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93Y1 -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2893Y1 KR200262893Y1 KR2020010034628U KR20010034628U KR200262893Y1 KR 200262893 Y1 KR200262893 Y1 KR 200262893Y1 KR 2020010034628 U KR2020010034628 U KR 2020010034628U KR 20010034628 U KR20010034628 U KR 20010034628U KR 200262893 Y1 KR200262893 Y1 KR 2002628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storage case
- reel
- case
- plu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소형 컴퓨터나 오디오 등의 휴대용 기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플러그 잭이 부착된 이어폰이나 주변기기를 휴대용 기기 본체에 손쉽게 체결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ㄷ"자 형태의 플러그 잭이 장착된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잭은 전선줄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본체에 연결시켜 사용시, 이어폰 수납 케이스가 본체와 분리되어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상태로 되어있어, 이어폰 줄을 빼내거나 집어넣어야 할 경우에 다른 한쪽 손으로 이어폰 수납 케이스를 붙잡아 주거나 자동 감김 단추를 눌러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또한 자동 감개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릴에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이 감기거나 풀려질 때 플러그 잭과 연결된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 등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격이 높아질 뿐 만 아니라, 접촉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플러그 잭의 몸체를 "ㄷ"자 형태로 형성시켜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직접 부착시켜 놓음으로서, 휴대용 기기 본체와 연결하여 사용시 본체와 밀착 결합되어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아울러 이어폰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를 사용하는 대신에, 여분의 이어폰 줄을 릴의 바깥쪽 회전축 주위에 미리 여러 바퀴 감아놓음으로서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며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고장율을 대폭 감소시킨 이어폰 수납 케이스임.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 소형 컴퓨터나 오디오 등의 휴대용 기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플러그 잭이 부착된 이어폰이나 주변기기를 휴대용 기기 본체에 손쉽게 체결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ㄷ"자 형태의 플러그 잭이 장착된 이어폰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잭은 전선줄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본체에 연결시켜 사용시, 수납 케이스가 본체와 분리되어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상태로 되어있어, 이어폰 줄을 빼내거나 집어넣어야 할 경우에 다른 한쪽 손으로 이어폰케이스를 붙잡아 주거나 자동 감김 단추를 눌러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또한 자동 감개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릴에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이 감기거나 풀려질 때 플러그 잭과 연결된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 등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격이 높아질 뿐 만 아니라, 접촉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플러그 잭의 몸체를 "ㄷ"자 형태로 형성시켜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직접 부착시켜 놓음으로서, 휴대용 기기 본체와 연결하여 사용시 본체와 밀착 결합되어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아울러 이어폰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를 사용하는 대신에, 여분의 이어폰 줄을 릴의 바깥쪽 회전축 주위에 미리 여러 바퀴 감아놓음으로서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며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고장율을 대폭 감소시킨 이어폰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휴대폰에 부착 사용한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어폰 수납 케이스 15. 릴 회전축
19. 받침대 20. 판 스프링
26. 이어폰 27. 이어폰 줄
28. 릴 29. 마이크
30. 여분의 이어폰 줄 31. 플러그 연결 줄
32. 플러그 몸체 33. 플러그 잭
34. 돌기부 35. 플러그 몸체 회전축
통상의 기존 플러그 잭의 몸체가 "-"자 또는 "ㄱ"자 형태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플러그 잭의 몸체를 "ㄷ"자 형태의 플러그 몸체(32)를 형성시키고 플러그 몸체 회전축(35)에 돌기부(34)를 설치하여, 이를 "Ω"형태의 판 스프링(20)의 사이에 끼우고 받침대(19)에 놓고 이어폰 수납 케이스(10)안에 장착시킨 후, 이어폰 사용시 플러그 잭(33)을 앞 또는 뒤쪽으로 돌려서 휴대폰이나 오디오 기기 등의 본체에 끼우게 되면, 판 스프링(20)에 의하여 돌기부(34)에 힘이 가하여져 이 복원력에 의하여 이어폰 수납 케이스(10)가 본체에 달라 붙게되어, 다른 한 손으로 이어폰 수납 케이스(10)를 붙잡지 않고도,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이어폰(26)을 손쉽게 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됨.
또한 자동 감개 형태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릴(28)에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27)이 감기거나 풀려질 때 플러그 잭과 연결된 플러그 줄(31)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분의 이어폰 줄(30)을 릴 회전축(15) 주위에 미리 여러 바퀴 감아 놓음으로서, 이어폰 줄(27)이 풀리거나 감길 때 이에 따라서 여분의 이어폰 줄(30)도 함께 릴(28)의 외주보다 훨씬 작은 외주의 릴 회전축(15)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미끄럼 접촉단자에 비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며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고장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이어폰 수납 케이스인 것이다..
이어폰 수납 케이스(10)가 휴대용 기기의 본체에 달라붙음으로서, 다른 한 손으로 이어폰 수납 케이스(10)를 붙잡지 않고도,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이어폰(26)을 손쉽게 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으며, 또한 자동 감개 형태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릴(28)에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27)이 감기거나 풀려질 때 플러그 잭과 연결된 플러그 줄(31)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분의 이어폰 줄(30)을 이용함으로서 미끄럼 접촉단자에 비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며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고장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을 지닌 이어폰 수납 케이스임.
Claims (2)
- 플러그 잭이 전선줄로 연결되어 있는 기존의 자동 감개 형태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플러그 잭의 몸체를 "ㄷ"자 형태로 형성시켜 이를 판 스프링(20)과 함께 이어폰 수납 케이스(10)에 직접 부착시켜 놓아, 이어폰 사용시 이어폰 수납 케이스(10)가 본체와 밀착 결합되어있어 한 손만으로 이용하기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어폰 수납 케이스.
- 제 1항의 자동 감개 형태의 이어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릴(28)에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27)이 감기거나 풀려질 때 플러그 잭과 연결된 플러그 줄(31)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접촉단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분의 이어폰 줄(30)을 릴(28)의 바깥쪽 회전축(15) 주위에 미리 여러 바퀴 감아놓음으로서 미끄럼 접촉단자 사용에 따른 접촉불량 등의 고장율을 대폭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어폰 수납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4628U KR200262893Y1 (ko) | 2001-11-12 | 2001-11-12 |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
PCT/KR2002/002108 WO2003043373A1 (en) | 2001-11-12 | 2002-11-11 | Earphone wire and plug storage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4628U KR200262893Y1 (ko) | 2001-11-12 | 2001-11-12 |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2893Y1 true KR200262893Y1 (ko) | 2002-03-18 |
Family
ID=2775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4628U KR200262893Y1 (ko) | 2001-11-12 | 2001-11-12 |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2893Y1 (ko) |
WO (1) | WO20030433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92216B2 (en) | 2012-08-15 | 2015-11-24 | Athos Holding Gmbh | Apparatus for safekeeping of a headset or ear bud |
CN103986991A (zh) * | 2014-05-28 | 2014-08-13 | 王小诗 | 一种卷线式耳机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2957A (en) * | 1994-01-18 | 1995-06-06 | Cummins; Robert C. | Cable take-up for earphones |
KR100329217B1 (ko) * | 1999-04-16 | 2002-03-21 | 이춘래 |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
-
2001
- 2001-11-12 KR KR2020010034628U patent/KR20026289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
- 2002-11-11 WO PCT/KR2002/002108 patent/WO2003043373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3043373A1 (en) | 2003-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10893B2 (ja) |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 |
JP3541833B2 (ja) | ヘッドセット | |
US6616080B1 (en) | Retractable cord device | |
KR101752771B1 (ko) |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 |
US6848802B2 (en) | Computer light with extensible electric conductive wire | |
KR101673414B1 (ko) |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 |
KR20050004652A (ko) | 이어폰 권취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 |
WO2007011128A1 (en) | Hard/soft necklace-type moun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5655726A (en) |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 |
KR101292337B1 (ko) | 이어폰 보관 장치 | |
KR200262893Y1 (ko) |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 |
KR101512046B1 (ko) | 핸드폰 케이스 | |
KR20160025943A (ko) | 이어폰 감김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 |
KR200423708Y1 (ko) |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권취장치 | |
KR19980059970U (ko) |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 |
WO2005055642A2 (en) |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 |
KR200181930Y1 (ko) |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 |
KR200356253Y1 (ko) |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 |
CN212163643U (zh) | 一种便携式蓝牙耳机 | |
JP2604648Y2 (ja) | カールコードの接続装置 | |
JP3655573B2 (ja) | イヤフォン整理具 | |
KR200221512Y1 (ko) |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 |
KR100500226B1 (ko) |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 |
KR200200154Y1 (ko) | 이어폰이 구비된 목걸이 | |
TW477153B (en) | Retractable cor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