결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경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루고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제1유압실과 제2유압실로 격리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측면에서 봉형상을 이루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시소암에 힌지결합된 완충기에 체결된 로드로 이루어진 가압수단;
    상기 실린더의 양분된 각 유압실에 유통되는 오일의 유통로가 단속되도록 상기 유통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이 밸브를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개폐 작동시키는 관성추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연결구와, 펌프와 연결된 유입구와, 유출구로 이루어진 제어수단; 및
    상기 구동축의 연장축 상에 다수개의 날개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유입팬과,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유입관과,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유출관과, 상기 유입팬의 상사점 전방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이루고 개구되면서 상기 단일개의 유입관으로 모이는 형상을 이룬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팬과 유입포트 및 오일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이룬 펌프실로 구성된 유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중앙 상부에서 내부 중앙에 이루도록 관통된 연결구와, 이연결구의 선단에서 밸브의 축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관통된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의 선단에서 원통형으로 확장되어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유입실과, 상기 유입실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됨과 더불어 원통형상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유출실;
    상기 유출실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유출실의 일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유출실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축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유출로가 내부에 형성된 유출봉과, 상기 유출봉과 동일축 상에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실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유출실의 일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유입실의 내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유입봉과, 상기 유입봉의 축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가 축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연결구의 선단과 연통되고 그 끝단 개구가 구형상을 이루면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는 개폐볼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제어봉으로 이루어져 최초 유출봉과 유입봉과 유로제어봉이 모두 상기 연결구의 방향으로 밀착되어 상기 유입로와 유입실과 유출실의 상기 유입구 방향 측면에 밀착된 개폐부재; 및
    상기 유출봉과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밸브의 측면을 통해 관통되어 연장된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의 선단에 그 선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면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성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의 양측이 동일한 부재 및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밸브의 양측면을 통해 돌출된 한 쌍의 돌출봉 하부에 상기 밸브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힌지대와, 상기 힌지대의 선단에서 상기 돌출봉과 힌지결합된 관성추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접하는 위치의 상기 관성추에 상기 관성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상기 돌기가 최초 최상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장공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돌출봉의 외주를 감싸도록 그 내부가 함몰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도선과 연결된 코일이 설치된 자장캡과, 상기 차체에 고정된 기울기감지수단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축으로 체결된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가 체결된 동일한 회전축에서 상기 기울기감지수단의 내주방향 양측으로 뻗어 형성된 회전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회전되어 맞접하도록 상기 기울기감지수단의 내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도선에 연결된 고정단자와, 상기 도선에 연결된 전원과, 상기 자장캡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봉의 선단면 사이에 탄발적으로 지지된 코일스프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5. 제 2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체에 체결됨과 더불어 내부가 중공된 스위치박스와, 이 스위치박스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차체의 전원에 연결된 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박스의 중공된 내부에 그 상단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의 내부에 그 상단이 상기 전원단자에 접하고 그 하단 양측단이 관성추의 양측단으로 향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의 양측 끝단에 접하면서 상기 관성추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추단자와, 상기 스위치박스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설치되면서 그 내측면이 상기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관성추의 추단자가 접하도록 되고 그 외측부에 연결된 도선이 상기 자장캡의 코일에 연결된 박스단자로 구성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6. 제 2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체에 체결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이 개방되고 그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2개의 격실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격실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 직사각형 박스형상의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의 일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면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각 관성추의 일단이 접해 가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 격벽에 체결된 판스프링스위치와, 상기 자장캡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판스프링스위치에 연결된 도선과, 상기 배터리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판스프링스위치에 연결된 전원선으로 이루어진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로제어봉의 연결구 연결방향 반대편 끝단에 볼형상을 이루고 접합된 개폐볼과, 이 개폐볼을 상기 연결구의 반대편에서 상기 유로제어봉의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이 포함되어, 상기 유출실 내의 오일이 유입실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양측면에 각각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시소암에 그 선단이 힌지결합된 양측 완충기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KR1020010077502A 2001-12-07 2001-12-07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KR20030047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02A KR20030047109A (ko) 2001-12-07 2001-12-07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02A KR20030047109A (ko) 2001-12-07 2001-12-07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109A true KR20030047109A (ko) 2003-06-18

Family

ID=2957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02A KR20030047109A (ko) 2001-12-07 2001-12-07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1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51A2 (ko) * 2010-02-06 2011-08-11 Kim Doo Jeong 삼륜차 헤드부 연동 장치
KR101666321B1 (ko) * 2015-10-06 2016-10-13 아크오토모티브주식회사 안티 롤링 유닛을 구비한 자전거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롤링 저감 방법
CN108394508A (zh) * 2018-05-03 2018-08-14 王业慈 后双轮可倾斜悬挂机构及后双轮可倾斜三轮车
CN108945223A (zh) * 2013-06-14 2018-12-07 庞巴迪动力产品公司 倾斜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410A (en) * 1980-07-17 1982-09-28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Self-balancing wheeled vehicle
KR950007779A (ko) * 1993-09-06 1995-04-15 이헌조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WO2001036253A1 (en) * 1999-11-17 2001-05-25 Bruno Fedetto Three-wheel vehicle with position stabilizer
KR200225664Y1 (ko) * 2000-12-27 2001-06-01 김진우 반능동형 경사주행 제어기구 장착 삼륜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410A (en) * 1980-07-17 1982-09-28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Self-balancing wheeled vehicle
KR950007779A (ko) * 1993-09-06 1995-04-15 이헌조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WO2001036253A1 (en) * 1999-11-17 2001-05-25 Bruno Fedetto Three-wheel vehicle with position stabilizer
KR200225664Y1 (ko) * 2000-12-27 2001-06-01 김진우 반능동형 경사주행 제어기구 장착 삼륜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51A2 (ko) * 2010-02-06 2011-08-11 Kim Doo Jeong 삼륜차 헤드부 연동 장치
WO2011096751A3 (ko) * 2010-02-06 2011-11-10 Kim Doo Jeong 삼륜차 헤드부 연동 장치
CN108945223A (zh) * 2013-06-14 2018-12-07 庞巴迪动力产品公司 倾斜车辆
KR101666321B1 (ko) * 2015-10-06 2016-10-13 아크오토모티브주식회사 안티 롤링 유닛을 구비한 자전거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롤링 저감 방법
CN108394508A (zh) * 2018-05-03 2018-08-14 王业慈 后双轮可倾斜悬挂机构及后双轮可倾斜三轮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0371B2 (ja) 車両
KR100396040B1 (ko) 적어도3개의바퀴가장착된자체안정식의방향제어가능한차량
CN100537288C (zh) 电动式动力单元,电动车辆及电动两轮车
US20100292041A1 (en) Differential for Motorcycle Trike
KR101108556B1 (ko)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EP1350754A4 (en) WORK VEHICLE WITH CROSSING POSSIBILITY
KR101978817B1 (ko) 자율 주행 차량 시험용 더미 운반체
JP2008168893A (ja) 2つのステアリング用前輪及び少なくとも1つの駆動後輪を備えたローリング車両
JP2016147540A (ja) 揺動型車両
JP2002120532A (ja) 自動車のための独立車輪サスペンション
KR20030047109A (ko) 삼륜차용 기울기 제어장치
JP202102565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構造及びこれを含むモビリティ装置
EP1304284A1 (en) Straddling type vehicle
CN106005169B (zh) 一种可折叠的便携式电动三轮车
CN110901816B (zh) 一种悬架总成、控制方法及车辆
EP3771625B1 (en) Saddle type vehicle
CN108791620B (zh) 可侧倾的智能平衡转向折叠电动三轮车及其控制方法
JP4024250B2 (ja) 無線操縦式二輪車玩具
JP2004261584A (ja) 自動車玩具
JPS62500855A (ja) 特に狭軌の自動車における舵取り装置
CN106005173B (zh) 采用双轮关联平衡系统的三轮车
JPH017677Y2 (ko)
CN107351957B (zh) 一种电动三轮车的车架
JP2013208974A (ja) 懸架装置
CN221678903U (zh) 转盘转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