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157Y1 - 절약용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6157Y1 KR200296157Y1 KR2020020026598U KR20020026598U KR200296157Y1 KR 200296157 Y1 KR200296157 Y1 KR 200296157Y1 KR 2020020026598 U KR2020020026598 U KR 2020020026598U KR 20020026598 U KR20020026598 U KR 20020026598U KR 200296157 Y1 KR200296157 Y1 KR 2002961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resent
- contents
- saving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푸, 세제 등과 같은 고점도 액체 내용물을 보관하는 절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는 측면 사방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어 바닥 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상부 마개, 상기 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하부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하부 마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부 또는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절약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는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마개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 배출구 및 하부 마개에 의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절약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 삼푸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액체를 보관하는 절약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제, 삼푸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기둥모양의 측면부(11)와 측면부(11) 하부에 연이어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바닥부(12) 및 측면부(11)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마개부(20)와 연결되는 상부(13)로 구성된다. 마개부(20)에는 두껑을 열고 내용물(액체)을 기울여 따르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마개가 부착될 수도 있고, 최근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편리하게 해주는 펌프식 디스펜서(30)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용기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 점도가 높은 내용물인 삼푸 또는 세제를 거의 다 사용하고 바닥에 내용물이 약간 남아 있게 되면 그 내용물의 배출이 어렵게 된다. 이 때, 남아있는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려면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흘러나오게 하여야 하지만, 내용물의 점성으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디스펜서가 설치되지 않은 보통의 마개를 사용하는 용기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나지만, 디스펜서가 설치된 용기의 경우에도 디스펜서의 대롱의 끝을 용기의 바닥에 근접시키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지므로, 디스펜서의 대롱의 끝 근처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내용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러한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용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내용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약용 용기를 고안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점도가 높은 삼푸, 세제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보관하는 절약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를 사용하면, 모든 내용물을 불편함이 없이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 삼푸 용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약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절약용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의 절약용 용기 110: 용기 몸체
112: 용기 몸체의 둘레부 114: 용기 몸체의 바닥부
120: 상부 마개 130: 디스펜서
132: 디스펜서의 배출구(상부 배출구) 134: 디스펜서의 대롱
140: 하부 배출구 142: 하부 마개
150: 지지부
본 고안은 삼푸, 세제 등과 같은 고점도 액체 내용물을 보관하는 절약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는 측면 사방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어 바닥 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상부 마개, 상기 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하부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하부 마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부 또는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절약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는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마개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으로 표현된 절약용 용기는 본 고안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약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의 절약용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100)는 고점도의 삼푸, 세제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보관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상의 몸체(11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몸체(110)의 형상은 원통이지만, 필요에 따라 타원, 장방형, 기타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0)는 경계 방향을 기준으로, 둘레부(112) 및 바닥부(114)로 구분할 수 있다. 둘레부(112)는 측면 사방으로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경계짓는 것이고, 바닥부(114)는 하부 방향으로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경계짓는 것이다. 바닥부(114)는 둘레부(112)의 하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둘레부(112)의 상부는 용기의 입구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만곡지워져 있다. 용기의 입구에는 상부 마개(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마개(120)의 설치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용기의 입구의 바깥면에는 나사모양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마개(120)의 내부 표면에는 이에 대응하는나사모양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마개(120)는 보통의 형상, 즉 두껑을 열고 내용물을 중력에 의하여 따르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130)가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펜서의 배출구(상부 배출구)를 132로 나타내었고, 디스펜서의 대롱을 134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개선점이 잘 나타나 있는 부분으로서, 용기 몸체(110)의 바닥부(114)의 중앙부에는 하부 배출구(14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배출구(140)는 하부 마개(142)에 의해 덮여있다(막혀있다). 하부 배출구(140)의 바깥 표면에는 하부 마개(142)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모양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여 하부 마개(142)의 내부 표면에도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모양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마개(142)의 단부에는 두껑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두껑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작의 간편성을 제공하지만, 하부 마개(142)에는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항상 액체 내용물이 작용하므로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부 마개(142)의 측면부와 단부는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하부 마개(142)를 용기의 바닥부(114)에 설치함으로써 평소에는 하부 마개(142)가 닫혀 있는 상태로 용기를 사용하다가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사용하여 잔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질 때, 하부 마개(142)를 열어 하부 배출구(140)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용기의 바닥부(114)는 내용물을 하부 배출구(140)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약용 용기는 용기의 바닥부(114)에 설치된 하부 마개(142)가 하방으로 약간 돌출해 있으므로, 용기가 서있게 하기 위해서는 몸체의 둘레부(1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50)가 필요하다. 지지부(150)는 용기가 서있을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너비를 가지며, 보다 안정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용기의 바닥부(114) 밑을 지지하도록 넓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의 높이는 하부 마개(142)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아야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150)는 몸체의 둘레부(112)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용기의 바닥부(114)의 어느 부위에 원형 또는 바닥부의 모양에 따라 형성하더라도 용기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용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 배출구 및 하부 마개에 의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해준다.
Claims (3)
- 측면 사방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어 바닥 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몸체,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상부 마개,상기 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하부 마개, 및상기 몸체의 둘레부 또는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약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의 바닥부는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마개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6598U KR200296157Y1 (ko) | 2002-09-05 | 2002-09-05 | 절약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6598U KR200296157Y1 (ko) | 2002-09-05 | 2002-09-05 | 절약용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6157Y1 true KR200296157Y1 (ko) | 2002-11-22 |
Family
ID=7307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6598U KR200296157Y1 (ko) | 2002-09-05 | 2002-09-05 | 절약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6157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460U (ko) | 2015-10-15 | 2017-04-25 | 명의전 | 용기 뚜껑 |
KR200487581Y1 (ko) | 2018-02-12 | 2018-11-28 | 김선홍 | 절약형 용기 |
WO2018236091A1 (ko) * | 2017-06-20 | 2018-12-27 | 김선홍 |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
KR20200062850A (ko) | 2018-11-27 | 2020-06-04 | 김명범 | 세제 용기 |
-
2002
- 2002-09-05 KR KR2020020026598U patent/KR2002961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460U (ko) | 2015-10-15 | 2017-04-25 | 명의전 | 용기 뚜껑 |
WO2018236091A1 (ko) * | 2017-06-20 | 2018-12-27 | 김선홍 |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
KR200487581Y1 (ko) | 2018-02-12 | 2018-11-28 | 김선홍 | 절약형 용기 |
KR20200062850A (ko) | 2018-11-27 | 2020-06-04 | 김명범 | 세제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1669B1 (ko) | 분리용기 | |
JP5489703B2 (ja) | 詰め替え容器 | |
KR200296157Y1 (ko) | 절약용 용기 | |
US6349860B1 (en) | Dispensing cap having serum trap | |
KR100856728B1 (ko) |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 |
JP2008137693A (ja) | 詰め替え用容器 | |
JP2011235944A (ja) |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 |
JP3830691B2 (ja) | 液体収納容器 | |
JP5600429B2 (ja) | 注出容器 | |
JP5542462B2 (ja) | 詰め替え容器 | |
JP5321896B2 (ja) | 詰め替え容器 | |
JP4840568B2 (ja) | キャップ | |
JP2008007181A (ja) |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 |
JP2007145353A (ja) | キャップ | |
KR200495074Y1 (ko) |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 |
JP5373554B2 (ja) | 注出栓 | |
KR900009111Y1 (ko) | 액체용기의 유출보조구 | |
KR200167208Y1 (ko) | 토출용 마개 | |
KR200197302Y1 (ko) |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 |
KR20190001224A (ko) | 흘러내림 방지용 토출구를 가지는 병 | |
KR200174978Y1 (ko) | 액체 식품 용기의 뚜껑 (cap of container for a liquid food) | |
KR0138487B1 (ko) | 액체 저장용기 | |
JP2017149478A (ja) | 計量キャップ付き注出栓 | |
KR200233050Y1 (ko) |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 |
KR200295694Y1 (ko) | 병마개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